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예술 작품 속 영원회귀의 신화적 상징 이미지 분석: 이승연의 작품을 중심으로.

        원형준,유동환 한국기초조형학회 2021 기초조형학연구 Vol.22 No.2

        본 연구의 목적은 모더니즘적 철학 때문에 영성과 분리된 과거의 전통적인 미술에 내재되었던 영성, 신화성을 모색하는 것이다. 국내에서 활발히 활동하는 작가 이승연의 작품을 분석하여 작품에 담긴 신화적 의미와 영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고의 연구방법은 미르치아 엘리아데(Mircea Eliade)와 조지프 캠벨(Joseph Campbell)의 신화 이론을 중심으로 이승연 작품의 도상에 나타나는 신화적 상징성을분석하는 것이다. 예술이 인간의 생에서 시작되어 인간의 내면과 연계되었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비가시적인 영성, 신화적 비전을 제시하는 예술의 의미를 모색한다는 점에 본 논문의 의의가 있다. 논문의내용은, 이승연의 작품은 캠벨의 영웅 여정처럼 자기 탐색을 하는 신화적 영웅과 엘리아데의 세계의영원회귀를 드러내는 상징적 이미지로 가득 차 있다는 것을 밝히는 것이다. 다음과 같이 크게 세 가지로 이야기될 수 있다. 첫째, 작품 속 영웅이 여정을 나서며 자기 모색과 우주의 영원한 순환성을 경험하는 것에 대한 이미지이다. 둘째, 작품에 등장하는 나무 이미지는 식물 비의와 관계된다. 셋째, 작품에는 직접적으로 영원성을 드러내는 우로보로스 등의 도상이 등장하며, 작품의 구도를 통해 그것을 드러낸다. 결론적으로 이승연의 작품은 엘리아데와 캠벨의 영원회귀와 영웅의 여정이라는 신화적 이미지를 중심으로 현대미술이 상실한 영성을 나타내고 있다. 작품의 주인공은 영웅인데, 이는 작가가 한평범한 인간의 생을 허무하고 종국에는 사라져버리는 것으로 본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그것은 한 인간이 지금의 자아를 탈피해 신적 존재로 탈바꿈하는 영웅의 여정이다. 그러한 영웅 여정은 영웅이 자기 모색을 위해 세상의 여러 신들을 만나고 다니며 생에 대해 찬미하는 작가의 작품과도 상통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spirituality and mythology inherent in the traditional art of the past, separated from spirituality due to modernistic philosophy. It is intended to analyze the works of artist Seungyoun Lee, an active Korean artist, to seek the mythical meaning and spirituality contained in the works. The research method of this paper is to analyze the mythological symbolism of the artist's works based on the mythological theories of Mircea Eliade and Joseph Campbell.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is that it seeks the meaning of art that presents an unvisual spirituality and mythological vision because it thinks that art originated in human life and is linked to human inner life. The content of the paper can be said in three main ways: the artist's work is filled with symbolic images that reveal the mythical hero of self-exploration, like Campbell's hero journey, and Eliade's eternal circulation of the universe. First, it is an image of the hero's journey in the work and the eternal circulation of the universe. Second, the tree in the work is related to mystical plant cult. Third, there are drawings such as Uroboros that directly reveal eternity in the work, and they are revealed through the composition of the work. In conclusion, the artist's work shows the spirituality of modern art, focusing on the mythical image of Eliade and Campbell's eternal return and the journey of heroes. It is a hero's journey to transform a man from his present self into a divine being. It is also in line with the work of the artist, who meets various gods in the world to find himself and admires life.

      • KCI등재

        종교성향과 청소년의 주관적 행복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

        원형준,정지윤,문성호 한국청소년학회 2018 청소년학연구 Vol.25 No.6

        본 연구는 청소년의 외재적, 내재적 종교성향과 주관적 행복간의 관계에서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P, U, K지역 22개 성당에 다니는 중・고등학생 총 632명을 설문조사하였고, 최종 510명의 응답을 구조방정식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첫째, 청소년의 외재적 종교성향은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내재적 종교성향은 부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는 주관적 행복에 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셋째, 개인내적 임파워먼트의 매개효과를 분석한 결과, 외재적 종교성향과 주관적 행복의 관계를 매개하지 않았고, 내재적 종교성향과 주관적 행복과의 관계에서는 부분매개 효과를 지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내재적 종교성향은 개인내적 임파워먼트를 통해 주관적 행복을 증가시킨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주요 연구함의들을 결론 및 논의에서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on the relation between extrinsic/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of youth. For this, a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total 632 middle/high school students attending 22 Catholic churches in B, U, and G region, and total 510 questionnaires were analyzed by using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In the results of analysis, first, the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of youth had positive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had negative effects on it. Second, the intrapersonal empowerment had direct effects on the subjective well-being. Third, in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mediating effects of intrapersonal empowerment, it did not mediate the relation between ex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while there were partial-mediating effects on the relation between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In other words, the intrinsic religious orientation increases the subjective well-being through the intrapersonal empowerment. Based on such results, the main implications of this study were suggested in conclusion and discussion.

      • KCI등재

        청소년 발달에 따른 견진교리서 개발 연구

        원형준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23 가톨릭신학 Vol.- No.42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 catechism book tailored to the development of adolescents. In this paper, we first examine the controversy surrounding the position and age of the rite of confirmation as an initiation rite and raise the need for a catechism book targeting mid-adolescents. We then review the existing adolescent catechism books published by various dioceses and highlight their limitations. Subsequently, we categorize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adolescence into five types. The core themes of each type are selected as lesson topics in connection with Catholic Church teachings. This study successfully achieved learning outcomes over ten weeks by formulating weekly learning objectives based on selected topics. Additionally, in consideration of mid-adolescents’ non-voluntary participation, we proposed approaches to enhance motivation in the learning process. In the context of youth ministry, the rite of confirmation can be seen as a crucial intermediary to prevent adolescent religious disengagement and promote the continuation of faith. Thus, through the development of a catechism book that considers adolescent development, we can discover an effective and practical path for religious education. 본 연구는 청소년의 발달에 따른 견진교리서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고에서는 우선 입문성사로서 견진성사의 위치와견진성사 나이에 대한 쟁점을 살펴보고 중기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견진교리서의 필요성을 제기하였다. 이어서 각 교구에서 발간한 청소년 견진 교리서를 살펴보고 한계점을 제시한다. 이후 청소년기 발달과정을 다섯 가지로유형화하였다. 각 유형의 핵심주제는 가톨릭교회 가르침과 연계(mapping)하여 수업 주제로 선정하였다. 선별된 주제를 통해 주차별 학습목표를 작성하여 10주간의 학습 성과를 완성하였다. 마지막으로 중기 청소년기의 비자발적 참여를 고려하여 학습방법에서 동기를 강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청소년 사목의 맥락에서 견진성사는 청소년의 종교적 이탈을 방지하고신앙을 지속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체로 볼 수 있다. 이에 청소년 발달을 고려한 견진교리서 개발을 통해 효과적이고 실용적인 종교교육의 활로를 찾을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암 생존자의 라켓볼 여가경험에 관한 탐색적 고찰

        원형준(Hyung Joong Won),이영미(Young Mi Lee),신규리(Kyu Lee Shin)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2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36 No.2

        Given that the number of cancer survivors increa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n terms of leisure activity though racquetball is twofold. First, this paper studies cancer survivors` experiences on racquetball and seeks the chance for their lives rich and rich. Secon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chance for using racquetball as a means to improve the life quality of future cancer survivors. According to cancer survivors, they took cancer as their destiny at first, but they also had various experiences through cancer curing processes, in which leisure activities played crucial roles for recuperation. They thought it very hard but also invaluable experiences, and cancer curing processes could provide an opportunity to retrospect their lives. Furthermore, the changes of life pattern caused by cancer curing processes let them appreciate the value of family more deeply and all environments around them. Throughout all these curing processes, leisure activities requiring physical movements played crucial roles for obtaining these consequences.

      • KCI등재

        이탈리아 르네상스 미술에 나타난 비너스로서 ``위대한 어머니 여신`` 연구

        원형준 ( Won Hyeong J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6 기초조형학연구 Vol.17 No.4

        본 글의 목표는 르네상스 시대 예술가의 작품에서 찾을 수 있는 ‘위대한 어머니 여신(Great Mother Goddess)’로서의 비너스 여신 도상을 분석, 정리하는 것이다. 르네상스 시대에는 비너스 여신으로 그 권위와 역할이 축소된 위대한 어머니 여신은 구석기 시대부터 조각상이 제작되고 숭배되었던 최고(最古)의 신이다. 어머니 여신은 고대의 모계 세계에서 모든 생명을 낳고 인류의 기원인 사랑의 여신으로써 경배의 대상이었으나, 부계 사회로 전환되면서 남성 신(특히 중세 기독교)에 의해 억압 축소되었다. 이러한 점들로 미루어볼 때 르네상스 시대에는 어머니 여신이 어떠한 모습으로 재등장할 수 있었는지 도상해석학적인 측면에서 살펴보는 것은 의미가 있다. 그것은 먼저 도상적인 면과 분석심리학적 접근을 통해 ‘원형(archetype)’적 이미지로서 억눌렸던 여성성을 조망한다는 측면이다. 르네상스 시대의 비너스-위대한 어머니 여신 도상 해석은 에르빈 파노프스키와, 분석심리학의 에리히 노이만(Erich Neumann), 그리고 당대 예술가들에게 큰 영향을 준 마르실리오 피치노의 설을 연구 도구로 삼았다. 본 글에서는 첫째, 보티첼리와 티치아노의 작품 속 비너스와 위대한 어머니 여신의 연관성을 찾아보았다. 둘째, 비너스 여신의 ``이중적 자세``와 위대한 어머니 여신의 도상적 의미를 탐구했다. 끝으로 미켈란젤로의 메디치 가문의 채플 조각상의 도상과 비너스-어머니 여신과의 관계에 대해 논했다. 결국 어머니 여신이 남성 신의 시대에 억압되면서 사랑의 여신, 섹슈얼리티의 여신으로 축소된 것이 비너스 여신임을 확인했다. 르네상스의 어머니 여신은 신플라톤주의 덕분에 비너스로 잔존할 수 있었던 것이다. This paper aims to analyze and compile different representations of Venus as Great Mother Goddess in art during the Renaissance. Statues of Mother Goddess had been created and worshipped as the supreme god since the Old Stone Age, but she was reduced to Venus, a goddess that simply symbolizes sexuality, during the Renaissance. Mother Goddess was worshipped as the origin of humankind in the ancient matrilineal time, but her role was reduced by male gods (particularly by male-dominated Christianity in the Middle Age) with a transition into a patrilineal society. As such, it will be interesting from the perspective of iconographic analytics to look into how Mother Goddess was represented in art during the Renaissance. In terms of iconography and analytic psychology, this paper is aimed at highlighting femininity of Mother Goddess, which has been overlooked or concealed, based on the image of Mother Goddess as the archetype of humankind. To this end, this paper employs theories of Erwin Panofsky, Erich Neumann and Marsilio Ficino. This paper will first seek to find the connection between Venus and Great Mother Goddess in works of Botticelli and Tiziano. Second, this paper will highlight the double postures of Venus and the iconic meaning of Great Mother Goddess. Lastly, this paper will discuss the statue created by Buonarroti Michelangelo and installed at a chapel of the Medici family and its relationship between Venus-Mother Goddess. In conclusion, it is found that Mother Goddess suppressed by male gods and reduced to the goddess of love and sexuality is Venus. Mother Goddess during the Renaissance continued to remain as Venus due to Neoplatonism.

      • KCI등재

        영화 「판의 미로」에 나타난 `위대한 어머니 여신` 연구 : 에리히 노이만을 중심으로

        원형준 ( Won Hyeong Jun ) 한국기초조형학회 2017 기초조형학연구 Vol.18 No.4

        본 글의 목표는 영화 「판의 미로」를 에리히 노이만의 `위대한 어머니 여신`과 원형적 여성성 이론에 따라 분석, 영화 속 신화적 요소를 연구하고 그러한 요소들이 여성성의 회복을 상징함을 밝히는 것이다. 영화에는 분석심리학에서 논하는 집단무의식의 신화적 원형이 잘 담겨져 있다. 사악한 왕과 고통받는 여주인공, 현실과 환상의 교차, 상상의 괴물들, 선과 악의 대결 등 신화에서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보편적인 주제, 패턴, 캐릭터이다. 이와 관련해 노이만은 여성성의 원형에 초점을 맞춰 연구한 바 있다. 그는 칼 융의 원형적 여성성과 집단 무의식 이론을 기반으로 `위대한 어머니 여신(Magna Mater)` 논하면서 어머니 여신은 수천 년 전부터 숭배되었고 관련 상징은 자연발생적으로 생성됐다고 주장한다. 본 논문은 노이만을 중심으로 칼 구스타프 융, 미르치아 엘리아데, 가스통 바슐라르, 질베르 뒤랑의 이론을 연구 도구로 삼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선 융이 여러 차원으로 분류한 어머니 여신에 대해 설명했다. 둘째, 노이만이 무의식을 `원형 본체`, `우로보로스`, `원형적 여성성`, `위대한 어머니` 단계로 구분한 것에 대해 논했다. 셋째, 여성성의 발달이 `기초적 성격`, `변환적 성격`, `영적 변환`로 단계로 구분됨을 이야기했다. 넷째, 원형적 여성성의 상징을 여성=몸=그릇=세계로 도식화하고 표를 중심으로 설명했다. 마지막으로, 앞서 논했던 것을 바탕으로 원형적 여성성, 위대한 어머니 여신이 영화에서 어떻게 발현되는지 살펴보았다. 또 한편, 영화를 `판과 미궁의 상징성`, `아버지 신과 어머니 여신`으로 구분하고 연관된 원형적 여성성을 모색했다. 본 논문의 의의는 「판의 미로」를 비롯한 예술·영상·문학·게임 등의 문화콘텐츠에서 원형적 여성성과 어머니 여신의 원형을 모색, 오늘날 인간 무의식 속에서 원형의 구성 원리를 탐색한다는데 있다. This paper aims to study the mythical elements found in Pan`s Labyrinth based on Erich Neumann`s theory of feminine development most notably formulated in The Great Mother and highlight the fact that such elements symbolize the restoration of femininity. The film well features the mythical archetype of collective unconsciousness often dealt with in analytical psychology. There are themes, patterns, and characters universally seen in myths, such as an evil king, a troubled heroine, the crossing of reality and fantasy, fanciful monsters, the conflict between good and evil. Neumann focused his study on the feminine archetype with these universal elements in consideration. He discusses the Great Mother based on Carl Gustav Jung`s theory of feminine archetype and collective unconsciousness and argues that the Great Mother has been worshipped over the past thousands of years and pertinent symbols came to being spontaneously. This paper centers on Neumann with the theories of Jung, Mircea Eliade, Gaston Bachelard, and Gilbert Durand utilized in combination. First, the Great Mother, classified into various dimensions by Jung, is explained. Second, Neumann`s classification of unconsciousness into the archetype, ouroboros, feminine archetype, and Great Mother is explored. Third, the classification of the development of femininity into the basic characteristics, transformational characteristics, and spiritual transformation is dealt with. Fourth, the symbols of the feminine archetype are displayed in diagram form of woman=body=vessel=world with an explanation given on the diagram. Lastly, based on what has been discussed, the paper highlights how the feminine archetype and Great Mother are described in films. Films were divided into the “symbolism of Pan and the labyrinth”, and “Great Father and Great Mother” to seek the related feminine archetype. The significance of this paper lies in that it reveals, although only in part, the principles of the composition of the archetype within unconsciousness of people today by delving into the feminine archetype and archetype of the Great Mother found in cultural content such as arts, films, literary works, and games.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