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안동수,이천희,김기호,윤영선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4
In this study, we tried to explore the value and meaning of leisure recreation by exploring her and the social phenomenon of her era through the life of Professor Park, Won-Nim, the first female leisure recreation educator in Korea. Park was born in Japan in 1934 and returned to Jeolla-do Gwangju shortly after liberation. She was the first woman recreational educator in Korea to pursue leisure recreation in Japan through Chung-Ang University, followed by Professor Cheongsong Kim Oh-Jung. The history of women 's educational activitie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was a natural choice to overcome the crisis of national prosperity, not the issue of gender, in the situation of losing the country under the banner of educational center. I recalled that time and tried hard to live without discrimination between men and women, rather than putting meaning to the words 'first' and 'women'. In order to provide value and hope for the people, I have practiced diverse social activities both at home and abroad. In order to realize the value of leisure, And the importance of home education. In addition, the theory of leisure recreation, behavioral practice and positive change through it are the value and meaning of leisure recreation. Therefore, the Korean Leisure Recreation Society and the Korea Leisure Recreation Association have to find a way to win. 본 연구는 기록중심 구술생애사 방법을 통해 한국 최초의 여성 여가레크리에이션 교육자인 박원임교수의 삶을 통해 그녀와 그 시대의 사회상을 탐구하고, 여가레크리에이션의 가치와 의미를 재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박원임교수는 1934년 일본에서 출생하여 해방 직후 전라도 광주로 귀환한 후 중앙대학교를 거쳐 일본에서 여가레크리에이션을 수학하고 청송 김오중교수의 뒤를 잇는 한국최초의 여성 레크리에이션교육자이다. 대한민국의 근현대사에서 ‘여성교육활동’에 대한 역사는 개화기로 거슬러 올라가 교육구국이라는 기치아래 나라를 잃은 상황에서 성별의 문제가 아닌 국가존망의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당연한 선택이었다. 당시를 회상하며 ‘최초’, ‘여성’이라는 단어에 의미를 두기 보다는 남여 구분 없이 모두 살기위해 열심히 노력했고 무엇보다 가족들의 적극적인 지지가 있었음을 강조하였다. 암울했던 시기에 국가가 앞장 서 국민에게 삶의 희망과 즐거움을 주기위해 도입하였던 학문이 여가레크리에이션이고, 그 가치를 실천하기 위해 학회활동 및 국내외 다양한 사회활동을 실천하였으며 무엇보다 가정에서의 여가교육과 가정교육의 중요성을 언급하였다. 또한 여가레크리에이션의 이론과 행동적 실천 그리고 그를 통한 긍정적 변화가 여가레크리에이션의 가치이며 의미이기에 나아갈 방향을 제시할 의무가 있는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와 한국여가레크리이션협회가 상생의 길을 모색해야 함을 강조하였다.
Leisure Opportunities and Services
김경철(Kyung Chul Kim)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199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16 No.-
인간의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욕구는 문명의 시작과 함께 늘 있어왔으나 생활의 획일화를 가져온 오늘날의 진보된 사회에서 그 필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즉, 경제적인 풍요, 자유시간의 증가, 그리고 질적인 생활에 대한 욕망과 휴식에 대한 본능이 레크리에이션 욕구의 表出을 더욱 강하게 요구하고 있는 것이 현대생활의 한 흐름이다.이러한 레크리에이션에 대한 욕구는 대체로 개인적인 문제로 방치되어 온 것이 과거의 경향이었으나, 레크리에이션의 대중화와 함께 이를 위한 정부의 관심과 실제적인 개입의 필요성이 관심있는 사람들에 의해 지적되어 왔다. 즉, 정부가 국민들을 위해 여가와 레크리에이션 서비스의 제공에 보다 적극적이어야 함을 뜻하는 것이다.정부가 국민들을 위한 여가 서비스의 主體가 되어야 하는 이유들은 여러 가지로 설명되고 있으나, 무엇보다도 국민들의 생활을 보호해야만 하는 정부의 책임이 지적되고 있다. 이는 기본적인 복지의 차원에서가 아니라 보다 생활의 質的 인 향상을 위해서는 사회의 다른 모든 부문과 함께 레크리에이션을 위해서도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는 것이다.이러한 국가의 여가 서비스 제공을 위한 방법적인 면으로 보면, 나라마다 여러 가지의 특수성이 있어 일정한 기준과 방향을 제시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실제로 정부의 여가 서비스가 보다 조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국가의 현실을 참고한다면 여러 가지 도움이 될 수 있는 자료를 얻어낼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본 연구는 이러한 필요성을 배경으로, 레크리에이션을 위한 정부의 업무가 어떤 모양으로 전개되고 있는지에 관해 미국의 한 도시를 事例로 그 핵심적인 부분을 소개하려는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연구에서 선별된 지역은 미국 캘리포니아州의 北部에 위치하고 있는 인구 약 5만 여명의 치코(Chico)라는 비교적 작은 도시이다.논문에서 주로 다루어진 내용들은, (1) 정부가 국민들을 위해 레크리에이션 업무를 직접 담당해야 하는 이유, (2) 미국내의 지방정부에 의한 여가서비스의 역사적인 변천, 그리고 (3) 치코市의 레크리에이션 업무를 위한 정부의 조직과 프로그램, 시설, 예산, 그리고 서비스에 대한 여론 조사 등이다.연구를 통해 알아낸 주요 사항들은 대체로 다음과 같다.1. 레크리에이션 서비스를 위해 정부가 적극적으로 개입해아만 하는 이유로는 국민생활의 보호에 대한 국가의 일차적인 책임과 함께, 시설과 공간 마련을 위한 정부의 능력과 효율성, 그리고 프로그램에 대한 안정성과 지속성이 지적 되고 있다.2. 기록으로 보면, 미국 정부가 국민들의 여가생활을 위해 개입을 시작한 시기는 대개 1800년을 전후한 때인데, 현재의 상황으로 보면, 지역적으로 차이는 있으나, 레크리에이션이 정부, 특히 지방정부의 한 주요 업무로 취급되고 있는 변화를 가져오게 되었다.3. 연구의 事例로 선택한 치코市에는 두가지 형태의 公營레크리에이션 서비스 主體가 있는데, 하나는 市 政府의 公園課이고 또 다른 하나는 약자로 CARD(Chico Area Recreation and Park District)라고 하는 특수형태의 정부기관(네?岺?district)이었다. 이 중 公園課는 주로 치코에 있는 대형 도시공원(Bidwell Park)에 대한 유지 관리만을 전담하였고, 그 외 여러 가지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이의 관리와 직접적인 제공을 담당하는 것은 CARD였다.4. CARD의 구성은 레크리에이션部, 公園部, 그리고 行政部로 되어있고, 총책임자를 포함한 25명의 전임 직원으로 구성되었다. 1998년도 CARD의 총 예산 규모는 $3,152,192로 이는 市 전체 예산의 약 16.6%에 해당되며, 이중 레크리에이션部의 예산은 $1,086,506로, CARD 전체 예산의 약 33.3%에 해당된다.5. CARD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은 봄, 여름, 가을, 겨울로 나뉘어 연중 실시되고 있는데, 스포츠를 포함한 여러 가지의 여가활동을 제공하고, 어린이와 노인 등을 포함한 다양한 계층을 대상으로 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프로그램에 참여비가 책정되 있어 참여를 위해서는 누구나 이를 지불해야 한다는 것이다.6. CARD의 레크리에이션 프로그램에 대한 효과는 구체적으로 알 수는 없었으나, 몇 여론조사에 의하면, 조사에 응한 대부분의 응답자들의 레크리에이션과 공원의 필요성을 인정하고 CARD의 서비스 제공에 상당히 긍정적인 것으로 보이며, 활동에 따른 참여비의 지불에도 협조적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Toward a Globalization of Korean Leisure Research
이영길(Young Khill Lee),양혜원(Hee Won Yang)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1999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17 No.-
한국 여가 문헌에 관해 대충적으로 검토해 보면 여가 연구의 지나친 북미 영향이 있음을 보여준다. 여러 북미(北美)의 이론적 모형들이 한국에서 소개 및 검증되어 왔다. 여가 연구의 어메리칸화는 한국에서 건전한 여가 연구를 발달시키기 위해서 세심한 검토가 필요하다. 이 논문은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이해하는데 있어 주요한 관점을 얻는 것 뿐만 아니라 여가 연구의 세계적인 인식을 조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논문은 의도적으로 어메리칸 여가 연구를 유럽 여가 연구와 비교한다. 이 논문은 두 대륙간의 차이의 어떤 주요한 정적 및 부적인 분류들과 더불어 ①여가를 함의하는 언어, ②학문적 지향성과 연구 논제 그리고 여가 현상들을 고찰하기 위한 방법론적 접근방법들에 있어 두 대륙간의 여가 연구의 비교를 검토한다. 이 논문은 한국 여가 연구가들에게 여가 연구의 세계화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시한다. 한국에서 여가 연구의 세계화가 제언되어 있지만 이 논문은 세계의 여가 연구를 한국 여가연구를 구체화시킬 뿐만 아니라 한국문화에 특유한 연구 의제들을 개발하는 것에 역점을 둔다.
여가활동 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촉진, 여가태도 및 여가제약협상의 구조적 관계
최현욱,이민석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 2018 한국여가레크리에이션학회지 Vol.42 No.4
본 연구는 여가활동에 참여하는 액티브 시니어의 여가촉진과, 여가태도 및 여가협상이 어떠한 구조적인 관계를 가지는가를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수행을 위해 설문지를 측정도구로 사용하였으며 비확률 표집 방법 중 편의 추출법을 사용하여 서울, 경기 지역에서 총 357명의 자료를 수집 후 분석하여 가설을 검증하였다. 자료 처리에는 Windows용 IBM SPSS Statics 24와 AMO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빈도분석, 신뢰도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이와 같이 수행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참여 액티브시니어의 여가촉진은 여가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태도는 여가제약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촉진은 여가제약협상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여가태도는 여가촉진과 여가제약협상의 관계를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leisure facilitators,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for Korean active seniors who People who regularly participate in leisure activities. To achieve the purpose of this study, a total of 357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Korean active senior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y SPSS 24 and AMOS 20.0. For the analysis, frequency analysis, validity test,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isure facilitators was significantly related to leisure attitude. Second, leisure attitude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leisure constrains negotiation. Third, leisure attitude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were significantly related. Fourth, leisure attitude was found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leisure facilitators and leisure constraint negotiation. In conclusion, to active seniors’ leisure activities participation, need to increase active seniors’ leisure attitud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