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성당연계 가정간호사의 가정간호 서비스 필요도와 유헬스케어 인식정도

        오정아,김희승,윤건호,송민선,박민정,정현숙,Oh, Jeong-Ah,Kim, Hee-Seung,Yoon, Kun-Ho,Song, Min-Sun,Park, Min-Jeong,Jung, Hyun-Sook 한국가정간호학회 2008 가정간호학회지 Vol.15 No.2

        Purpose: We analyzed the need for home care services and awareness of U-healthcare in nurses of the Catholic Parish Home Care Center to link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and the home care. Methods: We recruited 46 nurses from a home care center in the catholic parish of the C medical center from April 4th to June 8th, 2007. Results: The highest needs were 'assessment and diagnosis of the problem', 'management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counseling of the patient', and 'counseling of major caregiver and family problems'. Therapeutic nursing showed the highest needs in bedsore care. Nurses want hospital medical records available through the ubiquitous health care system. Conclusion: Home care services are supported from the agency, with high needs in assessing and diagnosing the problem, counseling, and managing of hypertension & diabetes patients.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efforts on the U-healthcare system should improve system awareness.

      • KCI등재

        논문 : 유통환경별 글로벌 SPA 브랜드 매장의 VMD 특성에 관한 연구 -단독매장과 쇼핑센터 내 임대매장을 중심으로-

        오정아(주저자) ( Jung Ah Oh ),오정아(교신저자)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2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브랜드의 매장은 고객과의 접점장소이자 소비자의 구매의사 결정에 큰 영향을 미치는 중요한 마케팅 도구이다. 특히 매장의 개발 단계에서부터 콘셉트나 외관 및 인테리어 디자인, 디스플레이 등을 포함하는 비주얼 머천다이징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SPA 브랜드 매장의 VMD(VisualMerchandising Design) 요소들이 유통환경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이에 대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는 것이다. 유니클로, 자라, 에이치앤엠 매장을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국내·외 SPA 브랜드의 단독매장 비율은 백화점 내 매장과 비교할 때 매우 낮았다. 다음으로 브랜드별 매장의 유통환경에 따라 디자인적 차이를 보이는 VMD 요소는 외관과 쇼윈도였다. 반면 마네킹은 브랜드별 매장에서 유사한 방식으로 활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바닥, 벽/기둥, 천장, 카운터, 사인/로고, 디스플레이 테이블, 집기 등의 나머지 요소들은 디자인에 있어 부분적 차이가 있었다. SPA(Speciality store retailer of Private label Apparel brand) brand store is an essential marketing tool in both being the initial meeting place between the brand and the customer, and in influencing on customer’s decision making process. Especially VMD(Visual Merchandising Design) strategy that includes whole design process from the concept development to facade, exterior, interior design, and display should be thoroughly considered in store planning of SPA brand store.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build up the fundamental data of the characteristics of VMD elements applied in SPA brand stores of Uniqlo, Zara, and H&M. The results are as follow. First, the ratio of independent store of both global and domestic SPA brands is relatively low when compared to it of stores within mixed-use shopping center. Second, the VMD elements that showed definite differences between each store are facade and show window. Mannequin is used in the same way in the both store of each brand. The rest such as floor, wall/column, ceiling, counter, brand sign/logo, display table, and furniture are partially differed in design.

      • KCI등재

        논문 : 복합 쇼핑센터 내 SPA 브랜드 스토어의 테넌트 믹스 특성에 관한 연구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3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2 No.6

        최근 국내 패션업계에서는 SPA 브랜드가 큰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이러한 SPA 브랜드는 직영점 형태로 운영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국내에서는 복합 쇼핑센터에의 입점 경향이 두드러진다. 따라서 본 논문의 목적은 복합 쇼핑센터 내에 입점한 국내·외 SPA 브랜드들의 테넌트 믹스 특징을 분석하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 매장 계획 시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의 전반적인 전략안을 제시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테넌트 구성적 측면에 있어서는 복합 쇼핑센터에 입점한 SPA 브랜드 중 대부분은 국외 브랜드로, 그 중에서도 유니클로나 자라와 같이 국내 소비자의 선호도가 높은 브랜드의 도입 빈도가 잦다. 특히 국내 SPA 브랜드는 국외 브랜드에 비해 도입 빈도가 매우 적은데, 플래그쉽 스토어를 운영해 브랜드를 보다 폭넓은 소비자에게 각인시키고 온·오프라인의 다양한 경로를 통해 브랜드를 홍보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여 향후 복합 쇼핑센터의 SPA 브랜드를 더욱 다양화시켜야 한다. 둘째, 테넌트 배치적 측면을 살펴보면, 앵커 테넌트가 출입구와 인접한 경우 이용자의 체류성이 약해질 수 있기 때문에 앵커 테넌트 배치는 동선상의 말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SPA 매장은 오히려 주 출입구와 인접한 지상 1층, 또는 지하철이나 연결된 지하상가와의 동선 이동이 쉬운 지하층에 배치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의 보완을 위해서는 SPA 매장을 다층으로 구성하여 방문객들의 층간 이동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characteristic of tenant mix for SPA brand stores in a mixed-use shopping center, so to suggest synthetic strategy that can be used for the shopping center development in the future. The result are as follows. First, whe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enant variety, adaptation of global SPA brand store, especially UNIQLO or Zara that is highly preferred in Korea, is more frequent than any other brands. But to contrary, domestic SPA brand are not widely welcomed in shopping center environment like global SPA brand. Second, according to the general tenant placement strategy, avoiding placing the anchor tenants near the main entrance is natural. However, the result shows that most of the SPA brand stores are located on the first floor that`s near the entrance, or basement that`s near the alley leading to the subway station. In order to supplement the problem, we need to compose SPA brand store as a multi-story in mixed-use shopping center environment, so to stimulate the shopper`s movement between floors.

      • KCI등재

        복합 쇼핑센터의 테넌트 믹스 전략에 관한 선행연구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4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3 No.4

        본 연구는 복합 쇼핑센터에 대한 국내?외의 다양한 선행연구들을 대상으로 연구의 동향을 파악하고, 이를 종합하여 활용 가능한 테넌트 믹스 전략을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주제 및 범위를 살펴보면, 국내 문헌은 테넌트의 배치관계 요소 중 특히 앵커와 소비양식, 그 중에서도 엔터테인먼트형 앵커 테넌트를 중심으로 한 연구가 많은 반면, 국외 문헌은 주로 상품종류에 따른 테넌트의 배치관계에 대해 심도 깊은 연구를 다루고 있다. 둘째, ‘타깃’별 테넌트의 배치관계는 그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연구가 미흡하므로, 이에 대한 향후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국내와 국외 쇼핑센터 내 입점 테넌트의 중요도 및 활용도가 상이한 만큼, 향후 연구에서는 국내와 국외 복합 쇼핑센터의 차이점을 정확하게 인식하여 차별성 있는 연구를 진행해야 한다. 특히 국내 연구의 경우 소비양식별 인접배치 전략 분석에서 벗어나 보다 세부적인 상점의 유형 및 업태 구성 및 배치 전략안을 함께 제시하면 보다 효율적일 것이다. The objectivity of this research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 of tenant mix, and to establish any suggested strategy of tenant mix byanalyzing preceding researches, so to finally suggest the optimal and holistic tenant mix strategy.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subject and scope of research, while domestic reference is focused mostly on the tenant placement by anchor and consumption mode,especially entertainment anchor tenant, while foreign thesis mostly deals with the tenant placement by product type. Second, research on the tenant placement by target which is insufficient in despite of its importance should be continued. Third, understanding the fact that the importance and usage of tenant in domestic shopping center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 should be preceded before further research is executed. For research in domestic, it would be efficient if suggesting the tenant mix by specific store type.

      • KCI등재

        소비자 구매행태 분석을 통한 쇼루밍적 소비행위 연구

        오정아 ( Oh Jung Ah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구 한국패키지디자인학회) 2018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55 No.-

        소비채널의 다양화는 소비자의 소비행태에 있어 큰 변화를 야기했다. 현재 전 세계적으로 쇼루밍적 소비행태가 확산되고 있으며,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본 연구는 설문을 통해 국내 소비자의 소비행위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궁극적으로는 변화한 소비행태를 반영한 개략적인 채널 활용 전략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방법으로는 20~5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상품 구매 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품질’이었으나, 제품 선택이 종료된 후 해당 상품을 구매하는 시점에서는 같은 제품을 보다 ‘저렴한 가격(55.7%)’으로 구매할 수 있는지가 중요했다. 또한 주구매 채널로 ‘온라인+오프라인(73.8%)’을 복합적으로 활용하며, 매장에서 모바일로 제품 검색 여부’에 대해 약 79.5%의 응답자가 ‘예’라고 답했다. 둘째, 매장 내 모바일 검색 후 최종 구매 채널을 묻는 질문에는 ‘매장(34.7%)’을 이용한다는 응답자가 ‘차후 모바일 구매(34.1%)’라고 응답한 쇼루밍적 소비 비율과 유사한 수준이었다. 특히 매장 구매의 경우 매장 내모바일 검색 이유에 ‘상품평 참고’가 가장 높았는데, 이는 온라인(모바일)은 가격비교만큼이나 상품평 등 타 소비자와 공유하는 소통의 장으로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한다는 의미로 해석 가능하다. 따라서 소비자간, 기업-소비자간 소통이 가능한유연한 매장 환경을 구축하여야 한다. 셋째, 품목에 따라서는 의류, 생활용품, 화장품 등이 매장 구매 선호 품목으로, 서적,의류, 가전제품이 온라인(모바일) 구매 선호 품목으로 나타났다. 연령에 따라서는 ‘순수 오프라인족’이 20대가 가장 많았고,이들은 생활용품과 의류를 매장에서 구매하는 것을 선호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반영하여 향후 온오프라인 구매 채널 구축 및 확장 시 연령대별 소비행위, 구매 프로세스, 활용 선호 구매채널, 품목별 선호 구매 채널 등에 대한 충분한 이해와 전략 구축이 선행되어야 한다. The diversification of consumer channels has caused a major change in consumer behavior. Currently, there is a growing number of Showrooming shopping behavior around the world, and Korea is no exception.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current state of consumer behavior in Korea and propose a rough channel utilization strategy that reflects ultimately changing consumer behavior. As a research method, the survey was conducted in 20s and 50s,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when purchasing a product was quality. However, it was important that the same product could be purchased at a lower price(55.7%) after the product selection is complete. In addition, 'Online+Offline' (73.8%) was utilized as the primary purchase channel, and about 79.5% of the respondents said yes to whether they searched the product on mobile at the store. Secondly, when asked about the final purchase channel after a mobile search in the store, the percentage of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would use 'store(34.7%)' was similar to that of 'mobile purchase(34.1%). In particular, 'see product reviews' showed the highest percentage of store purchases. This can be interpreted as saying that online(mobile) plays an important role in communicating with other consumers such as product reviews as compared to price comparisons. Therefore, a flexible store environment that enables communication between consumers and between businesses and consumers should be established. Third, according to the items, clothes, household items, and cosmetics are preferred items for shopping in stores and books, clothing, and electronics are preferred items for online purchases.

      • KCI등재

        리테일 브랜딩의 공간 사례분석을 통한 유형화 연구

        오정아(Oh Jung-Ah),이현수(Lee Hyun-Soo)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3

        Retail Branding strategy based on ‘a store as a brand’ concep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and creative strategies in the field of the contemporary brand marketing. This research aims to set up fundamental notions about what is retail branding strategy, and classify the types of retail branding space through the case study. The result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Retail branding space could be classified into two different categories ? a type of visualized brand identity and a type of contents used in space as an expressive media. According to the visualized brand identity types, it is also categorized into two different types - ‘Visualscape Space’, where visual identity element is prevailed, and ‘Imagescape Space’, where mind identity is mostly in use. Moreover, the type of contents used in space as an expressive media is divided into three different categories - ‘Brandtainment Space’, where customer experience with fun elements in space is emphasized, ‘Brand Intimate Space’, where customer experience stressed on brand serviced-space is prevailed, and ‘Brand Expanded Space’, where expansion of typical brand image into a new business area could be possibly happened. The result could be useful for understanding and applying retail branding concept to various ways.

      • KCI등재

        국내·외 유통업체의 옴니채널 전략 활용현황 분석

        오정아(Oh, Jung-Ah) 한국실내디자인학회 2016 한국실내디자인학회논문집 Vol.25 No.5

        Unlike the past, brick-and-mortar is no longer on the priority list for the shopping activity. Instead, it is replaced by various non-store shopping alternatives, such as Internet, TV, catalog, mobile, etc. As consumers engage digitally, they made fewer trips to stores. Especially, as mobile shopping made the price comparison possible while shopping in the store, new shopping trend of ‘showrooming’ came to the fore as the serious issue. In order to cope with the this crisis, many brick-and-mortar retailers utilize omni-channel strategy for their countermeasure. This research paper is to suggest the omni-channel strategy that is applicable for the brick-and-mortar retailer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t up the connected-channel shopping environment, consumers have to be exposed to the environment that can deliver the continuous brand experience under the same price policy, brand and store management, etc, as integrating the various purchasing channels into one. Especially, in-store environment needs to change for the place where consumer experience is stressed for the most as using virtual reality devices with augmented reality technology. Also, the online digital kiosk, and tablet that consumer can order the products through the online channel while shopping in-store Second, the barrier-free in-store environment should be offered in order to increase the consumer convenience. This change will allow consumer communicate with the store environment more effectively. Lastly, brick-and-mortar should extend the physical territory as utilizing the offline’s advantage and disadvantage through setting up the digital interactive wall or pop-up store for increasing the opportunity of customer interaction with the store. Moreover, visiting service for the elderly, housewife with the baby, or disabled person will be one of the effective substitute.

      • KCI등재

        대형마트의 부대서비스공간 만족도 및 선호도에 관한 연구

        오정아(Oh Jung-Ah),이현수(Lee Hyun-Soo) 대한건축학회 2009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5 No.11

        As the focus in distribution industry has been recently shifted to a large discount store from a department store, the competition among large discount stores to attract more customer and stimulate their store loyalty is getting fierce. For this reason, competitive factors that can increase the store's competitive power are needed to differentiate it from others. Provision of serviced-space is one of these factors that can create high satisfaction and reliability level of customer, but it has been neglected because of strategy of a large discount store emphasizing price rather than service quality. The aim of this paper is to set up the base-data of the effective way of how serviced space on a large discount store should be planned. For a research method, questionnaire on customer satisfaction level and preference is used, and the result is as follows: the overall customer satisfaction level is average(3 out of 5) in general, and finance and culture space shows the most dissatisfaction level, and it of convenience and dining space shows the most satisfaction level. Besides entertainment space is the most preferred space that customer wants the store to add later on for a serviced-space.

      • KCI등재후보

        국내 재생건축의 디자인 특성 분석

        오정아 ( Jung Ah Oh ),장경수 ( Kyung Soo Cha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5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40 No.-

        세계적으로 에너지나 자원의 절약 및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은 시점에서 건축물의 재생은 환경, 생태적 측면의 접근뿐만 아니라, 기존의 자원이나 자산의 보존·재생에 의한 문화계승이라는 측면에서 높게 평가받고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재생 건축물의 사례 연구를 통해 기존 용도의 변경여부, 기존 건축물 내·외부 보존 정도 및 방식, 공간 형태 및 프로그램 변경 등 다각도의 분석을 실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향후 건축물 리모델링의 계획 방향 설정 시 참고 가능한 기초자료를 구축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용도변화는 기존 건물의 원용도를 새로운 용도로 변경하는 ‘전용형’이 6사례(75%)로 나타났고, 나머지는 원용도를 이어서 사용하는 ‘계속형’이었다. 전용형의 경우 원용도는 창고, 가압장, 공원 관리사무소로 다양하지만 모두 공공적 성격의 문화공간으로 변경되었다. 둘째, 공간변화의 유형과 공간 리모델링 시 원형의 보존 및 개조 수준을 조사한 결과, 외관은 부분개조를 하되 사례별로 원형의 형태, 재질, 색상 등의 보존 정도가 달랐다. 내부 역시 부분개조가 대부분이었고, 구조적, 기능적 보강이 필요한 부분에만 새로 보수를 하고 기둥, 벽면, 천장 등의 원형을 최대한 디자인에 반영하는 형식이었다. 셋째, 재생을 통해 획득할 수 있는 가치요소 중 경제적 가치는 모든 사례에서 나타난 반면, 역사성과 기능적 가치는 사례별로 차이를 보였다. The world paradigm of architecture is shifting from new building to architectural rehabilitation in terms of cultural succession based on saving and preserving energy and natural resource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various design elements of remodeling building, such as functional change, preservation level and method of structure, and space program and organize the database of what to consider when planning building renovation. The final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type of functional change of six study cases is shown as ‘exclusive type’, which is the type of changing the original purpose of existing building into a new purpose, and the rest of cases are shown as ‘continuous type’, which the original and new purpose is the same. Even though the original function of study cases, which are classified as a exclusive type, is varied like warehouse, park administrative office, and water booster station, the new space function of all cases is changed into public cultural space. Second, the result for the analysis on preservation and renovation level of existing structure shows that most of the study cases do partial remodeling on building exterior. Only differences are the preservation level on shape, material, and color of existing structure. Moreover, the partial remodeling is done for the interior space like the building exterior. The differences are the design method how to deliver the column, wall, and ceiling of existing structure into the new space. Third, economic value, one of the values that could be acquired from the whole renovation process, is shown in all study cases, whereas both historical and functional value differ on a case-by-case basis.

      • KCI등재후보

        빌딩 표피 디자인 트렌드를 통해 본 서울의 아이덴티티에 관한 고찰

        오정아 ( Jung Ah Oh ),정현원 ( Hyun Won Jung ) 한국상품문화디자인학회 2013 상품문화디자인학연구 Vol.33 No.-

        세계가 점차 글로벌화되어 도시간의 이동이 잦고 뚜렷한 특성의 격차가 점차 모호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독특한 도시 디자인, 즉 아이덴티티는 여전히 해당 도시로 많은 사람들을 끌어들이는 매력요소임에 틀림없다. 타 도시와 차별화되는 독특한 도시 아이덴티티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각 도시가 그들 자신을 대표할 수 있는 이미지를 강조하여야 한다. 특정 도시를 인지하는 프로세스에서 큰 역할을 하는 명확하고도 뚜렷하게 차별화되는 도시 아이덴티티의 정립은 특히 국제사회에서 해당 도시의 경쟁력을 증진시킬 뿐만 아니라 관광산업을 활성화시키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다. 본 논문의 목적은 한국의 서울이라는 도시의 빌딩 표피 디자인을 연구함으로써 서울이 갖는 도시 아이덴티티를 분석하는데 있다. 특히 한국의 도시의 형성은 전쟁이후에 이루어진 것으로 전쟁 이전에 갖는 한국 고유의 전통적 도시 이미지와 매우 다르며, 이는 타 국가들과 비교했을 때 매우 독특한 역사를 갖는다는데 큰 의미가 있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효율성을 극대화한 박스형, 장식요소가 과도한 사인보드, 국적과 스타일의 분류가 어려운 장식적 요소의 사용, 초고층에 대한 욕망, 그리고 전통적 스타일의 변화를 통한 명맥유지, 그리고 해외 스타건축가들에 의존한 패셔너블한 표피의 표현으로 서울이 갖는 아이덴티티를 유형화할 수 있다. In spite of globalization, the unique city identity attracts people to certain city, and it becomes the base for national power now. To set up unique city identity, each city strives to build their own image which can differentiate from the others. Through the firm city identity establishment, each city can get a lot of benefits, such as the image and cognition of the city, and also strengthen the diplomatic power and vitalize the tourist industry. The main objectivity of this paper is to find out identity of Seoul, Korea, which undergoes historically chaotic stage in terms of city identity formation comparing to other metropolises in developed countries, as examining a design tendency of building skin. The result of skin tendency of Korea can be represented with following issues; a cube for efficiency maximization, excessive ornamentation. signboards and nation and style indefinable decorative elements uses, and desire of high-rise and lack of tradition without any uniqueness that can act as a real national power now, and fashionable skin creation relied on star architect in abroa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