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구운몽』에 나타난 여성 우정의 양상과 그 의미

        엄진주 한국여성문학학회 2021 여성문학연구 Vol.52 No.-

        This study clarifies the aspect and meaning of female friendship embodied in Kim Manjung’s Guunmong. Even though there are several female characters in Guunmong, relatively few studies have been conducted on relationship among them. If we focus on the intimate relationships of women, the traditional interpretation of Guunmong in which Yang So-yu marries several outstanding women, can be read anew. The female friendship depicted in Guunmong is divided into two aspects: choosing to marry the same man for a one-to-one friendship, and forming a female community by expanding such friendships to a one-tomany relationship through marriage. In the Middle Ages, the female community, such as nuns, functioned as an alternative space or counter space to a patriarchal society. Keeping this in mind, polygamy in Guunmong can also be interpreted as a heterotopia for women’s friendship, not just as a male-centered order. Of course, it is difficult to deny that male desires are embedded in Guunmong. However, if the text is read from a female friendship perspective, its emancipatory meaning can be discovered. 이 글은 김만중의 『구운몽』에 형상화된 여성 우정의 양상과 의미를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운몽』에는 다수의 여성 인물이 등장함에도 불구하고 이들 간의 관계에 주목한 연구는 비교적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양소유가 여러 뛰어난 여성을 아내로 맞이한다는 기존의 서사는, 여성들의 친밀한 관계에 초점을 맞출 경우 새롭게 해석될 가능성이 열린다. 『구운몽』의 여성 우정은 친구와의 일대일 우정을 위해 같은 남자와의 결혼을 선택하는 양상과, 결혼을 통해 그러한 우정을 일대다의 관계로 확장시켜 여성들의 공동체를 형성하는 양상으로 나뉜다. 중세 시대에 여승이나 수녀 등의 여성 공동체가 가부장적인 사회의 대안 공간 혹은 대항공간으로 기능했음을 고려한다면, 『구운몽』 속 일부다처제는 남성 중심의 질서를 넘어서 여성들이 우정을 이어나가는 헤테로토피아로서의 의미까지 갖는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고 해서 이 소설에 남성의 욕망이 깃들어 있음을 완전히 부인하기는 어렵다. 하지만 여성들 사이의 우정을 중심으로 텍스트를 읽어나갈 경우 해방적인 의미가 충분히 발견될 것이다.

      • KCI등재

        1930년대 식민지 조선에서의 중국 소설 검열 연구 - 蔣光慈 소설 <압록강에서(鴨綠江上)>를 중심으로

        엄진주 한중인문학회 2018 한중인문학연구 Vol.61 No.-

        본고는 조선출판경찰월보(朝鮮出版警察月報)에 남아있는 중국소설 <압록강에서>의 검열 기록과, 검열규정집에서 제시하는 검열 표준, 그리고 삭제처분을 받은 내용의 원문 비교 를 통해 당시 검열 업무가 어떻게 이루어졌고, 처분 결과는 검열 규정에 부합하는지에 대해 분석한 글이다. 조선출판경찰월보는 경무국 도서과가 조선 내에서 발행․출판․유통되는 텍스트를 대상으로 검열을 실시한 후 그 결과를 기록한 책이다. 책에는 검열 대상 텍스트, 행 정적 처분 내역, 처분 사유가 일어로 작성되어 있다. 경무국은 조선인이 쓴 문학 작품과 신문 의 검열은 물론이고, 조선으로 이․수입된 해외 텍스트도 검열의 대상으로 삼았다. 검열의 강 도가 높아지던 1930년대 조선 문단은 자국의 상황을 자각하고 독립의지를 고취하기 위한 대 안으로 해외 문학을 적극적으로 수용했다. 1927년 중국에서 발표된 장광자(蔣光慈)의 작품 <압록강에서(鴨綠江上)>는 이 시기 조선 문단의 호출을 받은 작품이다. 강한 배일사상 표출 과 독립의지 고취의 메시지를 담고 있는 이 작품은 1931년 잡지 문예월간 12월호에 실릴 계획이었지만 경무국 검열을 통과하지 못하고 삭제처분 받았다. 검열 결과를 분석하면, <압록 강에서>의 내용 중 삭제처분을 받은 부분의 내용은 모두 안녕질서 방해의 사항에 적용되며, 사유는 첫째, 조선 독립사상 고취 및 선전, 둘째, 배일사상의 선전․선동, 셋째, 치안을 어지럽 힐 우려가 있는 내용에 해당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경무국이 실시한 검열은 특히 ‘배일사상 의 고취’ 항목을 가장 경계했는데, <압록강에서>의 검열 결과가 이를 입증한다. This paper examines the censorship records of the Chinese novel ‘On the Amnok(Yalu) River’ in the ‘Chosun Gyoengchal Wolbo(朝鮮出版警察月報)’, and the original text of the contents of the deletion. It analyzed how the censorship work was done at the time and the results of the disposition were in accordance with the censorship regulations. Chosun Gyoengchal Wolbo is a that records the results of censorship of texts issued, published and circulated by Korean police bureau in Japanese colonial period. Police bureau censored literature and newspapers written by Koreans, and also censored overseas texts imported into Joseon. In the 1930s, when the strength of censorship was heightened, the Joseon literary world accepted foreign literature as an alternative to awareness of its own situation and to inspire its independence. The Chosun literary world attempted to introduce Jang Kwangja's novel ‘On the Amnok River’ that published in China in 1927. This work has a strong message of anti-Japanese ideology and a message of inspiration of independence, and it was planned to be published in the December issue of the magazine in 1931. However, this work did not pass the censorship and removed by the police bureau. Analysis of the censored results shows all the contents of the novels that have been removed are deal with the disturbance of social order and stability. The reasons for the deletion are: 1)instigation of Chosun independence ideology, 2) instigation of anti-Japanese ideology, and 3)Possibility to disturb public order. In particular, the police bureau has been most alert to the ‘instigation of anti-Japanese ideology and denial for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and it proved by the censorship results of the novel ‘On the Amnok River’.

      • KCI등재

        교차성에 바탕한 비판적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 -김애란의 「가리는 손」을 중심으로-

        엄진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2 국어교육연구 Vol.49 No.-

        This article explores the direction of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education based on intersectionality. Intersectionality is a critical insight that views race, class, gender, sexuality, ethnicity, nation, ability, age, etc. as constructing complex social inequialities together, rather than as mutually exclusive entities. Focusing on differences within the category, intersectionality overcomes the problem of homogenizing and essentializing social groups. Furthermore, it is useful in revealing the structure of discrimination and repression in detail. The concept of intersectionality relates to critical multiculturalism, and in the aspect of Korean education, it prompts discussion about multicultural literacy. Therefore, this study presents critical multicultural literacy based on intersectionality as a core capability for this era, and examines its educational feasibility from the perspective of Korean literature education. To this end, Kim Aeran's short story "The Covering Hand" was analyzed, and an educational direction is presented in terms of "recognition," "criticism," and "practice" based on J. A. Banks' discussion. 이 글은 ‘교차성(intersectionality)’이 여러 차별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는 현대 사회에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한다고 보고, 그것에 바탕을 둔 비판적 다문화 리터러시 교육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둔다. 교차성이란 인종, 계급, 젠더, 섹슈얼리티, 민족, 국가 등을 상호 배타적으로 작동하는 독립체가 아니라, 복합적인 사회 불평등을 함께 구성하는 것으로 보는 비판적 통찰력을 말한다. 이러한 개념은 각 사회 집단을 균질화·본질화하는 시각에서 탈피하여 범주 내부의 차이에 주목하도록 하며, 차별과 억압의 구조를 구체적으로 밝혀내는 데에도 유용성을 지닌다. 다문화주의의 여러 흐름 중에서 특히 비판적 다문화주의와 맞닿아 있는 교차성의 관점은, (한)국어교육의 측면에서는 다문화 리터러시 논의로 구체화될 수 있다. 따라서 이 글은 교차성에 바탕한 비판적 다문화 리터러시를 이 시대의 핵심 역량으로 제시하고, 한국 문학 교육의 관점에서 그러한 교육의 가능성을 논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김애란의 단편소설 「가리는 손」에 나타난 인종·연령·젠더·계급 등의 교차성 양상을 분석하고, 뱅크스(J. A. Banks)의 다문화 리터러시 논의를 토대로 하여 교육의 방향을 ‘인식’, ‘비판’, ‘실천’의 세 가지 차원으로 제시하였다.

      • KCI등재

        근현대 중국 번역장 속 이기영 문학 - 서지적 관점 및 주류 담론을 중심으로 고찰한 수용 양상 연구

        엄진주,손제 한국현대문학회 2022 한국현대문학연구 Vol.- No.67

        본 논문은 수용의 관점에서 중국에서 번역 출간된 이기영 저작물을 서지적으로 정리하고 시기별 이기영 문학 수용의 양상을 고찰한 연구이다. 근현대 중국의 번역장은 정치적 이데올로기와 정책 기조에 따라 외국문학 수용 조건에 변화가 발생했고 이와 같은 환경 속에서 이기영의 문학은 각 시대가 요구하는 문학의 목적성에 따라 다각적인 양상으로 수용되었다. 중국공산당 정부가 수립된 1949년 이전에 번역 소개된 아동동화는 중국에서 이기영의 이름으로 정식 발표된 최초의 출판 기록으로 약소국의 혁명적 투쟁 의지를 담고 있는 텍스트이다. 역사·외교적으로 상당부분 동질성을 나누고 있던 식민지 조선의 상황이 반영된 텍스트를 통해 자국 아동의 교육 및 계몽의 교재로 활용하고자 했던 수용 목적이 확인된다. 냉전기에는 반미 애국주의 정신을 강조하는 ‘항미원조’ 및 대중동원형 사회주의 이념 제재 문학의 두 가지 갈래로 수용되었으며 이 시기 이기영은 북한의 대표작가로 확고한 입지를 굳힐 수 있었다. 문학에 대한 사상적 개방이 실시된 탈냉전기 이기영 문학 수용은 기존의 정치성을 탈피하여 문학 본연의 예술적 가치에 집중하는 양상으로 전개되었다. 그 결과 이기영 작품은 탈냉전기에도 단편선집과 세계문학서에 반복적으로 수록되면서 명실상부 북한 대표 문인으로서의 입지를 유지할 수 있었음이 확인된다. 중국의 이기영 문학에 대한 가변적인 수용 양상은 동일시기 냉전과 이데올로기 체제 속에서 중국문학을 대신해 대만문학을 수용한 한국번역장의 상황과 유사하다. 번역의 정치성은 한국과 중국의 외국문학 수용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 인자였고 입체적인 문학 생애를 보낸 이기영 역시 그 영향권 속에서 해석되고 또한 활용되었다.

      • KCI등재

        교차성 담론을 통한 여성문학(사) 고찰 -김향숙의 「얼음벽의 풀」을 중심으로-

        엄진주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2023 국어교육연구 Vol.51 No.-

        This article examines Korean modern women's literature and literary history through the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ity,” which conceptualizes the intertwined aspects of various social categories. Through intersectionality, one can capture how women's literature has cracked the grand discourse of established literary history and created new meanings. To this end, the flow of intersectionality discourse was examined, and accordingly, previous studies on the history of women's literature were reviewed. Based on the degree of intersection of race, class, and gender, women's novels and short stories from the early modern period to the 1990s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In addition, focusing on the 1980s, which received conflicting evaluations, Kim Hyang-sook's “Grass on the Ice Wall”(1989) was analyzed, which revealed it’s literary historical significance in terms of the intersection of ethnicity, class, and gender. The analysis confirms that the perspective of intersectionality can play a meaningful role in the study of “plural literary histories.” 이 글은 여러 사회적 범주가 서로 얽혀서 작동하는 양상에 주목하는 ‘교차성(intersectionality)’의 관점을 통해 한국 근·현대 여성문학(사)를 고찰하는 데 목적을 둔다. 여성문학이 어떻게 기존의 문학사를 구성해 온 거대 담론에 균열을 내는 동시에 새로운 의미를 생성해왔는가를 포착하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 여성운동의 흐름 속에서 발전한 교차성 담론의 역사를 살피고, 그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여성문학사 관련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 분석 기준은 한국 근·현대문학사의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민족·계급의 문제와 젠더 사이의 교차성 정도로, 근대 초기부터 1990년대까지의 여성소설을 네 가지로 나누어 살폈다. 그리고 교차성의 측면에서 상반된 평가를 받는 1980년대에 주목하여, 김향숙의 「얼음벽의 풀」(1989)이 민족·계급·젠더의 교차 측면에서 문학사적 의의를 지님을 밝혔다. 여성소설이 민족이나 계급과 같은 거대 담론과 길항해 온 역사적 흐름을 범박하게나마 조망한 본 연구를 통해, 교차성의 관점이 ‘복수의 문학사’ 연구에 유의미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이 확인된다.

      • KCI등재

        한국 문화 교육의 관점에서 바라본 <오징어 게임> 문화 비평의 담론

        엄진주,윤대석,박유현 한국문화융합학회 2023 문화와 융합 Vol.45 No.1

        This article explores the direction of Korean culture education by analyzing overseas critical articles on “Squid Game,” which has recently gained worldwide popularity. To this end, previous studies about Korean culture education and intercultural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framework of analysis was derived as “universality,” “specificity,” and “individuality”. Based on this, cultural factors appearing in 50 English articles on “Squid Game” were analyzed. Then a discourse analysis was conducted by selecting 19 articles corresponding to cultural criticism. As a result, overseas perspectives on “Squid Game” were divided into identity-centered interpretation, difference-centered interpretation, and analogical interpretation. Through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each interpretation, suggestions for the future direction of Korean cultural education were derived.

      • KCI등재

        라오서 『茶館』의 번안희곡 <다방> 연구-각색 양상 및 국내공연의 의미에 주목하여-

        엄진주 한국문학이론과비평학회 2022 한국문학이론과 비평 Vol.96 No.-

        This article compares the play <Café(茶房)>(2021) with Chinese author Lao-seo's original 『Tea house(茶館)』(1957) and analyzes the aspect of the adaptation and the discourses and topics that have been transformed into Korean style. <Café>, adapted to the domestic reality while sharing the homogeneity of the original discourse, contains the stories of individuals who make up Korean society, but at the same time exposes the dual nature of state power that determines individual decisions and direction of life. Also, as in the original work, it pays attention to the confrontational phase between power and individual that occurs universally regardless of era and country. The reason Lao's play written half a century ago is accepted at this point is probably because it is a narrative that can share a common problem perception about the essence of power and individuals despite the differences in time and space.

      • KCI등재

        1910~1930년대 위생용품에 투영된 담론 연구 ― 라이온齒磨 광고를 중심으로

        엄진주 중앙어문학회 2017 語文論集 Vol.72 No.-

        This paper examines the discourse and advertising narratives that surrounded modern hygienic produc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his examination places special emphasis on the advertising of the Lion tooth powder products (Lion齒磨粉), which were extensively advertised in the period ranging from 1910~1930. This product has not yet been studied intensively in this context. The influx of medicines and medical services in the era of modernization provided underprivileged people with more possibilities for cure of diseases. These people had been excluded from the salvation in the premodern era. During this process, advertising was fully utilized to promote new products. Many hygienic products, as new products, appeared in the market around this time. If conventional medicines were developed for the purpose of treating diseases, hygiene products, including Lion tooth powder, were developed in order to prevent diseases. The Lion tooth powder advertisements used a variety of narrative strategies to promote their products. These advertisements tried to gain the trust of the consumer by using modern and authoritative representations. Moreover, the use of the first person narrator helped to attract a large number of consumers to the subject advertised for consumption. The Empire of Japan at this time promoted many policies that were designed to make the colonized Koreans into strong and healthy citizens. As part of that policy, hygienic items such as Lion tooth powder were extensively developed and used. Although such hygienic products have benefited Koreans by helping to prevent oral diseases, in actuality, the logic of cultural domination, colonial civilization policies, elements of war, the securing of military power, and economic domination were deeply rooted in their development and marketing. 본고는 아직 집중적으로 연구되지 않은 1910~1930년대 위생용품에 관한 담 론과, 라이온치마 제품의 광고서사에 관한 연구이다. 근대화 과정에서 유입된 의약품과 의료 서비스는 전근대시기 질병의 구원에서 소외되었던 사회 저변층 에게 질병 치료의 더 많은 가능성을 제공했다. 이 과정에서 광고는 새로운 제 품을 홍보하는데 십분 활용되었다. 이 시기 새롭게 등장한 제품으로 위생용품 이 있다. 기존의 의약품이 제품 치료 목적으로 탄생된 것이라면 라이온치마분 (Lion齒磨粉)을 포함한 위생용품은 질병의 예방 목적으로 탄생했다. 라이온치 마 광고는 제품의 홍보를 위해 다양한 서사전략을 동원했다. 우선 근대와 권위 의 표상을 활용하여 고객을 신뢰를 획득하고자 했다. 광고문 속 1인칭 서술자 의 배치는 대량의 소비자를 소비의 주체로 끌어들이는데 일조했다. 이 시기 제 국은 식민지 조선인을 강건한 제국의 신민으로 만들고자 많은 정책을 추진했는데, 그러한 정책의 한 일환으로 기획되고 사용된 제품이 치마분 같은 위생용 품이다. 위생용품은 조선인에게 구강 질환 예방의 혜택을 가져다주었지만 그 이면에는 문화적 지배, 식민지의 문명화, 전쟁의 요소, 군사력 확보, 경제적 지 배 등 제국의 힘과 경제적 논리가 깔려있었다.

      • KCI등재

        일제강점기 대만의 라디오 방송에 관한 연구

        엄진주 한중인문학회 2016 한중인문학연구 Vol.53 No.-

        이 논문에서는 일제강점기 식민지 대만의 시기별 라디오 방송의 특징과 기능을 확인하였다. 식민지 조선과 마찬가지로 일제강점기 대만에서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문화 정책이 시행되었다. 라디오 방송국 설립과 협회가 창설되던 초기 라디오 방송은 악기연주, 음악, 강연, 뉴스 등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었고 음악 방송의 방송 점유율이 가장 높았다. 이 시기 라디오방송은 본연의 문화․정보매체․오락적 기능에 충실했다. 대만총독부는 1926년 “대만라디오청취규칙”, 1936년 “대만축음기취체규칙”을 제정하면서 라디오 방송에 관한 관리 감독 및 제재의 법적 근거를 마련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라디오 방송은 총독부 주도 하에 1931년부터1937년 중일 전쟁 발발 전까지 ‘내지화’ 실현과 황민화 정책 추진을 위한 도구로 활용되었다. 학교교육과 사회교육 등 각 분야에서 라디오 방송의 활용도가 증가 했고, 라디오 방송은 대만인의 생활과 문화 깊숙이 침투하였다. 이 시기 라디오 방송은 일본의 문화를 식민지 대만에전파하고 궁극적으로 식민지의 내지화를 실현하기 위한 수단으로 십분 활용된 것이다. 마지막으로 중일 전쟁이후부터 태평양전쟁 종료 전까지 대만의 라디오 방송은 시국 보도의 기능이강화되었다. 방송 프로그램 중 뉴스의 비중이 대폭 늘어났고, 정규 편성된 뉴스 이외에도 시국, 사상, 군사, 교육, 황민화 등을 내용으로 하는 ‘임시특별방송’이 수시로 진행되었다. 즉 일제강점 후반기로 갈수록 라디오 방송의 기능이 전쟁의 영향을 받아 기존의 ‘종합정보매체’에서 ‘대만총독부의 정책 선전 기능과 선동, 전쟁 관련 상황 송출용 매체’로 변모한 것이다. This paper confirmed the changes in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radio broadcasting in Taiwan in the Period of Japanese Occupation.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cultural policies were implemented through various media in Taiwan, just like in colonial Joseon. In its early stage, when radio stations and its associations had begun to be established, radio programs were mainly composed of performance of musical instruments, music, lectures, and news. In particular, music had the largest share of the broadcast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laid the legal foundation of managing, supervising, and controlling radio broadcasting by established “Taiwan radio listening rules” in 1926 and “Taiwan phonograph-record rules” in 1936. From 1931 until the outbreak of the Sino-Japanese War in 1937,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capitalized on the radio broadcasting to pursue cultural assimilation campaigns under the banner of the ‘NaeJi Hua (integration of Japan and Korea, 內地化)’, and the colonial policy of subjecting to japan (Japanization, 皇民化). During this period, radio broadcasting was increasingly utilized in such fields as school education and social education. It is notable that at that time radio broadcasting was fully used to spread Japanese culture in colonial Taiwan. After the Sino-Japanese War until the end of the Pacific War, Taiwanese radio broadcasting focused on the news on the current political situations in the region, and also the proportion of news in broadcasts soared. Besides ‘regular newscast’, ‘temporary special newscast’ about national policies, current issues, military affairs, modern education, and Japanization were often broadcast. In the latter half of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the function of radio broadcasting was transformed from the existing ‘comprehensive information media’ to the ‘media for propagating the policies of the Japanese Government General of Taiwan and transmitting war new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