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과학의 본성 교육을 위한 NOS Flow Map 제안

        오준영 ( Jun Young Oh ) 한국초등과학교육학회 2014 초등과학교육 Vol.33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인지적 전략인, 갈등도(Oh, 2011)를 기반으로 학생들이 명시적으로 과학의 본성(NOS)의 교육을 돕기 위하여 과학의 본성요소뿐만 아니라 과학의 역사를 담은 NOS Flow Map을 개발 제안하는 것이다. 예비적으로 과학의 본성의 교육을 위해 제안한 NOS Flow Map을 사용에 대한 이해를 탐색하기 위하여, 자신들의 NOS 이해를 강화하기 위해 우리가 제안한 NOS Flow Map의 유용성에 대한 예비 초등교사들의 인식를 조사하였다. 과학의 본성에 대한 중요한 관점들은 Kuhn의 과학철학과 역사가 아주 잘 일치된다. 즉 Kuhn의 과학혁명의 예로 가장 중요한 Copernicus의 혁명과정이 과학의 본성 중요한 요소들과 잘 일치됨을 보여준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 인지갈등을 통한 NOS 흐름도는 과학의 소양교육을 강화하는데 명시적이고 반성적인 도구이며 유망한 방법이라고 조심스럽게 제안한다.

      • KCI등재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오준영 ( Oh Jun-young ),이재용 ( Lee Jae-yong ) 한국전통조경학회(구 한국정원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1

        본 연구는 낙선재, 주합루, 존덕정, 대보단지를 중심으로 근현대기 창덕궁 내 주요 점경물의 실상과 변형 양상을 고찰하였다. 전각, 식생, 구조물과 달리 상대적으로 관심이 저조했던 점경물에 대해 과거부터 현재까지의 변화상을 조명하기 위한 의도이다. 본 연구의성과는 향후 창덕궁 내 점경물의 복원정비계획 수립에 요긴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다. 첫째, 1901년 체코인 브라즈가 촬영한 사진에 따르면 당시 낙선재 후원에는 석지(石池)와 괴석을 비롯해 총 6기의 점경물이 소재했다. 후원의 지면에는 금사연지(琴史硯池)로 불리는 석지와 괴석 2기, 화계 1단에는 괴석 3기가 배치되어 있었다. 해방 이후부터 괴석의 임의적인 재배치가 빈번하게 발생했으며, 그 과정에서 본래 화계 1단에 위치했던 괴석 2기는 경훈각(景薰閣) 후원으로 이설된 상태이다. 둘째, 「동궐도」가 제작된 조선후기와 달리 1900년대 초반 주합루 후원에는 괴석 2기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었다. 외형, 규격, 의장이 유사한 전통적 양식의 점경물이었다. 하지만 주합루 후원의 괴석은 모두 1970~1980년대에 타지로 이설되어 현재는 고유위치를 벗어난 상태이다. 1기는 빙천(氷泉) 입구와 금천교 인근을 거쳐 애련정 후면에, 또 다른 1기는 연경당 장락문(長樂門) 앞에 남아 있다. 셋째, 과거 존덕정 일곽에 소재했던 점경물 중 괴석 1기는 현재 구성 부재가 분리된 상태로 정자 주변 석교와 영화당 인근에 분산 배치되어 있다. 영화당 인근의 대석은 1990년 무렵 앙부일구 모조품을 설치하기 위한 용도로 이설되었다. 또 다른 괴석 1기는후원 정문으로 이설된 이후 현재는 소재 파악이 어려우며, 본래 위치에는 완전히 상이한 형태의 점경물이 새롭게 배치되어 있다. 넷째, 대보단지에 현존하고 있는 대석 2기는 일제강점기 당시 이왕직청사(李王職廳舍) 현관 기둥의 초석으로 사용되던 건축 부재였다. 해방 이후 이왕직청사가 구황실재산사무총국으로 개편되고, 1960년 무렵 사무총국 건물이 전소되자 기단 위에 배치되어 있던 석상(石像)과 대석이 대보단지로 이설되었다. 대보단지의 대석은 건축부재가 점경물로 오인되고 있는 대표적 사례이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actual state and transformation of the major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period, focusing on Nakseonjae(樂善齋), Juhamnu(宙合樓), Jondeokjeong(尊德亭), and Daebodanji (大報壇址). This study can be used as useful data for establishing the restoration and maintenance plan of the garden ornaments in Changdeokgung Palace, and the main result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a photo taken by the Czech Vráz, in 1901, a total of six garden ornaments, including a stone pond and odd-shaped stones, were located in the backyard of Nakseonjae. Since liberation, arbitrary relocation of garden ornaments has frequently occurred, and in the process, two odd-shaped stones, originally located on the first floor of the terraced flower bed, have been transferred to the backyard of Gyeonghungak(景薰閣). Second, unlike the late Joseon Dynasty when 「Donggwoldo(東闕圖)」 was produced, odd-shaped stones were arranged symmetrically in the backyard of Juhamnu in the early 1900s. It was a traditional style garden ornament with similar appearance, size, and design. However, all the odd-shaped stones in the backyard of Juhaumnu were relocated to other places in the 1970s and 1980s. One is located at the rear of Aeryeonjeong(愛蓮亭) through the entrance of Bingcheon(氷泉) and the vicinity of Geumcheongyo(錦川橋), and the other remains in front of the Yeongyeongdang Jangnakmun(演慶堂 長樂門). Third, among the garden ornaments located in the area of Jondeokjeong in the past, one odd-shaped stone is now relocated around the stone bridge near the pavilion and the Yeonghwadang(暎花堂) with its components separated. The bondstone near Yeonghwadang was relocated in 1990 for the purpose of installing an imitation of Angbuilgu(仰釜日晷). Another odd-shaped stone has been relocated to the front door of the Secret Garden(後苑), and now it is difficult to grasp the location. Fourth, the two bondstones remaining in the Daebodanji were actually building materials that were used as the foundation stone for the entrance pillars of the Yi Royal Office Building(李王職廳舍)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fter liberation, the Yi Royal Office Building was reorganized into Imperial Estate Administration Office(皇室財産事務總局), and when the office building was burned down in 1960, the stone statues and foundation stones placed on the stylobate were relocated to the Daebodanji. The bondstone at Daebodanji is a representative example of construction materiasl being mistaken for gaeden ornaments.

      • KCI등재

        Peirce의 귀추의 개념에 대한 문제점에 대응하기

        오준영(Oh, Jun-young) 대한철학회 2010 哲學硏究 Vol.113 No.-

        귀추는 어떤 현상에 대하여 논리적으로 ‘최선을 가능하게 하는 추리과정’이다. 전통적으로 통용되던 연역과 귀납의 두 논리체계에 대하여 Peirce가 귀추를 제가하면서 귀추는 광범위하게 논의 되어왔다. 그러나 Peirce가 주장한 귀추의 문제점으로, ‘귀추도식의 전제에 결론 내용이 이미 존재한다는 점’과 ‘수많은 설명 가능한 가설의 폭주’라는 것이 일반적인 비평이다. 이를 극복하는 방안을 ㅌ오하여 새로운 과학적 탐구 프로그램을 제안, 실제적인 탐구과정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하는 것이 이 논문의 목적이다. (1) 전제 속이 이미 포함되어 있지 않은 새로운 성질이나 관계 등에 대한 주장을 포함하는 가설의 형성은 어떻게 이루어지며, 그 과정에 대한 어떤 논리적 해명은 가능한가? 이 문제에 대한 해결의 실마리를 제공해주는 것은 유비귀추(analogical abduction)다. 과학적 이론의 생성은 유비귀추를 통해 창의적인 가설의 생성을 강조한다. 유비귀추를 통한 이론의 인과적 메커니즘을 보여준다. (2) 우리는 귀추를 발견의 논리로 보기에는 어렵다고 주장한다. 귀추의 전제 속에 이미 결과가 제시되어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대응은 귀추의 엄격한 발견의 논리보다는 그럴듯함의 추구의 논리로 완화시켜, 추구의 논리 (logic of pursuit)로 보는 방향이다. 또한 우리는 가설들의 폭주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귀추와 동시에 역추(retroduction)를 반드시 동반해야한다고 주장한다. 결국 역추는 가설의 제거와 필연성을 강조한다는 것이다. (3) 우리는 귀추를 목표-지향적인 가설 생성을 위한 전략으로 보는 것이다. 이러한 여러 결과들을 통해서 귀추전략을 사용한 종합적인 가설생성과 확증과정을 제안하고 과학사적인 사건을 통해 점검한다. Abduction arouses increasing interest and methodological discussion in various fields. Abduction is inference procedure to invent an explanatory hypothesis. In the philosophical context abduction has, however, very often been subjected to severe criticism. There are, so to speak, various "classical" counter-arguments against abduction, as a logic of discovery especially that (1) in basic formulation of abduction the hypothesis is already presupposed to be known, so it is not the was hypotheses are discovered in the first place. In this paper, I argue, by bringing forth the idea of analogical abduction, and the meaning of strategies that these counter-arguments are weaker than may appear. (2) It seems to permit inferences to all sorts of wild hypotheses. In this paper, I argue, by bringing forth the idea of logic of pursuit, hypotheses's economics, and retroduction that this counter-arguments are weaker (3) this paper develops a scientific procedure and estimated this model bases on the history of science about astronomy.

      • KCI등재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복원정비를 위한 원형 경관 고찰

        오준영 ( Oh Jun-young ),양기철 ( Yang Ki-cheol ) 한국전통조경학회 2021 한국전통조경학회지 Vol.39 No.4

        본 연구는 대한제국과 그 전후의 시기를 중심으로 창덕궁 부용정과 주합루 권역의 원형 경관을 새롭게 조명하고, 향후 복원정비에 유용한 연구성과를 도출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부용지 인공섬의 석축은 본래 정연하게 가공된 석재를 활용해 바른층쌓기로 조성되어 있었다. 하지만 1960~1970년대의 정비공사 과정에서 부용지 인공섬은 자연석과 가공석이 혼합된 형태로 변형되었다. 부용지 인공섬의 상부에 설치된 난간은 유사사례를 찾아보기 어려운 독특한 시설로 대한제국기에도 실존했지만, 일제강점기에 완전히 멸실되었다. 둘째, 오늘날 어수문 좌우에 남아 있는 취병은 2008년 조릿대를 기반으로 재현된 결과물이다. 어수문 취병의 식물 소재를 주목으로 보는 시각도 존재하지만, 구체적인 수종은 여전히 밝혀지지 않은 상태이다. 관련 자료와 정황을 다각적으로 고려하면 적어도 근대기의 어수문 취병은 동관왕묘와 경복궁 건청궁처럼 ‘향나무’로 제작되어 있었을 가능성이 높다. 셋째, 주합루 후원은 석계 형태의 구조물 위에 수목이 밀생하지 않은 공간이었다. 주합루 후원의 석계는 비교적 개방된 형태로 관리되면서 주변 건축물을 왕래할 수 있는 공간으로도 기능하였다. 하지만 1980년대 후반에 대규모 식재공사가 이루어지면서 주합루 후원은 화계와 같은 형태로 정비되었고, 다수의 화관목이 식재되어 폐쇄적인 공간으로 변모하였다. 넷째, 규장각과 개유와처럼 서고(書庫) 기능을 가졌던 영화당 남행각은 1900년대 후반 무렵에 멸실되어 본래 모습을 파악하기 어려운 건축물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근대기 사진과 스케치 자료를 토대로 영화당 남행각의 배치축을 확증하고, 형태와 의장적 특징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초자료 구축 차원에서 「동궐도」와 「동궐도형」을 참고한 추정복원도를 제시하였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newly examine the original landscape of Buyongjeong(芙蓉亭) and Juhamnu(宙合樓) areas in Changdeokgung Palace(昌德宮), focusing on the modern period including the Korean Empire, and to derive useful research results for restoration and maintenance in the future. 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芙蓉池) was originally made up of a straight layer using well-trimmed processed stone. However, during the maintenance work in the 1960s and 1970s,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 was transformed into a mixture of natural and processed stones. The handrail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artificial island in Buyongji is a unique facility that is hard to find similar cases. The handrail existed even during the Korean Empire, but was completely destroy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Second, Chwibyeong(翠屛), which is currently located on the left and right of Eosumun(魚水門), is the result of a reproduction based on Northern bamboo in 2008. Although there is a view that sees the plant material of Eosumun Chwibyeong as Rigid-branch yew, the specific species is still vague. Looking at the related data and circumstances from various angles, at least in the modern era, it is highly probable that the Eosumun Chwibyeong was made of Chinese juniper like Donggwanwangmyo Shrine(東關王廟) and Guncheongung(乾淸宮) in Gyeongbokgung Palace(景福宮). Third, the backyard of Juhamnu was a space with no dense trees on top of a stone staircase-shaped structure. The stone stairway in the backyard of Juhamnu was maintained in a relatively open form, and it also functioned as a space to pass through the surrounding buildings. However, as large-scale planting work was carried out in the late 1980s, the backyard of Juhamnu was maintained in the same shape as a Terraced Flower Bed, and it was transformed into a closed space where many flowering plants were planted. Fourth, Yeonghwadang Namhaenggak(暎花堂 南行閣), which had a library function like Gyujanggak(奎章閣) and Gaeyuwa(皆有窩), was destroyed in the late 1900s and was difficult to understand in its original form. Based on modern photographs and sketch materials, this study confirmed the arrangement axis of Yeonghwadang Namhaenggak, and confirmed the shape and design features of the building. In addition, an estimated restoration map referring to 「Donggwoldo(東闕圖)」 and 「Donggwoldohyung (東闕圓形)」 was presented for the construction of basic data.

      • KCI등재

        2D+Gan: Generating 2D+ Images using GAN-based a Depth map and an Image Segmentation Estimation

        오준영(Jun Young OH),민경하(Kyung Ha MIN),양희경(Hee Kyung YANG) 한국컴퓨터게임학회 2021 한국컴퓨터게임학회논문지 Vol.34 No.3

        2D 퍼즐은 인기있는 보드게임이다. 2D 퍼즐을 완성하는 기술은 많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2D만으로는 대상을 효과적으로 표현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영상으로부터 높이를 가진 2D+ 레고 퍼즐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서 본 연구에서는 영상의 높이 맵과 분할 맵의 정보를 활용한다. 우리는 2D+ 퍼즐에 적용하기위해 다양한 대상의 높이 및 영역 정보를 적절하게 처리해야한다. 이러한 이유로, 우리는 깊이 맵과 분할영역 맵을 추출하기 위해 모델에 심층 학습 모델을 적용한다. 높이 맵을 추출하기 위해 우리는 CelebAMask-HQ dataset으로 학습한 BiseNet을 채택했다. 그리고 분할 맵을 얻기 위해 NYU Depth V2 dataset으로 학습한 DenseDepth를 사용했다. 입력 영상에 대해서 저해상도 영상 및 높이 맵과 분할 맵을 추출하고, 저해상도 영상을 레고 브릭의 색 팔레트를 적용한 영상에 대해서 높이 맵과 분할 맵 정보를 적용해서 높이를 가진 2D+ 픽셀 아트 영상을 생성한다. 그리고, 이 픽셀 아트 영상에 대해서 같은 높이와 같은 색을 가진 픽셀들에 대해서 최대한 큰 브릭을 적용하는 그리디 알고리즘을 적용해서 2D+ 레고 퍼즐을 완성한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초상화를 대상으로 2D+ 레고 퍼즐을 완성하는 예를 제시하였으며, 그 중 하나를 직접 제작하여 그 결과를 제시한다. 2D puzzles are popular board games. The technique of completing a 2D puzzle has been studied a lot. However, there is a limitation in that it is difficult to effectively express objects only with 2D. We present a 2D+ Lego puzzle generation algorithm that converts an input image into a 2D Lego puzzle with several bricks that represent heights. We employ a depth map estimation scheme and a semantic segmentation scheme for our purpose. We need to properly process the depth and segmentation information of various objects to apply to the 2D+ puzzle. For this reason, we apply deep learning models to the model to extract a depth map and a segmentation map. To extract the segmentation map, we adopted BiseNet learned with CelebAMask-HQ dataset. And DenseDepth learned with NYU Depth V2 dataset was used to obtain the depth map. We downsample the input image to a low-resolutional image and arrange the color information of the image according to the color palette of the allowable Lego bricks. We build a 2D+ pixel art image by corporating the low-resolutional images with the depth map and segmentation map. 2D+ lego puzzle is constructed from this 2D+ pixel art image by applying a greedy algorithm that seeks a largest Lego brick that can fit the candidate space.

      • 큐빅 형태의 모듈라 로봇 디자인

        오준영(Jun-Young Oh),김대선(Dea-Sun Kim),박노수(No-Su Park),이보희(Bo-Hee Lee),서남길(Nam-Gil Seo),이창(Chang Lee) 대한전기학회 2007 대한전기학회 학술대회 논문집 Vol.2007 No.10

        This paper deals with design of a cube-style modular robot. The modular robot can change its own form according to the working environment. Therefore it is suitable to work in the search and rescue area with the shape of snake, legged robot and humanoid robot. Each of modular unit has to install its own controller on the body and driving mechanism in order to give it mobility autonomously. And also they should attach and detach each other with docking mechanism and algorithm. Using this mechanism, they can make union, separation, recombination. The other important point is that some information of each cell should be exchanged to reconfigure their shape and to make some docking of the modular cell. In this paper we suggested a design concept of our modular robot focused on the docking mechanism of the robot.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