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수자의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 사용성 평가

        신지희(Jihee Shin),전은선(Eunseon Jeon),정동훈(Donghun Chung) 한국디자인리서치학회 2023 한국디자인리서치 Vol.8 No.2

        본 연구는 웹 기반 가상공간에 대한 학습효과를 사용성 평가를 통해 살펴보았다. 개인차와 심리, 기술, 환경 평가 요인 가운데 기술과 환경 분야를 특정하여 교수쟈가 인식하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에 대한 만족과 필요성을 알아보고자 했다. 연구는 메타버스 교육 플랫폼인 MOIM을 활용해 강의를 진행한 교수자를 대상으로 메타버스 플랫폼에 대한 사용성을 온라인 설문지와 심층 면접을 통해 평가했다. 연구 결과, 교수자는 ‘공간/아바타 다양성의 부족’과 ‘수업 진행 방식의 제약’, ‘상호 작용의 제약’을 기술적 한계로 평가했으며, ‘구동 가능한 OS와 다바이스의 제약’, ‘수업 중 오류가 발생했을 때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지원과 대응 방법’이 구축되지 못했다는 점을 환경적 문제로 지적했다. 또한, 교수자들은 현재의 메타버스 기술을 교육현장에 적용하는 데 한계가 있지만, 그것이 보완되었을 때에는 에듀 테크로써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해 볼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향후 메타버스 플랫폼이 교육현장에서 지속적으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메타버스로서의 주요한 특징을 살리고 그것을 교육이라는 목적에 맞게 구현하는 등의 보완이 이뤄질 필요성이 있음을 확인했다. This study investigated instructors' perceptions of the Metaverse education platform and identified what is needed for sustainable Metaverse education based on usability testing. Data were collected from ten instructors who used the Metaverse platform MOIM during a semester at a university in Seoul. Results indicated that techn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ffected the usability of the platform. Participants reported limitations in avatar diversity, class progress, and interaction due to technical limitations, as well as constraints related to operable OSs and devices, technical support, and error handling during class. However, the participants believed that the current Metaverse technology could be positively applied to the educational field with supplementation. The study concludes tha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the Metaverse technology for it to be more effective and efficient for education purposes.

      • KCI등재후보

        미디어 이용과 TV토론 이용의 효과 연구: 후보자 평가, 정치지식, 정치효능감과 여론 인식을 중심으로

        양승찬 ( Seungchan Yang ),이미나 ( Mina Lee ),신지희 ( Jihee Shin ) 국민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社會科學硏究 Vol.30 No.2

        본 연구는 19대 대통령선거에서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정보 채널이 폭넓게 활용되었다는 점에 주목해 이들의 효과를 유권자들의 후보자에 대한 감정적 평가, 정치지식에 미치는 영향, 유권자의 정치심리(정치효능감)와 여론 인식에 미치는 영향으로 구분해 분석했다. 연구문제 1은 미디어 이용과 TV 토론이 후보자의 감정 평가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으며 연구문제 2는 정치지식, 연구문제 3은 정치효능감과 여론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설문조사를 통해 자료를 수집했으며 설문은 대선 이전에 실시됐다. 비례층화추출방법을 이용하여 총692명의 표본을 구성했다. 연구문제 분석을 위해 인구구성학적 변인과 정치관심, 대선관심, 정치이념, 지지후보자들을 통제하고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했다. 주요 분석 결과는 첫째, 텔레비전이 후보자의 평가와 정치효능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주요 매체로 관찰되었으며 둘째, TV토론의 경우, TV시청 이외의 다른 노출(예, 온라인에서 편집본 시청등) 방식의 영향력이 관찰됐다. 셋째, 소셜미디어등 새로운 미디어의 효과는 일관적인 방향으로 나타나지 않았다. 본 연구는 전통적인 미디어와 새로운 미디어가 유권자의 인지적 감정적 평가에 미치는 효과를 다양한 주요 변인을 통해 살펴봤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traditional media and new information channels during the 19th presidential election on affect of candidates, political knowledg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RQ 1 analyzed the effects of media use and TV debate to the affective evaluation of candidates. RQ 2 addressed the effects by these variables to political knowledge and RQ 3 examined the effects to the political efficacy and perception of public opinion. Data were collected through surveys, and surveys were conducted before the presidential election. A total of 692 participants composed of the sample by using the 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 method. Main findings were; First, television was seen as a major medium that had a significant effect on candidates' evaluation and political efficacy. Second, the ways to use TV debate revealed the different effects. Third, the effects of new media such as social media was found not to be coherent. This study contributes by exploring the effect of different types of media including new media to the cognitive and emotional evaluation of presidential candidates

      • KCI등재후보

        지지후보에 대한 의견 분위기 지각이 공개적 의견 표명과 투표에 미치는 영향

        양승찬(Seungchan Yang),이미나(Mina Lee),신지희(Jihee Shin) 숭실대학교 사회과학연구소 2018 사회과학논총 Vol.21 No.1

        19대 대선을 대상으로 유권자의 의견분위기 지각이 후보자지지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했다. 〈연구문제 1〉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과 소외에 대한 두려움이 후보자 지지율에 대한 의견분위기 지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연구문제2〉에서는 뉴스미디어 이용, 소외에 대한 두려움, 의견분위기 지각등이 투표참여와 지지후보에 대한 공개적 의견표명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했다. 692명의 표본을 분석한 결과, 의견분위기 지각을 예측하는 변인이 특별히 부각되지는 않았다. 소외에 대한 두려움은 공개적인 의견표명과 유의미한 연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투표참여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뉴스미디어 이용의 효과가 관찰되었으며 의견분위기 지각이 의견표명과 투표참여에 유의미한 영향을 준다는 점을 확인했다. This study analyzed the influence of voters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on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In Research Question 1, we analyzed how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about the candidate relates to the use of news media and the fear of alienation. In Research Question 2, we analyzed whether the use of news media, fear of isolation, and the perception of opinion climate affect the support for the candidate in public and the voting. The survey was conducted before the election day of the presidential election, and the sample was 692 people. The results showed that firstly, there is no particular variable to predict the perception of the climate of opinion. Secondly, fear of isolation was found to b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climate of opinion, but it did not affect the intention of the voting. In addition, the significant effect of using news media was observed, and it was confirmed that the perception of climate of opinion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opinion expression and voting particip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