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첨단 기술 기반 B2B 회사의 관계 네트워크에서의 공동 가치 창출을 위한 자원 및 역량 도출

        박창현(Park, Changhyun),이희상(Lee, Hee-Sang) 한국산학기술학회 2014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5 No.7

        공동가치창출 현상은 B2B 및 B2C 시장 모두에서 중요한 비즈니스 전략으로 인식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주체들 및 복잡한 네트워크로 구성된 첨단 기술 기반의 B2B 시장에서 공동가치창출을 위한 핵심 자원 및 역량을 도출하였다. 대만의 파운드리 반도체 선두업체인 TSMC가 사례 연구로 선정되어 공급자, 고객, 파트너들간의 공동가치창출 현상에 대해 연구하였다. 관찰 연구, 내용 분석 및 TSMC 직원들과의 비구조화된 인터뷰를 통해 수집한 질적 데이터를 정성적 데이터 분석 (Qualitative data analysis) 툴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귀납적 추리 (Inductive reasoning)에 기반한 사례 연구 및 사례 연구 를 바탕으로 한 이론수립을 연구방법론으로 적용하여 4가지의 핵심 자원 (재무적 자원, 지식 자원, 효율성 자원, 지적 자원)과 6가지의 핵심 역량 (관계 역량, 협력 역량, 전략적 역량, 혁신 역량, 관리 역량, 서비스 역량)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자원과 역량을 기반으로 관계 네트워크 하에서의 공동가치창출을 연구하기 위한 연구 체계를 수립하였다. Value co-creation is an important business strategy these days in both the business-to-business (B2B) and business-to-consumer (B2C) markets.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specialized resources and competences for value co-creation in the relationship network within a high-tech B2B market. A case of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imited (TSMC) with customers and partners was chosen as the study case. Based on the observations, contents analysis of the secondary data and unstructured interviews with former TSMC employees, 4 critical resource types (financial, knowledge, efficiency and intellectual resource) and 6 competence types (relational, collaboration, strategic, innovation, managing and service capability), were performed as the principal factors for value co-creation in the relationship network. A research framework that can analyze the value co-creation phenomena in the relationship network was established.

      • KCI등재

        S곡선 기반 기술적 불연속성(Technological discontinuity)의 정의 및 측정

        박창현(Changhyu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7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8 No.7

        기존 기술과 신기술의 확산 및 대체 과정에서 발생하는 기술적 불연속성 현상은 단일 기술 및 복수 기술의 확산 및 대체 현상의 거동을 이해하는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기술적 불연속성 구간의 개념에 대해 정의하고, 이 구간을 측정할 수 있는 정량적 지표들에 대한 측정 모형을 개발하였다. 문헌리뷰 및 모형 도출을 바탕으로 기술적 불연속성 구간에 대해 정의 및 측정 모형을 제시하였고, 도출한 모형의 정합성을 반도체 산업의 기술대체 사례를 바탕으로 검증하였다. 기술적 불연속성 구간은 기존 기술과 신기술의 S곡선이 시간에 따라 동시에 존재하면서, 기존 기술의 성능이 신기술의 성능보다 높은 구간으로 정의된다. 또한 기술적 불연속 구간은 불연속 시간 및 불연속 성능으로 측정가능하며, 불연속 시간 및 불연속 성능지표는 불연속 구간에서의 기존 기술과 신기술의 시간 차이 및 성능 차이로 모형화 된다. 본 연구는 기술적 불연속성 현상에 대한 이해뿐만 아니라 기술 확산 및 대체 현상의 전체적인 거동의 이해에 유용할 것이다. The phenomenon of technological discontinuity which occurs during technological diffusion and substitution between incumbents and new technology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behavior of technology diffusion and substitution of single and multiple technologies. Our research defined the concept of technological discontinuity and developed a model capable of measuring the region of technological discontinuity. Based on a literature review and a model development, we proposed a definition and a model regarding technological discontinuity.The accuracy of the model is verified by applying it on a semiconductor industry case. The technological discontinuity is defined as the region in which both the incumbent and new technology co-exist and the performance of the incumbent technology is better than that of the new technology. In addition, we can model the technological discontinuity using discontinuous time and discontinuous performance. This research will be very useful to understand not only technological discontinuity but also technology diffusion or substitution.

      • KCI등재
      • 화성 봉담읍 수영리 출토 목재유물의 보존처리

        박창현 ( Changhyun Park ),조상윤 ( Sangyoon Jo ),서연주 ( Yeonju Seo ),이광희 ( Kwanghee Lee ),이언주 ( Eunjoo Le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화성 봉담읍 수영리 유적에서 출토된 5점(대형수침목재 1점, 가로목재 1점, 방망이로 추정되는 가공목재 2점, 판재 1점)의 목재유물 및 종실류 3점에 대하여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대상목재유물은 장기간의 매장환경에서 열화되어 표면이 매우 취약하므로 물과 붓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며, 표면이 마모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세척하였다. 종실류는 대침 등을 이용해 틈에 낀 흙을 제거하며 세척하였다. 치수안정화처리 및 건조는 PEG함침법 및 진공동결건조 처리법을 적용하였다. 약제 함침은 PEG#4000을 상온에서 10%에서 40%까지 90일 간격으로 각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 목재내부에 침투시켜 처리하였다. 약제함침처리가 완료된 유물을 동결건조 전 급격한 온도 하강에 따른 유물의 손상을 막기 위해 -40℃로 예비동결 하였다. 진공동결건조는 초기 선반 온도 -40℃, 콜드 트랩 -70℃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으며, 건조종점은 선반 온도 0℃, 시편 온도가 10℃일 때로 하였다. 약 3주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유물 표면에 잔존하는 약제는 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분리된 편의 접합에는 AXIA835(목공용)를 이용하였고, 접합면이 적어 힘을 받지 못하는 편의 경우 목심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Araldite)로 접합하였다. 접합 후 취약한 부위에는 접착제에 목분을 섞어 접합부를 보강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대형불명목재는 크기 및 접합 면의 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이동 및 보관 시 분리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모두 접합하지 않고 크게 3등분으로 나누어 접합하였다. 종실류는 대부분 각질화 된 유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 후 표면 강화처리를 진행하였다. 종실류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탈수를 진행하였다. 이후 Ethyl alcohol은 동일한 방법으로 Acetone으로 치환한 후 Paraloid-B72 7%(in Acetone) 용액에 3일간 침적하여 강화처리 하였다. 강화처리 후 표면에 잔존하는 약제는 Acetone(99.7%)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 창덕궁 성정각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

        박창현 ( Changhyun Park ),이광희 ( Kwanghee Lee ),임수현 ( Soo Hyun Lim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창덕궁 성정각 목부재의 수종 및 연륜연대분석을 통해 성정각에 사용된 목재 수종과 창건 및 수리시기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연륜이 50개 이상인 목부재 50점을 대상으로 수피근처에서 연륜연대분석시료를 채취하였다. 수종분석은 핸드섹션방법으로 프레파라트를 제작하여 광학현미경을 이용해 조직을 관찰한 결과, 창덕궁 성정각 목부재 50점 모두 소나무류로 식별되었다. 연륜연대분석은 시료를 고정대에 부착 후 사포로 연마하여 연륜폭측정기를 이용해 0.01mm 정확도로 측정하였다. 측정된 연륜폭그래프는 그래프와 통계분석을 이용한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을 통해 시료의 정확한 생육연대를 각 연륜에 부여하였다. 연륜연대분석결과, 50점의 성정각 목부재에서 30점이 일치하여 창덕궁 성정각 연대기가 작성되었다. 주요 구조재와 지붕부재들로 1598년-1776년으로 연대가 부여 되었으며, 1774년 초봄부터 1777년 초봄사이에 벌채된 나무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마루부재가 성정각 연대기와 일치하지 않았지만 표준연륜연대기와 일치하여 1789년-1881년으로 연대부여를 부여하였다. 따라서 창덕궁 성정각은 정조 원년(1777)에 성정각을 수리하였다는 『일성록』, 『승정원일기』의 기록과 일치하였으며, 1881년 이후 마루부재 위주의 소규모 공사가 이뤄진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시간, 성능 및 가격의 다차원 기반 다세대 기술의 확산경로(Diffusion Path) 추적에 대한 연구

        박창현(Changhyun Park) 한국산학기술학회 2018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Vol.19 No.9

        단세대 기술의 확산 거동에 대한 이해는 시간의 변화가 주요한 확산 인자로 고려되었으나, 다세대 기술의 확산거동은 시간의 변화 외에 다양한 인자들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다세대 기술의 확산경로를 분석하기 위해 가격 및 기술적 성능의 추가적인 인자들을 발굴하여 ‘시간, 가격, 성능’ 차원의 확산경로를 정의하였고, 정의된 다차원 확산 경로를 바탕으로 다세대 기술인 반도체 산업에 대해 확산경로를 추적하였다. 반도체 산업에 대한 사례 연구 결과 기술 확산경로는 ‘가격과 기술적 성능으로 구성되는 면적이 최대한 커지는 방향’으로 확산되는 거동을 보였다. 본 연구는 다세대 기술의 확산 거동을 다차원에 기반하여 분석하였고, 성숙 및 초기 단계의 다세대 기술들의 확산 거동에 대해 예측 가능하다는 이론적 의의를 지니고 있다. 또한 다세대 기술 산업의 연구개발 및 마케팅 담당자들에게도 시장 진입 및 퇴출 시기, 고객의 경제적 및 기술적 요구조건 파악을 위해 실무적으로도 의의가 있다. Time is considered as an important factor to understand the diffusion behavior of single generation technology. However,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required additional factors in addition to time to understand the diffusion behavior. This study defined the diffusion path of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dimensions of ‘time, price, and performance’ after extracting price and technical performance factors and traced the diffusion path of semiconductor industry based on defined dimensions. The case study of semiconductor industry indicated that the diffusion path is determined maximizing the integrated area of price and performance. This study has theoretical implications in that it analyzed the diffusion behavior of multiple generation technology based on multiple dimensions and can forecast the diffusion behavior at matured as well as early stage technology. Also, this study has practical implications for R&D and marketing managers to understand time-to-market, exit time, and economical as well as technical requirements.

      • KCI우수등재

        플래시 저장장치에서의 쓰기 증폭 모델에 대한 고찰

        박창현(Changhyun Park),원유집(Youjip Won),박영준(Yongjun Park) 대한전자공학회 2019 전자공학회논문지 Vol.56 No.7

        SSD의 예상 수명을 알기 위하여 플래시 기반 저장장치의 쓰기 증폭을 예측하는 여러 분석 모델들이 제안되었다. 본 논문에서 우리는 4가지의 쓰기 증폭 예측 모델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대부분의 모델들은 SSD 모든 영역을 균일하게 활용하는 워크로드를 가정하여 쓰기 증폭을 예측하였고, 그렇기 때문에 일반적인 작업 부하에서 쓰기 증폭을 예측하는 데는 적용할 수 없음을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은 추가적으로 각 모델의 장단점을 비교하고, 실제 SSD에서의 쓰기 증폭 측정을 통해 정확도를 검증하였다. 모든 모델들이 균일한 워크로드에서의 예측은 매우 높은 정확도를 나타내었으나, 실제 워크로드에서의 쓰기 증폭은 1.2 미만으로 모델 예측값보다 매우 낮으므로 이를 정확하게 예측하기 위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Several analytical models have been proposed to estimate the write amplification of flash-based storage devices to obtain the expected lifetime of SSDs. In this study, we analyze four write amplification models. Most models assume uniform workload to predict write amplification, and therefore, they can not be directly applied to predict write amplification in real-world workloads. We also found the strengths and weaknesses of the models, and validate them using real SSD. All models are proven to be accurate in uniform workloads, but the write amplification in real-world workloads is much lower than the model-expected values in real SSD. Therefore, more studies are needed to accurately predict the write amplification.

      • KCI등재

        구상돌기 골절의 변형 Suture Lasso 기법: 술기보고

        박창현(Changhyun Park),신우진(Woojin Shin),서승표(Seung-Pyo Suh) 대한정형외과학회 2024 대한정형외과학회지 Vol.59 No.1

        척골의 구상돌기는 원형의 원위 상완골을 전면에서 감싸고 있어 후방 탈구와 후외방 회전불안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며 50% 이상 소실되면 정상적인 주관절의 안정성 확보가 불가능할 수 있다. 척골 구상돌기 전내측 관절면의 골절은 불안정성과 척골 관절증으로 이어질 수 있고, 관절 가동 범위의 제한 및 요척 골유합 등 심각한 강직을 초래할 수 있어 골관절염을 줄이고, 주관절 안정성과 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수술적인 고정이 필요하다. 구상돌기 골절의 정복은 여러 접근법이 있으며, 골편에서 척골 주두 후면까지 이어지는 골터널을 내고 척골 주두에 고정하는 후방 접근법을 많이 사용한다. 수술 시 추가적인 피부 절개는 감염과 신경손상, 이소성 골화증, 관절 강직 등의 발생을 높일 수 있기에 저자들은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골절부를 확인하고, 변형u sture lasso 방법과 금속판 내고정술을 통한 변형 술식을 통해 좋은 결과를 확인하였기에 보고하는 바이다. The coronoid process of the ulna surrounds the distal humerus and plays a vital role in posterior dislocation and posterolateral rotational instability. Elbow stability may not be possible if there is a more than 50% loss. Anteromedial facet fractures can lead to instability, radioulnar synostosis. ulnohumeral arthrosis, severe stiffness. Therefore, surgical fixation is required to ensure adequate elbow stability and decrease the risk of posttraumatic ulnohumeral arthrosis. There are several approaches for the repair of coronoid process fractures. In most cases, the posterior approach was used to make a transosseous tunnel connecting the posterior aspect of the olecranon to fix the fracture site. During surgery, the additional dissection required to repair the coronoid might increase the infection risk, nerve injury, heterotopic ossification, and elbow stiffness. The author performed a modified suture lasso and plate fixation with good outcomes. This paper reports this case with a review of the relevant litera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