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오픈뷔페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과 레스토랑 이미지및 행동의도의 구조적 관계 연구

        안경희,박승현 경성대학교 산업개발연구소 2024 산업혁신연구 Vol.40 No.1

        본 연구는 오픈뷔페 레스토랑의 물리적 환경의 ‘메뉴품질, 환경성, 청결성, 편의성’과 레스토랑 이미지 및 행동의도 관계를 실증분석을 통해 검증하였다. 자료수집은 2023년 9월 1일부터 9월 30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지는 250부를 배포하였으며, 이중 불 성실하게 응답했거나 연구목적에 적합하지 않은 설문지를 제외한 유효한 응답지 220부를 최종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적 환경의 ‘메뉴품질, 청결성, 편의성’은 레스토랑 이미지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환경성’은 레스토랑 이미지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레스토랑 이미지는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물리적 환경의 요인 중 ‘메뉴품질, 청결성, 편의성’은 행동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환경성’은 행동의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매개변수인 레스토랑 이미지와 행동의도와 관계에서 매개관계가 검증되었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오픈뷔페 레스토랑의 변화된 환경 이미지 향상으로 차별화된 마케팅 전략 수집에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menu quality, environmental quality, cleanliness, and conveni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of an open buffet restaurant and the restaurant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through empirical analysis.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to September 30, 2023, and 25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220 valid response sheets, excluding questionnaires that were answered insincerely or not suitable for the research purpose, were used as final data. It was used a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enu quality, cleanliness, and convenience’ of the physical environment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restaurant image, while ‘environmental quality’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the restaurant image. Second, restaurant imag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Third, among the factors of the physical environment, ‘menu quality, cleanliness, and convenience’ were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but ‘environmental nature’ was found to have no effect on behavioral intention. Lastly, the mediating relationship between restaurant image and behavioral intention was verif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ill be possible to provide basic data for collecting differentiated marketing strategies by improving the image of the changed environment of open buffet restaurants.

      • KCI등재

        외식기업의 서비스품질과 기업평판에 대한 구조적 분석

        안경희 한국외식경영학회 2023 외식경영연구 Vol.26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 of food service companies’ service quality and the corporate reputation as they tend to be rapidly recovered after COVID-19. To this end it administered questionnaires to adults over 20s in Seoul and Gyeonggi-do, who have experienced Korean family restaurants, by setting implementation factors of food service companies’ service quality,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From the findings, the service quality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rporate reputation. In addition, menus, services, physical environment and food quality, among the service quality factors, were found to have partially mediating effects on the customer satisfaction, while the food attributes did n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it, so they was found to have a fully mediating effect.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this study provided suggestions for reorganizing food service companies.

      • KCI등재후보

        독일에 있어서 소멸시효에 관한 약정

        안경희 대한변호사협회 2007 人權과 正義 : 大韓辯護士協會誌 Vol.- No.374

        동 논문에서는 독일 민법 제202조를 중심으로 소멸시효의 약정에 관한 제문제들을 검토하고 있다. 2002년부터 시행되고 있는 개정된 독일 민법은, 계약자유의 원칙상 당사자들이 소멸시효에 관하여 약 정한 것은 원칙적으로 법적 구속력이 있다는 전제하에, 당사자들이 반대약정을 통하여 법정 소멸시효 기간을 단축 및 연장하는 것을 허용하고 있다. 물론 개정 독일 민법하에서도 소멸시효에 관한 모든 약 정이 유효한 것은 아니고, 금지규정에 반하는 약정은 무효이다. 그 대표적인 예가 독일 민법 제202조이 다. 동 규정에 따르면 고의책임으로 인한 손해배상청구권이 발생하기 전에 당사자들이 그러한 책임에 관한 소멸시효의 경감을 약정하는 것은 허용되지 아니하고(동 조 제1항), 소멸시효기간연장을 약정하는 경우에도 법정소멸시효기산점으로부터 최대 30년을 초과할 수 없도록 되어 있다(동 조 제2항). 이러한 총칙편에서 규정되고 있는 소멸시효에 관한 일반규정 외에도 매매, 도급계약, 소비재매매, 여행계약에 대하여 각각 별도로 소멸시효약정의 하한선이 설정되어 있다.

      • KCI등재

        독일법상 신상보호를 위한 장래대리

        안경희 한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35 No.1

        This study examined the lasting power of attorney(Vorsorgevollmacht) for health and welfare under german law. The german lasting power of attorney is rooted in ordinary agency and powers of attorney in private law. It is merely the scope of application that is extended to cover also the situation where the granter loses his ability to manage his or her affairs. In property and financial matters, powers of attorney concerning the financial affairs of the grantor have been in use since the 19th century. In contrast to financial matters, an lasting power of attorney in personal matters is a creation of the 1990s. In 1999, the position was somewhat clarified as it was stated that the Vorsorgevollmacht could also cover medical treatment (§1904 BGB). Ten years later in 2009, the legislator explicitly acknowledged the long established practice that the Vorsorgevollmacht in health care allows the attorney to consent to or to withhold life-sustaining medical treatment (§1901a BGB). Moreover, since 1999 the BGB has provided that an attorney may be granted the power, under certain circumstances and with the permission of the custodianship court, to place the grantor in a closed institution and consent to measures depriving him of his liberty (§1906 BGB). Recently, in 2013, an amendment to §1906 BGB opens up the possibility to grant the power to consent to compulsory treatment, again under specific conditions and with the permission of the custodianship court(§1906 III, IIIa BGB). All these powers in personal matters must be granted explicitly and in writing, including the personal signature of the grantor. A general power of attorney ‘for all personal matters’ will therefore not be sufficient, even if it is done in writing and signed by the grantor. In germany, registration is optional. Rather than safeguarding the validity of the lasting power of attorney, its purpose is to avoid custodianship by informing the custodianship court that an lasting power of attorney exists. Since 2005, there has been a Central Register for Advance Instruments at the German Federal Chamber of Public Notaries on a statutory basis. Apart from registration, each attorney is under an obligation to inform the custodianship court in writing about the Vorsorgevollmacht, and the custodianship court may request a copy thereof (§1901c BGB). 본고는 독일법상 신상보호를 위한 장래대리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장래대리권은 민법상 통상의 대리권에 기초하고 있고, 단지 통상의 대리와는 달리 행위무능력 내지는 후견 필요성이 발생하는 경우를 사전에 미리 대비하는 사전예방적 성격을 가진다. 재산관련 대리는 19세기에도 이미 존재했으나 신상관련대리는 1990년대에 비로소 입법화되었다. 1999년에 임의대리인이 후견인과 마찬가지로 후견법원의 허가를 받아 본인의 생명 및 신체에 중대한 위험이 초래될 수 있는 의료행위에 동의할 수 있고(제1차 성년후견법 개정에 의한 제1904조 제2항. 현행법 제1904조 제5항), 본인을 폐쇄병동에 입원시키거나 가정에서 본인에게 자유박탈적 처치를 하는 것에 대해서도 동의할 수 있다는 규정이 신설되었다(제1906조 제5항). 10년 후인 2009년(제3차 후견법 개정)에는 환자의 사전의료지시서에 관한 명문규정이 신설되었는데, 이 지시서에 따른 의료행위에 대한 동의 등에 있어서도 장래대리인에게 후견인과 마찬가지의 지위가 부여되었다(제1901조의a). 나아가 2013년에는 일정한 요건 하에 장래대리인이 본인의 자연적 의사에 반해서도 의료적 필수처치에 동의할 수 있도록 법정되었다(제1906조 제3항, 제3항의a). 이 모든 신상관련 장래대리권은 서면으로 작성되어야 하고, 개별수권만 가능하므로 모든 신상관련 행위를 위하여 포괄적으로 대리권을 수여할 수는 없다. 장래대리권을 등록하는 것은 선택사항이다. 다만 이미 임의대리인이 선임되어 있는 경우에는 후견인 선임이 원칙적으로 배제되므로, 이 임의대리인의 선임 여부를 확인하는 데 등록이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2005년에는 연방공증위원회 산하 장래대리권 중앙등록소에 대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등록과는 별도로, 대리권증서를 보유하는 자는 후견법원에 대리권 증서를 제출해야 하고, 후견법원도 이 문서 원본을 제출할 것을 요구할 수 있다(제1901조의c).

      • KCI등재후보

        여성한부모의 오감명상 경험 : 내러티브 연구

        안경희 한국명상심리상담학회 2019 명상심리상담 Vol.21 No.-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tate life histories of female single parent, especially her pain and anxiety she had to get through due to strict control, suppression and prejudice imposed upon her life chronologically such as before marriage, during marital life and getting divorced and after becoming a female single parent and also, to conduct narrative research on process of awareness, insight and acceptance as she confronted to describe her story again. This paper aimed to identify how the social role of female single parent in the social prejudice could be amplified as the anxiety in her life and also, describe how she were emotionally cured through five senses meditation experience. The research participant suffered from great anxiety as she experienced dire economic difficulty due to death of her husband and was pessimistic about her mother’s death being a shadow over her life. As she repeated practice to perceive her breathing and senses across her five senses meditation experience, she could realize that her anxiety was derived from hunger for love, desire for recognition and unsatisfied affection. As she had time to take long view with the reflected image meditation, she could be able to face problems in which she used to skirt around, break the frame of unchangeable recognition and turn into more receptive though when accepting unexpected events in the live. This study successfully enabled the female single parent to experience the five senses meditation to naturally perceive and reflect on herself and explore the healing process in which she could modify her distorted recognition by herself. 본 연구는 여성한부모가 결혼전, 결혼생활, 파국, 한 부모 가장이 된 후의 생활 속에서 자신의 삶에 부여된 가혹한 통제와 억압, 편견으로 인해 연대기적으로 어떠한 고통과 불안을 겪었는지를, 생애사의 흐름으로 이야기하고 다시 이야기하는 직면의 과정을 통해 발생하는 알아차림과 통찰, 수용의 과정을 내러티브 탐구하고자 하였다. 문화. 사회적 편견 속에서 여성한부모의 사회적 역할이 그녀의 삶에서 어떻게 불안으로 증폭되는지 원인을 탐색하고 그러한 정서가 오감명상 경험을 통해서 치유되는 과정을 기술하고자 하였다. 연구참여자는 남편의 죽음으로 극심한 경제난에 시달리며 불안이 고조되고, 엄마의 죽음이 자신의 삶에 늘 그늘로 존재하는 것에 대해 비관적이었다. 오감명상경험 전반에 걸쳐 호흡과 감각을 알아차리는 연습을 반복하면서 자신의 불안이 사랑에 대한 갈구, 인정욕구, 충족되지 않은 애정에 대한 갈망에서 기인하는 것을 자각 할 수 있었다. 영상관법을 통해 새롭게 통찰의 시간을 가지면서 회피하던 문제를 직면하게 되었고, 고정 불변의 인지의 틀을 깨고, 삶에서 발생되는 예측 불가능한 상황에 대해, 보다 수용적인 사고로 전환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는 여성한부모의 오감명상 경험을 통해 자연스럽게 알아차림과 통찰이 이루어지며 더불어 왜곡된 인지를 스스로 수정할 수 있는 치유의 과정을 탐구하게 된 연구라는 점이 의의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시효(소멸시효, 취득시효)의 중단·정지 - 시효법 개정시안과 개정안(2010년)을 중심으로 -

        안경희 한국민사법학회 2010 民事法學 Vol.50 No.-

        Von großer Bedeutung für den Ablauf der Verjährung ist, unter welchem Umständen der Fristablauf gestoppt werden kann. In diesem Zusammenhang wurde in europäischen Ländern seit langem die Trias von Hemmung, Ablaufhemmung und Unterbrechung etabliert. Hemmung bedeutet lediglich ein Ruhen der Verjährung, nach Wegfall des Hemmungsgrundes läuft die Verjährungfrist weiter, wobei die bis zum Eintritt des Hemmungsgrundes bereits abgelaufene Zeit mitzählt. Bei der Ablaufhemmung ist die Verjährungsfrist bereits abgelaufen. Gleichwohl wird das Ende der Verjährung wegen eines bestimmten Heindernisses der Rechtsverfolgung hinausgeschoben. Die Verjährung endet dann nicht vor dem Ablauf von bestimmten Zeiten nach dem Zeitpunkt, in dem das Hindernis weggefallen ist. Demgegenüber beginnt bei der Unterbrechung nach dem Wegfall des Unterbrechungsgrundes die gesamte Verjährungsfrist neu zu laufen, ohne dass die vor Eintritt der Unterbrechung bereits abgelaufene Zeit mitgerechnet würde. Die Unterbrechung ist mithin der radikale Eingriff in die laufende Verjährung. Das koreanische BGB unterscheidet zwei Rechtsinstitute, nämlich die Hemmung und die Unterbrechung. Da die Hemmung nach dem geltenden Recht der Ablaufhemmung nach dem europäischen Recht entspricht, ersetzt der Entwurf den Terminus "Hemmung" durch "Ablaufhemmung". Neueingefügt wird die Hemmungstatbestände nach dem europäischen Recht, um den Gläubiger vor dem Eintritt der Verjährung zu schützen. Statt von einer Unterbrechung wird von einem Neubeginn gesprochen. Der Ausdruck ist sachgerecht, da die Unterbrechung die Verjährung neu beginnen lässt und sie nicht nur unterbricht. Zu einem Neubeginn der Verjährung führen das Anerkenntnis des Schuldners und die Vornahme einer behördlichen Vollstreckungshandlung, da es sich hierbei um punktuelle Unterbrechungstatbestände handelt. Alle anderen Unterbrechungstatbestände des geltenden Rechts, wie die gerichtliche Geltendmachung des Anspruchs und die Einleitung bestimmter anderer Verfahren werden von Unterbrechungs- zu Hemmungsgründen herabgestuft. Da es sich- im Gegensatz zur Unterbrechung durch Anerkenntnis- um andauernde Unterbrechungen handelt, sind jeweils Beginn und Ende der Unterbrechung festzusetzen.

      • KCI등재

        소년법상 보호사건의 운영 현황, 주요 내용 및 문제점

        안경희 국민대학교 법학연구소 2024 법학논총 Vol.36 No.3

        In diesem Beitrag wurde das Verfahren von Jugendschutzfällen nach dem Jugendgesetz in drei Hauptphasen(Untersuchung und Anhörung, Entscheidung über die Schutzmaßnahmen, Durchführung und Überwachung von Schutzmaßnahmen) unterteilt, und der aktuelle Status wurde anhand statistischer Daten in Judicial Almanac (National Court Administration), Weißbuch über die Kriminalität (Institut für Justiz) analysiert und wichtige Inhalte und Probleme dieses Verfahrens überprüft. Grundsätzlich wurden statistische Daten im Wert von 10 Jahren analysiert, um den Gesamtrend zu untersuchen. Da das Verfahren von Jugendschutzfällen auf antisoziale Jugendliche gerichtet ist, ist es nicht wünschenswert, dieses Verfahren aus dem Blickwinkel der Reaktion auf Kriminelle oder allgemeine Prävention zu betrachten. Insbesondere sollte angesichts der Tatsache, dass das Paradigma des Jugendgesetzes von der Strafe auf Bildung und Führung verlagert wurde, die Entscheidung über Schutzmaßnahmen und Exekutivaufsicht durchgeführt werden, um geschützten Jugendlichen zu helfen, Mitglieder der Gesellschaft zu werden. Unter diesem Gesichtspunkt sollten die Jugendschutzverfahren aus zivilrechtlicher Sicht angegangen werden, und das Familiengericht sollte eine Rolle bei der soliden Entwicklung geschützter Jugendlicher als Betreuer spielen. Angesichts der jüngsten Zunahme des Anteils von minderjährigen geschützten Jugendlichen muss das Familiengericht ‘aktiv’ überwachen, ob Bildungsprogramme und Lebensberatung auf der Ebene von minderjährigen geschützten Jugendlichen bereitgestellt werden.

      • KCI등재

        사업자의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 - 「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 제6조를 중심으로 -

        안경희 경희대학교 법학연구소 2015 경희법학 Vol.50 No.4

        Ziel des vorliegenden Beitrages ist es, die verschuldensunabhängige Haftung von Anlagenbetreibern bei beeinträchtigenden Umwelteinwirkungen nach § 6 Umwelthaftungsgesetz(UmweltHG) vom 31. Dezember 2014 darzustellen und kritisch-systematisch zu erörtern. Zweck des UmweltHG ist in erster Linie der Schadensausgleich in Form des Geldersatzes(§ 1 UmweltHG). Daräber hinaus soll das Risiko künftiger Schadensersatzleistungen die Betreiber bestimmter Anlagen zu einem umsichtigen, schadensvermeidenden Verhalten veranlassen. Insoweit dient das Gesetz auch der Umweltvorsorge. § 6 führt eine verschuldensunabhängige Haftung für die Umwelt besonders gefährliche Anlagen, also eine Gefährdungshaftung ein. Die Gefährdungshaftung bedeutet, dass derjenige, der eine Quelle erhöhter Gefahr eröffnet, ohne Verschulden und ohne Rechtswidrigkeit haftet, wenn sich die Gefahr in einem Schaden verwirklicht. Dem Geschädigten wird hierdurch die Verfolgung seiner Ansprüche erleichtert. Soweit der Schaden durch höhere Gewalt verursacht wurde, wird die Ersatzpflicht von Anlagenbetreibern ausgeschlossen. In bezug aus den Nachweis der Verursachung eines Schadens werden dem Geschädigten Beweiserleicherungen gewährt(§ 9 UmweltHG). Ist der Betrieb einer Anlage im Einzelfall geeignet, den konkret eingetretenen Schaden zu verursachen, so wird vermutet, dass der Schaden durch den Betrieb dieser Anlage verursacht worden ist. Dabei ist der Betriebsablauf, die verwendeten Einrichtungen, die Art und Konzentration der eingesetzten und freigesetzten Stoffe, die meteorologischen Gegebenheiten, Zeit und Ort des Schadenseintritts und andere Merkmale des Schadensbildes sowie sonstigen Gegebenheiten entscheidend. Diese Vermutung kann grundsätzlich entkräftet werden, wenn ein anderer Umstand als der Betrieb der Anlage geeignet ist, den Schaden zu verursachen. Das UmweltHG verdrängt andere Haftungstatbestände nicht(§ 5 Abs. 2). Dies gilt insbesondere für Ansprüche aus den §758 BGB und § 44 Gesetz über die Umweltpolitik. 본고는 2104년 12월 31일에 제정된「환경오염피해 배상책임 및 구제에 관한 법률」(이하 환경책임법) 제6조에 따른 사업자의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의 내용을 개관하고, 이를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환경책임법은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배상책임을 명확히 하고, 피해자의 입증부담을 경감하는 등 실효적인 피해구제 제도를 확립함으로써 환경오염피해로부터 신속하고 공정하게 피해자를 구제하기 위하여 제정되었다(제1조). 이러한 제정목적에 상응하게 제6조에서는 시설의 설치·운영과 관련하여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한 때에는 -불가항력으로 인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해당 시설의 사업자가 그 피해를 배상하도록 법정하고 있다. 이 환경책임법의 핵심을 이루고 있는 ‘사업자의 환경오염피해에 대한 무과실책임’은 가해자의 귀책사유는 물론이고 환경오염피해의 위법성을 요건으로 하지 아니하는 위험책임에 해당한다. 나아가 제9조에서는 피해자의 입증부담을 경감시키기 위하여 시설이 환경오염피해 발생의 원인을 제공한 것으로 볼만한 상당한 개연성이 있는 때에는 그 시설로 인하여 환경오염피해가 발생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다만 환경오염피해가 다른 원인으로 인하여 발생하였거나, 사업자가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환경오염피해 발생의 원인과 관련된 환경·안전 관계 법령 및 인허가조건을 모두 준수하고 환경오염피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노력하는 등 제4조 제3항에 따른 사업자의 책무를 다하였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경우에는 인과관계의 추정은 배제된다. 이 환경책임법상 손해배상청구권은 민법 등 다른 법률에 따른 청구권에 영향을 미치지 아니하므로(제5조 제2항), 환경책임법 제6조는 민법 제758조 및 환경정책기본법 제44조와 경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