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부여 무량사 삼전패 정밀진단 및 재질분석

        조상윤 ( Sangyoon Jo ),오정은 ( Jeongeun Oh ),박정혜 ( Junghae Park ),안재완 ( Jaewan An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1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2015년 국가지정문화재로 지정된 이후 현재까지 과학적 조사가 전무한 상태이므로 부여군청에서 진행한 부여 무량사 삼전패의 정밀진단(손상지도, 초음파 측정, 열화상 촬영, 환경분석 조사)과 과학적 분석(수종, 지질, FT-IR)을 실시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대세지보살 패신 및 대좌, 아미타불 패신 및 대좌, 관세음보살 패신 및 대좌로 구성되어 있다. 손상지도 제작은 육안 조사를 통해 유물의 상태를 확인하여 손상유형에 따라 기록하였고, 초음파 측정과 열화상 촬영으로 삼전패의 패신과 대좌의 내부 결함 파악하였다. 부여 무량사 수장고에 데이터로거를 설치하여 78일간 1시간 단위로 온·습도를 측정하여 일평균 데이터를 산출하였다. 패신과 대좌에서 미세하게 채취한 시료를 통하여 수종 분석과 섬유 분석을 위한 프레파라트를 제작하고 광학현미경으로 조직을 미시적으로 관찰하여 수종 및 섬유를 식별하였다. 적외선분광분석(FT-IR)을 실시하여 삼전패 패신의 안료에 사용된 교착제의 성분을 분석하였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는 박락 및 오염이 전반적으로 관찰되었으며 긁힘·찍힘, 균열, 생물 피해 등이 일부 관찰되었다. 초음파 분석 결과 내부결함에 의한 밀도변화는 없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며, 열화상 촬영으로 관찰되는 큰 결함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부여 무량사 삼전패의 수종은 소나무류와 오리나무속으로 식별되었으며, 지류는 침엽수펄프와 닥섬유를 혼합하여 제작되었을 것으로 판단된다. FT-IR분석을 통해 삼전패 패신에 사용된 교착제는 유기 접착제 중 단백질계 접착제인 아교를 사용한 것으로 판단된다.

      • 화성 봉담읍 수영리 출토 목재유물의 보존처리

        박창현 ( Changhyun Park ),조상윤 ( Sangyoon Jo ),서연주 ( Yeonju Seo ),이광희 ( Kwanghee Lee ),이언주 ( Eunjoo Le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1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1 No.2

        화성 봉담읍 수영리 유적에서 출토된 5점(대형수침목재 1점, 가로목재 1점, 방망이로 추정되는 가공목재 2점, 판재 1점)의 목재유물 및 종실류 3점에 대하여 보존처리를 진행하였다. 보존처리대상목재유물은 장기간의 매장환경에서 열화되어 표면이 매우 취약하므로 물과 붓을 이용하여 세척하였으며, 표면이 마모되지 않도록 주의하여 세척하였다. 종실류는 대침 등을 이용해 틈에 낀 흙을 제거하며 세척하였다. 치수안정화처리 및 건조는 PEG함침법 및 진공동결건조 처리법을 적용하였다. 약제 함침은 PEG#4000을 상온에서 10%에서 40%까지 90일 간격으로 각 농도를 단계적으로 높여 목재내부에 침투시켜 처리하였다. 약제함침처리가 완료된 유물을 동결건조 전 급격한 온도 하강에 따른 유물의 손상을 막기 위해 -40℃로 예비동결 하였다. 진공동결건조는 초기 선반 온도 -40℃, 콜드 트랩 -70℃로 설정하여 진행하였으며, 건조종점은 선반 온도 0℃, 시편 온도가 10℃일 때로 하였다. 약 3주간 건조하였다. 건조 후 유물 표면에 잔존하는 약제는 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분리된 편의 접합에는 AXIA835(목공용)를 이용하였고, 접합면이 적어 힘을 받지 못하는 편의 경우 목심을 이용하여 에폭시 수지(Araldite)로 접합하였다. 접합 후 취약한 부위에는 접착제에 목분을 섞어 접합부를 보강하여 보존처리를 완료하였다. 대형불명목재는 크기 및 접합 면의 면적을 고려하였을 때 이동 및 보관 시 분리 및 변형이 발생될 수 있으므로 모두 접합하지 않고 크게 3등분으로 나누어 접합하였다. 종실류는 대부분 각질화 된 유세포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부의 수분을 제거한 후 표면 강화처리를 진행하였다. 종실류 내 수분을 제거하기 위해 Ethyl alcohol을 이용하여 단계적으로 탈수를 진행하였다. 이후 Ethyl alcohol은 동일한 방법으로 Acetone으로 치환한 후 Paraloid-B72 7%(in Acetone) 용액에 3일간 침적하여 강화처리 하였다. 강화처리 후 표면에 잔존하는 약제는 Acetone(99.7%)를 이용하여 제거하였다.

      • 화성 수영리 신석기 대형 목제유물의 과학적 분석 및 보존처리

        오정은 ( Jeongun Oh ),이의천 ( Uicheon Lee ),조상윤 ( Sangyoon Jo ),박정혜 ( Junghae Park ),이광희 ( Kwanghee Lee ),김수철 ( Soochul Kim ) 한국목재공학회 2022 한국목재공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22 No.1

        본 연구에서는 화성시 수영리 유적에서 출토된 수침목제유물 5점을 대상으로 처리 전 조사 분석을 위해 목재의 수종과 조성 시기, 가공 방법 등을 확인하였다. 수침목제 유물의 보존처리는 PEG 함침 및 진공동결건조법을 적용한 보존처리를 통해 안정적으로 원형을 보존하고자 하였다. 수종분석 결과 대형 목제 2점은 느릅나무속과 뽕나무속으로 확인되었고, 소형 목제 3점은 전나무속 1점과 소나무류 2점으로 확인되었다. 유물의 조성시기를 확인고자 위글매치법을 이용한 방사성탄소연대측정을 실시하여 BCE 8520-8490년 또는 BCE 8470-8290년의 신석기시대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함께 출토된 종자류에서도 동일 시기로 확인되었다. 목재 표면에는 가공흔적이 다수 관찰되었는데, 뜯긴 흔적과 찍힌 흔적이 관찰되어 당시 석기 자귀를 주로 이용하여 목제를 가공했던 것으로 판단하였다. 목제 보존처리는 상온(15-20℃)에서 PEG #4000 10%부터 40% 농도까지 함침 후 진공동결건조 하였다. 진공동결건조 스케줄은 유물의 표면 온도 상승에 따라 선반 온도를 상승하는 방식으로 진행하였다. 그러나 두꺼운 일부 부재에 대해서는 내부 수분이 완벽히 제거되지 않아 대형 수침목제의 진공동결건조 스케줄 방법에 대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하였다.

      • KCI등재

        자외선 첨가제가 적용된 옻칠 도료의 UV 열화에 대한 내구성 연구

        박정혜(JungHae Park),오정은(JeongEun Oh),조상윤(SangYoon Jo),박창현(ChangHyun Park),김수철(SooChul Kim) 한국가구학회 2022 한국가구학회지 Vol.33 No.1

        Lacquer is known to be vulnerable to UV-Rays generally. So in this study we tried to confirm the durability of the lacquer against UV deterioration by using Sunscreen and UV Stabilizer. Based on KS M ISO 4892-3, aspect of UV deterioration of lacquer film with sunscreen and lacquer film coated with UV-stabilizer was observed for up to 1080 hours and the deterioration patterns were also observed at regular intervals. To evaluate the deterioration degree, gloss, chromaticity, surface observation, microscope and FT-IR analysis were performed. As a result of the analysis, sunscreen mixed lacquer maintained the gloss longer than the UV-stabilizer coated lacquer, and the color change was less. It was also confirmed that the sunscreen mixed lacquer has the longest durability against deterioration in observing surface and microscope. Through FT-IR analysis, it was verified that the sunscreen mixed lacquer was more similar in chemical structure to pure lacquer than UV-stabilizer coated lacquer. For the degradation rate, the degradation progressed less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 Summarizing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it is judged that the lacquer has the best durability against light deterioration when a 2% concentration of sunscreen was mixed lacque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