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민주적 학교문화 요인과 학교효과성 요인 간 구조분석

        엄준용(Uhm Joon Yong),박균열(Park Kyun Yeal),주영효(Joo Young Hyeo),정주영(Jung Joo Young)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6 敎育問題硏究 Vol.29 No.4

        본 연구는 서울교육종단연구에서 제공하는 5차년도 종단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Amos 18.0을 사용하여 서울지역 중·고에서의 형성된 민주적 학교문화의 현 위치를 진단해 보고, 민주적 학교문화가 학교효과성과 어떠한 관계에 있는지, 학교조직의 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실천적 과제는 무엇인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민주적 교육문화와 학교효과성에 해당하는 요인과 문항을 중심으로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과 민주적 교육문화와 학교효과성 간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 교사, 학생 모형에서 구성원 간 관계 변인은 학교효과성에 전반적으로 정적인 영향을 주었고, 학교 구성원들의 교내 활동 참여는 학교효과성에 정적인 효과를 주었으며, 학교 근무 여건 관련 변인은 교사들의 학교만족도, 직무만족도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본 연구는 상술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교 조직의 지속가능한 발전의 토대가 되는 사회적 자본 증진, 학교 구성원의 교내 활동 참여 증진을 위해서는 학교장 리더십 실행, 행정업무 경감을 위한 교육행정 당국의 유기적 협조와 노력, 학교단위 전문가학습공동체 형성 및 활성화 등을 논의 및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democratic school culture on the school effectiveness, using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SELS].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this research reviewed theoretical studies and reported evidence on the relationships between research factors regarding a school culture and effective- and [or] successful- schools. The results of the study provided by the AMOS program revealed that 1) the relationships among school members positively influenced the factors of the school effectiveness, 2) student and teacher engagement in schooling also significantly influenced school effectiveness, 3) working conditions in secondary school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s’ school and job satisfaction as well as teacher professionalism. This study proposed several suggestions and policy implication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KCI등재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경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를 중심으로

        엄준용(Uhm, Joon-Yong),정우진(Jung, Woo-Jin),이준희(Lee, Jun-Hee)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0 敎育問題硏究 Vol.0 No.36

        본 연구는 한국교육행정학회의 학술지인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들을 대상으로 하여 교육정책평가의 연구 경향을 분석하고 향후 연구 과제를 제안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1983년(창간호)부터 2009년 12월 현재(27권 4호)까지 「교육행정학연구」에 게재된 논문 1,021편 가운데 정책평가 관련되어 있다고 판단되는 87편의 논문들을 선정하여 연구의 목적,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 연구수준 및 대상, 연구방법의 측면에서 교육정책평가 연구의 동향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연구목적의 측면에서는 특정정책의 진단과 개선, 특정정책의 효과나 공과의 검토 등을 목적으로 한 실증적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행재정일반 영역과 학교교육을 포괄하는 영역을 주제로 정책의 진단이나 효과 및 공과, 향후과제를 검토한 연구가 주로 수행되어 왔다. 연구 수준 및 대상의 측면에서 국가수준의 정책프로그램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활발히 수행되었다. 연구방법의 측면에서는 문헌연구와 양적연구의 비중이 높았다.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제안한 향후 정책평가연구의 과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정책평가에 관한 기초이론의 정립이 요구된다. 둘째, 연구 주제영역 및 내용의 측면에서, 정책평가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가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셋째, 질적인 연구방법을 활용한 연구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넷째, 정책평가에 대한 메타평가가 보다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s intended to analyze characteristics of research trends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studies and to suggest tasks for future studies in Korea. For this purpose, 87 among 1,021 articles published in the Journal of Educational Administration from 1983 to 2009 were systematically reviewed and analyzed as to purpose, the main subjects and contents, methodology of studies and level and object of policies,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Most studies are intended for empirical research purposes which focused on the diagnosis and improvement, the effects or the merits and demerits of specific educational policy. Secondly, the main subjects are mainly dealt with administrational and financial area of educational policies, and the contents with the diagnosis, effects or merits and demerits and tasks of educational policies Thirdly, the level and object of policies(of studies) are located on the policy programs in the National level. Fourthly, lots of studies are based on literatural studies and quantitative methods. The results suggested tasks of stud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It is necessary ① to establish the ground theory for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② to activate studies about utilization of the result of educational policy evaluation, ③ to activate studies whice used quantitative methods and ④ to use the meta-evaluation for educational policy.

      • KCI등재

        핀란드의 평생학습체제: 한국의 NHRD 정책에 주는 시사

        엄준용 ( Joon Yong Uhm ),주휘정 ( Hui Jung Chu ) 한국인력개발학회 2009 HRD연구 Vol.11 No.1

        이 연구는 핀란드의 평생학습체제에서 국가, 사회, 민간(시장) 부문의 역할들을 분석하고 그것이 한국의 NHRD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에서는 문헌 및 관련 자료들을 바탕으로 핀란드의 평생학습 체제 주요 구성원인 국가, 시민사회, 시장 부문이 정책추진과정에서 어떠한 역할을 하고 서로 어떻게 상호작용하는가를 분석하였고, 이것이 한국의 NHRD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핀란드의 평생학습체제가 한국의 NHRD 정책에 주는 시사점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차원의 교육정책을 통합한 것으로써 평생학습 정책이 수립되어야 한다. 핀란드의 평생학습은 생애단계의 모든 교육을 하나의 전체적인 시스템으로 보고 각 단계들간의 연계를 중요시하고 있다. 이전 단계는 이후 단계 학습의 원동력으로 작용한다는 연결된 관점에서 교육시스템 전반을 통합하여 구성하고 있고, 이러한 통합적 관점에서 다양하고 유연한 교육시스템을 창출해 낼 필요가 있다. 둘째, 정부와 지자체간 실질적인 추진체제를 마련하여야 한다. 핀란드는 국가의 평생학습을 총괄적으로 다룰 수 있는 행정체제를 구성하는데 노력을 기울여왔다. 한국의 평생학습정책 추진체제는 학교교육과 성인교육을 연계를 통해 명실공히 `총체적 교육체제`로서 평생학습이 추진될 수 있도록 정부-지자체간 그리고 NHRD와 RHRD간 긴밀한 연계체제를 구축하는 것이 요구된다. 셋째, 민주시민 사회 교육의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핀란드의 높은 성인학습참여율의 근저에는 활발한 시민사회 활동 및 자발적 조직활동에 기초한 왕성한 학습활동이 내재해 있다. 주민자치의 학습문화와 사회교육은 실용적인 지식도 배우면서 민주시민의식을 고취하고 민주적 교섭력과 의사소통방식을 함께 배워나갈 수 있는 효과적인 학습조직을 구축할 수 있는 기반이 되며, 민주시민교육을 실천할 수 있는 학습조직의 구축과 이를 지원할 수 있는 정책방안이 NHRD 체제에 반영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유아에서부터 고등직업교육에 이르는 모든 평생학습체제에 대한 장기적이고 통합적인 개혁정책이 요구된다. NHRD plan은 국가차원의 인재양성 정책들의 집합체로서의 한계에서 벗어나 평생학습의 전영역을 포함하고 범국가차원에서 사회적 합의에 따라 수립하는 종합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이 되어야 한다. The study analyzed roles of state, civil society and market in the Finnish lifelong learning system through literature, the Finnish government as well as international organization publications and statistical data. With the intention to seek implications for Korean NHRD policies, the study examined what and how state, civil society and market interacted and collaborated with each other to achieve the lifelong learning system. The implications for Korean NHRD are as follows. First, the lifelong learning policy needs to be established on the basis of integrating various educations. The Finnish lifelong learning emphasizes not only bridges between educations and flows of life span from the perspective that the previous education becomes a driving force for the next one. Second, collaboration and the cooperative system between central and local government is necessary.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hat the collaborative system between NHRD and RHRD and between local and central government. Third, reinforcement of democratic social education is also suggested. The high participation rate in lifelong learning stems from active and voluntary social activities. NHRD policies must contain efforts to establish learning organizations which can improve democratic civil society and develop democratic communications and negotiations. Last, it is essential to carry out long-term and integrative educational reforms. NHRD plan needs to exceed a mere aggregate of educational polices. Rather, it must be collective based on social agreement and long term goal.

      • KCI등재

        DEA를 활용한 대학원의 효율성 분석

        엄준용(Uhm, Joon-Yong)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11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20 No.2

        본 연구는 정보공시제에 의거하여 공개된 자료를 토대로 일반대학원의 효율성 평가에 적합한 투입 및 산출 변수를 설정하고, 이를 기초로 DEA기법을 활용하여 우리나라 일반대학원의 효율성을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131개 일반대학원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선행연구의 결과와 상관 및 회귀분석 결과를 토대로 하여, 투입변수로는 전임교원1인당학생수, 전임교원강의비율, 학생1인당장서수, 교수1인당연구비, 재학생1인당장학금 등 5개 변수를, 산출변수로는 취업률과 연구실적 등 2개 변수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에는 EMS 1.3 프로그램, Excel 2003, SPSS 15.0 프로그램이 사용되었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전체 일반대학원의 효율성 수준을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대학원의 약 54~58% 정도가 비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대학원의 특성 변인인 설립, 소재지, 규모에 따라 효율성 값에는 차이가 있는지 분석한 결과, 규모에 따른 효율성 점수(대규모<중규모<소규모)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효율적인 대학원의 특성을 분석하기 위하여 준거집단과 참조횟수가 높은 효율적 대학원에 대한 분석을 실시한 결과, 투입변수로는 전임교원1인당학생수와 전임교원강의담당비율이, 산출변수로는 연구실적의 기여도가 다른 변수들에 비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비효율적인 대학원의 특징과 비효율의 원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효율성 상위 10%와 하위 10% 대학원간 투입 및 산출변수별 평균을 비교한 결과, 효율적인 대학원은 비효율적인 대학원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적은 인적, 물적 자원을 투입하면서도 더 높은 취업률과 연구실적을 올리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모형에 따라 투입된 4~5개의 변수 대부분과 취업률이 비효율적인 대학원 운영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가장 효율성 점수가 낮은 대학원을 6개 선정하여, 이들 대학원의 효율성 개선을 위한 투입 및 산출변수별 목표치 및 조정비율의 예시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 efficiency of the graduate schools in Korea using DEA(Data Envelopment Analysis) which is useful non-parametric method to evaluate the relative efficiency of a set of Decision-Making Units(DMUs) with multiple inputs and outputs. Reviewing related literatures, the concept of efficiency and the applicability of DEA were investigated thoroughly. The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addressed in the study; ① What is the distribution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② Is there the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when analyzed by characteristics(foundation, location, and scale) of the graduate schools? ③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efficient graduate schools? ④ What is the characteristics of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and How can the cause of inefficiency in them be improved?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some similar distribution was found between efficient and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in Korea. About 54~58% of all Korean graduate schools are required to improve the efficiency. Seco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efficiency scores depending on characteristics of the graduate schools such as foundation and location,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cores depending on scale. When the scale was smaller, the score was higher. Third, efficient graduate schools showed higher outputs with smaller inputs. The most important input variables are the number of graduate student per professor and the retention rate of professor. Also, the core output variable among efficient graduate schools was the research performance. Finally, inefficient graduate schools showed lower output with bigger input in most variables. This study provided each inefficient graduate school with potential improvement and modification rate were provided. This study can provide substantial guidance for improving the efficiency of graduate schools through identifying problematic areas within the input factors. In spite of the limitation in research design, the overall results and suggestions would contribute to the research, practice, and policy for improvement of efficiency of Korean graduate schools.

      • KCI등재

        중등학교에서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의 구조적 관계

        이형주 ( Lee Hyong Joo ),엄준용 ( Uhm Joon Yong ) 안암교육학회 2019 한국교육학연구 Vol.25 No.2

        본 연구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 간 구조적 관계를 밝히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교사임파워먼트 및 학교장신뢰의 매개효과를 규명하여 학교조직효과성을 제고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에 대한 검토를 바탕으로 4개의 변인으로 구성된 구조방정식 모형을 설정하고, 경기도 내의 중ㆍ고등학교 교사를 대상으로한 설문조사를 통해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은 교사임파워먼트, 학교장 신뢰, 학교조직효과성에 영향을 미친다.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이 학교 현장에서 잘 발휘되면 학교장신뢰와 교사임파워먼트가 높아져 결국 학교조직효과성이 증대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과 학교조직효과성과의 관계에서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는 부분적인 매개효과가 있었다. 셋째, 매개변수로서 교사임파워먼트는 학교장의 신뢰에 영향을 주지만, 학교장의 신뢰는 교사임파워먼트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한 주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개발 및 확산을 위한 프로그램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둘째, 교사임파워먼트와 학교장신뢰의 증진을 위한 방안이 병행되어야 한다. 셋째, 우리나라의 교육현장에 적용될 수 있는 학교장의 진정성 리더십 척도의 개발이 필요하다. This study was designed to give a hint of educational change and improvement by revealing that the authentic leadership required in the present and future society affects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ultimately the improvement of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by clarify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eachers’ empowerment,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This study is based on the survey carried out on 800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in Gyeonggi-do. Analysis of the data collected in the survey was conduct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s SPSS and AMOS to analyze technical statistics, t-test, ANOVA and frequency, correlation, structural equation model evaluation, and bootstrap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higher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the greater teachers’ empowerment,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Second, the higher teachers’ empowerment and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the mor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will be. Third, if principal’s authentic leadership works well on the site, teachers’ trust in school principal and teachers’ empowerment are increased, which in turn increase school organizational effectiveness.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실습제도 개선에 관한 인식 및 요구 조사 : 실습전후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엄미리(Eom, Mi Ri),엄준용(Uhm,Joon Yong) 한국인적자원관리학회 2010 인적자원관리연구 Vol.1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예비교사들의 실습 전·후 인식변화를 통해 교육실습 실태와 예비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해 봄으로써 교육실습의 체계적인 운영에 도움을 주고,교육실습의 효과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교육행정 및 교육경영","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교육실습" 과목을 수강하는 서울,경기,강원지역의 예비교사들을 대상으로 교육실습 전·후 2차례에 걸쳐 인식 및 요구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은 교육실습 관련 4개 영역(교육실습제도의 운영 측면,교육실습 목적과 준비도 측면, 교직 및 교육실습 교육과정의 유용성 측면,교육실습에 대한 개선 및 요구 측면)의 25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예비교사들의 교육실습 전·후 인식 변화를 측정하고 실제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SPSS 12.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별로 빈도분석과 t-test, x²검증이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예비교사들은 ① 교육실습제도의 운영의 측면에서 교육실습기간의 연장과 교육실습 배당학점의 증가를,② 교육실습의 목적과 준비도 측면에서 교육과정과 운영에 있어 대학과 실습학교간 긴밀한 연계와 효과적인 협업을,③ 교직 및 교육실습교육과정의 유용성 측면에서 이론교육못지않게 실제적인 지식과 기술(skill)에 대한 교육 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러한 요구들을 바탕으로 볼 때,현재의 교육실습프로그램은 많은 개선요구들이 존재하고 있으며,장기적인 관점에서 대학에서의 이론교육과 현장에서의 실습교육이 보다 긴밀하게 연계되고,현재보다는 좀 더 체계적인 교육실습프로그램이 개발되고 운영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condition of teaching practicum by considering the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and furthermore, investigate into their needs, which aims to ensure and stimulate systematic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This study has four issues of research: (1)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peration of teaching practicum system, (2)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achievement of goal and readiness of the teaching practicum system, (3)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change in the perception of pre-service teachers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in relation to the usefulness of a course of study for the teaching profession and teaching practicum, (4) it is as to whether there is any aspect to improvements or needs for improvement from the standpoint of systematic operation and stimulation of teaching practicum. To determine the aforesaid, the conclusion was drawn by conducting the survey twice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based on Questionnaires.

      • KCI등재
      • KCI등재

        교육정책의 정당성 제고의 방향과 과제 -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

        조흥순(Cho, HeungSoon),엄준용(Uhm, Joon-Yo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22

        이 연구는 최근 교육정책의 잦은 변경과 정치적 갈등의 원인을 교육정책의 정당성 위기 문제로 보고,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을 중심으로 교육정책의 정당성 제고의 방향과 과제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정책의 정당성과 그 원천으로서의 합리성의 개념과 다양한 관점을 논구한 다음 Habermas의 의사소통적 합리성 이론을 고찰하였다. 이어 교육정책의 특수성과 우리나라 교육정책과정에서 나타나고 있는 합리성의 문제를 논의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정책의 정당성 제고를 위한 방향과 과제들을 도출하였다. 교육정책의 정당성 제고를 위한 향후 과제로 1) 공론의 과정과 절차의 제도화, 2) 정책문제의 정의단계에서부터 논증적 공론과정 필요, 3) 공론참여자의 동등한 참여기회와 의사결정권 보장, 4) 비판의 자유 보장, 5) 교육정책의 공론 업무를 (가칭)국가교육위원회의 주요 업무로 삼고, 공론 업무에 관한 제반 사항을 명시한 규정을 마련할 것 등을 제안하였다. The study considered frequent changes in educational policy and political conflicts as a matter of urgency, and sought to explore the direction and challenges of education policies centered on the legitimacy of the education policy. To this end, we reviewed various perspectives of the legitimacy of the policy and the concept of rationality, as its source, and communicative rationality theory of Habermas. And discussing the specificity of the education policy and the problems of the rationality of the education policy in Korea, we derived the direction and tasks of the education policy. Based on these discussions, the tasks to improve the legitimacy of the education policy are as follows; 1) the government system and institution to establish process and procedure for deliberation of public opinion, 2) free and open argument for public opinion in defining policy problems, 3) ensuring equal opportunities and decision-making rights for participants in deliberation process of public opinion, 4) ensuring freedom of criticism 5) assigning (Tentatively named) National Council of Education the tasks of deliberation of public opinion and establishing relevant regul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