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 대학 자율성 정책의 변천 과정에 대한 연구

        우선영,민윤경 한국교육정치학회 2023 敎育政治學硏究 Vol.30 No.4

        This study is based on recognition that it is required to look at the process of transformation of higher education policy which has been promoted to strengthen university autonomy for the sake of setting university autonomy as the basic direction of higher education policy and of specifying or clarifying i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volution process of higher education policy which includes strengthening university autonomy as its promotion work. For this purpose, the leading policies, presented from the ‘5・31 education reform’ to the Moon Jae-in government, were analyzed based on their contents and consequences(intended and unintended) in the areas of organization, finance, staffing, and academic, which are areas proposed by the EUA. As a result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niversity autonomy were pursuited in the area of organization, through establishment of a university, incorporation of a national university, election of a president, and in the area of finance, by changing budgetary support from institution-based to student-centered, loosening regulations on using their budgets, and consolidating government’s financial aid projects. And university autonomy was tried to be enhanced with regard to the appointment of professors in the area of staffing, while attempts were made to strengthen the autonomy of the university in terms of student quotas, student selection, and quality assurance in the area of academic.

      • KCI등재

        고교학점제 운영에 따른 고등학교 교사의 직무 변화 탐색: 미운영교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우선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3 교육과학연구 Vol.5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2025년 전면 도입을 앞둔 고교학점제를 운영하며 고등학교 교사들이 전반적으로 경험하고 있는 직무의 변화를 탐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교사의 직무 관련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고등학교 교사 직무 영역을 도출하였고, 각 영역에 대한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와 미운영교 교사의 업무 수행 정도와 인식을 조사하였다. 고교학점제 연구학교 1,053명, 미운영교 154명의 교사가 참여한 조사 자료를비교 분석한 결과, 대영역 ‘학급 경영’영역에서 미운영교 교사의 업무 비중이 높게 나타났고, 중영역 ‘학습평가’의 업무 비중은 연구학교에서, ‘학급계획 및 운영’, ‘학생관리’의 업무 비중은 미도입교에서 높게나타났다. 소영역 ‘수행평가하기’, ‘국가 및 시도교육청 정책 관련 사업 추진하기’, ‘지역사회 교육 발전에기여’ 영역의 업무 비중은 연구학교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또한 중영역 수준에서 중요도와 곤란도를 조사한 결과, ‘학습평가’, 진로 및 학업설계지도’, ‘학교교육계획, 교육과정 수립’, ‘학생 관리’, ‘학부모 협력’의 영역이 다른 영역과 비교할 때 상대적으로 곤란도와 중요도가 높은 역할로 나타났다. 이러한결과를 토대로 고교학점제 도입에 따라 행정학급에 대한 인식의 변화는 학급 운영 및 경영과 관련된 교사 역할에도 영향을 미치고, 학생 평가에 대한 부담이 증가되고 있으며, 교사의 교육과정 연구 업무 및방과후 프로그램 지도의 업무가 증가되고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학습평가와 학생관리는 중요도와 곤란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영역으로 중점적인 지원이 필요한 역할임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changes experienced by high school teachers with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this end, high school teacher’s job domains were developed at three levels based on previous studies of teacher roles and tasks, and task performance and perceptions of high school teacher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unintroduced schools were investigated. As a result of analyzing responses of 1,053 teachers in high school credit system research schools and 154 teachers in unintroduced schools, the proportion of unintroduced teachers’ work was high in the broad area of class management at the first level. At the second level, the proportion of learning evaluation was high in research schools, and the proportion of class planning and operation and student management was high in unintroduced schools. At the third level, the proportion of performance evaluation, promotion of projects related to national and provincial offices of education, and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community education was significantly higher in research schools. In addition, because of analyzing responses of importance and degree of difficulty at the second level, learning assessment, career and curriculum design guidance, school education planning and curriculum establishment, student management, and parent cooperation were found to be relatively important and difficult compared to other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it was suggested that the change in perception of administrative class following the introduc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ffects the teacher’s role in this regard; and the burden of student evaluation, such as guaranteeing the minimum achievement level, curriculum research work, and after-school program guidance, is increasing. Learning assessment and student management are areas of relatively high importance and difficulty, suggesting that they are roles that require intensive support.

      • KCI우수등재

        특성화고 졸업생의 사내대학 학습 경험에 대한 의미 탐색: A사내대학 사례를 중심으로

        우선영 한국교육학회 2017 敎育學硏究 Vol.55 No.2

        본 연구는 특성화고 졸업생이 취업 후 고등교육학위를 수여하는 사내대학에 진학하여 어떠한 학습을 경험하고, 그 경험의 의미는 무엇인지 탐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먼저 연구의 중심에 있는 사내대학의 도입 배경과 법적 근거, 운영현황을 분석하였고, 특성화고 졸업생의 대학 학습 경험에 대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다. 또한 질적연구 중 단일 사례 연구를 통해 특성화고 졸업생의 선취업 후진학의 한 경로로써 사내대학에서 이루어지는 고등교육단계 학습 경험에 초점을 두고 이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사내대학 학생들은 사내대학 입학 이전에 겪은 학습 경험과 사내대학 입학 이후 사내대학을 둘러싸고 있는 직장이라는 외재적 상황에 지속적으로 영향을 받은 것을 발견하였다. A사내대학 4명의 학생에 대한 인터뷰 결과, 사내대학의 학습 경험은 회사, 사내대학, 좁게는 직장 동료, 사내대학 학우의 연결고리 안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나타났고, 구체적으로 일·학습 병행을 장려하는 사내 문화, 사내대학 내 인간관계, 사내대학 학습의 즐거움, 일·학습 병행의 어려움이라는 4가지 범주로 분류되었다. 이를 통해, 고졸 취업자를 위한 계속 교육의 한 경로로 제시되기 위해 사내대학생의 근로자와 학생 중 학생의 역할을 지원해 줄 조력자가 필요하고, 일 학습 병행으로 여유가 없는 학생들에게 개인 시간을 보장해줄 필요가 있으며, 학생들의 노력에 대한 사내대학과 회사 차원의 작은 보상은 사기 진작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점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aims to explore how the learning experience is constructed in corporate university, especially focusing on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operation of corporate university in Korea was reviewed based on preceding research and related legislation. Specialized high school graduates’ experience on college education was also analyzed based on literature review. In addition to referring public notice materials, four students were interviewed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s a result of a single case study, a type of qualitative research, learning experience in corporate university was shown to be constructed not only by external conditions surrounding students such as company the students belong to but also preceding experiences through which students went before they started college education in corporate university. Four themes have emerged: supportive atmosphere of company, human relations in corporate university, joy of studying in corporate university, and difficulties of studying and working at once. Based on the results, the followings were recommended to make corporate university better continuing education for student-workers after graduating from specailized high school: students need 1) supports to strengthen their role as students; 2) private time to refresh themselves from work and study; 3) rewards that would help raise their morale to study and work.

      • KCI등재

        고교학점제의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을 통한 교육적 효과 탐색

        우선영,민윤경 이화여자대학교 교육과학연구소 2022 교육과학연구 Vol.53 No.3

        본 연구는 고교학점제에서 다양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기 위해 도입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이 어떠한 교육적 효과가 있는지를 탐색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지자체와 학교 간 유기적 협력이 이루어지는 A 도시를 선정하고, 해당 지역의 학생, 교사, 대학교수 등을 대상으로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분석 결과,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교육과정, 교수ㆍ학습 방법, 성취 및 결과의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교육적 효과가 확인되었다. 첫째,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특색 있는 다양한 교육과정 제공, 학생의 흥미 및 진로와 관련한 전문교과 과목 개설, 진로 연계 및 진로 확장 탐색 기회 제공의 효과가 있다. 둘째, 교수ㆍ학습 방법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개인별 맞춤형 지도, 문제 해결 중심의 수업, 이론과 실습 병행, 정서적 유대감과 도움을 제공한다. 셋째, 성취 및 결과의 측면에서 대학 연계 공동교육과정은 진로 탐색 및 결정에 도움, 학생들의 높은 수업 참여도 및 만족도, 고교 교육의 지역 격차 완화 및 지역에 대한 자긍심 제고, 대학의 사회봉사 및 지역사회 도움의 효과를 보인다. 논의 및 결론에서는 이들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와 본 연구의 한계점에 대해서 논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for the purpose of exploring the educational effects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introduced to provide a variety of curricula i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n Korea. To this end, A city was chosen where the overall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operated, and students, teachers, and university professors were interviewed, with an analysis of the Office of Education’s plan for operating the joint curriculum and student testimonials. As a result of the interview analysis,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were identified as follows in terms of curriculum,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chievement and results. First, in terms of curriculum,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has the effect of providing a variety of distinctive curricula, opening specialized subjects related to students’ interests and careers, and providing opportunities for career networking and career expansion.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provides personalized guidance, problem-solving-centered classes, theory and practice, and emotional bonding and help. Third, in terms of achievement and results, the university-linked joint curriculum helps with career exploration and decision-making, maintaining students’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and satisfaction with classes, easing regional disparities in high school education, and enhancing local pride and involvement in university community service. In the discussion and conclusion,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each of these effects and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대졸 취업 캥거루족의 이직 의도 결정 요인 분석

        우선영,김시현 서울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아시아교육연구 Vol.23 No.3

        The number of adult children co-residing with their parents who are dependent on their parents economically and psychologically has increased since the employment of college graduates is delayed. This study aimed to explore the factors affecting the turnover intention of the kangaroo tribe. In particular,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of two groups regarding parent-adult child coresidence, we tried to delve in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angaroo tribe. We used the data of a total of 1,107 college graduates from the 2019 Youth Social and Economic Survey collect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Using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we focused on investigating which factors would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of adult children living with their parents. The results of the study revealed that in the case of a non-independent group, gender, parental income level, region_Seoul, major_sociology, the level of educational experiences helping to seek a job, leisure importance, average income per month, employment type and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variables to influence the intention of turnover. While in the case of the independent group, age, marital status, parental income level, major_medicine and pharmacy, experience with deferred graduation, college satisfaction, the degree of major fit, working hours, and job satisfaction were unveiled to be significant variable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suggest that universities could play an essential role in making college students well equipped with competencies suitable for the labor market and need to focus on developing curriculum more oriented on career and employment. 경제적 불황과 코로나 19 등 열악한 사회·경제적 상황 속에서 취업이 늦어지고, 부모에게 경제적 및 심리적으로 의지하는 청년층인 캥거루족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취업을 한 뒤에도 캥거루를 유지하는 대졸자의 이직의도는 대학 교육을 통한 노동시장 성과인 동시에 독립을 지연시키는 요인 중 하나에 해당한다. 이에 본 연구는 대졸 취업 캥거루족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탐색하고 이들의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특히 부모로부터 독립한 집단과의 비교를 통해 이들에게서 나타나는 특징을 살펴보았다. 분석 자료는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2019년 청년 사회·경제 실태조사를 통해 조사 및 수집한 총 1,107명의 자료이다. 대졸 취업자의 독립 여부에 따른 이직의도 결정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분형 로지스틱 회귀분석(binary logistic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부모로부터의 독립여부에 따른 집단별 결정요인을 분석한 결과, 부모소득수준, 여가중시도, 직장만족도는 독립집단과 비독립집단 두 집단의 이직의도에 모두 유의하게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독립집단은 성별, 부모소득수준, 지역_서울, 전공_사회, 대학교육취업도움정도, 여가중시도, 월평균소득, 직장규모, 고용형태, 직장만족도가 유의한 변인으로 나타났다. 즉 캥거루족의 경우, 여성이며, 월평균소득이 낮고, 지방보다 서울에 거주하며, 비정규직일 경우 이직의도가 높았다. 그리고 이들이 대학교육의 취업도움정도를 높게 인식할수록 이직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는 캥거루족의 자립을 위해 취업상태를 지속하게 하는 유인가로서 고용안정의 중요성과 함께 임금과 복지수준 제고와 같은 근로환경 개선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또한 대학교육이 캥거루족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혁신 및 진로·취업 교육 강화를 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