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심소 김천흥의 자료현황과 자료활용에 대한 연구

        오정은 ( Oh Jeongeun ) 무용역사기록학회 2017 무용역사기록학 Vol.47 No.-

        ‘심소 김천흥의 자료현황 및 자료활용 사례’ 연구에서는 단순히 개인의 아카이브로만 볼 것이 아니라 무용ㆍ국악 넓게는 공연예술의 확대된 예술 기록 및 활용방법의 매뉴얼이라고도 볼 수 있다는 중요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본 연구는 새로운 것을 찾아내는 것보다는 심소 김천흥의 자료현황과 자료들이 활용 된 사례들을 파악하여 김천흥 연구의 매개가 되는 정보공유의 두 번째 목적을 가진다. 연구방법으로는 필자가 그동안 참여했던 (사)한국춤문화자료원의 활동을 중심으로 그동안의 심소 김천흥의 자료 등을 활용한 행사 자료(행사기획안, 프로그램, 자료집, 도서 등)와 온라인(신문기사, 관련사이트 검색)등을 살펴보고, 무용극 <처용랑>의 1차 재현사례 정보 분석을 하였다. 이를 통해 ‘심소 김천흥의 자료현황’을 통해 국내외 김천흥 컬렉션과 구술사 등을 통해 생성 된 기증 기관 일곱 곳을 알 수 있었다. 두 번째로 ‘연도별 심소 김천흥의 자료활용 사례 리스트 분석‘을 통해 심소 김천흥 탄생 100주년, 추모문화제, 자료집 발간, 디지털아카이브 생성, 특강 등을 살펴 볼 수 있었으며, 전시, 공연, 심포지엄, 자료집, 렉쳐퍼포먼스 등의 새로운 자료생성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세 번째로, ‘창작무용극 <처용랑> 제1차 재현시연 사례분석’을 통하여, 무용재현 또는 활용 된 창작 작업에서의 자료 활용 예시로 살펴 볼 수 있었다. The research on "the data status and data use case of Simso Kim cheon-heung" started from the importance that the Kim Cheon-Heung Collection can be seen not only as an individual archive, but also as a manual of an extended artistic record and utilization method of performing arts. This study has a second purpose of sharing information to be a mediator of researches on Kim Cheonheung by grasping the current status of the materials and the cases that have been utilized. As a research method, I focus on the activities of the Korea Dance Resource Center, which I have participated in the past, and analyze event materials (event plan, programs, materials, books, etc.) Related site search. In addition, I analyze the case of reconstruction of Cheoyongrang. I expect that this study could be seen as a reference in the creation or reproduction of archiving.

      • 청주 송상현 충렬사 요여 과학적 조사·분석

        오정은 ( Jeongeun Oh ),황인선 ( Insun Hwang ),박형호 ( Hyeongho Park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청주 송상현 충렬사 요여는 조선 중기 문신 송상현(1551∼1592)의 위패를 이운한 목제 가마이다. 목재에 금속 장석이 결구되어 있고 지붕 안쪽에는 묵서가 확인되었으며, 이외에도 적색 도료와 지류, 섬유가 관찰되어 과학적 조사·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여는 피나무속과 가래나무속을 사용하여 제작한 것으로 확인되며 금속 장석 결구부에서 철(Fe)과 주석(Sn)이 검출되어 철심에 주석도금을 한 것으로 판단된다. 적색 도료는 진사(HgS)로 확인되었으며, 층위 분석 결과 목재 위로 1∼3회 칠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지붕내부의 섬유는 모두 면이었으며 지류는 닥섬유로 관찰되었다. 좌∼우측 문에서 관찰된 지류의 경우 닥섬유 외에 침엽수의 가도관이 함께 관찰된 것으로 보아 후대에 전해지면서 부분적으로 수리·복원이 진행된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하천 및 호소 퇴적물 입도분석 방식의 비교와 입도에 따른 중금속물질의 분포경향

        오형석(Oh Hyungsuk),신원식(Shin Wonsik),김준하(Kim Joonha),황인성(Hwang Inseong),허진(Hur Jin),신현상(Shin Hyunsang),오정은(Oh Jeongeun),허인애(Huh Inae),김영훈(Kim Younghun) 한국지반환경공학회 2010 한국지반환경공학회논문집 Vol.11 No.5

        한강, 낙동강, 영산강, 금강의 하천 및 호소퇴적물을 대상으로 건식체질법, 습식체질법, 광산란법(PSA) 등의 입도분석법을 비교연구 하였다. 건식체질법의 경우 건조과정에서 발생하는 엉김현상에 의해 오차가 크게 발생하며 이러한 현상은 호소시료의 경우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습식체질법은 건식체질법에 비해 복잡하고 노동력이 보다 많이 필요하지만 정확한 분석이 가능하며 PSA의 경우에도 습식체질과 유사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엉김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동결건조 및 과산화수소수에 의한 유기물의 산화/동결건조의 경우 엉김현상을 일부 개선할 수 있었으나 여전히 습식체질에 비하여 미세입자의 분율이 적게 나타났다. 입도별 중금속의 용출량 및 함유량이 조사되었으며 예상된 바와 같이 호소 및 하천시료 모두 미세입자에서 높은 농도의 중금속이 용출되었다. 퇴적물의 관리에 있어서 정확한 입도분석법의 사용과 미세입자에 대한 관리가 보다 중요하다. Dry sieving, wet sieving and photoscattering analyzer were tested as particle size analyzing methods for sediments from rivers and lakes of Han river, Nakdong river, Youngsan river, and Kumgang river area. Dry sieving showed a big error due to coagulating effect over drying process and this phenomena was severe for lake sediment. Wet sieving and PSA showed an accurate results though wet sieving needs more labor and complicate processes. Freeze-dry or freeze-dry after oxidation of organics with hydrogen peroxide showed improved results but gave lower portion of fine particles in comparing with wet sieving. Heavy metal contents and extractable metal contents were investigated for the sediments and high heavy metal content and extractable amount were obtained from fine particles as expected. Using of proper particle size analyzing method is important and the sediment management should be focused on the fine particles.

      • 갱폼 공사 중대재해 사고 예방을 위한 체크리스트 개발

        정경태,김시유,오정은,이동훈,Jeong Kyeongtae,Kim Siyu,Oh Jeongeun,Lee Donghoon 한국건설안전학회 2023 한국건설안전학회 논문집 Vol.5 No.1

        Gang-foam is used in many construction projects because it is not only precise in terms of vertical, horizontal, and specifications, but also easy to install and dismantle. However, major accidents occur every year due to non-compliance with safety rules and work order, also manuals and checklists currently in use are insufficient. Thirty-seven surveys was conducted by analyzing major accident cases of domestic gang-form construction project and deriving 20 risk factors and 43 check points. Based on the survey, the importance and appropriateness of check points were evaluated. As a result of this study, a checklist was presented, check points were placed in the order of importance based on assembly, installation, dismantling, and lifting of the Gang-form process. The checklist was organized so that workers could comply with safety rules and work order. Through this, it is expected to prevent major accidents and contribute to efficient safety management.

      • 보물 제989-1호·제989-2호 예천 용문사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및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보존처리

        박정혜 ( Junghae Park ),오정은 ( Jeongeun Oh ),최재완 ( Jaewan Choi ),배중현 ( Junghyeon Ba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0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0 No.1

        예천 용문사 대장전의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과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은 보물 제989-1호와 보물 제989-2호이다. 보존처리 전 과학적 조사·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상태 조사 결과, 개금층 박락, 오염물, 균열 등이 관찰되었으며, 수종분석을 통해 목조아미타여래좌상 불상은 피나무류, 복장판은 전나무류,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목조각상은 피나무류, 장식판 및 목재틀은 소나무류를 사용해 제작된 것을 확인하였다. 칠층분석 결과, 목재 위로 칠을 하였으며, 칠 위로 도료층과 개금층이 관찰되었다. P-XRF 분석을 통해 개금층은 금(Au)인 것을 확인하였으며, 그 외 석채 안료(석록, 진사, 연백, 밀타승)와 일부 현대 안료(크롬옥사이드그린, 카드뮴레드) 성분이 분석되었다. FTIR 결과, 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검은 도료는 캐슈, 목각아미타여래설법상 노랑 도료는 폴리비닐계, 주황색 도료는 폴리아크릴산계가 사용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존처리는 ①건식 클리닝 및 칠층제거 ②층위 및 합성수지가 제거된 균열 및 이격 부분에 토회 및 동일 수종 쐐기목을 이용한 메움 처리 ③정제칠을 이용한 옻칠 처리 ④순도 99% 이상의 금분과 금박을 이용한 이금 및 개금 처리 ⑤전통 석채 안료를 사용한 박락된 안료층 채색 및 개안 ⑥복장유물 재봉안(목조아미타여래삼존좌상) ⑦하이겐-A를 이용한 포장훈증 처리 순으로 진행하여 완료하였다.

      • KCI등재

        자외선 첨가제가 적용된 옻칠 도료의 UV 열화에 대한 내구성 연구

        박정혜(JungHae Park),오정은(JeongEun Oh),조상윤(SangYoon Jo),박창현(ChangHyun Park),김수철(SooChul Kim) 한국가구학회 2022 한국가구학회지 Vol.33 No.1

        Lacquer is known to be vulnerable to UV-Rays generally. So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durability of the lacquer against UV deterioration by using Sunscreen and UV Stabilizer. Based on KS M ISO 4892-3, aspect of UV deterioration of lacquer film with sunscreen and lacquer film coated with UV-stabilizer was observed for up to 1080 hours and the deterioration patterns were also observed at regular intervals.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degree, gloss, chromaticity, surface observation, microscope and FT-IR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nscreen mixed lacquer maintained the gloss longer than the UV-stabilizer coated lacquer, and the color change was l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unscreen mixed lacquer has the longest durability against deterioration in observing surface and microscope. Through FT-IR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sunscreen mixed lacquer was more similar in chemical structure to pure lacquer than UV-stabilizer coated lacquer. For the degradation rate, the degradation progressed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judged that the lacquer has the best durability against light deterioration when a 2% concentration of sunscreen was mixed lacquer.

      • 부여 무량사 삼전패 정밀진단 및 재질분석

        조상윤 ( Sangyoon Jo ),오정은 ( Jeongeun Oh ),박정혜 ( Junghae Park ),안재완 ( Jaewan An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2015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과학적 조사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부여군청에서 진행한 부여 무량사 삼전패의 정밀진단(손상지도, 초음파 측정, 열화상 촬영, 환경분석 조사)과 과학적 분석(수종, 지질, FT-IR)을 실시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대세지보살 패신 및 대좌, 아미타불 패신 및 대좌, 관세음보살 패신 및 대좌로 구성되어 있다. 손상지도 제작은 육안 조사를 통해 유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손상유형에 따라 기록하였고, 초음파 측정과 열화상 촬영으로 삼전패의 패신과 대좌의 내부 결함 파악하였다. 부여 무량사 수장고에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78일간 1시간 단위로 온·습도를 측정하여 일평균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패신과 대좌에서 미세하게 채취한 시료를 통하여 수종 분석과 섬유 분석을 위한 프레파라트를 제작하고 광학현미경으로 조직을 미시적으로 관찰하여 수종 및 섬유를 식별하였다. 적외선분광분석(FT-IR)을 실시하여 삼전패 패신의 안료에 사용된 교착제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박락 및 오염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긁힘·찍힘, 균열, 생물 피해 등이 일부 관찰되었다. 초음파 분석 결과 내부결함에 의한 밀도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열화상 촬영으로 관찰되는 큰 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의 수종은 소나무류와 오리나무속으로 식별되었으며, 지류는 침엽수펄프와 닥섬유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FT-IR분석을 통해 삼전패 패신에 사용된 교착제는 유기 접착제 중 단백질계 접착제인 아교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정읍 화호리마을 건축물 목부재의 수종분석 및 보호수 수령측정

        이광희 ( Kwanghee Lee ),오정은 ( Jeongeun Oh ),박창현 ( Changhyun Park ),김수철 ( Unjoo Lee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정읍 화호리마을은 일제강점기에 형성된 대표적인 근대마을이다. 본 연구는 국립 완주문화재연구소의 전북지역 일제강점기 근대역사공간에 대한 연구의 일환으로 화호리마을의 건축물 목부재의 수종분석 및 느티나무 보호수에 대하여 수령측정을 실시하였다. 건축물 10건의 목부재 130점에 대한 수종 분석 결과, 잎갈나무속 48점(37%), 소나무류 34점(26.2%), 삼나무 15점(11.6%), 잣나무류 14점(10.8%), 가문비나무속 11점(8.4%), 전나무속 4점(3%), 미송속 2점(1.5%), 라왕속 2점(1.5%)이 식별되었다. 화호리마을 건축물 조성 당시 일본에서 목재를 수입하여 사용되었던 것으로 판단되며, 건축물의 목구조도 근대 일본 건축 문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볼 수 있다. 느티나무 보호수 3점의 수령감정을 실시한 결과, 보호수 1은 약 200년, 보호수 2는 약 228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며, 화호리마을이 생기기 전 마을의 진입부에 정자목이나 당산목으로 심은 것으로 추정된다. 보호수 3의 경우 최소 113년의 수령을 가진 것으로 확인되며, 나무의 크기로 추정하였을 때 130년은 넘지 않는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구) 일본인 농장가옥이 건설 전에 자생하고 있었을 것으로 추정되나, 건설 후 마을의 ‘이정표’로 심었을 가능성도 있다. 이번 연구를 통해 화호리마을 주택 조성 당시 사용된 수종을 확인하였으며, 향후 보존관리 방안 마련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된다. 또한 느티나무 노거수 3점에 대한 수령측정을 실시하여 느티나무와 화호리마을 간의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산림문화 향유 증진을 위한 전시 매체 및 공간 연출 분석

        김영주 ( Kim Youngju ),김현주 ( Kim Hyunju ),오정은 ( Oh Jeongeun ),진혜영 ( Jin Hyeyoung ),김창준 ( Kim Changj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3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8 No.8

        (연구배경 및 목적) 박물관은 단순한 정보 제공을 넘어 경험의 가치를 높이는 복합문화공간으로 변화하고 있다. 이에 따라 다양한 문화를 다루는 전문박물관은 관람객이 자유롭게 전문적으로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적인 연출 매체의 적용이 필요하다. 국립수목원 산림박물관은 산림의 역사와 문화, 환경생태 전반에 관한 생물자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만, 노후화된 시설과 정형화된 상설전시 환경으로 깊이 있는 정보 전달과 산림문화를 경험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본 연구는 산림박물관을 찾는 관람객에게 산림과 관련된 지식을 흥미롭게 전달하기 위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와 문헌 조사를 통해 주요 박물관들의 전시 매체의 유형과 연출 매체에 대해 조사 및 분류하였고, 산림박물관의 전시 현황과 소장품 및 전시주제에 대해 파악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유사 전시 주제를 가진 국공립기관을 선정하여 주제 유형별 전시연출 특성과 매체를 파악하고, 분석자료를 토대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결과) 본 연구의 역사, 환경생태, 민속문화 분야별 대상기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사 분야에서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과 융합된 동적 영상과 디오라마를 통해 특색있는 인터렉티브 영상 공간을 조성하여 관람객이 직관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해야 한다. 둘째, 환경생태 분야는 AR 증강현실 기술을 도입하여 접근성이 어려운 지역을 간접 체험하게 하거나 과학적인 연출을 통해 관람객들에게 환경생태에 대한 풍부한 경험과 깊은 이해를 촉진해야 한다. 셋째, 민속문화 분야는 기 소장품과 다양한 영상매체를 활용하여 관람객의 이해도를 높이고, 오감 체험을 통해 몰입환경을 향상해야 한다. (결론) 선정된 국공립 9개 기관을 분석하여 산림문화 향유 증진을 위한 산림박물관의 전시 매체 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였다. 연구를 통해 역사, 환경생태, 민속문화 등 다양한 요소가 복합적으로 얽혀있는 산림문화를 관람객들에게 깊이 있게 전달하기 위해서 분야별 전시연출의 방향성을 도출하고 특성에 맞는 매체 및 연출이 수반되어야 함을 확인하였다. 향후 산림박물관이 산림문화 향유의 중심지로 탈바꿈할 수 있도록 전시 리모델링 시 전시연출 매체를 고려한 공간구성 계획이 함께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 Museum is transforming into a complex cultural space that elevates the value of the experience, beyond simply providing information. Accordingly, specialized museums showcase various cultures and must apply effective directing media that allow visitors to enjoy professional culture freely. The Korea National Arboretum Forest Museum provides biological resource services encompassing the history, culture, and environmental ecology of forests. However, aging facilities and a one-dimensional permanent exhibition environment pose challenges in delivering in-depth information and providing the experience of forest culture. This study aims to derive the direction of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production to convey forest-related knowledge to visitors in an interesting way. (Method) This study investigated and classified the types of exhibition media and media in the spatial direction of major museums by examining prior research and conducting literature reviews, and identified the current status of exhibitions, collections, and exhibition topics in the Forest Museum. Based on this investigation, we selected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with similar exhibition themes and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xhibition directions and media by subject. This study also sets the path for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The results derived from the analysis of target institutions in the fields of history, environmental ecology, and folk culture were as follows: First, the field of history must create a unique interactive video space wherein dynamic images and dioramas are combined with various media technologies to enhance the audience’s intuitive understanding. Second,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ields should introduce augmented reality (AR) technology for audiences to indirectly experience inaccessible areas and gain a deep understanding of the environment and ecology. Third, the folk culture field should enhance the audience’s understanding by using current collections and various video media, and improve the immersive environment through experience with the five senses. (Conclusion) By analyzing nine selected national and public institutions, the direction of the Forest Museum’s exhibition media production to promote the enjoyment of forest culture was derived. This study confirms that exhibitions should be planned in different fields, with the relevant media and design adopted to convey forest culture in depth, wherein multiple factors―such as history,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actors, and folk culture―are complexly intertwined. For the Forest Museum to be transformed into a center for enjoying forest culture in the future, a space composition plan that considers exhibition production media should be implemented when remodeling exhibitions.

      • < 전시-P-10 > 함안 성산산성 목제유물 수종분석

        이광희 ( Kwanghee Lee ),박정혜 ( Junghae Park ),오정은 ( Jeongeun Oh ),박지현 ( Jihyeon Park ),이의천 ( Uicheon Lee ),서연주 ( Yeonju Seo ),박진영 ( Jinyoung Park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19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19 No.1

        함안 성산산성 출토 목기 2,155점 중 502점에 대해 국립가야문화재연구소에서 의뢰받아 수종분석을 실시하였다. 수종 연구 결과는 다음 표 1와 같으며, 이번 연구를 통해 고대인들의 실생활에 사용하였던 목기 502점에 대한 수종을 파악할 수 있었다. 향후 고환경과 식생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로써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