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에 대한 성격 및 성별의 종단적 효과

        유현실(Yoo, Hyunsil) 한국열린교육학회 2014 열린교육연구 Vol.22 No.1

        본 연구는 대학 진로교과목 수강생들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적응이 시간의 흐름에 따라 어떠한 변화를 보이는지, 그리고 그러한 변화양상에 성격특성과 성별은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D대학교의 진로교과목 수강생 2,584명을 대상으로 학기초, 중간고사 기간, 학기말 등 세 차례에 걸쳐 진로결정자기효능감와 대학생활부적응 수준을 측정하고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적용하여 성격5요인의 효과를 검증하였다. 시간변수가 투입된 기초모형을 분석한 결과, 진로교과목 수강생의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대학생활부적응 수준의 초기치와 변화율에는 수강생 간에 개인차가 존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성별 및 성격5요인 변인을 투입한 연구모형을 분석한 결과, 남자일수록, 개방성, 성실성, 외향성이 높을수록, 신경증이 낮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초기치는 높게 나타났으며, 개방성과 신경증이 높을수록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의 상승폭은 점차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대학생활부적응수준과 관련해서는 남자일수록, 신경증이 높을수록, 외향성과 성실성이 낮을수록 초기치가 높게 나타났으며, 신경증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부적응 수준의 감소폭은 줄어들고 외향성이 높을수록 대학생활부적응 수준의 감소폭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하여 개인특성을 고려한 진로교과목 운영에 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the individual predictor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CDMSE) and college life adjustment(CLA) and their developmental trajectory in college career course participants.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HLM), this study collected data over three times from 2,584 career course participants. From this study, gender and big-five personality traits were defined as time-invariant predictors of CDMSE and CLA over time. The results are as follow. It was found that gender, conscientiousness, extraversion, and neuroticism had significant effects on the initial status of CDMSE and CLA. In addition, openness and neuroticism were found to affect changes in the rate of CDMSE, and neuroticism and extraversion were related to change rates of CLA. These results imply that personality traits need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factors in the planning and the process of career intervention programs.

      • KCI우수등재

        The Influences of Quality Team Interaction on the Change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SelfEvaluated by Gifted Korean Adolescents Participating in a ProjectBased Entrepreneurship Education Program :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정신 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한 한국 영

        유현실(Yoo, Hyun Sil),백민정(Min-Jeong Baek) 한국교육학회 2021 敎育學硏究 Vol.59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 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프로젝트 기반 기업가정신 프로그램의 교육성과(자기평가 기업영재성)의 변화에 대한 촉진적 팀 상호작용의 영향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한국과학기술대학교에서 이틀간 운영된 PBL 프로그램에 참여한 131명의 영재청소년들을 대상으로 프로그램 실시 전과 후에 각기 자기보고식 검사에 의한 기업영재성 측정치와 지각된 팀 상호작용 질 자료를 수집하였다. 반복측정 ANOVA를 적용하여 기업영재성에 대한 시간 및 팀상호작용의 주효과와 상호작용효과을 영재교육 프로그램 기초반과 심화반에 대하여 각기 분석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프로그램 실시 전에 기초반 학생들의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은 심화반 학생들보다 높았으나, 초기치의 효과를 통제한 후에는 기초반과 심화반 학생 간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한편, 기초반의 경우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의 프로그램 전후 변화는 팀상호작용이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상승하였다. 반면에 심화반의 경우 상호작용의 질이 높은 집단에서는 기업영재성 자기평가 수준의 변화가 유의미하게 크게 상승하지만, 상호작용의 질이 낮은 집단에서는 유의미하게 상승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와 관련하여 청소년 영재 대상 기업영재성 교육 프로그램의 성과에 미치는 사회적 영향과 이들의 기업영재성을 촉진하기 위한 교육적 시사점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s of facilitative team interaction on the educational outcomes (self-evaluated entrepreneurial giftedness) of a project-based learning (PBL) program designed for entrepreneurial-gifted Korean adolescents. One-hundred thirty-one (131) gifted adolescents participated in the two-day PBL gifted program provided by KAIST. Self-evaluation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basic and the advance course were collected before and after provision of the program, and the perceived quality of team interaction was also assessed. Using repeated-measures ANOVA,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 effects of time and perceived quality of team interaction 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were analyzed. The level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self-evaluated by the basic class participants before the program started was higher than that in the advanced course, while the post-scor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between the basic and advanced course after controlling for the impact of the pre-scoring. The quality of team interaction was shown to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changes in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advanced course than for the basic course. The change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for the basic course increased significantly in both of the groups with high and low quality of team interaction. In contrast, however, the change in self-evaluated entrepreneurial giftedness increased significantly in the group with high quality of intra-team interaction, although the change was weak in the group with a low quality of interaction. The study results are discussed in light of the social influences interacting with entrepreneurial competence in gifted adolescents an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how to facilitate entrepreneurial giftedness.

      • KCI등재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상황에서 촉진적 상호작용이 기업영재성 및 창의적 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유현실(Hyun-Sil Yoo),백민정(Min-Jung Baek) 한국영재학회 2020 영재교육연구 Vol.30 No.3

        21세기 현대사회의 문제들은 실제적인 문제해결능력을 갖춘 생산적이면서도 융복합적인 창의적 인재를 요구하고 있다. 시대적 배경 아래 한국에서는 지난 10년 동안 지식재산 기반 기업영재 육성위한 교육 정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연구에서는 청소년 기업영재들의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상황에서 팀원들 간의 촉진적 상호작용이 이들의 기업영재성과 창의적 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특히, 이 연구에서는 팀 프로젝트 기반 학습 이론의 공유정신모형 개념을 적용하여 팀 내의 공유된 정신모형이 팀상호작용과 기업영재성 및 창의적 효능감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매개모형을 가설로 설정하고 이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KAIST 산하 IP영재기업인교육원에서 운영하는 팀 프로젝트 활동에 참여한 87명의 청소년 영재들에게 팀상호작용, 공유정신모형, 기업영재성, 창의적 효능감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가설모형으로 제시된 매개효과의 유의성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팀상호작용과 기업영재성의 관계에서 팀원관련 공유정신모형만이 완전매개하였으며, 과제관련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팀상호작용과 창의적 효능감의 관계에도 팀원 관련 공유정신모형만이 완전매개하였으며 과제 관련 공유정신모형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인재들의 기업영재성과 창의적 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팀원의 자원을 활용하는 능력이 핵심적인 요인이라는 점을 시사하고 있다. Today"s complex and uncertain 21st-century society requires productive, convergent and creative tales with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s. South Korea has been pushing for educational policies on fostering intellectual property-based the entrepreneurial gifted persons over the past decade, especially striving to enhance productive creativity through collaborative learning through team project-based learning for the entrepreneurial gifted adolescents. In this study, we aimed to verify how facilitative interactions among team members in team project-based learning situations for youth the entrepreneurial gifted children enhance their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Specifically in this study, the concepts of a shared mental model in the team project-based learning theory was applied to establish and verify the research model for a shared mental model based on team interaction,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To that end, the IP Center for the Gifted in Korea conducted a team project-based activity for one week. Eighty seven gifted youth students were surveyed on team interactions, shared mental models,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creative efficacy.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to measure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following the regression analysis procedure suggested by Hayes (2013). As a result of the study, only team member-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fu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interaction and entrepreneurial giftedness,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as not significant. In addition, despit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m interaction and creative efficacy, only team member-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fully mediated,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task-related shared mental models were not significan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the ability to utilize team members" resources is a key factor to enhance the productive creativity of intellectual property-based talents.

      • KCI등재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이 지식재산 활동 참여과정에서 경험한 촉진 및 저해요인에 대한 질적 연구

        유현실(Hyun-Sil Yoo),박승민(Seung-Min Park) 한국영재학회 2021 영재교육연구 Vol.31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및 저해요인을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하여 1993년에 출생한 1기생부터 2001년에 출생한 6기생까지 총 22명의 차세대 영재기업인교육원의 수료생들을 대상으로 질적 연구방법을 수행하여 연구참여자들의 지식재산활동에 대한 관심과 실제 활동 정도를 분석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13개의 지식재산 활동촉진 주제, 10개의 지식재산 활동 저해 요인 및 어려움 주제, 9개의 저해요인 및 어려움에 대한 대응 주제를 발견하였다. 또한, 지식재산에 대한 관심(높음-낮음)과 실제 지식재산 관련 활동에 참여한 정도(높고-낮음)에 따라 ‘지속적 성과 도출 유형’ 12명과 ‘활동중단 및 유보 유형’으로 10명을 분류하고, 두 유형별로 교육원 수료 후부터 대학 입학 시기, 대학 저학년 시기, 대학 고학년 시기, 졸업 후 사회 진출 시기 등 네 단계의 청년초기 발달과정에 따라 지식재산 활동 촉진요인과 저해요인(어려움), 그러한 어려움에 대한 대응이 어떠한 흐름으로 진행되는지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발견한 청년초기 차세대영재기업인들의 지식재산 활동 촉진 및 저해요인에 관한 결과는 청소년기 기업영재 육성사업의 정책적 성과가 청년기를 통과하는 차세대영재기업인들에게 지속적으로 창출되기 위해서 청소년기-청년초기의 이행과정에서 재능 소실(talent loss) 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보다 적극적인 교육적 및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upport advers experiences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in early adulthood. With a total of who had completed the education program born 1993 to 2001, qualitative research methods were conducted to analyze the levels of interest and involvement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Through this process, 13 themes on facilitating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10 themes on inhibiting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and related difficulties, and 9 themes on coping with adversities and difficulties were found. In addition, all participants were classified into two types upon interest in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and actual involvement, such as 10 in ‘sustainable performance type’ and 12 in ‘discontinued activity or retention type.’ In each of the two types, support, adversity and difficulty, and coping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e four stages of early adulthood from the time of program completion to college entrance, junior , senior , and post-graduation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the supports and inhibitors (adversities) of intellectual property activities in early-adulthood gifted entrepreneurs suggests that more active educational and policy support needed to prevent talent loss in the transition period from adolescence to early adulthood Next-Generation Gifted Entrepreneur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사진치료 프로그램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백지연(Baek, Ji-Yeon),유현실(Yoo, Hyun-Sil) 청운대학교 방송예술연구소 2014 미디어와 공연예술연구 Vol.9 No.3

        본 연구는 신체적, 발달적 변화로 인한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겪고 있는 중년여성에 대한 사진치료의 적용이 심리 치료적 측면에서 어떤 작용을 하는지를 참여여성들의 경험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사진치료 프로 그램 참여 과정에서 일어나는 인식의 변화를 가장 잘 이해할 수 있는 현상학적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중 년여성으로 총 6 명이며, 자료수집은 2013년 1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진행되었다. 지오르지(Giorgi, 1997)의 현상학적 연구방법 4단계에 따른 자료 분석 결과 총 309개의 의미단위와 6개의 구성요소, 13개의 하위구성요소를 도출하였다. 연구결과 중년기 여성들에게 사진치료 프로그램의 경험은 사진을 매개로 하여 자신의 방어기제를 자연스럽게 해소 하고 사진에 투사된 자신의 무의식을 알아차리며, 자신의 이미지를 직면하는 과정을 통해 중년기의 변화를 포함한 자신의 삶을 수용하여 보다 유연한 태도로 관계와 일상을 영위하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사진은 잠재적인 현 실을 재현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욕구를 명료화하여 생활에서의 보다 빠른 선택과 실행으로 이어지도록 도움을 주었 음이 보고되었다. 이와 같이, 사진치료는 사진이라는 매체의 독특한 특성으로 인해 중년기 여성들의 자아정체감의 혼란을 보다 빨리 해소하고 향후 삶을 계획하는 데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T his study investigated effects of photo therapy program experience of middle-aged women from point of view of psychological therapy who suffered from ego-identity crisis at changes of body and development. A phenomenological study was used to investigate changes of cognition at photo therapy program process. T he subject was six of middle-aged women. T he author collected materials from January 2013 to February 2014. T he study had 309 meaningful phrases, 6 components and 13 sub components at 4 stages of phenomenological study. T he findings were: M iddle-aged women who experienced photo therapy program could solve their own defense mechanism naturally by the photographs to cognize their unconsciousness shown in the photographs and to face their images from new point of view and to accept their lives including changes in the middle ages and to live lives at flexible attitudes. And, the photographs that were useful tools to reconstruct potential realities could clarify desire to help select and execute quickly in their living lives. As such, photo therapy could help middle-aged women solve disturbance of ego-identity owing to characteristics of media of photograph quickly and to plan future lives.

      • KCI등재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

        김애화(Ae Hwa Kim),유현실(Hyun Sil Yoo),김의정(Ui Jung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0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5 No.2

        Background & Objectives: There exists inconsistency that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automatized naming are single ability or independent abilities in English Language. The limited number of studies on the relationships among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is available in shallow orthographies, including Korean.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factor struc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Methods: To achieve this purpose, tests of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were administered to a total of 190 children(91 5-year- old children, 99 7-year-old children). The goodness of model fit has been evaluated for five theoretical models. Results: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phonological awareness, phonological memory, and rapid naming were independent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in both 5 and 7 year old children. Second, for 5 year old children,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were grouped into two: one with phonological awareness and phonological memory, the other one with rapid naming. Discussion & Conclusion: The results of the factor structure of phonological processing between the two age groups indicat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and rapid naming are two different phonological processing abilities.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discussed 배경 및 목적: 영어권에서는 음운인식, 빠른 자동 이름대기, 음운기억이 단일 능력인지 아니면 서로 별개의 능력인지에 대한 논란이 되고 있다. 영어와 달리 표층 표기 체계 언어인 한글에서는 이 세변인의 관련성에 대해 직접적으로 알아본 연구가 부족한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아동의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5세와 7세 아동 총190명(5세 91명, 7세 99명)을 대상으로 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 자동 이름대기 검사를 실시한 후,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에 대한 5개 모형의 적합도를 살펴보았다. 결과: 주요 연구 결과를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5세, 7세 연령 집단 모두에서 제1모형(음운인식, 음운기억, 빠른자동 이름대기가 각각 별개 요인)이 적합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세의 경우에는제1모형 이외에 제4모형(음운인식과 음운기억은 공통 요인, 빠른 자동 이름대기는 별개 요인)의 적합도도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두 연령 집단 간의 음운처리의 요인 구조결과를 종합해 볼 때, 음운인식과 빠른 자동 이름대기는 별개의 능력인 것으로 나타났다. 본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 KCI등재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 제안

        정경조(Chung, Kyung Jo),유현실(Yoo, Hyun Sil) 한국진로교육학회 2016 진로교육연구 Vol.29 No.3

        2005년 GP 총기사건 후 군에서 상담의 중요성이 크게 대두되기 시작하여 병영생활전문상담관 운영, 군 상담에 관한 연구 등 많은 발전이 있었다. 그러나 병사들은 군 복무 중 진로문제를 가장 많이 고민하고 있지만 병영생활전문상담관에 의해 이루어지는 군 상담은 주로 병사들의 조직 부적응 문제에 치중되어 있고 진로지도나 진로교육, 진로상담은 제대로 실시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생애발달상 직업 선택의 가장 핵심적인 시기에 있는 군 병사들이 제대 후 미래의 예측할 수 없이 급변하는 직업환경에 성공적으로 적응하고 직업사회에 지속적이고 안정적으로 적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군 진로상담의 여건 등 군 조직의 특수성을 고려하면서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모형을 제안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선행연구를 통하여 요구분석과 환경분석, 체제분석을 바탕으로 군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에 대한 잠정모형을 구안하고, 구안된 잠정모형의 내용타당도 검증을 위해 군 병사 진로상담과 관련된 전문가 패널 23명을 선정하고, 2차에 걸친 델파이조사를 실시하였다. ‘군 병사를 위한 진로상담 체제 최종 모형’과 관련하여 군 진로상담의 필요성, 군 진로상담의 정의, 군 진로상담의 목적, 군 진로상담의 기능, 군 진로상담의 과제, 군 진로 상담의 방법’에 관하여 제시하였다. After the incidents of GP(military Guard Post) genocide and human rights violations in ROKA(Republic of Korea Army) basic training camp in 2005, the importance of military counseling has been on the rise. ROK forces have founded diverse systems including military counseling to prevent another possible human rights violations. However, ROK forces have not taken care of career counseling services for ROK soldiers because ROK forces have focused on the maladjustment issues of soldi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we can develop is career counseling programs for ROK soldiers, and finally suggest a career counseling model for the Korean armed forces, because it is expected to help the soldiers to adjust themselves to unpredictable career fields. For that, this study has referred to a draft model from the previous studies which included analysis of careering counseling demand, career counseling environment, and possible career counseling system. After that, we did Delphi survey with 23 expert panels to have a content validity to find out the final model for military career counseling system for ROK soldiers. As a part of the final counseling model, this study also suggested the purpose, challenges, functions, and procedures of military career counseling of ROK soldiers.

      • KCI등재

        조기 문식성 검사의 개발 및 표준화 연구

        김애화(Ae Hwa Kim),유현실(Hyun Sil Yoo),김의정(Ui Jung Kim)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1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16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 선행문헌에서 읽기 능력의 예측변인으로 제안된 변인을 반영하여 조기 문식성 검사를 개발하고, 개발된 조기 문식성 검사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방법: 국내외 이론적 근거 및 예비 검사를 통해 조기 문식성 검사를 개발하여, 만 5~7세 아동 288명을 대상으로 표준화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문항 간소화 과정을 통해 마련된 본 조기 문식성 검사의 최종안은 5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된 음운인식 검사(음절분리, 음절탈락, 음절대치, 음소변별, 음소대치), 2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된 자모지식 검사(자음이름, 모음이름), 1개의 하위검사로 구성된 빠른자동이름대기 검사(글자)를 포함하였다. 본 조기 문식성 검사의 신뢰도를 문항내적합치도와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 확인한 결과, 문항내적합치도는 높게 나타났으며, 측정의 표준오차는 낮게 나타났다. 본 조기 문식성 검사의 타당도는 내용타당도, 구인타당도, 공인타당도를 통해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조기 문식성 검사의 내용타당도는 국내외 선행 문헌 및 검사 분석을 통해 확인하였다. 구인타당도와 관련하여서는 본 조기 문식성 검사가 음운인식, 자모지식, 빠른자동이름대기로 구성된 것에 대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공인타당도는 KISE 기초학력검사-음독 및 짧은글 이해와 본 검사와의 상관을 통해 확인하였다. 논의 및 결론: 본 조기 문식성 검사는 표준화된 검사로서 읽기 위험군 아동을 조기에 선별하는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는 국내 조기문식성 검사에 음운인식, 자모지식, 빠른자동이름대기가 포함되는 것이 타당하다는 결과를 제시한데 의의가 있다. 끝으로,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Background & Objectives: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develop an early literacy test based on predictive variables of reading achievement and to conduct a standardization study to examine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test. Methods: An early literacy test was developed through an extensive literature review of existing tests performed in a preliminary study. The standardization testing was conducted with 288 children ages 5 to 7 years to examine reliability and validity. Results: After item reduction of the early literacy test, the final version consisted of five phonological awareness subtests (syllable isolation, syllable deletion, syllable substitution, phoneme discrimination, and phoneme substitution), two letter knowledge subtests (vowel name and consonant name), and one rapid automatized naming subtest. The results of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demonstrated satisfactory reliability. Specifically, the results demonstrated high internal consistency reliability and low standard error of measurement. The results of content validity, construct validity, and concurrent validity demonstrated satisfactory validity. Specifically, content validity was obtained through the review of literature and related tests. Confirmative factor analysis showed that phonological awareness, rapid automatized naming and phonological memory were independent reading areas. Regarding concurrent validity, significant correlations were detected between the early literacy test and KISE BAAT decoding as well as the reading comprehension subtest. Discussion & Conclusion: Results are discussed in terms of value of the test serving as an early screening test for children at risk for reading difficulties. Additionally, the present study suggests that the early literacy test in Korea should consist of phonological awareness, letter knowledge, and rapid automatized naming subtests. The present paper summarizes the results and discusses the study limitations of such a test.

      • KCI등재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 탐색 연구

        김애화 ( Ae Hwa Kim ),유현실 ( Hyun Sil Yoo ),김의정 ( Ui Jung Kim ) 한국초등교육학회 2010 초등교육연구 Vol.23 No.3

        본 연구에서는 취학전 및 초등학교 1학년 아동들의 음운인식의 구조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음운인식 단위(음절인식, 초성-각운인식, 음절체-종성인식, 음소인식)와 과제유형(변별, 분리, 합성, 분절, 탈락, 대치 과제)을 고려하여 구성한 18개 음운인식 소검사를 5세,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각각 91명, 89명, 99명, 92명, 총 371명)에게 실시한 후, 연령에 따른 검사 점수의 차이와 요인 분석 결과를 살펴보았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한글의 음운인식 구조는 별개의 하위 요인으로 구성된 구조이며, 음운인식 단위와 과제유형이 함께 음운인식 구조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아동의 음운인식 능력은 연령에 따라 발달하는 양상을 보이고, 이러한 발달양상을 반영한 연령별 요인 구조가 나타났다. 특히, 5세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는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와 차이를 보이는 반면, 6세, 7세,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음운인식 구조는 연령 간 다소의 차이를 보이기는 했지만 공통점도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의 요약, 연구 결과의 제한점 및 향후 연구에 관한 제언이 논의되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 to 8-year-old children. A total of 371 children(91 5-year-old children, 89 6-year-old children, 99 7-year-old children, 92 8-year-old children) participated in a phonological awareness test consisting of 18 subtests distinguished by phonological units(i.e., syllable, onset-rime, body-coda, phoneme) and phonological awareness tasks(i.e., sound matching, isolation, blending, segmenting, deletion, substitution). Major results are summed up as follows. First, the phonological awareness structure of Korean language appeared to be a group of related, independent phonological abilities. Second, as children increased in age, phonological awareness increased.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5-year-old children was different from that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6-, 7-, and 8-year-old children. The structure of phonological awareness in 6-, 7-, and 8-year-old children was relatively stable.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direc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