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

        양일호(Ilho Yang),최하나(Hana Cho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4

        목적 이 연구는 시선 이동 모델링 예제(EMME)가 초등학생들의 그림자 개념 형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방법 그림자 형성을 위한 개념 학습용 EMME를 제작하여 초등학교 3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적용하고 사후 검사와 3주 후에 지연검사를 실시하였다. EMME의 적용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통제집단을 선정하여 EMME가 제시되지 않은 동영상 학습을 한 후, 실험집단과 동일한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사후 검사에서는 과제1에서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반면, 과제2와 3에서는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평균의 차이는 있었으나 유의미하진 않았다. 또한 개념 이해도는 두 집단 간에 차이가 없었다. 지연검사에서는 3가지 과제 모두에서 광원에 대한 시선 고정 시간 및 시선 고정 횟수에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개념 이해도에서는 두 집단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결론 EMME가 그림자 개념 형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지만 장기적으로 광원에 대한 시선 주의를 유도하는데 효과적이라고 결론을 내릴 수 있다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ye movement modeling examples (EMME)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adows. Methods An EMME for concept learning in shadow formation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third-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Post-tests were conducted immediately after the application, and delayed tests were conducted three weeks later. To compare the effects of EMME application, a control group was selected and underwent video-based learning without the presentation of EMME. They also underwent the same tests as the experimental group. Results In the post-te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n Task 1. However, in Tasks 2 and 3, although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t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dditionally, there was no difference in concept understanding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delayed tes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otal fixation duration and fixation count for the light source in all three tasks. Furthermor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conceptual understanding. Conclusions Although EMME did not have an impact on the formation of the concept of shadows, it can be concluded that it is effective in inducing long-term gaze attention to the light source.

      • KCI등재후보

        초등과학 영재들의 실험활동에서 나타나는 증거평가에 대한 분석

        양일호(Ilho Yang),임성만(Sungman Lim),윤숙경(Sukkyung Yun) 한국영재교육학회 2010 영재와 영재교육 Vol.9 No.1

        이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 영재 학생들의 실험활동 상황에서 나타나는 증거평가 과정에서 나타는 특성을 분석하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G시 교육청 영재 교육원에 선발된 6학년 학생 20명이었다. 연구는 촛불 관련 과제 2가지와 물질의 부피와 용해에 관한 과제 2가지로 총 4개의 실험을 통해 이루어졌다. 영재학생들의 증거평가 과정의 특성은 실험 전과 후에 이루어진 인터뷰를 통해 생성된 프로토콜을 가지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증거평가 과정의 예상 단계에서 학생들은 다양한 변수를 고려하여 실험결과를 예상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실험 단계에서는 실험 방법에 대한 새로 운 제안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증거평가 단계에서는 실험결과의 경향성을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었으며 결과를 대체적으로 객관적으로 관찰하고 해석하였다. 둘째, 영재학생들의 증거평가 반응유형은 조건적 수용, 무조건적 수용, 거부, 보류의 유형이 모두 나타났으며 일반학생에 비해 무조건적 수용의 비율이 매우 낮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영재학생들의 실험활동 시 요구되는 교수학습 전략을 세우는데 기초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analyze the type and process of response and the features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 that was given in the evidence evaluation process of science laboratory activities. The subject was 20 students at six grade who selected in the center of gifted education' in G city office of education and tasks were given to them. There were two kind of candlelight tasks and two kind of tasks about solution and volumes of substance. The type and process of response and the features were analyzed in protocol produced on intervie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some features were founded through the evidence evaluation. Students often expected considering variables at expecting level and they changed their expectations in process of interview in some cases. Also, in experiment level, they suggested new method of experiment. In evidence evaluation level, they laid emphasis on tendency they accepted the results of experiment. They observed result of experiment in a detached way. Second, types of response of evidence evaluation were founded conditional acceptance, unconditional acceptance, rejection and abeyance. In this study there were suggested some features about evidence evaluation of gif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It expected that results of this study form the foundation of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 KCI등재

        생물학자의 탐구에 기반한 메커니즘 추론 모델 개발

        정선희 ( Sunhee Jeong ),양일호 ( Ilho Yang ) 한국과학교육학회 2018 한국과학교육학회지 Vol.38 No.5

        이 연구의 목적은 파브르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메커니즘 추론을 분석하고, 분석 결과에 기반하여 메커니즘 추론 모델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Russ 등(2008)의 분석틀을 수정 보완한 메커니즘추론 분석틀로 『파브르 곤충기 1∼10』 가운데 추론요소가 등장하는 30개의 챕터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파브르의 탐구 과정에서 나타난 메커니즘 추론의 하위 과정 요소는 선지식확인, 대상속성확인, 시작조건확인, 활동확인 등의 과정이 반복적으로 일어났다. 뿐만 아니라 이 메커니즘 추론의 과정 요소들의 순서는 탐구 주제, 의문 유형, 선지식이나 주어진 상황 등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으며, 비선형적이고 반복적인 형태로 나타났다. 둘째, 메커니즘 추론의 과정 요소가 나타난 순서에 기반하여 메커니즘 추론 모델을 개발하였다. 파브르의 탐구 과정 분석을 통해 제안되는 메커니즘 추론 모델은 실체확인형 메커니즘 추론 모델(MIE), 활동확인형 메커니즘 추론 모델(MIA), 실체속성확인형 메커니즘 추론 모델(MIP) 3가지였다. 이러한 결과는 인과 메커니즘을 밝히고자 하는 탐구를 수행하는 학생들에게 교사가 Why뿐만 아니라 How, If, What과 같은 다양한 발문을 통해 탐구를 진행하도록 유도할 수 있음을 시사해준다. 또한 교사는 자연 현상의 기저에 존재하는 여러 실체들을 인식하는 메커니즘적 이해가 요구되며 학생들에게 다양한 가설을 생성하도록 하는 기회를 제공해야함을 시사해 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mechanistic reasoning in Fabre’s inquires and to develop mechanistic reasoning model. To analyze the order of the process elements in mechanistic reasoning, 30 chapters were selected in book. Inquiries were analyzed through a framework which is based on Russ et al. (2008). The nine process elements of mechanistic reasoning that was presented in Fabre’s inquires were as follows: Describing the Target Phenomenon, Identifying prior Knowledge, Identifying Properties of Objects, Identifying Setup Conditions, Identifying Activities, Conjecturing Entities, Identifying Properties of Entities, Identifying Entities, and Organization of Entities. The order of process elements of mechanistic reasoning was affected by inquiry’s subject, types of question, prior knowledge and situation. Three mechanistic reasoning models based on the process elements of mechanistic reasoning were developed: Mechanistic reasoning model for Identifying Entities(MIE), Mechanistic reasoning model for Identifying Activities(MIA), and Mechanistic reasoning model for Identifying Properties of entities (MIP). Science teacher can help students to use the questions of not only “why” but also “How”, “If”, “What”, when students identify entities or generate hypotheses. Also science teacher should be required to understand mechanistic reasoning to give students opportunities to generate diverse hypotheses. If students can’t conjecture entities easily, MIA and MIP would be helpful for students.

      • 초등학교 교사들의 과학과 수행평가 실시 현황 및 요구 분석

        신정윤 ( Jungyun Shin ),유선아 ( Suna Ryu ),양일호 ( Ilho Yang ) 한국교원대학교 과학교육연구소 2016 청람과학교육연구논총 Vol.22 No.2

        본 연구는 과학과 수행평가 자료 개발에 대한 방향성을 설정하기 위해 초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의 실시 현황 및 수행평가 자료 개발에 대한 교사들의 요구를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교사 203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으며, 설문문항은 총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연구 결과 교사들은 초등학교 과학과 수행평가 제작과정에서 기존에 제작된 문항에 많이 의존하고 있으며, 평가 문항의 다양성 부족과 체계적으로 평가하는 방법의 부재 등을 문제점으로 느끼고 있었다. 개발될 과학과 수행평가 자료에 관해서는 기존의 차시별 평가보다는 주제별평가에 대한 요구도가 높았으며, 학생의 탐구 과정을 평가할 수 있는 문항을 필요로 했다. 특히 명확한 평가 기준, 평가 후 피드백과 관련된 측면이 강화된 평가 자료가 개발되기를 원하였다. 과학과 수행평가 자료의 현장 활용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양한 학습 과정을 평가하는 탐구 중심의 주제별 수행평가가 개발되어야 한다. 이와 더불어 수행평가 기준에 대한 명확한 가이드와 예시자료, 평가 결과에 따른 적절한 피드백예시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teachers` needs and utilization of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203 elementary school teachers and the questionnaire used for this stduy consisted of 8 item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at teachers rely on existing items when developing assessment items. They feel lack of diversity and systematic evaluation method about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items. As for the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to be developed, they required a thematic evaluation rather than an as existing one. Especially they required science performance assessment materials with clear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ion feedback. To improve science performance assesment, materials which assess students` learning process and emphasize students` inquiry skills need to be developed and distributed. Also clear guidelines and examples for evaluation criteria and feedback should be provid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