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현대소설에 나타난 접경지대와 구성되는 정체성

        연남경(Nam Kyung 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3 현대소설연구 Vol.- No.52

        The migrants often shown in recent Korean novel, are victims and become objects of sympathy. This paper is about the approaches that recent narratives usually take are too limited to represent this phenomenon. Therefore, this paper will research the causes and meanings of it. To do so, this paper focuses on the frontier zone where both emigrants and citizens meet and negotiate each other. The this zone is the place in which conflicts from national, racial, classical, and cultural problems are occurring. The furniture industrial complex and Garibong village as specific places of Elephant and The nomadic family are marginal places and they are connected to the past Korean industrial narratives. The places are survival spaces for migrants, in which order of America, Korea, and the third world`s rank is built. Furthermore, Korean`s ambivalencial attitude that they would obey the developed countries while they demand obedience from migrants in the marginal place are shown. The military camp town as specific places in The huge root and Dalgaebi flowers is problematic place because historical traces remain by sharing post-colonial narratives. In there, Korean subjects as in-betweens are making their identification by reflecting themselves from the present others. In conclusion, the frontier zone is a tabloid edition of sub-empire, Korea. And Korean glocal migration narratives are in the complicated condition. Therefore, the narrative makes us understand emigrants` situation same as Koreans` in the past not by demanding assimilation with multi-cultural discussion, but by reminding Koreans of pains of margizens.

      • KCI등재

        최인훈의 전쟁소설: 개인사적 좌표에서 기억하기

        연남경 ( Yeon Nam-kyung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6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67

        이 글은 한국전쟁의 체험과 최인훈의 소설쓰기가 긴밀한 상관관계를 갖는다는 전제에서 시작한다. 작가가 전쟁과 피란을 체험하면서 실존의 공포로부터 소설 쓰기가 시작되었기 때문이며, 작가 자신이 스스로의 전쟁소설을 1960년대의 `개인사적-일상적 좌표`에 놓은 바대로, 전쟁을 기억하는 대안적 방식으로서 의미를 갖기 때문이다. 최인훈의 초기작 『광장』과 「금오신화」, 「9월의 달리아」 에는 전쟁과 정치와 같은 상징계적 질서에 소속되지 못한 젊은이들이 남긴 잉여가 광기와 유령으로 출몰한다. 이는 남북한 체제의 이념적 대립 사이에 끼여 비극을 맞이한 개인을 가시화하는 방식의 서사적 저항에 해당한다. 한편 살아남은 자의 죄의식은 원초적 여성과 결합하여 우상의 집에서의 거짓말로, 「9월의 달리아」 에서의 가해자로, 『회색인』의 방공호 성체험으로, 『서유기』의 운명의 여인으로 형상화된다. 살아남은 자의 죄의식은 대상-그녀를 합체한 우울증적 글쓰기 주체가 되어, 전쟁의 망각을 불허하고 끊임없이 운명의 그날로 회귀하는 소설쓰기의 원동력으로 작동하게 된다. 작가가 강조하는 안정감의 상실은 하늘의 다리 에서 LST 원체험과 피란민 의식으로 귀환하고, 「크리스마스 캐럴」 에서의 통행금지제도를 예외상태가 상시화된 것은 아닌지 되묻는다. 이처럼 최인훈의 작품들은 주인공이 일상을 영위하려 할 때 어김없이 적대적 실재가 귀환하여 상징계적 질서 너머를 보게 만든다. 이와 같이 최인훈은 자신의 체험에 의거한 전쟁소설을 통해 전쟁의 모습으로 나타난 정치가 개인의 일상에 폭력적으로 개입하고 있음을 폭로한다. This study starts with the premise that the Korean War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hoi In-hoon`s works. As his fictions discussed fears of war and being a refugee, in Choi`s initial fictions Gwangjang, Gm-O-Sin-Wha, and Dahlia of September, a surplus left by young people who are not involved in the order of the symbolic world such as war and politics appears to be madness, ghost, and fantasy. The space of fantasy novels in which the hostile Real appears belongs to a personal sphere that was impossible in reality. Meanwhile, survivor`s guilt is embodied as a lie in An Idol`s House, an attacker in Dahlia of September, a shelter sexual experience in The Gray Man, and a woman of destiny in The Journey of the West. Survivor`s guilty becomes the subject of melancholic writing that combines the target and her, thereby serving as a driving force behind novel writing that is disapproving of the oblivion of war and consistently returns to the day of destiny. The loss of stability the writer emphasizes ask again whether it is returned as LST original experience and the awareness of refugees in Bridge of Sky, and the exceptional state of a curfew in Christmas Carol becomes permanent or not. Likewise, Choi`s works make us look across the order of symbolic world as the hostile Real always returns whenever the main characters of his novels go about their daily lives. In this way, Choi exposes that politics appearing to be war through war novels based on his experience are involved in personal daily life.

      • KCI등재

        최인훈 소설의 장르 확장과 역사의식

        연남경(Nam Kyung 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09 현대소설연구 Vol.- No.42

        Having started from a different understanding of history with the West, Choi In-Hoon`s novels have been presented in a form that repels the preexisting tradition of fiction; especially showing a phenomenon of genre expansion in novels. As in Guoonmong, Soo, Hoesakin, Seoyugi and others, frequent allusionto the genre of poetry and play in the early novels makes the genre of fiction strange on the surface and deepens the abstract form technique. However, the content of genre besides fiction forms an allegorical relationship with the outer layer narrative and functions in directly explaining the theme awareness in a difficult novel made as an instrument of criticizing the reality. When it comes to the recent works Day of novelist Gubo and HwaDoo, allusion to the earnest discourse of reality occurs frequently. The radical format of composing real discourse of history to a novel-a fabricated discourse-has a function of questioning the genuineness of preexisting history by disclosing the illusion of history writing. Moreover, the historical memory, recorded in the novel by a writer from a minor country, falls in to `counter-memory` which becomes a critical strategy against preexisting history of formulated memories. As such, Choi In-Hoon creates his novel into a space of mixed interactive texts with various literature works, history, culture, and life. Through this, he accused the falsehood of preexisting history, took the seriousness off the content that traditional novels had, and changed fiction into an open genre in which various discourses and fusion of forms became possible.

      • KCI등재

        김학철의 <격정시대>에 나타난 만주와 역사의 재현

        연남경(Nam Kyung Yeon)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현대소설연구 Vol.- No.55

        Kim Hak-cheol is a representative writer of the initial Korean-Chinese literature whose works are focused on anti-Japanese movement experiences. This study,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Passionate Era is an autobiographical novel on Korean volunteer corps, explores memory theories in order to reveal Manchuria``s spatial qualities, the process of character``s identity formation and the appropriateness of the novel emerging as a modern epic. If novel is a type of literature that is closely attached to modern nation-state problems, Kim Hak-cheol``s writing was the demands of the times when he, fundamentally alienated from the nation-state, narrated the anti-Japanese struggle against modern pathology. In Passionate Era, Manchuria is a critical place of revolution which shapes the Korean volunteer corps`` history of the anti-Japanese struggle. The Korean volunteer corps consists of refugees, who have experienced the absurdity of being alienated from their own motherland due to colonialism. Nonetheless, they seek for the hope of national independence with topo-philia in Manchuria, where internationalism against Japanese imperialism is implemented. Thus, Kim Hak-cheol``s Passionate Era represents Manchuria as, instead of lost homeland, a land of struggle and hope evoking topo-philia. It commemorates the history of the Korean volunteer corps`` noble act of Anti-Japanese struggle upon their lives. In addition, it also reflects the strong desire for the Other that colonial Koreans, isolated from the colonial modernization and nationalism, summon as to respond to the uncertainty of beings.

      • KCI등재

        다문화 소설의 탈경계적 주체 연구 -``이방인``의 정체성을 중심으로

        연남경 ( Nam Kyung Ye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2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9

        자본주의와 근대화가 만든 이 시대는 자본과 정보의 세계화는 이룬 반면, 여전히 인간에게는 국경이라는 큰 장벽으로 분리된 세계이다. 돈의 흐름에 따른 ``이주의 시대``에 국경을 넘은 가난한 국가의 국민들은 불법체류자로 남는다. 이는 전지구적 자본주의와 세계화의 이중성을 뜻하며 국가와 조우한 이방인의 문제를 목도하게 한다. 한국의 압축적 이주 현상 또한 이 의제를 공유한다는 점에서 본고에서는 2000년대의 우리의 다문화 상황을 형상화하고 있는 소설을 통해 이방인의 정체성을 파악하고, 그들의 주체화 과정을 추적해 보았다. 이 사회에서 외국인 노동자나 결혼 이민자는 벌거벗은 생명으로서 갖은 폭력에 노출되어 있으며, 영원한 이방인이라는 정체감을 벗어날 수 없다. 법의 이중성으로 인해 환대 받지 못하는 이들은 국가의 시선에서 볼 때 부정적 존재들이며 처벌과 추방을 전제한 존재들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이방인의 인권은 보장되기 어려우며 노동자의 경우 고용주, 결혼 이민자의 경우 남편에 의해 경제적, 신체적 안전을 유린당하는 이 사회의 주변인에 해당한다. 국가 권력이 이들의 권리와 생명을 위협하는 지점에 이르러 마침내 이방인들은 국가 질서에 저항하는 정치적 주체의 면모를 갖는다. 『나마스테』의 카밀은 인권과 가치가 무시되어온 불법체류자들 역시 노동과 소비를 통한 엄연한 이 사회의 구성원임을 선언하고, 자살을 통해 박탈된 권리를 요구하는 정치적 주체로 거듭난다. 『잘 가라, 서커스』의 림해화는 결혼 이민자에게 가해지는 가부장적 권력 하에서 분열적 주체로 거듭나며, 기성 질서에 부응하기를 포기한 채 탈주를 택한다. 『나의 이복형제들』에서는 이러한 이방인들이 한국 사회의 또 다른 하위주체들과 집합적으로 연대하여 가부장제와 국가 제도에 상징적 전복을 시도한다. 이와 같이 최근 한국 소설에 등장한 다문화 주체들은 기존 지식체계의 공고한 경계를 허물고 그 경계를 이동시킨다. 한 국가에 위치한 이방인의 자리는 기존 질서에 대항해 선언, 탈주, 전복을 꾀하는 정치적 주체의 도래를 예고한다는 점에서 탈경계적 속성을 갖는다. 따라서 한국의 내부에 들어온 이방인들, 즉 다문화 주체들의 행보를 추적해낸 일련의 소설은 이러한 진리를 전달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획득한다. Capital and information have been being a part of globalization, while people in poor countries have been being illegal aliens who are crossing the borders to chase the money. In this situation, the problem of strangers encountering the nation happens to come, which shows us the duplicity of capitalism and globalization. This duplicity is being accepted as an important issue in South Korea and consequently, not so several Korean novels express this duplicity related with multi-culture in the early 21th century, In this society, foreign laborers or transnational marriage are exposed to every violence due to their illegal and stranger conditions. Never will they be out of their identity as alien or stranger. Their human rights would not be guaranteed, because the duplicity of the law system also makes them object of punishment and banishment. More specifically, human right of laborer is broken by his employer and the life of transnational marriage is threatened by her husband. Strangers naturally would disobey to existing orders of nation and this disobedience is expressed in the form of personal or joint deviation. Subjects of multi-culture expressed in recent Korean literature would be problem because they destroy and shift the existing and fixed knowledge system. Furthermore, all of their movements shows us trait of trans-border from the view that they make us expect the new era in which illegal aliens would become political subjects in this society. Therefore, the novels writing about stranger, in other word multi-cultural subjects should get paid attention in the terms of prediction of future Korea society.

      • KCI등재

        탈북 여성 작가의 글쓰기 연구

        연남경(Yeon, Nam-kyung) 한국현대문학회 2017 한국현대문학연구 Vol.0 No.51

        본고는 생존 회로를 따라 국경을 넘는 탈북 여성이야말로 서발턴의 현재적 형상이라 판단하고 그들의 목소리를 , 직접듣고자탈북여성작가들의 글쓰기를연구하였다. 최근 한국 소설에서 다수 이루어지는 ‘한국인-작가’의 ‘탈북-여성 인물’ 재현이 주체와 대상의 불일치에서 비롯하는 윤리적 난제에서 자유로울 수 없기에 서발턴의 목소리를 통해 글쓰기 의도와 행간을 살펴야 하는 것이다. 다수의 탈북 여성들이 탈출 과정에서 폭력과 학대, 성적 착취를 겪고 탈출에 성공한 경우에도 그 시기는 트라우마로 남는다. 외상사건은 시도 때도 없이 경험자에게 침투하며 사건을 경험한 당시의 정서적 강도를 동반하기에 탈북 여성 작가의 글쓰기는 트라우마에 고착되어 있는 인물의 현재적 고통을 증상으로써 쓰는 작업이 된다. 『청춘연가』에서 우울증은 딸을 내면에 합체해 버린 인물의 층위에서 발견되기도 하고, 세 작품 공통적으로 탈북자가 고향과 맺는 관계와 관련하여 작가층위에서 작동하기도 한다. 탈북 여성 작가에게 인정할 수도 부인할 수도 없는 양가적 대상이 고향 (북한)이라 할 때, 강력한 증언의 욕망과 더불어 한국 사회정착에 의지를 보이는 글의 내용에도 불구하고 그녀들은 애증의 대상을 내면화한 우울증적 주체에 다름 아니다. 한편 텍스트 소통 구조 안에서 탈북 여성 작가는 자신의정체성을 밝힘으로써 이사회에 자신이 누구인지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그녀는 자신의 고통과 죽음에의 접근, 슬픔과 같은 단수성의 경험을 전달하는 데 적합한 언어를 찾지 못하며, 자기 증명의 서사는 완성되지 않는다. 이때자기 서사의 불가능성을 보여주는 이들의 글쓰기야말로 인간의 근본적 취약성과 상호 의존성을 보여주는 집합기억에 해당한다. 그녀들의 글에서 독자들은 인간존재의 겸손과 무지를 배운다. 그렇기에 탈북여성 작가의 글을 읽는 과정에서 완전한 대답을 기대하지 않고 계속 누구인지 묻는 것만으로도 그녀들에게 자리를 마련해주려는 주체의 윤리가 발견될 것이다. This study regarded that female refugees from North Korea as most appropriate present figure for the idea of subaltern of Spivak, who cross the border along the survival circuit, and investigated the writings of three female North Korean refugees in the dimension that their voices needed to be heard. It is because the representation of ‘North Korean refuge-female-character’ by ‘Korean-male-writer’ has the possibility of epistemic violence for the discordance between the narrator and object of writing. Even after defecting from North Korea, multiple female refugees still feel traumatized about their defecting period during which they were victimized under violence, maltreatment and sexual abuse. Such traumatic memories are brought back to them regardless of the time and they are emotionally as strong as they were at the point of occurring. For this reason, female North Korean writers’ writings are the work of describing the symptoms of present pain of a traumatized character. melancholia is sometimes found in a character who incorporated her daughter into her inner ego or in a writer herself in her way of building relationships with her hometown. If the homeland(North Korea) is an ambivalent subject for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as they cannot accept or nor deny it, the narrator of fictions, that is, writers, are no more than a melancholic subject who internalized the object of both love and hatred, despite the stories showing excessive will to settle down in South Korea. Female North Korean refugee writers try to give an account of themselves by revealing their identity. But, by failing composition of self-proof narratives, their writings become to deliver human"s fundamental weakness and interdependence. Therefore, the readers can learn humility and ignorance from their writings.

      • KCI등재

        여성 이주 소설의 기호학적 분석 -결혼이주여성 인물과 공간을 중심으로

        연남경 ( Nam Kyung Yeon ) 한국기호학회 2014 기호학연구 Vol.40 No.-

        본고는 최근 한국소설에서 결혼이민 현상을 다룬 작품의 결말이 일관적으로 비극적이며, 이주 여성이 철저한 희생자로서 재현된다는 점에 착안하여 대다수의 여성 이주 서사가 같은 결말구조를 가질 수밖에 없는 이유를 찾아보고자 하였다. 그를 위해 인물의 행위, 공간적 자질, 의미 구조의 점검이 가능한 서사기호학과 공간기호학을 방법론으로 도입하였다. 서사프로그램을 통해 여성 이주 소설을 점검해본 결과, 한국인 남자도 결혼이주여성도 일단 결혼을 이루지만, 그 결혼이 지속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이유로는 결혼에 대한 의지만 동일하게 나타날 뿐, 남성과 여성 주체가 추구하는 결혼의 가치가 다르기 때문이다. 결국 자본이 가능하게 한 국제결혼시스템이 발신자에 위치한 이상 그에 가담한 신랑, 신부 누구든 희생자로 전락할 수 있다는 결과를 보여준다. 여성 이주 서사는 공통적으로 내-공간의 부정성이 인물을 외-공간으로 이동시키는 기본 구조를 갖는다. 우선 고향의 한계 상황이 한국에 대한 긍정적 환상을 만들어내어 국경을 넘는 여성의 이주가 발생한다. 다음으로는 결혼이민이라는 공통점에 의해 여성은 집 공간에 위치하게 되는데, 집이라는 공간은 여성을 구속하는 부정적 자질을 가짐으로써 여성을 탈주시킨다. 이때 외부에 위치할 때는 긍정적 자질을 가졌던 한국이 인물 이동 이후 내부에 위치하자 부정적 의미로 변모함을 발견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여성 이주 소설이 갖는 의미망을 민족적 동위소, 계급적 동위소, 성적 동위소를 기준으로 배치해본 결과, 소설이 전달하는 공통적 의미 작용이 다음과 같이 드러났다. 외국인 신부는 한국인으로 온전히 소속되지 못하는 비-국민이자, 정주민으로 정착하지 못한 이방인으로 드러난다. 그리고 인력수입국으로서 북반구인과 인력수출국으로서 남반구인의 대립 하에서 가난한 남반구 출신의 결혼이주민들은 하위계급으로 전락하고 만다. 또한 결혼이민은 여성의 이주라는 점에서 기본적으로 성별 차이를 가지며, 경제적 표지를 수반한 성적 구별은 가정 내에서 이주 여성의 종속적 지위를 강화한다. 이와 같이 최근 결혼이민을 다루는 소설들은 전 지구적으로 가장 소외된 채 인권의 사각지대에 놓인 여성 이주민의 처지를 반복적으로 재현함으로써 윤리적 입장을 갖는 것으로 보인다. This paper, focusing on the fact that recent Korean novels on marriage immigrant consistently have tragic endings and present migrant women as thorough victims, tries to search for a reason why the majority of migrant women narrative has the same ending. Semiotics is the methodology in order to investigate character`s conduct, spatial qualities and semantics. By looking into migrant women novels through a narrative program, it has been found out that migrant marriage does not last long because male and female subject in it seek a different value of marriage. After all, it shows that as long as the international marriage system enabled by capitalism locates as the sender, bride and groom joined in it can easily become victims. Commonly, migrant women novels have a basic structure of characters moving toward outer-space by inner-space negativity. First, migrant women come over the border because critical situations of their hometown create a positive vision of Korea. Thereafter migrant women are placed in the home space, where its negative quality of constraining women segregates them. In other words, Korea, at first with a positive quality in outer-space, transforms into a negative sense when positioned in inner-space. As a result of inspecting the significance of migrant women novels in ethnic, economic, sexual isotopie, it has been proven again that migrant women are Subaltern containing all the meanings of outsider, lower class, sexual dependency. Therefore recent Korean novels on immigrant marriages are repeatedly disclosing that migrant women, situated in the most marginalized place in the global, lie in the blind spot of the human rights.

      • KCI등재

        이주민 서사에 재현된 ‘네팔’ 표상과 서사의 욕망

        연남경(Yeon, Nam-kyung) 한국언어문학회 2012 한국언어문학 Vol.82 No.-

        This thesis examined the symbol of Nepal in early narratives of the immigrant. In a film of Park, Chan Wook, Never Ending Peace And Love, Nepal is shown as the landscape of tourist attraction. Nepalese, Chandra, has set in as an image of thorough victim in Korea. And, Korean director judges and denounces Korean society without any opportunity for subaltem to speak subjects. In a full-length novel of Park, Bum Shin, Namaste, Nepalese image delivered to Camil and Sinwoo is idealized as the highly beautiful, good, pure and emotional valued place in every aspect of religion, nature, culture, and so forth. The idealization makes Nepal unrealistic space. Therefore, which Camil and Sinwoo who are died in Korea are writer's awareness of negative realilies and writer's desire is facing Marpa of the future. A short story of Kim, Jae Young, Elephant, there is differences between multi-cultural first generation and the second generation. Nepal is lost hometown and object of missing for father, but Akas, a son bom in Korea, is not registered by birth. He shows thoroughly tragic identity as an existence who doesn't have hometown. Nepal's symbols in three narratives commonly are mystery of natural landscape and pursuing of emotional value. It is the setting for judging world view of current capitalism. The differences of three narratives are as follows. Never Ending Peace And Love is a narrative which looks back on Korean negative attributes in the past, contrary to the landscape of current Nepal, and Namaste is a narrative which idealizes Nepal excessively by aiming to the future. Elephant is a narrative which delivers misery of realities actually and includes writer's desires.

      • KCI등재

        일반논문 : 신화의 현재적 의미 -최인훈, 이청준을 중심으로

        연남경 ( Nam Kyung Yeo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1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44

        이 글은 최인훈과 이청준이 아기장수 신화를 작품의 모티프로 삼았다는 흥미로운 공통점에 주목하고, 신화를 현대문학에 들여온 이유를 찾고자 하였다. 그를 위해 최인훈의 희곡 「어디서 무엇이 되어 만나랴」, 「옛날 옛적에 훠어이 훠이」, 「둥둥 낙랑둥」과 이청준의 소설 『신화를 삼킨 섬』을 대상작품으로 삼고 신화의 서사구조와 굿과 극의 제의 형식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아기장수 신화는 한반도 전역에서 발견되며, 아기장수는 상층영웅과 달리 민중영웅의 대표적 인물에 해당한다. 민중영웅은 항거하는 민중의 집단적 표상으로서 항거 및 패배의 역사적 경험을 반영하고 있다. 최인훈은 「옛날 옛적 훠어이 훠이」에서 민중들의 염원으로 탄생한 아기장수가 그들 스스로의 손에 제거당하는 비극적 아이러니를 통해 그 배후에서 공포를 조성하는 기득권층의 권력을 암시해 보여준다. 그리고 바보 온달과 호동에게서 아기장수와 유사한 한국적 희생양의 속성을 발견하고 권력에 맞서는 순간제거 당하는 비극적 세계관을 반복하여 제시하고 있다. 이청준은 『신화를 삼킨 섬』에서 아기장수가 두 번씩이나 죽임을 당하는 제주도본 설화를 통해 육지 권력자로부터 핍박 받아온 제주 섬의 비극성을 알린다. 그리고 제주도 무속신화와 당신의 본풀이를 통해 외지인에 대한 섬사람들의 불신과 민중영웅은 없다는 부정적 현실 인식을 보여준다. 최인훈은 연극 내부에 굿과 극중극 장치를 설정하여 극의 제의적 속성을 설명해낸다. 제의는 정규적으로 억제된 것이나 현실질서를 상상력을 통해 전복함으로써 심리치료의 효과를 갖는다. 이렇게 연극을 통해 관객은 신화의 세계가 보여주는 비극이 오늘날의 현실과 다르지 않음을 공감하며 억눌린 감정을 해소한다. 이청준은 무속신화가 연행되는 제의 과정에서 ``정전적-메시지``가 ``자기-지시적 메시지``로 바뀌는 원리를 통해 제주도 민들이 굿을 통해 과거 죽은 자의 억압받은 삶을 되새기고 그와 닮은 현재 자신의 상처와 아픔을 치유해 왔음을 밝힌다. 그는 역사의 비극이 늘 반복된다는 원리를 신화에서 찾고 삶의 구원이라는 신화의 전통에서 소설쓰기의 이유를 찾아내고 있다. 이와 같이 신화는 현재에도 반복되는 이야기로서, 현대인들에게도 공감을 형성해 내며 치유의 힘을 갖는다는 점에서 존재의 이유를 증명한다. Choi, in hun and Lee chung jun are already known as there exits some links between them so I am focusing on that legend "A baby hero" is an important motive in writings of both of them. What is the essence of the legend "A baby hero" both writer were intended to describe on their novel? To answer to this question, with interest in narrative structure of myth and ritual of sherman rite -Goot-and play, I researched about Choi`s: Where we would meet together as what we are (1970), Whou-ee Whou-ee, long long time ago (1976) and Dung dung Nangnangdung (1978). I also studied on Lee`s: Island swallowing myth(2003). The legend "A baby hero" is existing almost everywhere in Korea and this hero is different from usual hero who represents upper class because he represents the public. In Whou-ee Whou-ee, long long time ago, not only does Choi imply power of privileged class through showing tragic that Baby hero who is given birth by desire of public is also killed by them but also reveals Korean characteristic of victims who is eliminated at the very time when they protests to privileged class. In <Island swallowing myth>, Lee shows us the tragic of Jae-ju Island by legend, a baby hero as well as he let us know that people in Jae-ju distrust strangers and they think there is no hero for public. Choi explains ritual characteristic through shaman rite and a device called ``the play-within-a play`` in the play. The ritual can allow queen and prince to love each other, which is actually forbidden because of incest. Displaying the play, Choi recalls the past and gets some therapeutic effects. Based on the fact that the canonical message is changing into self-referntial message in the course of ritual legend, Lee finds that Jae-ju people have remembered the dead suppressed and cured their wounds and sadness which are alike with the dead`s. Through the principle of repetitive tragic, Lee finds the truth that his writing has a link with myth which is salvation for public. Myth is still being made in the present days so it has therapeutic power on present people.

      • KCI우수등재

        2000년대 한국 소설의 이주민 재현 연구

        연남경(Yeon, Nam-kyung) 국어국문학회 2013 국어국문학 Vol.- No.165

        Recent Korean novels have reflected lives of migrant workers, marriage migrants, North Korean refugees and the second generatio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which must be understood as a global phenomenon. It is possible in the 21st century for freely-moving capitalists to exploit workers from the periphery countries in a global market. In this case, the nationstate system is polarized, which results in enhanced sovereign power for protecting native people in the world powers, where as the weak states is placed in a disabled state with its protection system broken. Accordingly, People in the ‘stateless’ status from the Southern Hemisphere move across the border and become subsumed under the governance of the destination. Akas in ‘The Elephant’ and Ali in ‘Ali’s Jump Rope’, each of whom is the second and the third generation Korean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excluded from Korean nationality and situated in the ‘stateless’ status due to their different appearance. Thus, looking into the novels which show the nation-state system through the invention and exclusion of the outside proves that ‘we’ consciousness called as one whole nation is an invented illusion. Sabina in ‘Namaste’ and Kuhn in ‘The Elephant’ are illegal migrant workers from the poorest in Nepal, whereas a Vietnamese bride Chyuyen in ‘Paprika’ and North Korean refugee Chungshim in ‘Wild Rose’ become legitimate Korean citizens. They have a migrant identity in common as strangers to come to Korea and form the outside of Korea. They are all from the third world countries and situated under continuous banishment and violation of human rights by fundamental ‘statelessness.’ Recent novels about North Korean refugees have shown meaningful resist against globalization and capitalism. For instance, ‘Baridegi’ and ‘Lina’ represent exceptional characters that actively escape from the nation-state through mythical characterization and exilic imagination. In the end, these novels suggest that abandoning domiciliation and exiling voluntarily is a possible way to escape from the logic of global capit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