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체험된 현상학적 공간 표현으로서의 모바일 지오드로잉 연구 - 위치 기반 사진적 행위에 기초한 본인작품 <Surroundings> 중심으로 -

        양윤아,남양희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The term ‘geodrawing’ indicates a kind of media art attempting aesthetic expression using the records of mobile location data. Existing geodrawing works mostly focus on moving in space and thus end up portraying ‘line’ as an objectified trajectory while ignoring person’s specific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at, this paper investigates artistic expression on phenomenological spatiality that emphasizes the ‘placeness’ of subjective experience formed by user’s voluntary behavior at some place. We first analyzes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space in terms of place, time, and mood, and as the result, smartphone camera based ‘photographic act’ is pointed out as person’s important, phenomenologically meaningful experience of placeness. Based on that, we propose a novel geodrawing work <Surroundings> where a ‘vertex’ reflects user’s photographic act at some place, and gradient color transformation between points reveals spatio-temporal and mood flow. The final output of our geodrawing constructs a polygon of ‘one day’ by connecting the points signifying spatial indices, and an overlapping shape of polygons representing several ‘one day’s is shown to the viewer who was the originator as well. As the result, this paper presents unprecedented kind of phenomenological mobile geodrawing art as the trace of human’s intrinsic spatial experience. 지오드로잉은 모바일 위치 데이터 기록을 이용하여 미적인 표현을 시도한 미디어 아트를 가리킨다. 기존의 지오드로잉은 대개 공간에서의 이동에만 초점을 두어 개인의 독특한 관점과 무관한 객관화된 궤적을 ‘선’으로 재현하는 데 그쳤다. 이와 대조하여, 본 논문은 개인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형성된 주관적 체험의 ‘장소성’이 강조되는 현상학적 공간성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 시간, 분위기 면에서 공간이 갖는 현상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 결과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 사진적 행위가 현상학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장소 경험임을 개념화한다. 그런 개념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새로운 방식의 지오드로잉 작품 <Surroundings>를 제안하며, 이는 특정 장소에서의 사진적 행위를 ‘점’의 표현에 반영하고, 장소, 시간, 분위기의 변화를 점을 잇는 선과 면의 그래디언트 색상으로 묘사한다. 최종 작품은 지표가 되는 점들의 연결이 형성한 ‘하루’의 다각형과, 여러 ‘하루’들이 중첩된 다각형들을 창작자이자 감상자에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내재적 공간 경험의 흔적으로서의 현상학적 모바일 지오드로잉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제시한다.

      • KCI등재

        논문 : 체험된 현상학적 공간 표현으로서의 모바일 지오드로잉 연구 -위치 기반 사진적 행위에 기초한 본인작품 <Surroundings> 중심으로-

        양윤아(주저자) ( Yoona Yang ),남양희(교신저자) ( Yanghee Nam ) 디자인융복합학회 2015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4 No.5

        지오드로잉은 모바일 위치 데이터 기록을 이용하여 미적인 표현을 시도한 미디어 아트를 가리킨다. 기존의 지오드로잉은 대개 공간에서의 이동에만 초점을 두어 개인의 독특한 관점과 무관한 객관화된 궤적을 ‘선’으로 재현하는 데 그쳤다. 이와 대조하여, 본 논문은 개인의 자발적 행위에 의해 형성된 주관적 체험의 ‘장소성’이 강조되는 현상학적 공간성에 대한 예술적 표현을 탐색한다. 이를 위해 먼저, 장소, 시간, 분위기 면에서 공간이 갖는 현상학적 의미를 분석하고, 그 결과 스마트폰 카메라 기반 사진적 행위가 현상학적으로 의미 있는 중요한 장소 경험임을 개념화한다. 그런 개념에 기초하여 본 논문은 새로운 방식의 지오드로잉 작품 <Surroundings>를 제안 하며, 이는 특정 장소에서의 사진적 행위를 ‘점’의 표현에 반영하고, 장소, 시간, 분위기의 변화를 점을 잇는 선과 면의 그래디언트 색상으로 묘사한다. 최종 작품은 지표가 되는 점들의 연결이 형성한 ‘하루’의 다각형과, 여러 ‘하루’들이 중첩된 다각형들을 창작자이자 감상자에게 보여준다. 이를 통해 본 논문은 내재적 공간 경험의 흔적으로서의 현상학적 모바일 지오드로잉의 새로운 예술적 표현을 제시한다. The term ‘geodrawing’ indicates a kind of media art attempting aesthetic expression using the records of mobile location data. Existing geodrawing works mostly focus on moving in space and thus end up portraying ‘line’ as an objectified trajectory while ignoring person’s specific perspective. In contrast to that, this paper investigates artistic expression on phenomenological spatiality that emphasizes the ‘placeness’ of subjective experience formed by user’s voluntary behavior at some place. We first analyzes the meaning of phenomenological space in terms of place, time, and mood, and as the result, smartphone camera based ‘photographic act’ is pointed out as person’s important, phenomenologically meaningful experience of placeness. Based on that, we propose a novel geodrawing work <Surroundings> where a ‘vertex’ reflects user’s photographic act at some place, and gradient color transformation between points reveals spatio-temporal and mood flow. The final output of our geodrawing constructs a polygon of ‘one day’ by connecting the points signifying spatial indices, and an overlapping shape of polygons representing several ‘one day’s is shown to the viewer who was the originator as well. As the result, this paper presents unprecedented kind of phenomenological mobile geodrawing art as the trace of human’s intrinsic spatial experience.

      • KCI등재

        Blue Phosphorescent Mono-cyclometalated Iridium(III) Complexes

        함호완,양윤아,김영식 한국물리학회 2010 THE JOURNAL OF THE KOREAN PHYSICAL SOCIETY Vol.57 No.61

        New deep blue phosphorescent iridium(III) complexes comprised of one cyclometalate, two phosphines trans to each other and two cis-ancillary ligands, such as Ir(F2Meppy)(PPh2Me)2(H)(Cl), Ir(F2Meppy)(PPh2Me)2(H)(NCMe)+, and Ir(F2Meppy)(PPh2Me)2(H)(CN), [F2Meppy = 2-(2’, 4’-difluorophenyl)-4-methyl-pyridine] were synthesized and studied to tune the phosphorescence wavelength to the deep blue region and to enhance the luminescence efficiencies. We investigated the strong field effects of ancillary ligands to gain insight into the factors responsible for the emission color change and the different luminescence efficiency. Reducing the molecular weight of the phosphine ligand with PPh2Me leads to more efficient deep-blue 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OLED) by thermal processing instead of through solution processing. The electron-withdrawing difluoro group substituted on the phenyl ring, the electron-donating methyl group on the pyridyl ring, and the cyano strong field ancillary ligand increased the HOMO-LUMO gap and achieved a hypsochromic shift in the emission color. As a result, the maximum emission spectra of Ir(F2Meppy)-(PPh2Me)2(H)(Cl), Ir(F2Meppy)(PPh2Me)2(H)(NCMe)+, and Ir(F2Meppy)(PPh2Me)2-(H)(CN) were in the ranges of 440.5, 437, 436 nm, respectively.

      • SCOPUSSCIEKCI등재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 대한 연구

        김현,태기출,윤아,김상철 대한치과교정학회 1998 대한치과교정학회지 Vol.28 No.5

        법랑질의 표면처리에 따른 광중합형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를 알아보고자 사람 소구치 80개를 선택하여 8개군으로 나누어 전단 결합 강도를 측정하고, 접착 파절의 양상을 평가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37% 인산용액으로 부식한 후 건조상태에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광중합형 레진, 화학중합형 레진으로 각각 부착한 실험군에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 실험군의 전단결합강도는 두 군과 유의한 차가 없었으나 화학중합형 레진군의 그것은 광중합형 레진군에 비해 유의성있게 낮았다 (P<0.05). 2. 37% 인산 실험군, 10% 폴리아크릴산 실험군, 1.23% APF 실험군, 산처리하지 않은 실험군의 습한 상태에서 부착한 글래스아이오노머 시멘트의 전단결합강도에서 산처리하지않은 실험군의 그것이 유의성 있게 낮았으며, 그 외 군간에는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다 (P<0.05). 3. 글래스아이오노머 실험군에서 습기의 존재가 전단결합강도에 유의성 있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P<0.05). 4. 산부식처리를 하지않은 군의 접착제 잔류지수가 가장 낮았으며 37% 인산용액으로 처리한 군의 접착제 잔류지수가 가장 높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the shear bond strength of light cured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surface which treated with 37% phosphoric acid, 10% polyacrylic acid,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and no etching agent. To compare the shear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cement, light-cured composite resin and chemically-cured composite resin were empoloyed as controls. Eight experiments groups were composed. 10 specimens of each group were bonded by metal bracket by tested in universal testing machine for shear bond strength, in stereoscope for adhesive remnants index. The data were evaluated statistically by SPSS/PC+.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Among the groups of 37% phosphoric acid treated and dry and bonded with light cured glass ionomer, light cured composite resin, and chemically cured composite resin, the shear bond strength of glass ionomer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o the others, but the shear bond strength of chemically cured resin showed statistically lower than that of light cured resin (P<0.05). 2. The shear bond strengths of glass ionomer cement to enamel treated group with 1.23% acidulated phosphate fluoride gel and 10% polyacrylic acid and 37% phosphoric acid showed statistically higher than that of no etched enamel group(P<0.05). 3. In the glass ionomer cement, the presence of moisture was not significantly effect to the shear bond strength (P<0.05). 4. After debonding, no etched enamel group showed less residual materials on the enamel surface than the group of enamel etched with 37% phosphoric aci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