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이광수의 이중어 인식과 이중어 소설

        윤대석 국제어문학회 2019 국제어문 Vol.0 No.82

        The aim of this paper was to examine Lee Kwangsu’s diglossic consciousness through his novels. Diglossia refers to a linguistic phenomenon that occurs when two or more languages coexist in the same community. This coexistence of two languages generates hierarchies and a hybrid use of two languages by power relations. The power relationship between languages generates a hierarchical match between official and everyday languages, national language(國語) and dialects. The official language has a functional meaning, and the national language has a mental meaning. Lee Kwangsu, who recognized Japanese as the official language used for communication in public spaces, rejected the ideology of a national language that discriminated and excluded Koreans. In novels before 1938, Lee protested the Japanese discrimination Koreans in public space and criticized the Koreans who used Japanese as an indicator of privilege. After 1938, even when Japanese imposed the idea of a national language, Lee did not change this position significantly. Although he argued that the unification of Korean and Japanese(內鮮一體) meant an internalization of both, he was a parallel allianceist who did not accept Japanese as an indicator of nationality, but rather insisted on the impossibility of Japanese writing. In this contradiction, Lee considered Japanese as a means of communication to convey and understand the mind mutually in a private space. This reveals that he thought of Japanese as a means of internal communication. 이 논문은 이광수의 이중어 의식을 그의 소설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한 것이 다. 이중어란 한 사람 혹은 한 공동체에 둘 이상의 언어가 공존함으로써 발생하 는 언어 현상 혹은 그 언어를 가리키는 개념이다. 이러한 언어 공존은 두 언어 사이의 권력 관계에 따라 위계화를 발생시키고 두 언어의 혼종적인 사용을 가져 온다. 언어의 위계 관계는 공용어와 일상어, 국어와 방언이라는 짝을 낳는데, 공 용어는 기능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고 국어는 정신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다. 이광수는 일본어를 공적 공간에서 소통을 위해 사용하는 공용어로 인식하고있었기 때문에 일본어를 민족적 특권의 지표로서 조선인을 차별하고 배제하는 국어 이데올로기를 거부하였다. 1938년 이전의 소설에서 이광수는 공적 공간에 서 일본어를 사용하며 조선인을 차별하는 일본인에 대해 일본어로 항의하거나 일본인인 체하며 일본어를 특권의 지표로 사용하는 조선인을 비판하였다. 1938년 이후 일본어가 국어 이데올로기를 강요할 때에도 이광수는 이러한 입장을 크게 바꾸지 않았다. 내선일체가 완전한 일본인화를 의미한다는 완전동 화론을 주장했음에도 언어 문제에서만은 일본어를 국민됨의 지표로 받아들이지 않고 오히려 국어 창작의 불가능성을 주장하는 평행제휴론자였다. 이러한 모순속에서 이광수는 일본어를 사적 공간에서 마음을 전달하고 이해하는 소통의 수 단으로 생각했다. 이 점은 그가 생각한 일본어가 소통의 수단이라는 점에서는 공용어이지만, 내밀한 마음의 전달이라는 점에서는 국어의 성격을 지닌 것임을 말해준다.

      • KCI등재

        제의와 테크놀로지로서의 서양근대음악-일제말기의 양악

        윤대석 상허학회 2008 상허학보 Vol.23 No.-

        In ‘Mujung’(1917), Lee Kwangsu’s novel, concert of the classical music oriented from Europe was not only tools of charity but also the place in which the performer finds him(/her)self as a subject of enlightenment through nationalistic performance. In that meaning concert was national ritual. In ‘Pyokkongmuhan’(1940), Lee Hyoseok’s novel, concert of the classical music oriented from Europe was not only the indication of Chosun’s cultural maturity but also the instrument of calling as Japanese nation. Kim Kwan recognized the form of European classical music as irresistible and he was willing to construct Chosun’s modern music on this form. He found artificiality in European classical music. Kim said that symphony and chorus must be spreaded in Chosun for that reason. The artificiality of symphony is connected to forming national subject. In this point the Kim Kwan’s desire for constructing modern music in Chosun connected to the Japanese colonial power which wanted to change Chosun’s people to Japanese nation. In that reason, the classical music oriented from Europe and its musician had the initiative of controlling music in Chosun under second world war. It was the realization of Lee Kwangsu’s dream and the dark side of Lee Hyosuk’s dream for cultural maturity in Chosun. 이광수의 「무정」에서 음악회는 단순한 자선의 도구가 아니라 민족적 고난을 극복하는 퍼포먼스를 통해 연주자들이 계몽적 주체로 자신을 발견하는 장이었다는 점에서 제의적 기능을 가진다. 이효석의 벽공무한에서 음악회는 조선사회의 문화적 수준을 보여주는, 즉 시민적 정체성 형성의 증거로서 드러난다. 그러나 그것은 일본 제국의 국민 호명ㆍ동원을 무의식으로 억압함으로써 가능했다. 계몽적ㆍ민족적 주체창출에 대한 욕망이 일본 제국의 국민 호명과 접속하는 지점이 음악에서는 1930년대 후반의 교향악 연주회였다고 할 수 있다. 이 논문은 그러한 가설을 증명하기 위해 김관과 1940년대 전반기의 음악상황을 살펴본다. 김관은 서양음악의 양식을 절대적인 것으로 파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조선민족음악을 구성하려 하였다. 그는 서양음악을 작위로 파악했는데, 그것은 치밀한 계산 하에 욕망을 조절하는 테크놀로지로서 서양음악을 의미했다. 그러한 서양음악의 최고치는 교향악과 합창이었다. 교향악은 주관과 객관, 의지와 형식, 넘치는 생과 자기규율 사이의 균형을 의미하는 것이었으며 작위로서의 서양음악을 가장 잘 표현하는 것이었다. 이런 점에서 근대 음악적 주체를 창출하는 가장 적절한 수단으로서 김관은 교향악과 합창의 보급을 주장했다. 교향악과 합창은 근대 음악적 주체의 창출에만 기여하는 것은 아니고 근대적 주체 창출로도 이어진다. 교향악단의 조직원리는 근대사회의 조직원리와 내면적인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이러한 근대 음악적 주체 및 근대적 주체의 창출은 교향악을 매개로 하여 일본 제국의 국민 호명ㆍ동원과 접속한다. 그 접점은 교향악과 합창운동이었다. 김관은 교향악을 국가조직에 비유함으로써 이러한 접속을 논리화했다. 이것은 서양근대음악의 양식 자체에 테크놀로지로서의 기능이 있고 서양근대음악회 자체에 제의적 기능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었다. 1940년대 전반기의 음악 상황은 이 점을 잘 보여주는데, 이 시기 서양근대음악은 일본 제국의 통제와 동원의 선두에 서서 그것을 주도하기에 이른다.

      • KCI등재후보

        일제 말기 재난에 대한 생산력주의/생산주의의 대응

        윤대석 구보학회 2014 구보학보 Vol.0 No.10

        This thesis tries to analyze the disaster discourse under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through the distinctive notion between productivism and productivitism. In the end of Japanese colonial era convertive communists paid attention to the problem of production deducted by omitting the relationship from the productive mode which is composed of productive relation and productive capacity. Productivism praised the productive increase because it adopted the contradiction between nature and human instead of the contradiction of productive relation. This emphasis on the mental strength sympathized the Japanese imperialism which asserted to overcome materialism of the Occident by mental of Japan and Orient. On the contrary productivitism thought the war and disaster as an opportunity to reconstruct the productive structure and social structure and it tried to remove the irrationality in production and society which disturbed the extension of productive capacity. Park Chi-u, Korean philosophor diagnosed the cause of disaster and proposed the measures to overcome the disaster on this productivitism. 이 논문은 생산력주의와 생산주의라는 개념을 구별하여 일제 말기에 나타난 재난 담론을 분석하려 했다. 일제 말기 전향 사회주의자들은 생산의 문제에 주목하였는데, 이것은 생산 관계와 생산력이라는 생산 양식의 문제 가운데 관계성을 삭제한 결과 발생한 현상이다. 이 가운데 생산주의는 지주-소작인이라는 생산 관계의 모순 대신 자연과 인간이라는 생산력의 모순을 도입한 것으로서 생산의 증진을 찬양한다. 이는 정신력에 대한 강조로 이어져 일본(동양)의 정신성으로써 서양의 물질성을 극복한다는 일본 제국주의의 논리와 공명하게 된다. 일제 말기에 생산된 생산 소설은 대개 이 범주에서 벗어나지 못하는데, 이것은 <국기 아래서 나는 죽으리>라는 문화 영화를 통해 재난과 결합한다. 여기서 재난은 정신력을 통해 극복해야 하는 생산의 장애물로서 이를 위해 자연과 투쟁하는 농민과 외지 정복을 위해 투쟁하는 병사가 동일 선상에서 이야기된다. 이에 반해 생산력주의는 전쟁과 재난을 생산 구조, 나아가 사회 구조 개혁의계기로 파악하는 것으로서 생산력 신장에 방해가 되는 생산과 사회에서의 비합리주의를 제거하려는 노력으로 드러난다. 박치우는 이러한 논리에 입각하여 재난을 사고하고 그에 대한 대비책을 제시했다.

      • KCI등재

        21세기 한국 소설에서의 만주

        윤대석 한국현대소설학회 2014 현대소설연구 Vol.- No.55

        This article aims to clear up a common feature between the studies on the Manchuria in 2000``s and Kim Yeon-soo``s novel, The Night Sings(2008). The former have suggested that there were complicated desire beyond the dichotomy of anti-Japanese and pro-Japanese in Korean of Manchuria. This desire was transnational and postcolonial. The latter shows the same desire by describing Minsaengdan Affair. In The Night Sings appear two groups of people that collide each other, but they are accord in the awareness that Manchuria is alternative society. They exercise Rechtsetzend Gewalt to establish the nation-state which they want. Reformative Japanese tries to establish the nation-state that could not exist in Japan. Korean nationalists tries to establish the their own nation-state in which Korean people can make a comfortable living. But these two adversarial groups are accord in the awareness that the nation-state is always the good.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nother group to cross the nation and colony by exercising the pure for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