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파괴의 보존: 유네스코 세계유산 히로시마 원폭 돔의 보존과 ‘평화’의 문제

        오은정 ( Eunjeong Oh ) 한국문화인류학회 2020 韓國文化人類學 Vol.53 No.1

        20세기 ‘핵의 시대’ 최대의 부(負)의 유산으로 불리는 히로시마 원폭 돔은, 히로시마 원자폭탄의 투하 시점인 1945년 8월 6일 8시 15분이라는 시각과 그라운드제로를 시각화하는 가장 적절한 구조물로 여겨진다. ‘죽음’과 ‘세계의 파괴자’와 대비되는 것으로서 이 파괴된 구조물은, 피폭자들의 유한한 생명을 대신해 원폭의 참화와 ‘평화’의 중요성을 후세 영겁에 전하는 기억의 장치로 내세워지며, 다양한 형태의 담론, 제도, 건축상의 정비, 법규, 행정상의 조치, 기술적 수선을 통해 유지·보전되어 왔다. 이 글은 1996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옛 히로시마현 산업장려관, 즉 오늘날 ‘히로시마 원폭 돔’으로 불리는 이 파괴된 구조물의 ‘사회적 삶’을 거슬러 올라가면서, 이 구조물의 물질적 유한성과 영구보존이라는 목표 사이의 취약한 상호연결성과 모순으로 인해 던져지는 물음에 주목한다. “원폭 돔은 언제까지, 그리고 어떻게 보존되어야 하는가”라는 질문은 ‘원형’이라는 물리적 형태의 완벽한 보존의 문제가 아니라, 그 구조물에 쌓인 다중적 시간성의 단면들, 그리고 거기에서 침묵되는 다양한 목소리들을 어떻게 담아낼 수 있는가의 문제임을 보여준다. 이는 ‘참혹한 유산’ 혹은 ‘불편문화유산’으로 번역되곤 하는 ‘difficult heritage’ 논의에서 기념물이나 기념 현장의 보존 논의가 구조물의 원형 보존이라는 실현 불가능한 목표보다는 그와 관련된 피해자와 시민의 의미 생산과 해석에 더욱 개방적인 과정이 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The Genbaku Dome, known as the most shameful legacy of the Atomic Age, is considered the most appropriate structure for visualizing the Hiroshima atomic bomb’s point of detonation (8:15 on August 6, 1945) and ground zero. In contrast to “death, destroyer of worlds,” the ruin was maintained and preserved through various forms of discourse, institutions, architectural maintenance, laws, administrative measures, and technical repairs as a memory dispositif that stands in for the lives lost in the bombing to communicate the disastrousness of atomic bombs and importance of peace to future generations in perpetuity. This article focuses on the questions that arise from the precarious interconnectedness and contradictions between the material finitude of the structure and the goal of preservation by tracing the “social life” of the destroyed Hiroshima Prefecturial Industrial Promotion Hall, which was made a UNESCO Heritage Site in 1996 and is now known as the Hiroshima Peace Memorial. It shows that the question of how long and in what way the dome should be preserved is not an issue of perfectly preserving the original state, but an issue of expressing the various temporal aspects and silenced voices that lie there. This suggests that, within conversations about “difficult heritage,” discussions of memorials or memorial sites must become more open to the production and interpretation of meaning on the part of victims and civilians rather than being limited to impossible goals such as the preservation of an original state.

      • KCI등재

        재난 지역 여성의 시민과학 실천을 통해 본 삶을 위한 연대: 후쿠시마 이와키방사능시민측정실 『타라치네』 활동을 중심으로

        오은정(Oh, Eunjeong) 서울대학교 비교문화연구소 2021 비교문화연구 Vol.27 No.2

        다종다양한 복합적 기술환경 위기가 상존하는 현대 사회에서 재난에 대한 기술합리적 분석과 대응만큼이나, 계급, 인종, 젠더 등으로 차별받지 않고 재난 이후 삶을 회복하는 일은 중요하다. 관련하여 ‘재난 취약성’과 ‘재난 불평등’에 관한 기존 연구의 성과에도 불구하고, ‘재난 정의’를 위해서는 젠더 관점이 더 요구된다는 지적이 상당하다. 본 연구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 이후, 일본의 공적 공간에서 사소한 것으로 배제되어 온 여성들의 목소리와 그것을 극복하기 위해 벌인 활동에 주목한다. 사례가 되는 「이와키 방사능 시민측정실 타라치네」는 후쿠시마현 이와키의 엄마들이 주체가 된 시민과학 단체이다. 이 글은 이들의 방사선량 측정 활동이 위험에 관한 지식 생산을 넘어서 삶의 세계를 구축하는 다양한 사람과 사물의 관계를 조정하고, 정책과 제도의 프레임에 문제를 제기하는 스케일 작업이라고 주장한다. 비가시적이지만 그들의 삶의 세계의 모든 것을 채우고 틀지우는 방사선량을 측정함으로써 이들은 생활 세계에 대한 공통감각을 구축한다. 재난 이후 삶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장치로서 이 활동은 생활 정치와 연대의 윤리이며, 새로운 인간-사물-제도의 관계 변화를 도모하는 노력이다. As various complex environmental crises occur in modern society, it is important to restore life after disasters withwithout discrimination by class, race and gender. In this regard, despite the achievements of many social science studies on disaster vulnerability and disaster inequality, it is pointed out that gender perspectives are more needed for disaster justice. This study focuses on the activities of local women to overcome life crises, while keeping in mind that the voices of women have been regarded as trivial in public discourse after the Fukushima Daiichi nuclear disaster. The NPO, ‘Tarachine Mothers’ Radiation Lab Fukushima’, was established by women living in Iwaki City, Fukushima Prefecture, to produce reliable information on the risk of radiation exposure in the region after the Fukushima Disater. This paper argues that their radiation measurement activities do not just mean producing knowledge about risks, but are also a way for women living in areas where disasters persist to adjust the relationship and distance between various people and materials, building on a common sense of the life-world, and expanding life possibilities. Furthermore, I would like to show that this scaling(scaling activities?) is the ethics of life politics and solidarity of women living in disaster areas, and is an effort to promote a chang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materials, and institutions.

      • KCI등재

        한국어 화자 영어 중간문과 비대격구문 습득 양상에 관한 실험연구

        오은정 ( Eunjeong Oh ) 연세대학교 언어정보연구원(구 연세대학교 언어정보개발원) 2021 언어사실과 관점 Vol.52 No.-

        영어 중간구문과 비대격구문 관련 이론연구는 매우 활발히 진행되었던 반면, 중간 구문 관련 혹은 두 구문간 습득양상 비교 실험연구는 거의 전무한 실정이다. 이러한 배경하에 본 연구는 영어를 학습하는 한국어 화자를 대상으로 이 두 구문의 문법적 특성에 대한 인식여부를 살피고자 수용성판단과제를 수행하였다. 영어 중간구문과 비대격구문은 자동사로서 타동사의 내재논항이 주어자리에 나타난다는 유사성과 함께 흥미로운 차이점을 보인다. 비대격구문과 달리 중간구문에는 외재논항이 표면에 나타나지 않지만 문장 의미 속에 내포된다는 점, 부사어나 이에 상응하는 표현을 필요로 한다는 점, 주어의 속성을 나타내는 상태문이라는 점 등을 두 구문간의 이질적 특성이라 정리할 수 있는데 이러한 차이는 본 실험연구의 배경이 되었다. 두 구문간의 이질적 속성에 대한 민감성, 이해도를 측정한 실험연구의 결과는 놀랍게도 영어 숙련도가 낮은 초급 학습자들은 영어 중간구문과 비대격구문을 차별적으로 인지하였으나 이와 대조적으로 고급 영어 학습자들은 두 구문간의 차이를 거의 인지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이들 학습자의 수용성판단 자료에 대한 면밀한 고찰을 통하여 예상치 못한 결과에 대해 다음과 같은 설명력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첫째, 중간동사와 수동구문간의 유사성, 둘째, 타동사로 편향된 중간동사의 단어빈도, 셋째, 수용성판단시에 택하는 대응전략의 차이에서 기인했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제 2언어습득영역에서 실험기반 접근이 전무했던 영어 중간구문과 비대격구문간의 습득양상 비교연구를 수행하여 새로운 실험자료를 축적하였고, 비대격 구문과 달리 중간구문은 영어 능숙도와 비례하는 습득의 진전이 없다는 사실을 실험적으로 보였으며 이 결과의 원인에 대하여 고찰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Although middle and unaccusative constructions have been extensively studied in the theoretical literature, empirical investigations into these constructions are scant. Moreover, experimental work comparing the acquisition of unaccusatives with that of middles is even rarer. With such a backdrop, this paper has probed whether Korean speakers are able to acquire subtle grammatical properties of middles and to reliably distinguish middles and unaccusatives in English. Middles and unaccusatives share similarities but they also exhibit differences: (1) middles have an implicit agent whereas unaccusatives do not; (2) middles require adverbial support whereas unaccusatives do not; (3) middles are stative whereas unaccusatives are eventive. The empirical domain of the present study lies in such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s evidenced by graded unacceptability of middles even among native speakers, the acquisition of middles and unaccusatives poses a challenging learnability problem to L2 learners. Surprisingly,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at L2 learners at the low level of proficiency made the relevant distinction between the two whereas L2 learners at the high level of proficiency largely failed to do so. A closer examination revealed that Korean L2 learners’ treatments of middles were consistent, that of rejection. This speaks to the point that a distinction or lack of distinction is mainly attributed to their either correct or incorrect judgments on unaccusatives. Taken together, we have argued that L2 learners’ judgment on middles does not improve with proficiency and that the acquisition of middles lags behind that of unaccusatives. We have also accounted for what made advanced learners regress, being trapped in rejection of middles.

      • KCI등재SCOPUS
      • KCI우수등재
      • KCI등재

        『계간삼천리』 피폭조선인 기사를 통해 본 일본 지식인의 탈식민 담론 실천의 단층

        오은정(Oh Eunjeong) 부경대학교 인문사회과학연구소 2020 인문사회과학연구 Vol.21 No.2

        Founded in 1975 in Japan, “Quarterly Magazine Samcheon-ri” is a literary magazine published in Japanese by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re was a steady, if not a lot, publication of articles related to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in the magazine. Considering the reality that there are not enough records of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such articles have important historical value in themselves for ‘thick reading’ or ‘ethnographic reading’. This paper takes into account the importance of the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in the “Quarterly Magazine Samcheon-ri”, while also noting that these articles have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reviewing fault lines and transformation process of post-war and post-colonial discourse of Japanese intellectuals. Those who contributed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to the magazine were mostly Japanese who had been working in the media and education in Hiroshima to support the atomic bomb victims. Accordingly, the articles in the magazine mainly consisted of reports on the status of “the bombed Koreans” and critical reviews of Japan’s post-war peace discourse. This illustrates that the existence of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as an important symbol for the Japanese intellctuals to use when questioning historical responsibility of the Imperial Japan and its colonial rule. On the one hand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were a reminder of the history of war and defeat, and a charge against continuing Imperial Japan’s colonial history on the other. Meanwhile, the time when the magazine was published from 1975 to 1987 overlapped the period of Japanese high growth and internationalization efforts, Korean dictatorship, and the Cold War order in East Asia. Thus, the articles on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shed light on historical strata where the existence of the exposed Koreans has piled up and submerged in the societies of Korea and Japan. In the layers of the strata are dissolved social and discursive practices as historical obstacles that came from post-colonialism, Cold War, the shadow of devided Korea, cooperation/conflict and solidarity/cracks in Korea, Japan and society of Korean residents in Japan. Therefore, these articles on Korean survivors clearly reveal the limitations of post-war peace discourse in Japanese society during this period. In Japan s domestic political context, political differences between divided anti-nuclear peace groups interlocked with structural constraints faced by Korean atomic bomb victims, creating quite a few blind spots in looking at each other s situations. Political differences within Japan s anti-nuclear peace discourse have also emerged as a competition for the political effects of the symbol of exposed Koreans. As a result, the lack of a delicate understanding of the Cold War in East Asia and the political oppression structure of the divided Korea in the 1970s and 1980s delayed responding to calls for a discourse on the historical responsibility, and made the existence of the Korean atomic bomb survivors drifted as a symbol of “peace” in rhetoric of de-politicized “humanitarianism”. 1975년 창간된 『계간삼천리(季刊三千里)』는 재일조선인이 편집위원이 되어 일본어로 발행한 문예 잡지다. 이 잡지에는 비록 많지는 않지만 피폭 조선인과 관련된 기사가 꾸준히 게재되었다. 피폭 조선인에 대한 기록이 충분하지 않은 현실에서 이러한 기사는 그 자체로 ‘두텁게 읽힐’ 사료적 가치를 지니며, 이러한‘두텁게 읽기(thick reading)’는 이 글이 기고된 시기에 피폭 조선인이 지나온 역사적 맥락 속에서의 해석을 필요로 한다. 이 글은 『계간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관련 기사가 지닌 이러한 중요성을 고려하면서, 한편으로는 이 기사가 일본 지식인의 전후 탈식민 담론의 단층과 그 변형 과정을 검토하는 데에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에 주목한다. 『계간삼천리』에 피폭 조선인과 관련된 글을 기고한 이들은 주로 히로시마 지역 언론이나 교육계에 종사하면서 피폭 조선인 지원 활동을 해오던 일본인이었다. 또한 『계간삼천리』의 피폭 조선인 기사는 피폭 조선인의 실태를 보고하거나 일본의 전후 평화 담론에 대한 비판을 가하는 형태가 주를 이루었다. 『계간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기사는 일본 지식인에게 피폭 조선인의 존재가 제국 일본과 식민지배의 역사적 책임을 추궁하는 탈식민 담론 실천의 표상이었다는 점을 잘 보여준다. 이들에게 피폭 조선인은 패전과 전쟁의 역사를 상기시키는 존재이자 제국 일본의 식민 역사가 여전히 지속되고 있음을 고발하는 존재였던 것이다. 한편, 이 잡지가 발간된 1975년에서 1987년까지는 일본의 고도성장과 국제화 노력, 한국의 독재 정권, 그리고 동아시아의 냉전 질서 등이 겹쳐 있는 시기이기도 하다. 『계간 삼천리』에 기고된 피폭 조선인 관련 기사는 이 시기 한국과 일본이라는 두 사회에 피폭 조선인의 존재가 축적되고 침잠되어 있는 역사적 지층의 단면들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이 지층의 단면에는 한국과 일본, 그리고 재일조선인 사회 내에 드리운 포스트 식민과 냉 전, 분단의 그림자, 그 속에서의 협력과 갈등, 연대와 균열이 그려낸 역사적 옹이들이 그 대로 아로새겨 있다. 피폭 조선인을 주제로 한 이들 기고문은 이 시기 일본 사회의 전후 평화 담론의 한계 또한 드러낸다. 일본의 국내정치적인 맥락에서 분열된 반핵평화단체 사이의 정치적 견 해차가 한국 원폭피해자가 처한 구조적 제약과 맞물리면서, 이들 간의 연대 과정에서 상 호 간의 처지를 살피는 데서 적지 않은 사각지대(blind spot)가 생겨났다. 일본의 반핵평 화 담론 내부의 균열이 피폭 조선인이라는 상징이 갖는 정치적 효과에 대한 경쟁으로 나타난 것도 또 다른 예다. 요컨대 전후 일본의 평화 담론은 역사적 책임의 문제 보다는 ‘인도주의’라는 탈정치화된 수사들 속에서 재생산되는 가운데 피폭 조선인의 존재를 탈역 사화된 ‘평화’의 표상으로 부유(浮游)하게 했다

      • KCI등재

        피험자의 배경 변인이 수용성 판단에 영향을 끼치는가?

        최재웅 ( Choe Jae-woong ),오은정 ( Eunjeong Oh ),송상헌 ( Sanghoun Song ) 한국외국어대학교 언어연구소 2017 언어와 언어학 Vol.0 No.74

        This study measures the possible influence of the speakers` background on their acceptability judgements on Korean sentences. In total 287 pairs of sentences were used as the input sentences for the experiment. 328 Korean speak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 assigning roughly 120 pairs per subject. Using z-transformation, both parametric and nonparametric tests as well as both ANOVA and multi-factor parametric statistics are applied to the data.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variable FAMILIARITY plays a (marginally) significant role in the distribution of the data, and the interaction of GENDER and AGEGROUP affects it as well.

      • KCI등재

        Subject vs Object Asymmetry in Korean Syntax: Evidence from an ERP Study of Processing Stranded Numeral Classifiers

        박명관(Myung-Kwan Park),오은정(Eunjeong Oh),정원일(Wonil Chung) 한국생성문법학회 2020 생성문법연구 Vol.30 No.3

        This paper investigates the sentence-processing aspects of stranded numeral classifiers (SNCs) in Korean and explores their implications. Building on the previous theoretical and experimental studies of SNCs, particularly concentrating on the subject vs. object asymmetry in SNCs, we hypothesize that subject-related SNCs are not properly licensed syntactically, hence they associate with the adjacent illegitimate NPs. By contrast, object-related SNCs are properly licensed, thus they associate with the distant associate NPs across intervening adjacent NPs. Thus, the former are predicted to give rise to semantic anomaly, whereas the latter are predicted to display priming effects induced by the associate NPs. Furthermore, the former skip the second pass of syntactic reanalysis with the associate NPs after the first pass of semantic incongruence, but the latter do enter into such reanalysis after the first phase of prime effects. In this paper we use the temporal-resolution-wise excellent event-relate potential (ERP) paradigm to test these hypotheses. Subject-related SNCs recorded N400-like negativity at anterior regions, whereas object-related ones registered reduced N400-like negativity at left anterior regions. In addition, the latter additionally evoked P600 at left anterior regions. Taken together, the ERP results confirmed the predictions made above, showing that SNC processing involves the intricate interaction of both semantic and syntactic integration.

      • KCI우수등재

        Measuring the Degree of Convergence between Informal and Formal Acceptability Judgments for Korean

        Sanghoun Song(송상헌),Sang-Geun Lee(이상근),Jae-Woong Choe(최재웅),Eunjeong Oh(오은정) 한국언어학회 2017 언어 Vol.42 No.4

        The present study attempts to quantify the extent to which the acceptability judgments of naïve native speakers coincide with those of linguists in the domain of Korean syntax. We excerpted 1,554 pairs from articles published in a theoretical syntax journal on Korean, Studies in Generative Grammar, from 1991 to 2014, and then randomly chose 287 pairs. Employing PsychoPy as the toolkit and a five-point Likert scale as the task, we collected 68,388 data points from 328 naïve participants. Two statistical analyses, a one-tailed T-test and a κ-test, were then run on the Z-score transformed data points. The T-test, which determines the directionality of difference, yielded a convergence rate of 88.15% between the two types of judgments. The κ-test, which estimates both the size and directionality of difference, obtained a convergence rate of 82.93%. 16 pairs that passed the T-test in a measure of directionality failed to pass the κ-test when testing both directionality and size of difference by degree of match/mismatch between the two types of judgments. Such consideration leads us to believe that the κ-test is more appropriate for detecting the size of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types of judgments, as well as the directionality of the difference. We also classified convergence results into 4 patterns: (i) convergence for both sentences in the pair, (ii) divergence for only the bad sentences in the pair, (iii) divergence for only the good sentences in the pair, and (iv) divergence for both sentences in the pair. These patterns play a role in interpreting different convergence rates obtained in the study. We discuss the implications of the κ-test convergence rate for our research question and the use of κ-tests and patterns in experimental syntax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