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국어과의 국내외 핵심 개념 비교 연구

        염나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6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8 No.-

        본 연구는 새로 개정된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의 주요 쟁점으로 ‘핵 심 개념’을 도출하여, ‘핵심 개념’이 무엇이고, 어떻게 선정, 진술, 조직되어 야 하는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내용 체계’는 제6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최초로 제시되었는데, 국어과 의 ‘내용 체계’는 타 교과와는 사뭇 다른 구조를 취하고 있어, 현장으로부 터 다양한 비판을 들어왔다. 이러한 현장의 요구를 바탕으로 2015 개정 교 육과정에서는 ‘핵심 개념과 기능을 중심으로 학년별 확장 심화가 가능한 학습 내용을 조직한다.’라는 주요 개정 방향에 따라, 핵심 개념을 문서 체 제에 반영하기 위하여 새롭게 구성된 내용 체계표를 제안하고 각 요소별 지침을 제안하였다. 본고에서는 핵심 개념을 교육과정 차원에서 반영하고 있는 두 나라의 교 육과정과 비교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문서 체제상에 진술 및 조직되어 있는 방식과의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교육과정 실행상 의 문제를 예상해보았다. 첫째, 핵심 개념 선정과 관련된 문제이다. 핵심 개념의 본질에 따르면, 핵심 개념으로 교육과정을 서술하기 위해서는 영역의 한계를 뛰어넘을 필 요성을 지닌다. 혹은 최소한 영역 간에 통합 및 융합을 위한 단초를 제공해 야 한다. 그러나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 문서상의 핵심 개념은 영역의 한계 를 벗어나지 못한 한계를 지니고 있다. 또한 외국에서의 빅 아이디어는 언 어 사용 습득과 관련하여 서술되고 있는 반면, 국내의 핵심 개념은 지식 차원에 머무르고 있어, 선정된 핵심 개념에 대한 검증이 필요하다. 둘째, 핵심 개념 조직과 관련된 문제이다.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핵심 개념을 영역보다 상위에 둘 것인지, 영역보다 하위에 둘 것인지를 결 정해야한다. 미국 뉴저지 교육과정에서는 영역 목표를 먼저 제시한 후, 영 역에 해당하는 빅 아이디어를 기술하고, 핵심 질문을 제시한다. 반면에 캐 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 교육과정에서는 수준을 먼저 결정하고, 영역과 관계 없이 빅 아이디어를 기술하고 있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핵심 개념’이 현장에서 실효성 있게 적용되고, 더 나아가 앞으로의 국어과의 ‘핵심 개념’을 진술, 조직할 때 도움이 될 수 있 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explored ‘key concepts’ of the newly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defining the ‘key concepts’, the way it is selected, stated, and organized. In this study, a comparative study of language art key concepts in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ountry, comparing the language curriculums designed by two countries:State of New Jersey Standards Clarification Project and British Columbia’s Redesigned Curriculum. Firstly, the way of selecting the ke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is different from other the countries. While the key concepts of Korean Language Curriculum are based on knowledge, that of other countries are based on function. Secondly, in the way of organizing the key concepts, Korean Language Curriculum tends to consider the subordinate parts more than the key concepts. In the results, validation of the key concepts of the newly revised 2015 Korean Language Curriculum needs to be done for the future study.

      • KCI등재

        초등학교 5학년의 정보 전달 말하기와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 분석

        염나리,전은주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1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iscuss the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of 5th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ing on the informative speaking. The participants are 96 5th grade elementary students who have differences in the styles from working school grade by location. The students explain or write to explain one of the things that I know, food, animals, and games. In speaking test,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hree minutes to prepare a response and about two minutes to speak. In writing test, the participants were given ten minutes to prepare a response and about thirty minutes to write.The following four elements were selected as the evaluation criteria: contents, organization, expression and delivery. Corelation of inter-rater reliability of the scoring was higher than 0.732, 0.862; therefore, the inter-rater reliability was very good. Overall, the participants’s speaking skill were generally quite poor. Also, the participants’s writing skill were quite poor, too. Speaking and writing skills were correlated with each other in the order of expression, delivery and content. The ability to select content was 0.368 and the ability to organize was 0.272. In particular, the ability to organize discourse and writing showed the lowest correlation of 0.272. However, the scores of organizational items were the lowest at 6.19(15) for speech and 5.95(15) for writing. The ability of expression was correlated to 0.412 and the ability of expression about vocabulary was highly correlated to 0.508. Item 14 that checked the 'flexibility' of the delivery related to speech and writing skills was also somewhat significant at 0.226. The results of study show that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speaking and writing skills, and suggest that education in expression is necessary considering the correlation between contents, organization, expression and delivery of speaking and writing skills. 말하기와 쓰기를 통합 지도해야 한다는 논의는 많이 이루어져 왔으나, 말하기와 쓰기의 상관관계를 직접 분석한 연구는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학년을 대상으로 국어교육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평가 구인 요소인 ‘내용 선정, 조직, 표현, 전달’을 구인으로 삼아, 정보 전달 말하기와 쓰기 능력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SPSS Spearman 상관분석 결과에 따르면, 초등학교 5학년의 정보 전달 말하기와 쓰기 능력의 상관관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말하기 수행 결과 평균은 총점 70점에 대해 34.44, 쓰기 수행 결과 평균은 34.53으로 초등학교 5학년의 말하기와 쓰기 능력은 다소 낮은 수준이었다. 둘째, ‘내용 선정, 조직, 표현, 전달’ 범주별 말하기와 쓰기 수행의 상관관계를 비교한 결과 말하기와 쓰기 능력은 표현, 전달, 내용 선정, 조직 순으로 상관계수가 컸다. 셋째, 말하기와 쓰기 공통 채점 요소 7개는 모두 상관이 있었다. 특히, 채점 요소 중 8번 표현 범주의 ‘설명의 대상이 잘 드러나도록 적절한 어휘를 사용하고 있는가’와 같은 어휘 수준 상관관계가 0.508로 가장 분명하였다. 채점 요소 중 1번 ‘설명하는 대상이 분명하게 드러나는가?’가 상관계수 0.449로 두 번째였다. 전달에서의 유창성을 채점한 14번 ‘자신감 있고 열의 있는 태도로 말하는가, 쓰기 유창성이 있는가?’의 경우 0.226으로 상관계수가 가장 작았다.

      • KCI등재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염나리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2018 한국초등국어교육 Vol.65 No.-

        This paper tried to look into general awarenes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The study explored ways how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s a policy to overcome the problems of existing policies, to achieve the goals of reading education, and then to explore different aspect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For these purposes, questionnaire surveys were conducted with elementary school teachers across the country. Most of respondents agreed upon the necessity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Firstly, elementary school teachers agreed the purpose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as strengthening the internal motivation for continued reading. Secondly, teachers have shown plans to organize and operate large numbers of in terms of the action plan for reading activities themselves. Thirdly, it seems that teachers need to be available a variety of examples of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However,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understanding how to read one book per semester. Many of teachers were confused how to choose the book and organize the curriculum for ‘Reading one book per semester’.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학년(군) 수준과 학습자 개인의 특성에 맞는 책을 긴 호흡 으로 읽을 수 있도록 ‘한 학기 한 권 읽기’ 통합 독서 활동을 제안하였다(교육부, 2015a, p. 69). 따라서 이 연구는 ‘한 학기 한 권 읽기’ 계획에 있어 초등 교사의 인식을 자기 보고식 설문 조사의 방법으로 살펴보고,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여 앞으로의 실행을 보완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 학기 한 권 읽기’와 관련된 목표, 학급 교육과정 운영 계획, ‘한 학기 한 권 읽기’에서 가장 중점을 두고 지도하는 요소 및 지도하기 곤란한 요소를 묻는 문항 등으로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고,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을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교사들은 ‘한 학기 한 권 읽기’에 대한 교육 목표를 ‘책읽기를 위한 내적 동기 강화’로 보았다. 둘째, ‘한 학기 한 권 읽기’의 운영 계획에 있어서, 교사들은 독서 활동 자체에 가장 많은 시수를 편성하였다. 이를 위해, 국어 교과 시간, 창의적 체험 활동 시간, 아침 활동 시간에 독서 단원 시수를 확보하여, 책이 원활히 준비되는 학기 중과 말에 주로 독서 단원을 실시할 예정이었다. 셋째, 도서 선정에 있어, 설문에 참여한 59%의 교사가 1권의 책을 선정하여, 학급내 모든 학생들이 읽는 일괄 독서 형태를 선호하였다. 특히, 1권의 책을 일괄 선정하는 경우, ‘느리게 읽기’의 방법으로 독서 단원을 운영하겠다는 응답이 많았다. ‘한 학기한 권 읽기’ 활동 방법에 있어서는 40%의 교사가 독후 활동으로 쓰기 활동을 선호하였다.

      • <찬기파랑가> 이해를 위한 학습 활동 구성 연구 -상징을 중심으로-

        염나리 국어교과교육학회 2017 국어교과교육연구 Vol.29 No.-

        본 연구는 2012 문학 교과서에 수록된 <찬기파랑가>와 관련된 선행 연 구 분석과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행 문학 교과서 학습 활동의 문제점을 진 단하고, 문학사적으로는 의의가 있으나 교육적으로 학습하기 어려웠던 <찬 기파랑가>를 보다 이해하기 쉽게 학습할 수 있도록 대안적인 <찬기파랑 가>의 이해 학습 활동을 구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찬기파랑가>와 관련된 학회의 논의를 다시 한 번 정 리하여 최소한의 합의점을 제시하였다. 이는 문학사적으로 의의가 있으나, 교육적으로는 학습하기 어려운 작품을 보다 교육적으로 학습하기 쉽도록 작품에 대한 내용 기준을 정립한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그간 많은 논란의 여지가 있었던 <찬기파랑가>와 관련된 연구를 살펴 보고, 학회에 축적된 다양한 논의를 국어교육학 측면에서 어떻게 수용하고, 얼마나 반영할지를 고민하였다는 점에서 본고의 의의를 찾을 수 있을 있다. 따라서 그간 국문학계의 우수한 발견을 국어교육학적으로 승화시킬 수 있 도록, 후속 연구로 본고에서 제시한 학습 활동의 효과성을 검증하고, <찬 기파랑가>와 같이 문학사적으로는 의의가 있으나, 교육적으로 지도하기 어 려운 또 다른 작품을 선정하여서 학습 활동을 구성해보는 연구를 제안한다. This study set out to analyze Chankiparangka and the problems with their introduction into the Korean subject in high school and devise a unit to understand and appreciate Chankiparangka focusing on symbol. The proposed alternative unit was organiz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inciples; first, a priority will be placed on the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Chankiparangka before general theories of studies; secondly, the students will be encouraged to understand the meanings and correlations of Changiparangga following the story contexts with symbols; thirdly, the students will be asked to understand the author's identity and the meanings of his works in relation to the social and historical situations of the days; and finally, the students will have time to reflect on oneself by using D ésir triangulaire.

      • KCI등재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를 이용한 염화칼륨 제조 및 중금속 제거

        윤영민,염나리,이갑수,엄선희,이용현,추용식 한국자원리싸이클링학회 2017 資源 리싸이클링 Vol.26 No.2

        Many problems are occurred by using industrial by-product and municipal solid waste in the cement manufacturing process. The main components of chlorine by-pass dust generated by the use of the wastes are K + , Cl − , and a slight amount of heavy metals is also contained. In terms of waste recycling, it is necessary to eliminate the heavy metal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experiment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from KCl which was produced by chlorine by-pass dust were conducted. In order to find optimum conditions for the removal of heavy metals, we have controlled the amount of water and precipitator. The type and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in KCl were analyzed. The concentration of heavy metals decreased as amount of precipitator increased. The heavy metals such as Pb, Cd, and As were not detected in dust A and B, when the mixing ratios between dust A(B) and water were controlled to be 1:2 (1:2, 1:3.5) with the addition of 3% precipitator (NaOCl). 시멘트 공정에서는 산업부산물 및 생활폐기물 적용에 따른 여러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이들 폐기물 사용에 따라발생하는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의 주성분은 칼륨과 염소이며, 소량의 중금속이 함유되어 있다. 따라서 폐기물 재활용 측면에서,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 내 중금속 제거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염소 바이패스 더스트를 용해하여제조되는 염화칼륨 내 중금속 제거 실험을 진행하였다. 최적의 중금속 제거 조건을 도출하기 위해 증류수 함량, 침전제 투입량을 제어하였다. 이에 따라 제조된 염화칼륨 분말 내 존재하는 중금속 종류·함량 등을 분석하였다. 침전제 투입량 증가에 따라 중금속 Pb의 함량이 감소하였다. A더스트와 증류수의 배합비 1:2, 침전제(NaOCl) 3%, B 더스트와 증류수의 배합비 1:2, 1:3.5, 침전제 3% 조건에서 중금속 Pb, Cd 및 As가 모두 불검출 되었다.

      • 규석 물리적 정제 부산물의 시멘트 원료화

        김원석,복장빈,길준호,서형석,이용현,박태균,염나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학술대회 Vol.2014 No.11

        규석은 산업용 원료로 유리, 주물공업 및 화학공업, 시멘트 산업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태양광 및 전자산업에서 실리콘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태양 전지급 실리콘 제조시에는 고순도의 규석에 코크스(C)를 혼합하여 아크전기로에서 반응시켜 제조한 순도 99% 정도의 메탈실리콘을 원료로 사용한다. 고순도의 메탈실리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출발원료인 규석의 순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규석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정제를 통한 불순물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규석의 물리적 정제 과정 중 중광물과 경광물을 분리하는 테이블 선광 과정에서 슬라임(Slime)이라는 부산물이 발생한다. 이 Slime은 SiO2 함량이 85% 수준이고 Al2O3를 함유하고 있어 메탈실리콘의 출발원료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원료 석회석, 점토, 규석, 철광석을 사용하는 시멘트 산업에서는 85%의 SiO2를 함유하고 있는 Slime을 천연원료인 규석을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규석의 물리적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Slime을 규석 대체로 사용하는 경우 시멘트 원료로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실험실에서 클링커를 소성, 석고를 혼합/분쇄하여 제조한 시멘트의 특성을 확인하였다. 원료배합 검토결과 Slime의 성분이 천연원료인 규석의 성분과 유사하여 현재 생산하고 있는 시멘트 원료의 배합조건대로 배합이 가능하였으며, Slime의 경우 Al2O3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Al2O3 획득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토의 배합량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배합원료의 소성성 평가 결과 Slime을 활용한 경우에 있어서 현재 생산조건 보다는 소성성이 다소 양호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소성한 클링커에 있어서는 주요광물인 C3S, C2S, C3A, C4AF의 발달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현재 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 배합조건으로 제조한 클링커와 비교해 볼 때 큰 차이 없이 양호하게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소성한 클링커에 석고를 첨가하여 분쇄과정을 통해 제조된 시멘트의 품질특성을 평가한 결과 압축강도 및 응결이 KS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lime을 사용하는 경우 압축강도에 있어 초기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Rietveld 법을 활용하여 클링커 광물 함량을 정량해 본 결과 클링커 광물 중 초기강도에 기여하는 C3S 함량이 증가한 것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석의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Slime은 시멘트 원료 중 규석대체로 사용이 가능하며, Al2O3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점토 사용량도 일부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소성성의 경우 다소 양호해지며, 만들어진 클링커를 가지고 제조한 시멘트의 경우 KS 규격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어, 시멘트 제조용 원료로 공정 및 품질에 대한 영향없이 Slime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규석 물리적 정제 부산물의 시멘트 원료화

        김원석,복장빈,길준호,서형석,이용현,박태균,염나리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구 한국폐기물학회) 2014 한국폐기물자원순환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Vol.2014 No.-

        규석은 산업용 원료로 유리, 주물공업 및 화학공업, 시멘트 산업 등 광범위하게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태양광 및 전자산업에서 실리콘의 원료로도 사용되고 있다. 태양 전지급 실리콘 제조시에는 고순도의 규석에 코크스(C)를 혼합하여 아크전기로에서 반응시켜 제조한 순도 99% 정도의 메탈실리콘을 원료로 사용한다. 고순도의 메탈실리콘을 생산하기 위해서는 출발원료인 규석의 순도가 중요하기 때문에 규석의 물리적 또는 화학적 정제를 통한 불순물의 제거가 선행되어야 한다. 규석의 물리적 정제 과정 중 중광물과 경광물을 분리하는 테이블 선광 과정에서 슬라임(Slime)이라는 부산물이 발생한다. 이 Slime은 SiO<sub>2</sub> 함량이 85% 수준이고 Al<sub>2</sub>O<sub>3</sub>를 함유하고 있어 메탈실리콘의 출발원료로 사용이 불가능하다. 하지만 원료 석회석, 점토, 규석, 철광석을 사용하는 시멘트 산업에서는 85%의 SiO<sub>2</sub>를 함유하고 있는 Slime을 천연원료인 규석을 대체 사용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규석의 물리적 정제 과정에서 발생하는 Slime을 규석 대체로 사용하는 경우 시멘트 원료로 사용가능성을 검토하고 실험실에서 클링커를 소성, 석고를 혼합/분쇄하여 제조한 시멘트의 특성을 확인 하였다. 원료배합 검토결과 Slime의 성분이 천연원료인 규석의 성분과 유사하여 현재 생산하고 있는 시멘트 원료의 배합조건대로 배합이 가능하였으며, Slime의 경우 Al<sub>2</sub>O<sub>3</sub>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Al<sub>2</sub>O<sub>3</sub> 획득을 목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점토의 배합량도 감소시킬 수 있었다. 배합원료의 소성성 평가 결과 Slime을 활용한 경우에 있어서 현재 생산조건 보다는 소성성이 다소 양호해 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소성한 클링커에 있어서는 주요광물인 C3S, C2S, C3A, C4AF의 발달 상태를 현미경으로 관찰한 결과 현재 생산에 사용되고 있는 원료 배합조건으로 제조한 클링커와 비교해 볼 때 큰 차이 없이 양호하게 발달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실에서 소성한 클링커에 석고를 첨가하여 분쇄과정을 통해 제조된 시멘트의 품질특성을 평가한 결과 압축강도 및 응결이 KS 기준을 만족함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Slime을 사용하는 경우 압축강도에 있어 초기강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는데 이는 Rietveld 법을 활용하여 클링커 광물 함량을 정량해 본 결과 클링커 광물 중 초기강도에 기여하는 C3S 함량이 증가한 것에 의한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규석의 정제과정에서 발생하는 Slime은 시멘트 원료 중 규석대체로 사용이 가능하며, Al<sub>2</sub>O<sub>3</sub>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점토 사용량도 일부 줄일 수 있었다. 또한 소성성의 경우 다소 양호해지며, 만들어진 클링커를 가지고 제조한 시멘트의 경우 KS 규격을 만족함을 확인할 수 있어, 시멘트 제조용 원료로 공정 및 품질에 대한 영향 없이 Slime을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심상(心象)의 뇌과학적 이해와 초등 교수-학습에의 시사점

        조주연 ( Joo Yun Cho ),이원영 ( Won Young Lee ),염나리 ( Na Ri Yeom ) 서울교육대학교 초등교육연구원 2006 한국초등교육 Vol.16 No.1

        심상(心象)의 뇌과학적 이해와 초등 교수-학습에의 시사점 Brain-Scientific Comprehension of "Imagery" and Its Implications for the Elementary Teaching-Lear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