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고내구성콘크리트의 염해저항성에 관한 실험적 연구

        윤재환,정재동,Yoon, Jai-Hwan,Jaung, Jae-Dong 한국건축시공학회 2003 한국건축시공학회지 Vol.3 No.3

        In this paper, salt damage resistance of high durable concrete was tested. High durable concrete was made by using low water cement ratio, chemical admixture called super-durable admixture and mineral admixtures such as fly-ash,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silica fume. Two kinds of salt damage resistance test were carried out. One method is chloride ion penetration test(ASTM C1202), and the other one is depth of chloride penetration test in saline solution. Test results were as followers: 1) The depth of chloride ion penetration increased exponentially as water cement ratio was increased and time passed. 2) Super-durable admixture had littl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salt damage resistance of concrete. 3) Silica fume and ground granulated blast-furnace slag were effective on salt damage resistance because of pozzolanic reaction, but fly-ash had a little effect.

      • KCI등재
      • KCI등재

        명곡 최석정 상소문 연구

        윤재환(Yoon, Jae-Hwan) 숭실대학교 한국문학과예술연구소 2018 한국문학과 예술 Vol.27 No.-

        명곡 최석정은 조선 중 · 후기의 대표적인 소론계열 관료이자 학자이다. 그는 당대 소론의 영수로 활약하면서 정계와 사상계에서 중요한 역할을 했다. 그와 같은 최석정의 삶과 정치적 위상이 그에 대한 문학적 관심을 멀어지게 한 가장 큰 이유로 보이지만 그의 장점 중 하나로 거론되어 왔던 문장에 대한 논의를 배제하고는 최석정의 온전한 모습을 파악하기 힘들다. 최석정은 공적(公的) 문장(文章)에 뛰어났다는 평가를 받았다. 이 글에서 다룬 최석정의 최명길 변무 상소를 살펴보면 고도의 정치적 전략을 담은 철저하게 계산된 치밀한 논리 구조로 이루어진 글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글에서 최석정은 투식어의 사용보다 자신의 주장을 명확하게 밝히고 그 주장의 근거를 하나하나 세밀하게 제시하는 서술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의 상소는 당대 이루어졌던 최석정의 문장에 대한 평가의 이유를 구체 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따라서 최석정의 상소문은 무엇보다 최석정 문장의 구체적 실현체라는 의미를 가지지만, 이 의미는 당대 유용했던 정치적 글쓰기의 한 전범으로 그 의미를 확장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MyungGok Choi Seok-jung is a representative bureaucrat and scholar of the Soron series in the middle and late Joseon Dynasty. H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politics and ideology as a leader of the time. Choi Seok-jung`s life and political status seem to be the biggest reason for disengage from literary interest, but it is difficult to grasp Choi Seok-jeng`s complete appearance without discussing the sentence that has been mentioned as one of his strengths. Choi Seok-jung was rated as superior to public sentences. If you look at Choi Seok-jung`s petition to the king appeal for Choi Myung-gil, which is covered in this article, you can see that it is a thoroughly calculated and detailed logic structure containing a high political strategy. In this article, Choi Seok-jeng used a narrative method that clearly clarified his argument and presented the basis of the argument one by one rather than the use of the formal terminology Choi Seok-jung`s petition to the king is an important resource that can confirm the reason for the evaluation of Choi Seok-jung`s sentence, which was made in the day. Therefore, Choi Seok-jung`s petition to the king means concrete realization of sentence, but this meaning can be extended to a model of political writing that was useful in the day.

      • KCI등재
      • KCI등재

        호곡(壺谷) 남용익(南龍翼)의 사행시(使行詩)를 통해 본 대일(對日),대청(對淸) 의식(意識)의 양상(樣相)과 의미(意味)

        윤재환 ( Jae Hwan Yoon ) 우리한문학회 2011 漢文學報 Vol.24 No.-

        壺谷 南龍翼(1628~1692)은 우리 문학사에서 한 시대를 대표하는 문인 중 한 사람으로 꼽힌다. 그의 65세 생애 대부분이 문학과 떨어질 수 없는 삶이었고, 그는 이 삶을 그대로 받아들여 생애 대부분을 문학 창작 활동으로 보냈다. 남용익이 65세라는 생애 대부분을 문학과 함께 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천부적인 문학적 재능과 함께 그에게 문학 창작을 자극했던 굴곡진 삶의 경험이 존재하고 있었기 때문이라 생각된다. 남용익은 임진왜란이 끝난 30년 뒤, 병자호란이 일어나기 9년 전에 태어났다. 임진왜란을 직접 경험하지는 못했지만, 그 여파가 완전히 가라앉기 전에 태어났으니 조선이 겪은 최악의 外侵 두 가지 모두에 적지 않은 영향을 받은 삶을 살았다고 볼 수 있다. 남용익의 삶이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모두에 일정한 영향을 받았다고 한다면, 그가 가진 일본과 청나라에 대한 인식과 이 인식을 바탕으로 형성되었을 일본과 청나라에 대한 의식을 충분히 짐작할 수 있다. 여기에 남용익은 임진왜란 이후 57년이 되던 그의 나이 29세 때 일본으로 사행을 갔으며, 병자호란이 끝난 30년 뒤인 그의 나이 38세 때 청나라로 사신을 갔다. 불과 9년을 간격으로 조선에 가장 큰 危害를 가한 두 나라를 모두 다녀온 것이다. 이 글은 이와 같은 남용익의 일생에 대한 관심과 그가 지니고 있었을 일본과 청나라에 대한 의식에 관한 호기심, 그리고 그 의식의 문학적 구현에 대한 흥미를 바탕으로 기술되었다. 일본과 청나라로 사행을 가기 전 남용익은 이 두 나라를 어떻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사행을 마친 뒤 이 두 나라를 어떻게 의식하였을까. 또 일본과 청나라에 대한 남용익의 의식은 어떤 차이를 보이며, 그 차이는 어떤 뜻이 있는가 하는 것이다. 그런데, 『호곡집』에 수록된 「부상록」과 「연행록」을 통해 살펴본 남용익의 대일 의식과 대청 의식은 단일 층위에서 이야기하기 어려운 것이다. 이 차이는 일본과 청나라라는 개별적인 두 나라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아니라 中華와 異域이라는 文化圈域에 대한 차별 의식에 기인하는 것이라 생각된다. 문화적 동질성을 기준으로 세상을 나누어 보았을 때 당대 조선인들에게 중국은 동일 문화권 속에 존재하는 동지와 가족이었지만, 일본은 어떻게 보아도 가족이 될 수 없었다. 이 차이는 조선과 일본 사이에 임진왜란이라는 전란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하더라도 바뀌지 않았을 것이라 생각된다. 청나라 역시 오랑캐라는 것은 일본과 다름없지만, 현재 청나라 사람들이 발 딛고 있는 지역이 중화 문명의 한 가운데라는 점에서 일본과 같을 수는 없는 것이었다. 따라서 청나라의 지배계급에 대한 비판의식이 커지면 커질수록 청나라 백성들에 대해서는 연민의 정이 일어나고, 과거 정통 중화 문명에 대한 회고의 정이 깊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런 점에서 남용익의 대일 의식과 대청 의식의 비교는 두 나라에 대해 남용익이 지니고 있었던 의식 세계를 비교하는 작업이라기보다 동일 문화권과 이질 문화권에 대한 인식 차이의 비교로 바라보는 것이 옳다고 생각된다. 문화권역 사이의 상호 동질성과 이질성에 대한 구분 의식이 남용익을 비롯한 당대 조선 문인들이 일본과 청나라를 바라보는 인식 차이의 근본적인 원인이었고, 이 인식 차이의 근본적인 원인은 일본과 청나라가 실질적으로 얼마나 발전하고 진보하였느냐에 상관없이 당대 조선 문인들을 사로잡고 있었던 보편적인 의식이었다고 생각된다. 이 구분 의식이 남용익의 「부상록」과 「연행록」에서 볼 수 있는 차이를 만든 근본 원인이라고 할 수 있다. HoGok Nam,Yongik is one of the person who representing the history of literature in a time. His whole life (65 years) can`t be imagined without literature and he spent most of his life to create literature. The reason how Nam,Yongik could spend whole his life with literature might be his natural talent of literature and his unordinary experiences. These might encourage him to create literature. Nam,Yongik was born 30 years after finishe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and 9 years before the Manchu war of 1636. Even he didn`t have experience of the invasion, he was born in the time that the effect from the invasion was not settled down so his life was effected a lot by the worst cases the invasion and the war in Chosun. If Nam,Yongik`s life got some effect from the invasion and the war, the sense toward Japan and China can be guessed. Additionally he visited Japan when he was 29 years old (57 years after the invasion) and visited China when he was 38 years old (30 years after the war) as envoy. Only 9 years term, he visited two countries who gave the most critical damage in Chosun. This writing is composed based on the interesting of Nam,Yongik`s life, the curiosity of his sense toward Japan and China and the literature created by his sense. This writing is trying to find what was his sense before and after visited these two countries, and what his sense was changed and what is the meaning of the changes. However, the sense toward Japan and China studied through 「BooSangRok」 and 「YeonHeangRok」 in 『HoGokJip』 can`t be considered with one aspect. The reason might be not the difference of his sense toward Japan and China but the difference of his sense toward the cultures between these two countries. If consider the cultural situation in that time, China was considered as company or family in the same cultural area but Japan couldn`t be in the same area. This difference may not be changed even the invasion was not happened. Even China is considered as barbarian country like Japan, it was considered the area China located as the middle of the culture. So the critical mind about the ruling class was getting bigger and bigger, then sympathy for the people in China was happened, and the feeling for reminiscence about the traditional culture in the past was deeper and deeper. In this viewpoint, the difference of Nam,Yongik`s sense is not the difference of his sense toward these two countries but the difference of recogniztion of two different cultures. The sense of difference cultures was the basic reason that made the difference the sense toward these two countries in writers of Chosun including Nam,Yongik. This difference was the common mind of the writers in Chosun even it wasn`t the matter how these two countries was developed in practically or not. So this sense of the difference can be considered as the main reason that made the difference in 「BooSangRok」 and 「YeonHeangRok」.

      • KCI등재

        깨어지는 꿈, 선유(仙遊)의 환상 - 조선후기유선시(朝鮮後期遊仙詩)의 성격 변화와 관련하여 -

        윤재환 ( Yoon Jae-hwan ) 한국시가학회 2020 韓國 詩歌硏究 Vol.51 No.-

        우리나라의 유선시는 고려시기부터 조선 초기까지 일부 작자들에 의해 간헐적으로 창작되다가 조선 중기인 16~7세기 무렵 전성기를 맞이한다. 이 시기 유선시의 창작이 활성화된 이유로 정치적 혼란과 전란이라는 외적 요인과 그에 따른 작자 계층의 의식 변화, 학당풍의 진작과 도교에 대한 관심의 증폭, 서인의 몰락 등이 거론된다. 그런데 조선 후기 특히 18세기 이후로 오면서 한시 속의 신선세계는 점차 변화하는 모습을 보인다. 이전 시기까지 유지되어 왔던 낭만적이고 환상적인 이상세계에서 점차 世俗化되는 모습을 보인다. 조선 후기의 한시에서도 이전 시기와 같은 유형의 유선시를 볼 수 있지만, 이전과 다른 모습을 지니는 작품들을 상당수 찾을 수 있다. 이런 변화의 원인을 단언하기는 어렵지만 조선 후기의 유선시에서 볼 수 있는 모습은 분명 이전 시기까지와는 다른 모습이다. 조선 후기 새로운 유형의 유선시가 등장하게 된 이유를 당풍과 도교에 대한 관심의 쇠퇴와 산문의 대두,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로 보기도 하지만 이렇게 단언하기는 어렵다. 그것은 당풍과 도교에 대해 관심을 두지 않았던 인물들에게서 이전 시기와 같은 유형의 유선시를 찾을 수 있고, 조선 후기 당대 새롭게 대두된 산문에서도 선계에 대한 동경과 비판이라는 상반된 의식을 동시에 확인할 수 있으며,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는 유선시 뿐만 아니라 모든 문학 양식의 변화를 유도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와 같은 문제에도 불구하고 조선 후기 유선시의 성격 변화는 시대정신과 문학사조ㆍ작가의식의 변화 때문이라고 할 수밖에 없는데, 이렇게 규정할 경우 새로운 유형의 유선시는 작자 개개인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시대정신과 문학사조에 작가의식이 영향 받을 수는 있지만, 반드시 시대정신이나 문학사조와 작가의식이 함께 가는 것은 아니기 때문이다. 다만 작가의식의 형성에 시대정신이나 문학사조가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학사조가 대두된 조선 후기의 유선시는 이전과 다른 양상을 지닐 가능성이 적지 않다. 조선 후기에 등장한 실질적이고 이성적인 현실 중심의 새로운 시대정신과 문학사조는 과학적이고 논리적인 분석을 바탕으로 감성과 낭만에 가득한 신선의 세계를 현실세계로 끌어내렸다. 이와 같은 변화는 시대의 추세로 볼 때 타당하고 또 당연한 것이지만 작자와 함께 독자들이 문학 특히 시를 통해 잠시라도 현실을 벗어나 환상의 세계를 거닐 수 있는 방법의 하나를 없애 버렸다는 점에서 아쉬움 역시 적지 않다.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of Korea was created intermittently by some authors from the Goryeo period to the early Joseon period, and it was in its heyday in the 16th and 17th centuries of mid-Joseon., The reasons for the activation of the creation of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during this period are the external factors of political confusion and war, the change of consciousness of the author class, the increase of interest in the a tendency to learn poetry of poetry of Tang style and Taoism, and the fall of the western man. However,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 the Chinese poetry gradually changes as it comes from the late Joseon Dynasty, especially since the 18th century.,It shows a gradual change in the romantic and fantastic ideal world that has been maintained until the previous period.,In the late Joseon period, we can see the same type of wire poetry as before, however, we can find a lot of works that have different shapes from before.,It is difficult to assert the cause of this change. however, the appearance seen in the poem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of the late Joseon Dynasty is definitely different from the previous period. The reason why the new type of wire poetry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seen as the decline of interest in Tang Dynasty`s Poetry Trend and Taoism, the rise of prose, and the change of the spirit of the times, literary trend, and writer's consciousness, but it is difficult to assert like this., It is because the characters who did not pay attention to Tang style and Taoism can find the same type of wire poetry as before, and the contradictory consciousness of longing and criticism of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can be confirmed at the same time in the prose newly emerging in the late Joseon Dynasty. The change of the spirit of the times, the history of literature, and the writer`s consciousness induces the change of all literary styles as well as the wire poetry. However, despite such problems, the change in the poem`s character of a cruise of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is due to the change in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trend, and the artist's consciousness.,It is the consciousness of the writer can be influenced by the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s, but not necessarily the spirit of the times, literary trends and writers' consciousness.,However, in the sense that the spirit of the times and the literary trend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artist's consciousness,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poetry of the late Joseon Dynasty, where the new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s emerged, will have a different aspect from before. The new spirit of the times and literary trend of the real and rational reality that appeared in the late Joseon Dynasty brought down the World of a legendary hermit with miraculous powers full of emotion and romance to the real world based on scientific and logical analysis. Such a change is reasonable and natural in view of the trend of the times, but it is also regrettable that readers have removed one of how they can walk away from reality for a while through literature, especially poetry.

      • KCI등재

        투고논문 : 용주(龍洲) 조경(趙絅)의 시문학(詩文學) 세계(世界) -즉흥시(卽興詩)를 중심(中心)으로-

        윤재환 ( Jae Hwan Yoon ) 동방한문학회 2013 東方漢文學 Vol.0 No.54

        龍洲 趙絅(1586∼1669)은 16세기 후반부터 17세기 중반까지를 살다 간 조선 중기 대표적 지성인의 한 사람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龍洲의 정치적·학문적 위상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이루어진 龍洲 관련 연구는 미미한 편이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龍洲 관련 연구는 대부분 문학 방면에서 이루어졌지만, 이 역시도 본격적이거나 전면적이라고 하기는 어렵다. 현재까지 이루어진 龍洲 관련 연구들의 대부분이 문학 방면에서 이루어졌다는 것은 당대 龍洲가 지녔던 문학적 聲價가 적지 않았음을 말해주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지금까지 龍洲의 문학적 역량에 관한 선인들의 평가는 모두 문장 방면에서 이루어졌는데, 이와 같은 특징은 그의 사승관계와 문집 구성, 창작 작품의 수로 보아 충분히 예상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평가를 바탕으로 龍洲의 시문학적 역량이 부족했다거나 그가 시문학에 그다지 주목하지 않았던 인물이라고 한다면 이는 사실을 曲解한 피상적인 평가라고 할 수 있다. 이 글은 龍洲 趙絅의 시문학 작품 중 卽興詩를 대상으로 하여 그의 시문학 세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이 글에서 龍洲의 시문학 세계를 논의의 대상으로 삼는 것은 그의 시문학 세계도 충분한 문학성을 지니고 있으며 詩的으로 상당한 수준에 이르렀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특히 이 글에서 그의 다양한 시문학 작품 중卽興詩를 대상으로 그의 시문학 세계를 살펴보고자 한 것은 卽興詩가 가지는 卽自的인 창작 특성 때문이다. 오랜 시간의 彫琢이나 鍊磨를 거치지 않고 詩興을 느낀 현장에서 즉시 창작하는 卽興詩는 그 특성상 작가의 문학적 역량을 있는 그대로 작품의 표면에 드러낼 수밖에 없는 시 양식이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龍洲의 시문학적 역량과 창작된 시문학 작품의 문학적 성취도를 가감 없이 있는 그대로 살펴보기 위해 분석의 대상으로 즉흥시를 선정하였다. 龍洲의 문집 속에 수록된 卽興詩는 모두 21題 22首이다. 卽興詩 중 연작시는 七言絶句 「慢成」 1題 2首뿐이고, 나머지 시들은 모두 1題 1首의 단형시이다. 五言絶句와 五言律詩가 각각 2題 2首이고, 七言絶句가 6題 7首·七言律詩가 10題 10首이며, 七言古詩가 1題 1首이다. 龍洲의 卽興詩 22首를 내용에 따라 보다 자세하게 살펴보면 田園에서 느끼는 龍洲의 興趣와 隱居 意識의 吐露, 修養 意志의 表出 3가지로 구분이 가능하다. 이 세 유형은 모두 龍洲가 접한 풍경과 당시 그가 처해 있었던 상황에 따라 龍洲의 의식이 각기 다른 방향으로 작용한 결과라 생각된다. Yongju Jo Gyeong(1586∼1669), living from the late 16th century till the mid 17th century, is one of representative literati in the mid-Joseon period. However, despite his political and academic status, the research regarding him up to the present is little. Although the researches on Yongju till now were mainly of his literature, they can be hardly called full-scale or overall. The fact that most researches about Yongju were of his literature shows that Yongju`s literary reputation in his contemporary time was enormous. Especially, the previous evaluations about Yongju`s literary capability were all regarding his proses, and such features are predictable by his academic lineage, the structure of his anthology, and the number of his literary pieces. However, either if his poetic capability is underestimated or if it is assumed that he did not pay much attention to poetry due to such features, they are superficial misunderstandings unlike the reality. This paper is to examine Yongju Jo Gyeong`s poetry based on his impromptu poems. This paper takes Yongju`s poetry for the subject because this study thinks that his poetry maintained enough literary value and achieved considerable poetic height. Especially, due to the characteristic of impromptu poems of immediate-raw creation, this paper attempts to examine his poetry through his impromptu poems. Without corrections and revisings, an impromptu poem is written at the moment of poetic feelings, so it is of the poetic genre directly exposing its poet`s literary capability by its own characteristics. Therefore, this paper selects Yongju`s impromptu poems for the objects of analysis in order to examine his poetic capability and the literary height of his poems without any other consideration. The number of impromptu poems recorded in Yongju`s anthology is 22 in total under 21 titles. Among them, there is only one serial seven-character-four-line poem that consists of two poems through-composed under the title of 「Manseong(慢成)」, and the rest of them are one-poem-under-a-title. Five-character-four-line poems and five-character-eight-line poems are 2 each under 2 titles; seven-character-four-line poems are 7 in total under 6 titles; 10 seven-character-eight-line poems under 10 titles; and a seven-character old-style poem under a title. When the contents of Yongju`s 22 impromptu poems are carefully examined,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three: first, Yongju`s excitements felt in countryside; second, exposing of hermitism; and third, expression of self-cultivating will. These three categories of Yongju`s poems are thought to be the result of his perceptual reaction toward various landscapes and situations that he was facing.

      • KCI등재

        문학 속의 분열, 분열 속의 문학

        윤재환 ( Yoon¸ Jae-hwan ) 한민족어문학회 2021 韓民族語文學 Vol.- No.93

        문학 속의 분열은 크게 내적 분열과 외적 분열로 구분할 수 있다. 내적 분열은 문학 작품 속에서 작자가 스스로 형성한 가치관이나 세계관에 의해 내적으로 분열되어 갈등하고 충돌하는 것을 말하고, 외적 분열은 문학 작품 속 등장인물이나 집단 간의 서로 다른 욕구가 충돌하여 분열하는 것을 말한다. 외적 분열은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하는데, 다시 개인과 개인, 개인과 사회의 분열로 구분할 수 있다. 그런데 문학 속에 등장하는 분열과 갈등은 분열하고 갈등하기 위해서, 또는 분열하고 갈등하는 현상을 제시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분열과 갈등의 제시를 통해 치유와 통합의 더 높은 경지로 가기 위한 문학적 수사, 레토릭이다. 하지만 우리가 접하는 모든 문학이 이와 같은 것은 아니다. 분열된 상태로 끝없이 갈등하고 투쟁하면서 대립 상대의 소멸과 완전한 승리를 추구하는 분열된 문학도 적지 않다. 분열된 문학의 경우 갈등을 증폭하여 분열을 유도하거나 이미 분열된 집단의 이익을 대변한다. 이 경우 문학은 치유와 통합보다 선전과 선동이라는 집단 이익의 프로파간다로 기능할 수밖에 없고, 진영논리와 확증 편향에 의해 집단의 지지를 얻게 된다. 그렇기 때문에 이런 문학은 분열된 상태로 끝없이 갈등하고 투쟁하면서 상대의 완전한 소멸을 추구한다. 현재까지 분열된 문학의 극복은 불가능해 보인다. 그렇다면 할 수 있는 일은 극복이 아니라 공존이다. 절대적으로 객관적인 인간이 존재할 수 없다는 점에서 분열된 문학은 인간이 존재하는 한 소멸될 수 없다. 따라서 이제는 극복이 아니라 공존의 방법을 찾아야 한다. The split in literature can be divided into internal split and external split. Internal split refers to the split and conflict by the value or world view formed by the author on his own in literary works. External split refers to the conflict and split of different desires between characters and groups in literary works. External split is centered on characters. It can be divided into a split between individuals and individuals and a split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However, the split in literature is not presented as a phenomenon of split or conflict. It is a literary rhetoric that has a higher level of healing and integration through the presentation of split and conflict. However, not all literature that we encounter is like this. There are many split literature that seeks to end the confrontation and complete victory while endlessly conflicting and struggling in a split state. In the case of split literature, it amplifies a conflict to induce a split or represents interests of already split groups. In this case, literature is forced to function as a propaganda of collective interests of propaganda and incitement rather than healing and integration, and to gain support of the group by the force of the logic of the camp and confirmation bias. The split of literature seems impossible to overcome. Without the existence of an absolutely objective human being, split literature cannot be extinguished as long as humans exist. Thus, we must find ways of coexistence, not overcoming them.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