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 KCI등재후보

        미디어 이용과 TV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양승찬 ( Seungchan Yang ),이미나 ( Mina Lee ),신지희 ( Jihee Shi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19대 대통령선거에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정보 채널이 폭넓게 활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이들의 효과를 유권자들의 후보자에 대한 감정적 평가, 정치지식에 미치는 영향, 유권자의 정치심리(정치효능감)와 여론 인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연구문제 1은 미디어 이용과 TV 토론이 후보자의 감정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으며 연구문제 2는 정치지식, 연구문제 3은 정치효능감과 여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설문은 대선 이전에 실시됐다. 비례층화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692명의 표본을 구성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인구구성학적 변인과 정치관심, 대선관심, 정치이념, 지지후보자들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텔레비전이 후보자의 평가와 정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매체로 관찰되었으며 둘째, TV토론의 경우, TV시청 이외의 다른 노출(예, 온라인에서 편집본 시청등) 방식의 영향력이 관찰됐다. 셋째, 소셜미디어등 새로운 미디어의 효과는 일관적인 방향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유권자의 인지적 감정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주요 변인을 통해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media and new information channel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n affect of candidate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RQ 1 analyzed the effects of media use and TV debate to the affective evaluation of candidates. RQ 2 addressed the effects by these variables to political knowledge and RQ 3 examined the effects to th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A total of 692 participants composed of the sample by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First, television was seen as a major medium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evaluation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ways to use TV debate revealed the different effects. Third, the effects of new media such as social media was found not to be coherent. This study contributes by exploring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edia including new media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s

      • 한국의 선거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이슈 고찰

        양승찬(Seungchan Yang) 한국언론학회 2007 커뮤니케이션 이론 Vol.3 No.1

        본 연구는 지난 20년간 한국의 선거과정에서 여론조사와 언론의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논의된 다양한 이슈를 체계적으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특히 정치 커뮤니케이션의 맥락에서 여론조사와 관련한 제 문제를 다룬 언론학 분야의 논의를 크게 저널리즘 관련 이슈와 저널리즘 영역 외의 이슈로 나누어 쟁점을 소개했다. 선거 여론조사 보도를 둘러싼 저널리즘 차원에서의 논의가 가장 활발했는데, 이 연구에서는 선거 여론조사 보도의 문제점과 함께 언론학자들과 언론인들이 여론조사 보도에 대해 갖는 인식의 괴리를 사회과학과 저널리즘의 입장 차이를 기초로 정리했다. 저널리즘 영역 외의 이슈는 제도적 이슈와 학술적 이슈로 분류했다. 여론조사와 관련한 공직선거법 제108조와 여론조사 보도 심의와 관련한 이슈를 제도적 차원에서 다루었고, 조사방법론과 미디어 효과 이론의 틀에서 학술적으로 다루어진 여론조사의 문제를 정리했다. 이를 토대로 향후 선거 과정에서 여론조사와 그 보도에 대한 평가에 있어 중요한 학술적 과제를 제안했다. This article attempts to provide various issues regarding public opinion polling and media's coverage of polls in Korean election. Particularly, it identifies two major areas of discussion in public opinion polling. The first area is related to journalism issues, this study categorizes various problems in Korean media's poll reporting while introducing differences in perspectives between journalists and social scientists. The second area deals with issues not directly related to journalism. The paper pays attention to the social discussion about regulatory policies and practices in public opinion polling and summarizes academic works for searching problems of survey methods in polling, and for examining the influence of polling under the context of media effect theories in Korean election.

      • KCI등재

        대통령선거 후보 지지도 조사 결과에 대한 여론분위기 지각과 감정 반응이 유권자 정치참여에 미치는 효과 연구

        양승찬 ( Seung Chan Yang ),서희정 ( Hee Jung Seo ) 한국지역언론학회 2013 언론과학연구 Vol.13 No.2

        본 연구는 노엘레-노이만의 침묵의 나선 이론을 토대로 다수 및 소수의 의견을 전달하는 여론조사결과 기사를 통해 의견분위기를 지각하는 것과 이에 대한 개별 감정 반응이 정치참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정치참여는 공개적 의견표명과 사적 정치참여로 구분하였으며, 개별 감정은 크게 긍정 감정(‘기쁨’, ‘희망’), 부정 감정(‘슬픔’, ‘분노’) 등의 4가지 유목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는 18대 대통령 선거 캠페인 당시 20대의 큰 지지를 받았던 무소속 안철수 예비 후보와 새누리당 박근혜 후보 지지자(여대생 n=329명)를 대상으로 신문 여론조사결과 기사를 실험자극으로 활용하여 실시되었다. 연구 결과, 다수/소수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과 정치참여 간에는 기존의 침묵의 나선 이론에서 논의되었던 것과 달리 관련성이 발견되지 않았다. 지지 후보자에 따른 여론조사결과 기사에 대한 감정 반응의 경우 긍정 감정을 느낀 박근혜 후보 지지자들 중 기쁨 감정과 희망 감정 간에 차이가 있었으며, 박근혜 후보와 안철수 후보 지지자 간에는 희망 감정과 슬픔 감정의 정도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한편, 여론조사를 통해 유발된 감정이 후속 정치참여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본 결과, 상대적으로 긍정 감정을 느낀 사람들이 공개적인 의견표명을 더 많이 하는 반면, 부정 감정을 느낀 사람은 사적 정치참여를 더 활발히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여론조사를 통해 다수/소수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과 감정, 정치참여 간의 관계를 진단하면서 미디어를 통한 집합적 정치 현실의 지각 후 발생한 감정의 중요성을 정치커뮤니케이션 효과와 연결하여 제시하고자 하였다. In this study, we explore the effect of the perceived climate of opinion and the emotional responses to th poll reporting on voters` political participation during 2012 Presidential elec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ollective political perceptions induced by poll stories and willingness to publicly express political opinions based on the theory of spiral of silence. In addition, the study attempt to link four emotional such as joy, hope, sadness and anger to various public/private political participa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the experiment where the newspaper poll reports provided different winning conditions. The results showed no support for the main argument of the spiral of silence. We could not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ma jority/minority perception and political participation. Yet, we found that the positive emotions, joy and hope, affected willingness to speak out candidate support and other private political participation. In the case of negative emotions like sadness and anger, these emotions were not related to the public outspokenness but were linked to the private political actions such as an interpersonal effort to drum up support for candidate. The varying roles of positive and negative emotions to the poll reports on public and private political participation were discussed.

      • 인스타그램 #막걸리 해시태그 분석

        양승찬(Seung-Chan Yang) 한국HCI학회 2019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9 No.2

        대표적인 소셜미디어로 자리잡고 있는 인스타그램 상에서 한국 전통주에 관련된 해시태그를 파악하고 그중 가장 많은 숫자를 가진 #막걸리 해시태그 포스팅을 상세분석하였다. 그 결과 평소의 #막걸리 게시글 상황와 오프라인 행사 혹은 요일/날씨에 따라 #막걸리 게시글의 수와 내용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 KCI등재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방송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분석

        양승찬(Yang, SeungChan),이미나(Lee, MiNa),서희정(Seo, Hee-Jung) 문화방송 2014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Vol.15 No.4

        본 연구는 지상파 3사(KBS, MBC, SBS)와 종합편성채널 4개 방송사(채널A, JTBC, MBN, TV조선)의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대상으로 시청자의견이 어떻게 제시되는지를 내용 분석했다. 2012년 7월 1일부터 2013년 6월 30일까지 1년 동안 방송된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중에서 30회(전체의 약 57.7%)를 무작위로 선정하여 총 210회의 시청자의견 코너를 분석했다. 구체적으로 이 연구에서는 시청자의견 코너의 방송시간과 시청자의견 수, 시청자의견이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의 장르, 시청자의견의 평가적 속성, 시청자의견이 제시되는 프로그램의 속성 등을 분석했다. 그러한 분석 결과 다음과 같은 의견들이 도출되었다. 첫째, 시청자 평가프로그램 내 시청자의 의견을 전달하는 시간이 충분한지 검토할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둘째, 연예/오락 장르에 대한 의견이 많은 비중을 차지하는 반면, 보도 장르에 대한 시청자의 의견 제시는 지상파 및 종편 모두 부족했다. 셋째, 시청자의견에서 칭찬이 불만이나 제언보다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외에 지상파방송과 종합편성채널방송사의 비교 분석을 실시했다. 연구 결과는 시청자 평가프로그램이 시청자의 의견 제시의 장이 되고 시청자와 제작자의 소통 채널로서 역할하기 위한 방안 모색의 필요성을 시사하고 있다. This study analyzed how audiences’ opinions were presented in the ombudsman programs on national terrestrial broadcasting networks(KBS, MBC, SBS) and TV channels of general services(Channel A, JTBC, MBN, TV Chosun). In one year from July 1, 2012 through June 30, 2013, 30 programs per channel were randomly selected(N = 210, 57.7%) and the corner which presents audiences’ opinions were content-analyzed. Items were coded including a number of audiences’ opinions, average time, types of opinions, program genres mentioned in audiences opinions, and attributes of the program audience made comments on. The results revealed that: first, the time spent in presenting audiences’ opinion is put into question and raised the issue that the average time is long enough to deliver a sufficient volume of the audiences’ opinion. Second, a greater number of audiences’ opinion involve with the entertainment genres with less number of comments involving with the news reporting genre. Third, audiences’ opinions addressed more praises rather than providing criticisms or suggestions.

      • KCI등재후보

        지지후보에 대한 의견 분위기 지각이 공개적 의견 표명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양승찬(Seungchan Yang),이미나(Mina Lee),신지희(Jihee Shi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논총 Vol.21 No.1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지율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문제2〉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의견분위기 지각등이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에 대한 공개적 의견표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692명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의견분위기 지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특별히 부각되지는 않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표참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뉴스미디어 이용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의견분위기 지각이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o the use of news media and the fear of alienation. In Research Question 2, we analyzed whether the use of news media, fear of isolation, and the perception of opinion climate affect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d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sample was 692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re is no particular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Secondly, fear of iso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imate of opin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he vot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news media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climate of opin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pinion expression and voting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