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한국계 미국인의 복지개념에 관한 연구 -미국인 및 한국인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양옥경 ( Ok Kyung Yang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센터 2002 이화사회복지연구 Vol.2 No.-

        이 논문은 미국에 이민하여 살고 있는 이민 1세대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개념 및 사회복지태도에 관한 연구이다. 두 가지 목적을 갖고 이 논문은 쓰여졌는데, 하나는 이들이 이민하여 살면서 과연 이들의 사회복지에 대한 시각이 미국인들과 비슷하게 동화되었는가 아니면 한국인과 비슷한가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미국인에 대한 기존의 조사연구 결과와 한국인에 대한 조사연구결과를 비교 분석해보았다. 다른 하나는 이들이 보이고 있는 사회복지에 대한 태도가 어떤 이론에 의해 설명되는지에 관한 것이며, 이를 위해 자기이익이론(self-interested theory)과 수혜가치이론(deservingness theory)를 활용하였다. 미국이민 1세대에 대한 자료는 저자가 미국 미주리주 세인트루이스 거주자를 직접 조사 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미국인에 대한 자료는 미시간대학의 자료 등 기존의 출간된 자료들을 사용하였고, 한국인에 대한 자료는 저자가 서울에서 동일한 설문지를 사용하여 직접 조사한 자료를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미국이민 1세대는 실업보험(우리의 고용보험에 해당)을 가장 낮게 지지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저소득층일수록 공공부조에 대한 지지율이 높았다. 또한 장애노인, 장애아동, 빈곤노인, 빈곤아동, 그리고 장애성인의 순으로 복지의 책임을 지적하고 있었으며, 빈곤한 자가 빈곤을 위한 프로그램을 지지하고 있었다. 이 같은 결과는 미국이민 1세대의 복지에 대한 태도가 노동윤리를 숭상하는 수혜가치이론에 의해 설명된다고 하겠다. 이들의 답변은 한국인보다는 미국인의 답변에 더 가까운 것이었다. 이 결과로 미국이민 1세는 미국문화에 동화되었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paper explores Korean-American`s welfare concept and attitudes toward welfare service programs in comparison with those of U.S. citizens and Korean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see if Korean-American`s perspective on social welfare has been changed or still remains the same as individualistic orientation found in the studies of the `70s. The study proposes that Korean-American`s welfare perspective is explained by self-interest theory or work ethic and deservingness theory; and is different from that of U.S. citizens. Using self-surveyed data of 1999 for Korean-Americans in St. Louis, the propositions were confirmed. When supporting the specific welfare service programs, the self-interest theory and recipient deservingness theory plays a great role. Among all, Unemployment Insurance was the least supported program to Korean-Americans. Low income people supported the means-tested categorical service programs such as SSI, TANF, and Food Stamp. The findings suggest that work ethic is very strong among Korean-Americans in conceptualizing welfare. However, the programs for the poor was supported by the poor. In comparisons with U.S. citizens and Koreans, Korean-Americans showed similar support patterns to U.S. citizens with higher support level in most programs, but somewhat different from Koreans. In conclusion, Korean-Americans still hold their old value of individualistic orientation in relation to social welfare.

      • KCI등재
      • KCI등재
      • KCI등재

        농악의 음악적 구조와 종지 연구 -중요 무형문화재 지정 5대 농악 판굿을 중심으로-

        양옥경 ( Ok Kyung Yang ) 남도민속학회 2010 남도민속연구 Vol.21 No.-

        이 글은 농악의 음악 형식을 연구하기 위한 출발점으로 농악의 음악적 구조와 종지 형태를 분석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연구제한은 현행 전승농악 중 중요 무형문화재로 지정받은 5대 농악 판굿이며, 음악적 짜임새와 음악의 형식단위에서 나타나는 종지의 양태를 도출해내는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중요 무형문화재 지정 5대 농악 판굿을 통해 살펴본 결과, 대개의 농악에는 종지가락이 규정되어 있고, 종지가락으로의 연결체계가 잘 갖춰져 있었다. 또한 5대 농악 판굿 전체에서 종지부를 구성하는 가락과 그들의 순열이 일관되어 있는데, 이는 음악적 통일성을 구축하기 위한 ‘의도적인 종지부’ 활용으로 보인다. 여러 가락의 조합에 의한 긴 길이의 종지형은 타 예술요소보다 음악요소를 중심으로 삼는 농악에서 많이 발견되었다. 판굿의 각 절차굿은 해당 절차의 주제적 가락이 있고, 그 가락은 변형과 반복에 의해 발전되지만, 종지부에 해당하는 가락들은 변형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이 보편적임을 알 수 있었다. 농악의 종지는 매우 치밀한 음악적 계산에 의한 것도 있고, 약속된 체계로 존재하는가 하면, 음악 외의 다른 요소들에 의해 규정되기도 한다. 그 유형에 있어서도 부분의 주제가락 뒤에 규정된 종지가락(맺이가락)을 연결하는 마무리 양태가 있고, 동일한 가락 내에서 리듬적 암시를 활용해 종지에 이르기도 한다. 또한 단일가락이 아닌 2~3개의 가락을 조합하여 긴 종지부를 구현하는 형태도 사용되고 있다. 나아가 농악에서 종지가 가지는 기능을 파악해보면, 단순히 악곡의 부분이나 전체를 마감하는 데 국한 되지 않고 다음과 같이 부가적인 몫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첫째, 선행가락/선행부와 후행가락/후속연주부 사이의 경과구 역할을 하면서 음악 흐름에 귀(모)가 생기지 않도록 기능한다. 둘째, 판굿 전체에 통일성을 부여한다. 셋째, 농악의 음악형식적 구조 단위를 나누는 기준이 된다. The most of cadence of the music in the Nongak promised by musical plan among performers. And they are often decided by other factors. As a result of cadence types are as follows. First, a determined cadence rhythm (Maetyigarak) is connected to the theme Garak(rhythm sets). Second, a certain Garak has a reminiscent rhythm of the cadence. Third, a long length cadence, which of the combination of 2 or 3 Garak, is used as a form of cadence. Analyzing the results of five Nongak Pangut, issued by Important Intangible Cultural Properties, looked through the results, usually with provisions of the peasant and the cadence rhythm, cadence rhythm was well equipped with a connection to the system. In addition, an end to configure the entire Pangut rhythms and their permutations were consistent. This musical end form put to the Nongak is to build unity in the music. The cadence of a long length, due to a combination of several rhythms, were found in the certain Nongak, serve as a center of musical elements than any artistic elements. For each procedure of Pangut have something subjective part(a cycle of rhythm). Deformation and repeating the themes developed by the rhythm, but to put an end to the universal rhythms that are not noticeable variation was found whatsoever. In the Nongak, the functionality of the cadence of the music to finish part or whole is not limited to the following additional shares have. First, it has the role that music is a natural connection in the between the before rhythm part and the following part. Second, it gives unity to the entire Nongak Pangut. Third, It is to be base on dividing the musical unit.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

        양옥경 ( Yang¸ Ok Kyung ),심임숙 ( Sim¸ Im Suk ),심아람 ( Sim¸ A-ra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지각하게 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 어려움이 이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총 31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회귀분석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개인영역에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업무영역에서는 비대면 서비스 등의 기술적인 어려움, 변화에 대한 압박, 그리고 기관환경 영역에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취약한 기관 환경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어려움은 정신건강에 정적 상관성을 보였고, 레질리언스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신건강에는 부적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영역 어려움과 정신건강 사이에서 레질리언스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개인의 어려움은 정신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고, 그들 개인의 어려움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는 간접적으로 정신건강 위험 수준(우울·불안·스트레스)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신건강관리 및 레질리언스 향상의 중요성과 실천적 고려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workers hereafter) due to COVID-19, and to verify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those difficulties on their mental heal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16 workers working in domestic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fter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reviewing the difficulties of the workers due to COVID-19, it was found that a vague fear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ppeared frequently in the personal area, technical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services, etc. and pressure for change appeared frequently in the work area,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vulnerable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ppeared frequently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rea. Second, the difficulties of the work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mental health. Third, resili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workers’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area and their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oregoing was found to be 17.9%.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the difficulties of individual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due to COVID-19 directly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indirectly affected the lowering of the level of mental health risk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 difficulties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f mental health management and resilienc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현전(現傳) 창원 퇴촌농악의 양식적 특징과 전승 의의

        양옥경 ( Yang Ok-kyung ) 한국공연문화학회(구 한국고전희곡학회) 2018 공연문화연구 Vol.0 No.37

        본고는 경상남도 창원 지역에 현전하는 퇴촌농악의 공연 양식적 면모와 성격을 규명하고, 나아가 전승 의의에 대해 논구해 보았다. 창원 퇴촌농악은 마을공동체의 종교적 심성을 바탕으로 제의성이 두드러지는 농악으로 출발하여 근현대 시대 새로이 쌓이기 시작한 대한민국의 경제, 사회, 문화적 토대와 적극적으로 상호작용한 전승사를 가지고 있다. 마을농악은 의식농악, 농사풀이 농악, 마을 연예농악의 세 성격이 종합적으로 나타난다. 현전 퇴촌농악 역시도 의식농악과 마을 연예농악의 성격이 하나의 거시적 구조 안에서 병렬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마을농악 양식이다. 이 농악의 유래와 배경, 목적, 연행양식 등을 종합해 봤을 때 공동 축원 형태의 동제에서 비롯된 의식농악이 본령(本領)이고, ‘퇴촌’이라는 특정 마을을 중심으로 현대사회의 변천 궤도 안에서 다양한 영향요인들과의 상호작용으로 세시-놀이 형태의 연예농악 양식이 확대된 변화를 담지한 농악임이 분명하다. 공동 축원 형태의 의식농악에 속하는 근거는 마을의 형성 배경과 공유하고 있는 전설, 신목(神木)과 동제의 유래 및 전개에 관한 토착민 보전 지식이 이를 뚜렷이 뒷받침하고 있다. 또, 크게 확장된 연예농악 양식은 해방 이후 급속히 전국적으로 번진 ‘대회용 농악 공연 양식’의 출현이 이후의 농악 공연-향유 방식, 농악 학습-전승 방식의 변화와 맞물리면서 전문 농악공연집단 뿐만이 아니라 마을단위 농악대, 일반 시민농악대에 이르기까지 연예성과 전문성을 추구하는 경향과 외부로 부터의 수혈이 맞닿은 변모로 해석이 가능하다. 그 대표적인 예가 퇴촌농악 황일태(보존회장, 설장구)에 의해 연행되는 ‘지신밟기 고사소리’와 치밀한 의도 하에 구성된 것으로 보이는 음악구조이다. 종합적으로, 현전 퇴촌농악 공연양식은 마을농악의 시대적 변천 맥락을 그대로 투사하고 있는, 다시 말해 전통성과 변천성을 동시에 보전한 농악이라고 할 수 있다. The style of performance to contemporary nongak is not fixed in a specific period of time, but in conjunction with the total change in society that has occurred during its long time from traditional society to the modern times.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at the traditional performance art forms that we see and feel today, including nongak, are constantly interacting with the times and are a change in the design that has been shaped in the past. Now, we must get rid of the negative idea that there is some fixed prototype in Nongak. Also, the value and the need for preservation of current Nongak should not be evaluated according to the ‘ pure genealogy of village descent, ’ which was possible only in villages with small population movements long ago. If can get rid of the stereotypes, can greatly expand the view that we read the values of a certain Nongak. Looking away from a few of these traditional fixed perceptions can significantly broaden the view of reading the winning values of some farmers ' songs. In this regard, this report determined the performing style and nature of Changwon's Toichon-noangak through a structural analysis of the Toichonnoangak in contemporary , and discussed the significance of the transmittion of Toichon-noangak . Changwon Toichon Nongak started out as an even-present ritual performance based on the religious nature of the village community and actively exchanged with the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foundations of the Republic of Korea, which began to accumulate in the modern changes. Generally, the performance style of village Nongak has a combination of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ritual, Dure(collective labor), entertainment, and these three functions. Toichon Nongak is also a village Nongak style and in which of ritual nongak and village entertainment nongak are connected in parallel as one in the big total structure. The origin, background, purpose, and style of towing of Toichon noangak demonstrates that the Toichon noangak is originally ceremonial noangak derived from a prayer style of Dongje. Then, various factors influences are interacting with Toichon noangak within the orbit of modern society, such a style of playing, popular nongak, is believed to have undergone an extended change. Overall, Toichon nongak performance style can be called nongak, which maintains traditional customs and it also has the changed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the times of village society.

      • KCI등재

        독거노인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탐색적 연구

        양옥경(Ok Kyung Yang),주소희(So Hee Ju)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2011 정신보건과 사회사업 Vol.37 No.-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자살사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탐색적으로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경기, 대전·충남, 광주·전남, 그리고 대구·경북지역의 저소득층 독거노인을 대상으로 1:1 면접형식의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을 위해 SCL-90-R의 불안, 신체화증상, 우울 중 자살사고 문항들을 포함한 설문지가 사용되었다. 조사결과 419명 독거노인들의 반 이상이 70대로 84.7%가 여성이었으며 초졸의 교육수준을 갖고 있었고 대부분 배우자와의 사별로 인한 독거노인들이었다. 75.2%가 자녀가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거의 만나지 않고 있었고, 10년 이상 혼자 살아온 노인이 69%에 달하였으며, 월수입 60만원 이하의 낮은 경제상태를 유지하고 있었다. 음주는 15%에서 나타나고 있었고 이들의 음주 정도는 주 1회 이상의 잦은 음주(60%)였다. 10.7%가 신체적, 정서적 학대를 경험한 것으로 나타났다. 자살사고는 평균 4.55로 일반인에 비해 현저히 높게 나타났으며,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살펴본 결과 남자에게서, 연령이 높을수록, 경제상태가 나쁘다고 느낄수록, 자녀가 있으나 접촉이 없을 때, 학대를 경험했을 때, 그리고 신체화증상과 불안이 높을수록 자살사고가 높게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중심으로 독거노인의 자살사고와 관련된 다양한 차원에서의 실천적인 대안과 정책적 방안을 제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at the exploratory level the influencing factors to suicidal ideation among low-income single-household elderly population aged 60 and older. The study aimed to see the relationship between suicidal ideation and other factors such as anxiety, somatization, abuse experience, contacts with children, gender, age, and subjective financial situ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nationwide in 2008 with a lengthy questionnaire through 1:1 interview method. For the analysis, the scores of anxiety, somatization, and suicidal ideation questions of depression in SCL-90-R. The data showed that 50% of them were 70`s, 84.7% were female, most of them were widowed. About 75.2% had children but had no contacts. About 70% lived alone for more than 10 years. Alcohol consumption didn`t appear too high with 15%, but among those who drink were heavy drinkers. 10.7% had an experience of any kind of abuse. Suicidal ideation level was 4.55; it is very high with comparison to ordinary population.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vealed that suicidal ideation was effected by gender, age, subject financial situation, contacts with children, abuse experience, anxiety, and somatization. Among those who were male, older, considering their financial situation lower, having no contacts with children although they were around, experiencing abuse, experiencing anxiety, and experiencing somatization showed higher suicidal ideation. Specialized mental health social work programs and services along with policies should be focused on single-household elderly population.

      • KCI등재

        혼외관계를 사유로 하는 이혼에 관한 연구 : 드라마「부부클리닉 : 사랑과 전쟁」의 내용분석을 중심으로

        양옥경(Yang Ok-Kyung),이기연(Lee Ki-Yeon),박지영(Park Ji-Young),이현영(Lee Hyun-Young),김은실(Kim Eun-Sil) 한국사회복지학회 2005 한국사회복지학 Vol.57 No.3

        정서적 유대가 점차 중요시되는 부부관계에서 혼외관계는 부부간 정서적 유대와 신뢰를 흔드는 치명적인 이혼사유가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혼외관계의 상황과 이로 인한 이혼의 현상을 드라마가 어떻게 담고 있는지 내용분석을 하였다. 최초로 이혼을 소재로 다룬 주간 드라마 <부부클리닉: 사랑과 전쟁> 30회분이 분석의 대상이 되었다. 분석결과, 드라마에 등장하는 부부는 혼외관계 자체뿐 아니라 부부관계의 질을 결정하는 정서 및 의사소통 문제가 내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았다. 가부장적인 남편과 의존적인 아내라는 전통적인 부부관계의 설정이 가장 자주 등장하였다. 혼외관계의 대상은 결혼 전 애인이 가장 많았으며, 혼외관계유형으로는 남편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의 파기수단'이나 '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활력추구'가, 아내에게는 '불만족한 결혼생활에서의 일시도피나 유지수단'이 가장 많은 것으로 묘사되고 있었다. 이러한 혼외관계는 부부 모두에게서 '결혼유지기간 6-10년'인 때에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그 동안 사회복지 실천 대상에서 간과되었던 중산층 부부에 대한 사회복지적 재규정 및 새로운 가족개입모형 개발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뿐만 아니라 가족의 일상성을 반영하고 있으며, '환경속 개인'이라는 사회복지의 핵심영역을 묘사하고 있는 '드라마'를 사회복지 연구에서의 대안적 영역이 될 수 있음을 확인하는 등 사회복지적 함의를 도출할 수 있었다.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V drama describes divorce process by the reason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 the drama. To explore this subject, 30 drama synopses delineating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analyzed.<br/> The results revealed that most of the couples had difficulties in emoti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The couples relationship was described traditionally patriarchal: husbands showed their authorities and wives showed dependency on their husbands. The partner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were the lovers before current marriage. The patterns of extramarital relationship included 'intention to look for vitality despite satisfying current marriage' for the husbands and 'intention to avoid dissatisfied current marriage temporally' or 'to maintain marriage despite<br/> dissatisfaction' for the wives. For those who married 6 years and longer, more extramarital relationship was accepted as a terminator of the marriage. And in many cases, the divorce dose not mean to maintain the relationship with extramarital partner but to collapse of trust in partner.<br/> The results imply that the social work needs to be more sensitive to middle-class couple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 problems. This will lead to the development of the social work intervention program for the couples.

      • KCI등재

        『탄력적 부모되기』프로그램의 효과성연구

        양옥경(Yang Ok-Kyung),김연수(Kim Yoen-Soo),권자영(Kwon Ja-Young) 한국사회복지학회 2006 한국사회복지학 Vol.58 No.1

        본 연구에서는 부모역할 수행 능력을 강화하고, 만족감을 증진시키며, 가족관계를 향상하여 가족의 긍정적 기능을 증진할 수 있는 ‘탄력적 부모되기’ 프로그램을 지역사회복지관을 중심으로 적용하여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였다. 프로그램은 주 1회, 매 2시간씩, 총 8회로 실시되었으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은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비교분석을 통해 부모역할 만족도, 양육효능감, 그리고 가족관계 척도를 사용하여 검증되었다. 이를 위해 사전조사, 사후조사, 그리고 종료 3개월 후 추후조사가 각각 실시되었으며,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Rank Test와 Mann-Whitney U Test가 활용되었다. 분석결과 프로그램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대상자들은 부모-자녀관계 만족도, 부모역할에 대한 일반적 만족도, 자녀양육에 대한 효능감과 전반적 양육능력, 학습지도능력, 그리고 가족관계와 가족 간 수용존중능력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로 인해 프로그램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고 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부모역할능력을 강화하고 가족기능을 증진하는 사회복지실천의 도구로서 유용성이 있다고 할 수 있다. This study is about the verification of the effectiveness of 'Resilient Parenting Program' based on Walsh's family resilience approach. The program was developed for strengthening parenting self-efficacy and increasing parent satisfaction and family relation as well. The program was practiced once a week for 8 weeks at the B community service center and each session lasted for 2 hours. The participants of the program were 13 mothers of elementary schools who had a need to increase their parenting skills and satisfaction. Among the 13 participants, 7 of them were arrang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6 of them were included to the control group. The scores of the two groups at the point of pre-test, post-test and follow-up test, 3 months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program, were analysed and compared through the Wilcoxen matched pairs signed rank test and Mann-Whitney U test. The scales adapted in this study were the Parent Satisfaction Scale, the Parenting Self-efficacy Scale, and the Family Relation Scale. As the results of the analyse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f the increases in the area of parent-child relationship satisfaction, general parent satisfaction, parenting self-efficacy, and family relation between the two groups.<br/> In conclusion, the effectiveness and utilization of the program were confirmed. Also, it is verified that the program can be an important tool for strengthening healthy family functioning through the interventions of parents in the field of community based social work practice.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