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손유희를 이용한 영어교수법이 유아의 영어 단어 재생에 미치는 효과

        오은순(Oh Eun-Soon) 한국영어어문교육학회 2004 영어어문교육 Vol.10 No.2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study the effect of finger play teaching method on the reproduction of children's English words. The hypotheses are as follows: 1) there will be the difference of the reproduction of children's English word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that is taught by finger play teaching method) and the controlled group (that is taught by only oral teaching method). 2) there will be the difference of children's retention capacity of reproducing English word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The researcher made the time series data. The measure tool was the check list for reproduction test of children's English words that was made by Eun-Soon Oh and J. Eden(2004). The researcher analyzed the data using the Repeated Measures ANOVA and the Analysis of Covariance. The findings of research are as follows: 1) the more the frequency of teaching increases, the more there are the difference of reproducing English words according to frequencies and groups. The reproduction capacity of the experimental group is better than that of the controlled group. A degree of statistical significance is p<.001. 2) The difference of retention capacity of reproducing English word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led group is a statistical significant, p<.05. The experimental group is better than the controlled group.

      • KCI등재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 개발연구

        오은순(Eun Soon Oh),오인희(In Hee O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0

        목적 본 연구에서 현 유치원과 초등학교 교육과정의 총론을 토대로 교육 현장의 적합성을 고려한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을 개발하여 연계 교육과정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였다.방법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 조사연구,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다.결과 이를 위하여 여섯 가지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우선, 목차는 방향, 기틀, 흐름, 환류, 지원으로 구성하였다. 둘째, 방향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성격, 필요성, 목적과 목표를 제시하였다. 셋째, 기틀에서는 유⋅연계 교육과정의 준거와 원리를 제시하였다. 넷째, 흐름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편성⋅운영을 제시하였다. 다섯째, 환류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기본사항, 평가 기록, 평가 활용을 제시하였다. 여섯째, 지원에서는 유⋅초 연계 교육과정의 국가 수준과 교육청 수준의 지원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유치원과 초등학교 1-2학년군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 개발이라는 결론에 도달하였다.결론 이를 위하여 현 교육과정을 충실히 반영하여 교육 현장의 혼란과 부담을 줄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일반화된 교육과정인 총론을 토대로 만3-7세 어린이를 대상으로 발달적⋅사회적⋅교육적 측면을 고려한 조화롭고 효율적인 양질의 교육과정인 유치원과 초등학교 연계 교육과정 기준안을 개발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linked curriculum by developing a standards for the curriculum linked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considering the suitability of the educational arena. Method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conduct literature study, research study, and development study. Results The results were presented in six categories. First of all, the table of contents consisted of Directions, Frameworks, Flow, Feedback, and Supports. Second, in the Directions, the nature, necessity, purposes and goals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presented. Third, in the Framework, the criteria and principles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were suggested. Fourth, in the Flow, the ideas for the organization and operation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were presented. Fifth, in the Feedback, the basic data of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evaluation records, and how to use such evaluation were presented. Sixth, in Supports, the supports at the national and office of education level, were suggeste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elementary school. As result of such studies, the development of a standar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achieved. Conclusions In this context, based on the general theory, a systematic and generalized curriculum designed to reduce the confusion and burden on the education arena by faithfully reflecting the current curriculum, a harmonious, efficient, and outstanding standard for the curriculum linked to kindergarten and 1-2 grades of elementary school, was developed, taking into account the developmental, social, and educational aspects for children aged 3-7 years old.

      • 신앙과 일에 관한 자서전적 연구 - 기독교 직업교육적 함의를 중심으로

        오은순 ( Eun-soon Oh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2

        직장은 그리스도인에게 삶을 영위하기 위한 터전인 동시에, 하나님의 자녀와 제자로서 하나님의 나라를 실현하는 삶의 자리이기도 하다. 이러한 중요성에 비해, 그리스도인 직장인들은 직장 속에서 일과 인간관계 등을 어떻게 사는 것이 기독교적 본질에 충실한 것인지에 대해 체계적으로 학습하고 그 현장에 들어가는 경우가 그리 많지 않다. 본 연구는 기독교적 직업교육을 제대로 접해보지 않은 연구자가 직장 생활에서 좌충우돌하며 겪은 경험을 자서전적 연구 방법을 통해 정리하고 분석함으로써, 기독교 직업교육에 주는 함의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먼저 기독교적 관점에서 본 일과 직업, 직장과 그리스도인, 국내 연구 동향 등에 관한 문헌을 분석한다. 다음으로 연구자의 경험에 기초한 자서 전적 연구에 초점을 맞추어 설명한다. 이를 위해 연구자의 과거 신앙 여정과 직장 생활 경험을 분석한다. 끝으로 그 과정과 결과가 기독교 직업교육을 위해 함의하는 바를 찾고 대안을 제시한다. The workplace is not only a place for Christians to live their lives, but also a place of life for realizing the Kingdom of God, as children and disciples of God. Contrary to this importance, Christian workers rarely enter the field after systematically learning what life and personal relationships in the workplace is faithful to God. This study aims to derive implications for Christian vocational education through an autobiographic research, by organizing and analyzing the experiences of the author who has not been properly exposed to Christian vocational education. To this end, first, the researcher analyze related documents such as work and vocation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workplace and Christian, and domestic research trends. Next, the autobiographic research will be described with a focus on this research. And, it analyzes the researcher's past faith journey and work experiences. Lastly, the process and results will find implications for Christian vocational education and suggest alternatives.

      • KCI등재

        영유아 교육기관 학부모의 그림책 읽어주기 활동

        오은순(Oh Eun-soon),전진영(Chun Jin-ye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7

        본 연구는 영유아교육기관에 자녀를 보내고 있는 학부모들을 대상으로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그리고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설문지를 통해 조사하였다. 영유아 학부모는 유치원이나 어린이집을 다니고 있는 원아들의 보호자를 말한다. 그림책 읽어주기 실태를 살펴보면 학부모는 그림책 선택을 영유아에게 주고 있으나 영유아에게 읽어주기 적었으며, 그림책 선택을 어려워하고 있다. 학부모는 그림책의 글을 읽기 전이나 읽는 중에 영유아에게 그림 볼 시간을 주고 있으며, 책 내용이 어려울 경우는 이해하기 쉽게 풀이하며 읽어 주고 있다. 또 영유아의 느낌이나 의문을 자유롭게 허용하며 그림책을 읽어주고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한 학부모들의 인식은 비교적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대해서는 중간 수준 이상이었다.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는 ‘표지 읽어주기’, ‘책 중심 읽어주기’, ‘관계 중심 읽어주기’로 3가지가 있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이 방식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인식 수준이 높으면 표지 읽어주기 방식. 책 중심 읽어주기 방식, 관계 중심 읽어주기 방식이 높으며,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 전체의 정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책 읽어주기 인식은 그림책 읽어주기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는 책 읽어주기의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학부모들에게 그림책 읽어주기에 대해 유연성을 가질 수 있는 인식과 실제 실행할 수 있는 읽어주기 방식을 소개하였다. 학부모들은 ‘표지 읽어주기’에서는 영유아에게 그림책의 호기심과 주의집중을 불러일으키며 읽어주어야 할 필요가 있으며 문학 작품의 스토리를 잘 전달하고자 하는 ‘책 중심 읽어주기’가 필요하며, 이러한 읽어주기 행위 자체는 읽어주는 이와 듣는 이 간의 관계 형성에 이바지한다.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nd analyze the influence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gainst parents with their child attending an educational institution for young children. For this, a questionnaire survey was performed. Parents of infants and young children are guardians of children who attend kindergartens or daycare centers. In terms of current picture book reading patterns, even though most parents have been reading a picture book to their young child, few of them have read it in advance. In addition, they have found it hard to choose decent picture books. Parents have given their young child the time to see the pictures before or during reading. When a book was difficult, they have read it in an easy-to-understand manner, allowing their child to freely express their feeling and ask questions. Concerning the perception and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questionnaire items were developed in person based on long field experiences, and they’ve been actually applicable to parents’ reading. They revealed meaningful reliability and validity. Parents’ perception of picture book reading was relatively high, and a way of picture book reading was an intermediate or higher level. There are 3 different types i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In terms of the effects of such perception on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as the perception level was high, ‘cover reading’, ‘book-oriented reading’, ‘relationship-oriented reading’ were more common. The overall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were also high. Since such perception affects the ways of picture book reading, parents should be given more chances to get information on picture books and engage in educational activities.

      • KCI등재
      • KCI등재후보

        외국의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과정 분석

        오은순 ( Eun Soon Oh ) 한국통합교육과정학회 2011 통합교육과정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외국의 초등학교 음악과와 미술과의 특징과 편제를 살펴보고,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함으로써, 향후 우리나라 초등학교 저학년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추출해 보는 데 목적을 두고 수행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외국의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과정의 특징과 편제, 편성·운영, 성격 및 목표, 내용, 교수·학습 및 평가를 살펴보았다.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 연구법을 기용하였으며, 대상은 일본, 미국, 영국. 프랑스. 독일, 핀란드의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과정이었다. 연구 결과, 음악과 미술과의 통합 교과명으로 즐거운 생활과 적절, 음악과 미술, 그리고 유관한 교과와의 통합 운영 바람직, 초등학교 저학년 음악과와 미술과 교육의 궁극적인 목적을 전인적 발달 및 고등사고력에 둘 것, 국가 교육과정의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의 구체화 정도에 대한 심도 있는 검토, 국가 교육과정의 대강화와 자율화 지향 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implications for curriculum change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Korea in the future,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formation of the Music and the Arts curriculum in foreign elementary schools. To attain the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characteristics, organization, management, operation, nature, objectives, contents, teaching and learning, and evaluation of the Music and the Arts curriculum in foreign elementary schools. Content analysis was used in this study and the target for this study was the Music and the Arts curriculum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in Japan, the United States, United Kingdom, France, Germany, and Finland. The study results are as follows: The subject, ``The Pleasant Life" would be appropriate for an integrated subject of the Music and the Arts. Related subjects can be integrated with the Music and the Arts. The eventual goals of the Music and the Arts curriculum for lower graders in elementary schools should be to cultivate the whole person and higher-order thinking skill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the degree of actualizing evaluation should be analyzed in depth within the framework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format and the content of the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liberalized.

      • 한국전통놀이의 변천사 -유아교육적 적용을 위한-

        오은순 ( Eun Soon Oh ) 한국Montessori교육학회 2009 실천유아교육 Vol.14 No.2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놀이의 특징이 오랜 세월 그 집단이 형성한 집단 사유체계, 생활양식을 지니고 있으면서 놀이의 형식 즉 자유롭고 재미있게 현실을 재현하는 가운데 상상력을 발휘하여 새 세계를 창조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음에 의거하여 한국의 놀이 변천과정을 살펴 현대의 놀이교육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 것이다. 놀이는 사회의 필요성과 요구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며, 아동과 청소년의 놀이는 성인의 놀이에서 파생되므로 전체적인 놀이변천사를 찾아보는 것은 유아 놀이 연구의 기초가 되므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의 전통놀이를 시대별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시대 구분은 국가나 정치 체제를 기준으로 역사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취하여 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나누었다. 시대 구분은 국가나 정치 체제를 기준으로 역사를 구분하는 일반적인 방법을 취하여 상고시대, 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로 나누었다. 상고시대는 놀이공동체 사회로 부락민 전체가 일과 놀이를 함께 하였고, 농촌사회의 풍년과 안녕을 비는 제전행사가 중심이 되었다. 삼국시대에는 초기의 영토확장과 왕권상화를 위한 군사훈련용 놀이형태와 후기의 왕권안정기의 놀이용 놀이로 구분된다. 중국으로부터 불교와 유교사상이 놀이에 반영되었다. 고려시대에는 귀족과 서민 계층이 구분되어 귀족을 위한 놀이전문가의 놀이와 수민들의 스스로 놀기위한 놀이로 분화되어 발전하였다. 고려시대는 불교중심의 귀족놀이시대라고 할 수 있다. 조선시대는 유교가 시대사상이 됨으로 놀이는 천시되어 귀족계층에서 홀대되고, 귀족놀이는 서민에게 이양되어 놀이형태의 변형을 가져왔다. 조선조 후기로 가면서 놀이는 생산을 담당하는 노동계층의 결속과 지역민의 단결을 위한 매개의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이러한 놀이형태는 현재에도 이어져 세시풍속이 되어있다. 각 시대는 시대별 특징을 지니고 있으나 주변 선진 문물과의 교류를 통해 기존의 놀이를 변화시키거나 새로운 놀이형태를 통합하여 재창조하며, 농촌중심공동체 사회의 풍년과 안녕을 비는 놀이형태를 지니고 있다. 이러한 전통놀이 변천사를 통해 현대 유아교육의 놀이교육이 가야할 방향과 놀이형태에 시시점을 얻을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history of Korean traditional play to get an idea for applying to the children`s play education. Children`s play is through to have derived from adult`s. The history of the play of the Korean culture shows us the progress of the play and suggest the ideas for applying to children`s play. According to the general criteria for era classification which was divided by the nation and system of politics, Old ancient times, Three States period, Koryo dynasty and Chosun dynasty were selected. There was a play community which work and play get together and harvest ceremony, which prey good crops and peace stability were the major issues in the old ancient times. There were two different types of play in the Three States period, a form of millitary drill for territorial expansion in the early years and a form of millitary drill play following the stability of sovereign power in the later year, for example, a kind of polo instead of horseback training. Milliatry training placed under the category of play in this study, owing to it being not an actual fight. There was a definite status system in Koryo dynasty. Plays were devided into two types. One was for aristocratic class, the other was for working class. Performing artist, dancer, singer and musician appeared and worked for an aristocratic class and working class developed their own activities for their fun and their work. Buddhism was the central thought on Koryo dynasty and play was affected by that. Confucianism was the central idea in the Chosun dynasty. Confucianists have looking down on the play, the aristocratic class laid off playing and the working class took and developed. Going to the latter part of Chosun dynasy, play served functions to unify the working class and unionize the local residents. Each of age has its own special characteristic and has a relation with its spirit of that society.

      • 기독교 교육의 내실화를 위한 신학과 교육학의 통합 방안

        오은순 ( Eun-soon Oh ) 밴쿠버기독교세계관대학원 2020 통합연구 Vol.22 No.1

        계몽주의 이후, 많은 그리스도인들은 이원론적 신앙의 삶을 살아가고 있다. 기독교 교육조차도 표면적으로는 기독교적 가치를 추구하나 이를 가르치는 교사나 부모, 그리고 교육환경은 세속적 가치를 추구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본고는 먼저 기독교 교육이 추구하는 바를 알아보기 위해 복음주의적 기독교 교육의 목적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문헌분석을 통해 신학과 교육학의 통합 가능성을 가늠해 본다. 그리고 통합을 위해 교육학의 중심내용으로서 행동주의, 인지주의, 인본주의적 관점을 분석해 보고, 이어 기독교적 관점을 설정하여, 이를 준거로 교육학의 세 관점을 비평함으로써 기독교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해 낸다. 연구 결과, 신학과 교육학의 통합을 통하여 기독교 교육의 내실화를 기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그에 따른 이론 정립과 적용 방안을 제언한다. Since the Enlightenment, many Christians live in the way of dualistic faith. Even Christian education seeks for Christian values superficially, but the reality is that many teachers and parent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chase after secular values. In the first part, the author checks the goals of Evangelical Christian education. Next, the author, from analyzing the literatures and researches, explores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between Theology and Education. And the author analyzes behavioral, cognitive, and humanistic perspectives as the central content of Education. Then the author sets the christian perspective as a standard and critiques three perspectives of Education to derive Christian educational implications. Finally the author concludes the possibility of the integration and suggests more studies on theory and practice.

      • KCI등재후보
      • 아이의 여섯 가지 마음이 담긴 그림책 읽어주기

        오은순(Oh Eun-soon),전진영(Jeon Jin-young) 한국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학회 2017 포괄영유아,아동교육지원연구 Vol.5 No.1

        본 연구는 그림책의 이해를 통해 그림책 읽어주기 행위의 중요성을 언급하며, 아이들 마음을 여섯 영역으로 나누고 이에 해당하는 그림책을 소개하고 읽어주기 방법에 대해 기술하였다. 그림책은 글과 그림이 어우러진 문학으로, 부모나 교사가 읽어주고 아이들과 함께 그림을 이해해가는 과정이 더불어 졌을 때, 진정한 가치를 지닌다. 어린 시절 그림책을 읽고 자라지 못한 대부분의 부모나 교사들은 그림책 읽어주기를 어려워하는 경향이 있으나, 읽어주려는 책의 즐거움을 느끼고, 듣는 이(아이)의 반응을 살피며, 듣는 이(아이)의 요구를 수용하는 다양하면서 자유로운 읽기면 된다. 아이를 이해하는 마음은 ‘악몽, 무서움, 동생의 탄생, 가족의 불화, 죽음, 스트레스’ 등 여섯 영역이 다. 만 3세가 읽기에 적합한 각 영역에 해당하는 그림책은 다음과 같다. ‘악몽’에는 『신비한 밤 여행』, 『꿈을 먹는 요정』, ‘무서움’에는 『못된 개가 쫓아와요』, ‘동생의 탄생’에는 『내가 언제 동생 낳아 달랬어』,「몽글몽글 따끔따끔」(『뜨레풀 책놀이 6』)이며, ‘가족의 불화’에는 『따로 따로 행복 하게』, ‘죽음’에는 『언제까지나 너를 사랑해』,『혼자 가야 해』, 마지막으로 ‘스트레스’에는 『집 나가자 꿀꿀꿀』, 『안 돼, 데이빗!』을 소개하였다. 저마다 개성이 다양한 아이들에게 알맞은 그림책 선택과 구체적으로 제시한 읽어주기 방법을 통해 부모·교사들에게 그림책 읽기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그림책은 아이를 이해되는 통로가 되고 좀 더 나은 부모나 교사의 모습을 찾도록 안내해 준다. 아이를 앞이나 옆에 앉히고, 시각과 청각의 교감을 주고받는 ‘그림책 읽어주기’는 바로, 아이와 부모·교사간의 이해 및 소통의 밑거름이 된다. 읽어주는 그림책에는 아이의 마음이 담겨 있고, 부모나 교사가 읽어 주려는 책의 즐거움을 느끼며, 정성들여 읽어준다면 책 읽어주기 행위 자체는 양자를 연결시켜주는 귀한 경험이다. This study shows that I refer to the importance of the act of reading picture books, and share kids’ heart into six kinds of areas to this included picture books. Picture books are well-matched literature with writing and picture, and it is worthy to read a book by either a parent or a teacher o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of the picture. Though most of the parents and teachers who haven’t read books in their childhood, and they think that they are tend to have trouble to read books. But it’s okay be impressed to read books with pleasure, when you read books looking over your kids’ reaction and read it as you please. This means that understanding of their kids’ mind has six kinds of areas like “nightmare”, “fear”, “birth of younger brother”, “trouble of a family”, “death”, “stress”. According to this, there are six books to read before you get to age 3. They are like this: ‘nightmare’ is in “A journey into the mysterious night”, “A fairy who eats dream”, ‘fear’ is in “There is a bad thing chasing after us”, ‘birth of a younger brother’ is in “When did I tell you to bear my little brother or sister?”, “Pulpy and picking”(In Trepple book game 6; a game on the grass of the field, ‘trouble with a family’ is in “Happy on it’s own.” and ‘death’ is in “I will always love you forever.”, “I should go by myself.” And lastly, ‘stress’ is in “Let’s get outside from my house, bubble, bubble, bubble.”, and “No David!”. I hope to help you choosing books to read for every Jack and Jill. Picturebook is a passage of understanding of their children, and it leads us to be a better parent or teacher. Sitting their children in front of them or beside them, ‘Reading picturebook’ is just exchange rapport of hearing and seeing with their children and parent or teacher, and it is an initial manure of mutual understanding. There are joy of reading books as parent or teacher, and it is a precious experience connecting both sides if you read with your true heart as book reading itself.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