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코로나19로 인한 어려움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 레질리언스의 매개효과

        양옥경 ( Yang¸ Ok Kyung ),심임숙 ( Sim¸ Im Suk ),심아람 ( Sim¸ A-ram )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21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18 No.3

        본 연구는 코로나19로 인해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지각하게 되는 어려움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그 어려움이 이들의 정신건강에 미치는 영향에서 레질리언스가 매개효과를 갖는가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사회복지시설에 근무하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총 316명을 대상으로 자기보고식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회귀분석 후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어려움을 살펴보면, 개인영역에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 업무영역에서는 비대면 서비스 등의 기술적인 어려움, 변화에 대한 압박, 그리고 기관환경 영역에서는 감염병 관리에 대한 취약한 기관 환경 등에서 높게 나타났다. 둘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어려움은 정신건강에 정적 상관성을 보였고, 레질리언스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정신건강에는 부적상관성을 보였다. 셋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의 개인영역 어려움과 정신건강 사이에서 레질리언스가 부분 매개효과를 보였다. 이에 대한 설명력은 17.9%인 것으로 나타났다. 종합하면, 코로나19로 인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개인의 어려움은 정신건강에 직접적 영향을 주었고, 그들 개인의 어려움과 정신건강 간의 관계에서 레질리언스는 간접적으로 정신건강 위험 수준(우울·불안·스트레스)을 낮추는 데 영향을 미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정신건강관리 및 레질리언스 향상의 중요성과 실천적 고려사항 등을 제안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fficulties perceived by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workers hereafter) due to COVID-19, and to verify whether resilience has a mediating effect in the effects of those difficulties on their mental health. A self-report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16 workers working in domestic social welfare facilities, and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after regression analysis. The major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n reviewing the difficulties of the workers due to COVID-19, it was found that a vague fear of infectious disease management appeared frequently in the personal area, technical difficulties in non-face-to-face services, etc. and pressure for change appeared frequently in the work area, and institutional environments vulnerable in the management of infectious diseases appeared frequently in the institutional environment area. Second, the difficulties of the workers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their mental health. Third, resilience showed a partial mediating effect between the workers’ difficulties in their personal area and their mental health.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foregoing was found to be 17.9%. In summary, it can be said that the difficulties of individual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due to COVID-19 directly affected their mental health, and resilience indirectly affected the lowering of the level of mental health risks (depression, anxiety, and stres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personal difficulties and mental health. Based on these study findings, the importance and practical considerations of mental health management and resilience improvement of social welfare facility workers were suggested.

      • KCI등재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학업 중단한 청소년의 적응과정에 대한 연구

        심임숙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2010 사회복지 실천과 연구 Vol.7 No.-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들의 적응과정을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해 7명의 학업중단 청소년들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 하였고 원 자료는 Strauss와 Corbin(1998)이 개발한 근거이론 연구방법을 활용하여 분석했다. 연구 결과 총 112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이를 32개의 하위범주, 16개의 상위범주로 유목화 할 수 있었다.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학업을 중단한 청소년의 적응과정 패러다임 모형에서 2개의 인과적 조건과 4개의 맥락적 조건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인과적, 맥락적 조건을 통해 나타난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학업 중단한 청소년 적응과정의 중심현상은 '막막한 현실 버팀' 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른 4개의 중재적조건, 3개의 작용·상호작용 조건에 의해 '혼란스러운 미래', 희망찬 미래를 위한 준비'라는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학업 중단한 청소년들의 적응과정을 근거이론 방법을 활용하여 심층적 이해를 구축하면서 그 과정 및 유형을 구체적으로 밝힘으로써 정신건강상의 요인으로 어려움을 겪는 청소년들에 대한 이론 구축 및 정책적, 임상적 개입방향 제시에 그 함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daptation process and experience structure of those adolescent school drop-outs with mental health problems. For that, the investigator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7 adolescents aged 15-19 who were using the mental health center services after experiencing school drop-outs. The Methodology of grounded theory by Strauss and Corbin(1998) was used to analyse the data.. As a research result, 112 concepts have been deduced, when I could nomadize them in 32 subordinate and 16 superordinate categories. The adolescent adaptation process paradigm models were represented in 2 causal conditions and 4 contextual conditions who school drop-outs with mental health problem. Also, the central phenomenon of adolescent adaptation process that drop-outs from school with mental health problem through these causal and contextual conditions has been appeared as a ‘vast support of reality’. A result of 'preparation for the confused future and hopeful future' has been deduced by 4 intervening conditions and 3 actions and interactions. This research result has its implication to construct an in-depth understanding with the adolescent adaptation process grounded theory that drop-outs from school with mental health problem, to reveal its process and type in detail, to construct a theory for the teenagers in trouble due to their mental problem, and to present the political and clinical intervention direc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