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장애아동의 손아래 형제자매가 지닌 장애인관에 대한 질적 연구

        엄진명,전혜인 이화여자대학교 특수교육연구소 2014 특수교육 Vol.13 No.1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examine the view points of the non-disabled who have the elder siblings with disabilities and to find out the right directions of Korean children with disabilities’s family support and welfare policies. The research subjects are 7 non-disabled brothers or sisters of the students with disabilities who go to special schools in Dae Jeon Metropolitan City. The subject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which are both elementary school students of lower classes and of higher classes. And then, the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for the student subjects. The results of the collected materials analysed qualitatively; themes like (1)beings who they want to hide, (2)precious beings, (3)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4)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nd 10 subsidiary themes were drawn. According to the 4 themes, there are differences in viewing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nd the view points of the students of lower classes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he students of higher classes. As for the individual view points,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high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beings who break their heart’. As a family, both the higher class students and the lower class students view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s ‘precious beings’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Lastly,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The higher class students feel that their brothers or sisters with disabilities are ‘beings who they want to hide’ and ‘beings who they think need their help’. However, as for the social view points of the lower class students, they aren’t aware of anything. Which direction family support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should take, based on the research findings, was discussed in this thesis. 본 연구는 장애아동을 손위 형제로 둔 비장애 형제자매의 장애인관에 알아보고, 우리나라 장애아동 가족지원과 복지정책이 지향해야 할 바를 모색해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대전광역시 소재 특수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들의 비장애 형제자매 중 7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 그룹으로 나누어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질적 분석한 결과 (1) 감추고 싶은 존재, (2) 소중한 존재, (3) 도움이 필요한 존재, (4) 가슴 아픈 존재로 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4개의 주제를 살펴보면 개인, 가족, 사회 내에서 장애형제를 바라보는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으며, 초등학교 저학년과 고학년에서도 장애인관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개인적 관점에서는 장애형제를 ‘감추고 싶은 존재’로, 고학년의 경우 ‘가슴 아픈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으며, 가정 내에서는 저․고학년 모두 ‘소중한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바라보고 있었다.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관점은 초등학교 고학년의 경우 ‘감추고 싶은 존재’, ‘도움이 필요한 존재’로 느끼고 있었으나, 초등학교 저학년의 경우 사회에서 바라보는 장애형제에 대한 인식은 하지 못하고 있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장애아동 가족지원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 KCI등재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관한 국내 연구 문헌 분석

        엄진명,이필상 한국특수교육교과교육학회 2016 특수교육교과교육연구 Vol.9 No.2

        This study made an analysis of 35 treatises as well as the theses and dissertations in the domestic journals to look over the characteristics about the literac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nd the study is focused mainly on the overall features of the review of the literac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eir literacy development characteristics and the variables related to their literacy development.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results. Firstly, All of these theses have been published since 2007 and the studies about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have the highest proportion. Secondly, The results obtained after looking over the characteristics about the literac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showed that they had lower performance in the abilities such as phonological awareness, decoding, reading fluency and spelling when they were kindergarten children or younge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and then their abilities improved as they got older. And this study showed that the children of multiculcural families had difficulties in both reading comprehension ability and writing fluency ability regardless of grade and it also showed the younger elementary students lack the morphological phase of their composition skills and the older elementary students lack the contextual phase of their composition skills. Thirdly, the variables related to their literacy development are related to their mother, the phonological awareness of the students, vocabulary, cognitive language skills, word inference ability and the academic index. To conclude, this research provides directions needed for the early suppor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literacy development. It also includes the continuous support for the school age literacy development. 본 연구는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관한 특성을 살펴보고자 국내 학회지 논문, 학위논문 총 35편을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관한 연구의 전반적 특징,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 특성,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식성 발달에 관한 관련 변인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이들 논문은 2007년 이후에 발표된 것들이며 초등 1~2학년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아동의 초기문식성은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낮은 발달 수준을 보이다가 학년이 올라갈수록 차이가 근소하였으며 정상적인 발달단계를 거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적 문식성 중 읽기의 해독과 읽기 유창성, 철자쓰기는 초등 저학년에서는 비다문화가정 아동에 비해 낮은 수행 수준을 보였으나, 학년이 올라갈수록 비다문화가정 아동과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읽기 이해력, 쓰기 유창성은 학년에 구분 없이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작문은 초등 저학년에서는 형태적 측면이, 고학년에서는 내용적 측면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에 대한 관련 변인으로는 어머니의 한국어 수준․교육경험, 음운규칙별 적용도, 학력, 경제력이었으며, 아동의 음운인식, 어휘력, 인지언어능력, 단어 유추능력, 학력 지수 등이었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조기 문식성 발달 지원과 학령기 문식성 발달에 관한 지속적 지원의 필요성과 방향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융복합 연구를 위한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 및 중재의 국내 연구동향 분석: 2004~2013

        엄진명,윤현숙 한국자폐학회 2015 자폐성 장애연구 Vol.15 No.3

        본 연구는 융복합 연구를 통해 조기 개입의 전반적인 동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2004년부터 2013년 6월까지의 국내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연구들을 대상으로 장애 영유아의 조기 발견 및 조기 중재에 관한 연구물을 분석한 것이다. 추출된 33편은 연도별, 장애 유형, 연령, 연구 분야, 연구 주제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발달지체와 기타 유형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절반 이상을 차지하였으며, 의사소통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발달장애위험영유아, 청각장애를 대상으로 한 연구도 일부 이루어지고 있었다. 장애영유아를 대상으로 한 연구 분야는 특수교육과 관련서비스 분야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장애 영유아 대상 장애유형별 연구 주제는 조기발견을 주제로 한 연구가 조기 중재를 주제로 한 연구에 비해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추후에는 분석이후 현재까지 진행된 최근 2년 동안의 장애 영유아 조기 발견 및 중재 연구가 다양한 학문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학문 분야 간 협력을 기반으로 한 융복합 연구가 활발히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investigated journals from 2004 to the June of 2013 for studying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disabled children. 80 theses in total which were selected for targets of this analysis and they were analysed according to the overall research trends, research types, and research topics. Specially, 33 theses were analysed after dividing them by years, ages, research areas and research topic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show that the average 8 related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annually in recent 10 years and this sort of trend has revolved around special education and its related service areas.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 to research types show that the literature studies accounted for the highest number of percentage while the research about the developmental characteristics accounted for the lowest percentage. This research concludes that the research on the early detection and intervention of disabled children should be done in various academic areas and researches based on trans disciplinary team approach are needed according to interagency cooperation.

      • KCI등재

        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을 겪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해력 발달에 관한 초등학교 일반교사의 인식 연구

        엄진명,이필상 한국통합교육학회 2016 통합교육연구 Vol.11 No.2

        This study was carried out targeting the homeroom teachers of the first and second graders who have experienced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The research on what the literac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like and what the teachers should know about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children’s literacy developmental aspects were examined through the in-depth interviews. The subjects for the study were 7 teachers who are working for the elementary schools of Group K which are located in South Chungcheong Province. The data collection for the research was based on Seidman’s In-depth Interviewing and analyzed with the constant comparative method. The results of the qualitative data analysis were listed as follows; Titles such as (1) Like peers (2) Like KSL young learners (3) parental care and support (4) children’s willingness and attitude. This study showed that the teachers recognize that the literacy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who have experienced the language developmental delay developed like that of their peers and KSL young learners did. The study also showed that the teachers recognize that the important factors that affect the literac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are 'parental care and support’ and ‘children’s willingness and attitude. In conclusion, what should be aimed for the literacy development of the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is discussed on the basis of the results of the study. 본 연구는 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을 겪은 초등 1~2학년 다문화가정 학생을 지도한 경험이 있는 초등학교 일반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해력 발달과 문해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심층면담을 통해 살펴보았다. 충청남도 K군 초등학교에 재직 중인 교사 7명을 대상으로 Seidman(2006)의 심층면담 방식에 기초하여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지속적 비교법(constant comparattive method)으로 분석하였다. 질적 분석 결과, (1) 또래 아이들처럼, (2) KSL 아동 학습자처럼, (3) 부모의 관심과 지원, (4) 아동의 의지와 태도 라는 4개의 주제와 10개의 부주제가 도출되었다. 4개의 주제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유아기 언어발달지연을 겪은 다문화가정 학생의 문해력이 ‘또래 아이들처럼’, ‘KSL 아동 학습자처럼’발달하는 것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부모의 관심과 지원’, ‘아동의 의지와 태도’를 문해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즉, 언어발달지연으로 언어발달지원서비스를 받은 대부분의 학생들은 ‘또래 아이들처럼’ 학년에 맞게 읽기, 쓰기를 배우고 있었으며, 다문화가정 학생이라고 해서 특별히 다른 특징을 보이지 않았으나, 일부 학생은 ‘KSL 아동 학습자처럼’자․모음 조합부터 읽기이해에 이르기까지 문해력 발달에 심각한 어려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문화가정 아동의 문해력 발달을 위해 지향해야 할 바를 논의하였다.

      •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정신지체아동의 어휘 습득에 미치는 효과

        엄진명,이필상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학회 2012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Vol.3 No.2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effects of singing through Body Expression Activities(BEA)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acquisition of both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The subjects were 14 mentally retarded children, who were divided equally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mparative group. A singing program along with BEA was applied to the experimental group, while the comparative group dealt with just a singing program. The results are as follows: BEA had a positive effect in improving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but statistically it didn't show an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This indicates that BEA(an independent factor) is not a decisive factor in the improvement of mentally retarded children's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a subjective factor). Even though they took different programs, both groups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receptive and expressive vocabulary. It implies the singing program applied to both groups was effective to mentally retarded children in acquiring vocabulary. These results showed there were not ‘statistically’ any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the effects of the two programs on mentally retarded children's acquisition of vocabulary. In other words, BE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but didn't act as an influential factor. Consequently the basic level of BEA used in this thesis seems to work as a factor to boost children's interest and participation, irrespective of the acquisition of vocabulary. 본 연구는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가 정신지체아동의 수용 및 표현 어휘 습득에 미치는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정신지체아동 14명을 각각 7명씩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으로 나누어 실험집단에는 신체표현활동을 이용한 노래부르기 프로그램, 비교 집단에는 노래부르기프로그램을 각각 적용하였다. 연구결과, 신체표현활동은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력을 향상시키는데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나 통계적으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는 않았다. 이러한결과는 신체표현활동이라는 독립변인이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력 향상이라는 종속변인에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작용하지 못한다는 것임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각각의 프로그램을 적용한 두 집단 모두 수용․표현어휘력의 향상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러한결과는 두 집단에서 공통으로 적용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정신지체아동의 수용․표현어휘 습득에 있어서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 KCI등재후보

        지적장애학생의 유머와 창의적 인성의 특징

        엄진명(Eom Jin myoung),하주현(Hah Ju hyun) 한국창의력교육학회 2014 창의력교육연구 Vol.14 No.3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유머와 창의적 인성의 특징을 알아보고자 한다. 연구대상은 충남지역 고등학교 재학 중인 만 16-18세의 학생들로, 한국웩슬러지능검사 결과 IQ 45-70, 지적장애 2-3급인 학생들이며, 자신의 의견을 음성언어로 표현할 수 있을 정도의 언어능력을 지닌 7명의 학생들이다. 연구절차는 학생을 대상으로 유머스타일척도(CHSQ) 작성과 그룹 인터뷰, 교사를 대상으로 KEDI 교사용 창의적 인성 평정 체크리스트 작성과 교사인터뷰를 하였으며, 인터뷰 내용을 전사하여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유머 특징으로는 부적응적 유머스타일보다 적응적 유머스타일이 더 우세하였으며, 학생별 강점 유머 유형은 관계적 유머 유형으로 나타났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창의적 인성은 대부분 백분위 30이하에 속하여 낮은 창의적 인성점수를 보였으며, 창의적 인성요인 중 제1 우세요인으로는 '위험감수', 제 2우세요인으로는 '사고의 개방성'과 '심미성'으로 나타났다. 후속연구로는 지적장애학생의 유머 특성과 또래관계의 관련성, 지적장애학생들의 창의적 인성 우세 요인이 비장애학생들의 우세 요인과의 차이의 원인에 관한 연구를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humor trends and creative personalities of the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ven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of the ages between 16 and 18 are investigated in the study. They are the students whose IQs are between 45 and 70 according to the results of Korean Wechsler Intelligence Scale, WIS and the students whose intellectual disabilities levels are 2 and 3. The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to fill out CHSQ and conduct a group interview for the students, to fill out the teacher's creativity evaluation check list and conduct an interview for the teachers and to transcribe and perform a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interview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as the humor trends of the students, adaptive humor trends predominated over disadaptive humor trends. Related humor type revealed as a strong humor type according to each individual. Second, as the creativity features of the students, the results of KEDI, the teacher's creative evaluation check list belonged to a low level creativity phase and belonged to below 30 %. The first predominant feature of creativity features is 'Being Ready for Suffer', The second predominant features are 'Openness of Thought' and 'Beauty Appreciatio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