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투고논문 : 유학(儒學)의 감정 이해-퇴계(退溪)의「심통성정도(心統性情圖)」와 『악기(樂記)』를 중심으로

        안희정 ( An Hui Jeong ) 경북대학교 퇴계연구소 2015 퇴계학과 유교문화 Vol.56 No.-

        인간은 四端의 감정을 통해 보편적 사랑을 알기도 하지만, 七情을 통해 인간으 로서 권리와 자유의 필요성을 깨닫기도 한다. 감정은 이와 같이 도덕적 행위를 이끌어내는 마음의 작용이기도 하지만 과잉된 감정으로 사회적 법칙뿐만 아니라 자신 또한 해칠 수도 있다. 유학자들은 일찍이 이를 간파하고 파괴력을 가장 크게 행사할 수 있는 통치자에게 먼저 마음의 수양을 권했다. 감정의 이해를 통해서 자신을 다스릴 수 있다고 본 것이다. 이 글은 감정을 덕성 수양적 관점으로 논의하고자 한다. 감정 사유를 통해 기 질을 자각하며 본심을 찾아가는 과정을 담고자 한다. 본문에서는 크게 퇴계의 『聖學十圖』 중 六圖인 『心統性情圖』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역할과 『樂記』의 감정 인식구조를 살펴보도록 한다. 먼저 퇴계의 『심통성정도』에서 下圖의 중요점은 본성에 개인의 기질이 섞여 혼잡해지는 마음의 구조를 현실적으로 담아내고 있다는데 있다. 이것은 중도에서 감정 자체는 본성의 발현된 표현일 뿐 善性이라는 것을 일컫지만, 하도를 통해 인간은 늘 사회에서 욕망과 개인의 기질로 갈등된 구조를 살아가는 것을 증명하고 있기 때문이다. 두 번째로 『악기』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인식구조이다. 『악기』에서는 일찍이 감정 의 조화에 대해 논했다. 감정이 고립되면 인간의 마음을 상하게 할 수 있다는 것을 간파하며 음률의 조화인 악樂을 말했다. 감정의 조화란 하나의 감정에 항상성이 없으며 삶의 다양한 정서가 있다는 것을 느낄 때 감정이 변화한다는 것을 말한다. 『악기』에서 나타나는 감정의 조화성은 인간의 슬픔, 고통으로 나타나는 불안, 쇠약함, 우울감에서 삶의 깊숙한 즐거움도 함께 보며 본심을 찾아가는 다양성에 대한 이해로서 수양을 뜻한다. 따라서 본심은 기질이나, 타자의 반응에 의해 일어난 고립된 감정에서 자기 자신의 본연지성을 되찾는 일이다. 그것은 또한 자기의 심층적 이해이기도 하다. Human beings come to understand universal love through the Four Fonts of virtue (benevolence, righteousness, politeness and wisdom), but they can also realize the necessity of human rights and freedom through the Seven Emotions (happiness, anger, sorrow, fear, love, evil and desire). Emotions can be the workings of the human mind that elicits moral acts, but excessive emotions can result in violation of social rules hurting oneself. Noticing it earlier, Confucian scholars advised rulers who were capable of exercising the greatest destructive power to cultivate their mind. They thought that one could control his or herself by understanding emotions. The study aims to discuss emotions from the perspectives of cultivating moral character. It is focused on realizing disposition and coming to one’s senses through meditation on emotion. It also examined the roles of emotions mentioned in Simtongseongjeongdo (Diagram of the Heart-Mind Connecting Nature and Emotion), the sixth diagram of Toegye’s Seonghaksipdo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as well as a structure of emotional recognition. First of all, the importance of Hado in Toegye’s Simtongseongjeongdo realistically portrays a structure of mind where confusion is generated as personal temperament is mixed with human nature. It is due to the fact that Jungdo views emotion itself as expression of human nature that is good nature but that it is proved through Hado that human beings always live in a conflicting structure that involves desire and personal temperament in the society. Second, a structure of emotional recognition mentioning in Akgi is examined. Akgi elaborated on emotional harmony. It recognized that isolated emotions can hurt human mind mentioning Ak, the melodic harmony. Emotional harmony means that feelings change when emotions do not have constancy and there exist diversified sentiment in life. Emotional harmony mentioned in Akgi means cultivating characters in terms of understanding about diversity where human nature is sought through a great pleasure in life in connection to anxiety, weakness and depression that are expressed as grief and pain. Accordingly, human nature is to restore one’s originality in isolated feelings generated by disposition or others’ response.

      • KCI등재

        불안의 인식 구조 -하이데거의 불안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을 중심으로-

        안희정 ( Hui Jeong An ) 서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14 人文論叢 Vol.71 No.1

        이 글은 불안의 인식 구조를 하이데거의 불안(Angst) 개념과 유식의 사분설(四分說)을 통해 정립하고자 한다. 불안은 무화작용(das Nichten)으로 존재를 드러내는 현상적 토대이다. 이러한 근본기분은 세계 곁에서 머무르던 존재자를 세계 내에서 존재할 수 있도록 밝혀준다. 유식은 ‘대상을 객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는가’란 물음 하에 식의 전체적인 구조를 드러낸다. 그것은 집착과 고통을 어떻게 바라보아야 하는가에 대한 유식 불교의 반성적 대답이다. 이러한 두 이론은, ‘존재론적’ 측면에서 전체 현상을 밝혀내기 위한 구조적인 분석이다. 본론에서는 단계, 과정, 토대로 나누어 불안의 인식 구조를 살펴본다. 첫째, 불안을 지각하는 단계로 유식의 사분설 인식작용을 도입해본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불안이라는 기분(상분相分)→불안하다고 생각하는 나(견분見分)→불안의 이유를 묻는 나(자증분自證分)→질문하는 나를 지각하는 나(존재자에게 불안이라는 신호를 보내고 있는 존재의 영역을 자증분에게 가리킨다), (증자증분證自證分)> 둘째, 불안한 기분을 경험하는 비본래적인 존재자의 양상을 살펴보고 무화작용에서 드러나는 일상의 무의미성과 망상을 알아본다. 이러한 무의미와 망상을 통해 불안의 인식 구조 안에서 발생하는 비본래적인 과정을 밝혀본다. 셋째, 인식 방향을 바꾸어 대상을 지각하는 인식 작용이 아닌 심층의식에서 불안을 형성해가는 작용을 살펴본다. This paper attempts to define and establish the cognitive structure of angst through Heidegger`s concept of angst and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Angst is a fundamental phenomenon that arises from nihilism (das Nichten). This fundamental feeling reveals to the being that he exists not only next to but also within the world in which he lives. Buddhism manifests the overall structure through raising questions such as “Is the subject perceived objectively?” This is the Buddhist Vijnapti-matra`s reflection on its perception of obsession and pain. In an ontological aspect, these two theories are the structural analysis that attempt to reveal the overall phenomenon. First of all, the Buddhist Vijnapti-matra concept of Four Aspects of Theory of Cognition is applied as the initial stage in which angst is perceived by the being. The conclusion drawn is as follows: the feeling of angst (mental phenomena) a perceiving oneself to be anxious (discrimina- ting such phenomena)a questioning why one is feeling angst (the power that discriminates) a perceiving oneself that is questioning the why (the proof or assurance of that power). Second, the paper examines the condition of the inauthentic being that experiences angst and investigates the meaninglessness of the routines of everyday life that emerges from nihilism. Through such exploration of futile delusions, the paper strives to reveal the inauthentic process that occurs within the epistemological structure of angst. Third, the paper examines the effect on the development of angst when there is a change in the method of perception from cognition to in-depth awareness.

      • KCI등재

        영주향토음식 콘텐츠개발을 위한 주성분분석 및 문화유산 (소수서원, 부석사) 자원의 활용 연구

        최은영 ( Eun Young Choi ),안희정 ( Hui Jeong An ) 한국식품영양학회 2017 韓國食品營養學會誌 Vol.30 No.5

        This study was applied to the PCA (Primary Components Analysis) for the sixteen table setting at the 2017 Yeongju local food contest. In this contest, we have developed a seonbibansang and a temple one-dish meal. As a result of the correlation analysis, the applicability and composition were 0.7980, harmony and taste were 0.7747 and easiness and composition were 0.7435. In the Primary Component Y<sub>1</sub>, all the variables X<sub>1</sub>…X<sub>10</sub> mean that the quality of the food had positive values greater than zero. The second Primary Component Y<sub>2</sub> has a large positive value while X<sub>4</sub>, X<sub>5</sub>, X<sub>6</sub>, X<sub>7</sub>, X<sub>9</sub> have negative values. Y<sub>2</sub> is a value representing the sanitation variable, and can be considered a traditional and characteristic table setting natural to the native food in Yeongju. In addition, we developed an-hyangbansang and seonmyoaecheong food content by applying PCA factors (the elements of harmony, ease and sanitation). Table setting of an-hyangbansang provided energy 61.5%, protein 20.0% and fat 18.5% and seonmyoaecheong provided energy 62.7%, protein 15.4% and fat 22.2%. This satisfied the necessary amount of caloric nutrient intake that could be provided in a meal. Especially through story-telling, a modern interpretation - or rebranding - of local and traditional foods could make these traditional food products familiar to consumers currently. The developed table setting is felt to be conductive to the possible commercialization and introduction of traditional food into the mainstream commercial food service industry.

      • SCOPUSKCI등재
      • KCI등재

        느타리버섯이 육류의 연육에 미치는 효과

        정구민(Koo Min Chung),안희정(Hui Jeong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6

        느타리버섯을 생고기와 익힌 고기에 30분간 도포하여 연육효과를 조사한 결과, 상당한 연육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고기의 경우, 버섯 무첨가 시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가 각각 981, 640 g-force인데 비해, 전체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경도는 각각 648, 487 g-force이었고, 갓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42, 478 g-force, 줄기 5% 첨가군 소고기와 돼지고기는 각각 657, 488 g-force로 전반적인 버섯 첨가에 의한 연육효과는 약 20~35%이었다. 연육효과는 첨가량이 많을수록 커, 느타리버섯분말 5% 첨가군과 버섯추출분말 2% 첨가군의 경도가 가장 낮았다. 소고기와 돼지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버섯첨가량이 많을 수록 증가하였다. 특히 버섯분말 5% 첨가한 생소고기의 아미노태질소량은 무첨가군에 비하여 전체가 34.64%(748 ㎎%), 갓이 34.64%(748 ㎎%), 줄기가 32.92%(739 ㎎%) 증가하였고, 버섯추출분말 2% 첨가한 생소고기는 전체가 65.14%(787 ㎎%), 갓이 75.21%(834 ㎎%), 줄기가 71.18%(815 ㎎%) 증가하였다. 이는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이 소고기의 단백질을 가수분해하여 수용성 성분이 증가된 것으로 사료된다. 버섯전체, 갓, 줄기의 부위별 연육효과는 별차이가 없어 사용부위는 굳이 구별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yster mushrooms (Pleurotus ostreatus) on beef and pork tenderization, freezedried mushroom (whole, cap, and stem) powder and mushroom extracts were prepared. Both fresh and boiled beef and pork had mushroom power and extract powders spread on them, and let sit for 30 minutes at room temperature. After that, the hardness and amino nitrogen content of the meats were measured. The hardness of the meat decreased by about 20%~35% after spreading. Also, the amino nitrogen contents increased due to the effect of protease in the mushrooms. The effects were greater in raw beef. The mushrooms showed almost the same effects regardless of which part of the mushrooms were used (whole, cap, and stem).

      • KCI등재

        느타리버섯이 설기떡과 경단의 노화억제에 미치는 영향

        정구민(Koo Min Chung),안희정(Hui Jeong An) 한국식품영양과학회 2012 한국식품영양과학회지 Vol.41 No.9

        설기떡은 1∼72시간의 저장중 경도의 품질변화에 따른 영향을 조사하였다. 설기떡은 전반적으로 느타리버섯분말 2,5%와 추출물 1, 2%을 첨가하여 설기떡을 제조하면 경도가 낮아져 대조군에 비해 1∼2일 정도 단단해지는 것을 지연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Avrami 노화상수(k)도 무첨가군 0.0440인데 비해 2% 버섯전체분말 첨가군이 0.0111로 나타나 버섯첨가에 의한 노화 지연을 알 수 있었다. 설기떡의 관능검사는 부드러움, 달콤함, 씹힘성,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1% 첨가군이 우수하였다. 경단은 0∼6시간의 느타리버섯분말과 추출분말과의 숙성시간을 둔 다음 제조한 후 저장하면서 경도를 조사하였다. 경단의 경도는 저장 72시간에서 숙성6시간의 무첨가군이 1367 g-force에서 5% 첨가군이 926g-force로, 떡을 익히기 전에 숙성시간이 길고 버섯분말 첨가량이 많을수록 경도가 낮았다. 경단의 Avrami 노화상수(k)는 버섯 무첨가군이 0.0652인데 비해 10% 버섯전체 분말첨가군이 0.0178로 상당히 감소하였다. 관능검사는 쓴맛과 향은 버섯분말 2% 첨가군이 높았으며, 종합적인 맛도 2% 첨가군에서 높았다. 위 실험으로 보아 전반적으로 설기떡은 버섯첨가량 1%, 경단에는 버섯첨가량 1, 2%가 적당하다고 여겨진다.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oyster mushroom on the quality of Sulgidduk and Gyeongdan, freeze-dried mushroom power and mushroom extract were prepared. Dough for Gyeongdan was held for 0~6 hours at room temperature before cooking in order to allow for enzyme reaction. Upon addition of 2~5% mushroom power or 1~2% mushroom extract, the hardness of Sulgidduk decreased while the storage periods could be extended 1~2 days. Avrami rate constant (k) was 0.0111 for 2% power-added rice cake and 0.044 for the control. In Gyeongdan, hardness also decreased by addition of mushroom. Avrami rate constant (k) was 0.0178 for 10% mushroom power-added Gyeongdan and 0.0652 for the control. In a sensory test, Sulgidduk with 1% mushroom powder showed the highest score. Overall, addition of 1% mushroom powder to rice was appropriate for Sulgidduk. For Gyeongdan, addition of 1~2% mushroom powder was appropri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