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중풍진단(中風診斷)의 표준화방안(標準化方案) 연구(硏究)

        심현기,박세기,김동우,전찬용,한양희,박종영,Shim, Hyun-Ki,Park, Se-Ki,Kim, Dong-Woo,Jun, Chan-Young,Han, Yang-Hee,Park, Jong-Hyeong 대한한방내과학회 1997 大韓韓方內科學會誌 Vol.18 No.2

        The purpose of study is for the defining the diagnostic criteria of Jung-Pung (中風) which are confused or unclear partially or Oriental Medicine. The results were obstained as follows ; 1. The Diagnosis of Jung-Pung (中風) can be accomplished by the name of disease, symptomatic classification, Byun-Jeung (辨證), stage, assessment of neurological deficit. 2. The various expressive way on the names of Jung-Pung (中風) can be unified as Jung-Pung (中風). 3. The symptomatic classification of Jung-Pung (中風) can be Jung-Kyung-Rak (中經絡) and Jung-Jang-Bu (中臟腑) by unconsciousness. 4. The subclassification of Jung-Kyung-Rak(中經絡) is Kanyangpokhang Punghwa sangyo (肝陽暴亢 風火上擾證), PungDamErHyul BiJoMaecRak (風痰瘀血 痺阻脈絡證), DamYeolBusil PoongDamSangYo (痰熱腑實 風痰上擾證), KiHerhyulEr (氣虛血瘀證), YeumHer PungDong (陰虛風動證) and Jung-Jang-Bu (中臟腑) is PungHwa SangYo CheongGeu (風火上擾淸竅證), DamSeupMongSac ShimSin (痰濕蒙塞心神證), DamYeolNaeFe ShimGeu (痰熱內閉心竅證), WonKiFaeTal ShimSinChakRan(元氣敗脫心神錯亂證) 5. The classification of stages can be divided as stroke stage, convalescent stage, complicated deficit stage. 6. In Oriental Medicine there were few assessment methods of neurological deficit. Therefore we need to develop new assessment system or modification of Western Medicine. The Standardization in the diagnosis of Jung-Pung (中風) has not been well established, even though we had have many clinical experiences. So it is necessary to make a accurate diagnosis that can be done by multiple diagnostic assessment. Therefore the accurate diagnosis of Jung-Pung (中風) can be done by 5 factors, they are the name of diagnosis, symptomatic classification, Byun-Jeung (辨證), stage, the assessment of neurological dificit. And it can be applied in the planning of treatment.

      • KCI등재

        교사 피드백 활동이 과업별 근무시간에 미치는 영향 분석 : TALIS 2018 분석 결과를 중심으로

        심현기(Shim, Hyun-Ki),이호준(Lee, Hojun) 한국교육행정학회 2021 敎育行政學硏究 Vol.39 No.4

        이 연구는 교사 피드백이 실제 교사의 행동 변화에 미치는 영향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교수학습국제조사 제3주기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이하 TALIS 2018)‘ 자료에서 제공하는 대한민국 교사의 데이터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과정에서 관찰하기 어려운 시간불변의 학교 특성을 통제하기 위해 가변수최소자승법(Least Square Dummy Variable)을 활용하였다. 분석결과, 교사 피드백이 1단위 증가함에 따라 교사의 주당 근무시간은 26분(1시간×0.431) 가량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 교사 피드백이 활발하게 이루어질 경우 과업에 대한 교사의 관심과 노력이 제고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교사의 과업 영역에 따라 교사 피드백과 근무시간 간의 관계에 차이가 존재하였는데, ‘수업 계획 및 준비‘, ‘학생 상담‘, ‘학부모 의사소통 및 협력‘과 같은 과업 영역에서 교사 피드백은 교사의 근무시간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 관계를 보였다. 이런 긍정적 영향력은 동료교사로부터 피드백을 받게 될 때 나타나는 현상임을 확인하였다. 이는 동료교사로부터 받는 피드백이 ‘수업 계획 및 준비‘, ‘학생 상담‘, ‘학부모 의사소통 및 협력‘ 등과 같은 주요 과업을 수행하는 데 있어 교사의 적극적인 노력을 이끌어 내는 동인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런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함양과 교사간 관계 강화를 위해서는 동료 교사들 사이의 피드백을 강화하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며, 이런 노력의 일환으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동료 피드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feedback and teachers’ working hours. For this purpose, with Korean teacher data of TALIS 2018, we address the Least Square with Dummy Variable (LSDV) regression to control time-invariant unobserved school characteristics. We find empirical evidence that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teacher feedback show an increasing teacher’s working hours. Also, our results indicate that teachers with feedback experiences spend more time in core tasks, such as teaching preparation, student counseling, communication with parents. We discover that the associations of teacher feedbacks differ by who gives professional feedback to teachers. Teacher feedback from peers is more likely to increase teachers’ working hours on the teaching preparation, student counseling, and communication with par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eacher feedback makes teachers concentrate on teachers’ core tasks. Lastly, this result implies that teacher feedback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should be emphasized within a school.

      • KCI우수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교사의 직무유형별 할애시간이 학생사안 발생빈도에 미치는 영향

        김지선(ji sun Kim),심현기(Hyun-Ki Sh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4

        이 연구는 교사 본연의 다양한 교육활동 및 행정업무에 할애하는 시간과 학교에서 발생하는 학생사안 간의 인과관계를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개발원의 「학교 교육 실태 및 수준 분석」 조사자료를 활용하여 2010년과 2013년 중학교 수준의 학교-연도 패널데이터를 구축하고, 종속변인의 특성을 고려한 음이항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중학교 216개교의 전체 학생사안 발생, 심의 및 징계 건수에 대해 교사 13,428명의 직무유형별 할애시간이 분석되었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가 학생 진학진로에 할애하는 시간이 높을수록 학교의 전체 학생사안은 적게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수업 준비에 대한 할애 시간이 높을수록 학교폭력대책자치위원회의 심의빈도는 줄어드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가 행정업무에 할애하는 시간이 높을수록 전체 학생사안 및 학교선도위원회 징계 건수는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통해, 학생 차원에서는 진학진로 교육의 강화, 교사 차원에서는 행정업무 경감을 통한 수업에의 전념 지원을 제언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ether teachers’ use of time spent on student discipline problems that occur at school has a causal relationship with discipline problems. We constructed panel data at the middle school level for the 2010 and 2013 school years using data from the Actual Status and Quality of School Education survey of the Korea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Specifically,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analysis with school and year fixed effects, the allocation time of 13,428 teachers from 216 middle schools was analyz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we found that the schools where teachers spent more time on students’ career paths showed fewer total student issues. Second, the greater the teacher time devoted to class preparation, the lower the frequency of deliberation by the School Violence Countermeasures Committee. Third, as teacher time spent on administrative work increased, so did the total number of student issues and the number of disciplinary actions taken by the school leadership committe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is a need for schools to reinforce students’ career education and to support teachers’ commitment to classes by reducing administrative work.

      • KCI우수등재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영향: 지역규모와 학교급별 차이를 중심으로

        김지연(Jee-Yeon Kim),심현기(Hyun-Ki Shim) 한국교육학회 2022 敎育學硏究 Vol.60 No.6

        본 연구는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이 소규모학교 폐교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인 분석을 통해 적정규모 학교 육성 정책의 단계별 변화가 소규모학교 폐교율에 미치는 평균적인 효과와 지역규모 및 학교급별 이질적 효과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08년에서 2021년까지 학교와 지역 정보를 수집하여 패널과 매칭 자료를 활용한 고정효과 이중차분법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규모와 학교급에 무관하게 정책의 효과는 평균적으로 유의미하고 일관된 방향으로 나타났다. 특히, 패널과 매칭 자료에서 공통되게 정책의 기준시점 대비 소규모학교의 폐교율이 일반학교보다 증가하였다. 둘째, 지역규모별로 살펴보면, 읍면지역의 소규모학교가 도시지역 학교보다 더 높은 폐교율을 보이는데, 기준시점 대비 1단계에서 4.5%, 2단계에서 6.5% 증가하였다. 셋째, 읍면지역의 소규모 초등학교와 중학교 모두에서 유의미하게 폐교율이 증가하였다. 다만, 동일 지역규모 내에서 초등학교급 보다 중학교급의 소규모학교가 기준시점 대비 폐교율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소규모학교가 갖는 지역사회 내 역할 및 교육적 이점과 폐교로 인한 지역의 황폐화 가능성을 제기하였다. 이에 소규모학교 통폐합만이 최선은 아니며, 학교 교육력 강화 및 지역사회 활성화를 위해 생태-사회학적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기반 시설인 소규모학교를 유지·보존하는 방향으로 정책 방안을 마련할 필요성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mpirically gauge the effect of the optimal school size development policy on the closure of small schools. The specific research questions are about how the policy has effected the closure rate of small schools and whether the effect differs by regional size or school level. Collecting school and regional information from 2008 through 2021, we constructed panel and matching data to which the difference-in-differences method was applied. The main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effect of the policy was found to be significant and consistent. In particular, the closure rate of small schools substantially increased compared to their larger counterparts. Second, by regional size, small schools in rural areas closed with a greater probability than those in urban areas. Third, in rural areas, small-sized middle schools were more likely to be closed than small-sized elementary schools. This study supports the educational advantages of small schools and their role in the community and the possibility of regional devastation due to school closures. From an eco-social perspective, school consolidation is not the best plan for either students or the community. Maintaining and preserving small schools as community infrastructure is important to strengthening school education and revitalizing the community.

      • KCI등재

        대학에 대한 정부의 재정지원 규모 영향 요인 분석 평가에 의한 재정지원 사업을 중심으로

        신정철(Shin Jung Cheol),김훈호(Kim Hoon-Ho),박혜영(Park hae young),심현기(Shim Hyun Ki)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2009 敎育財政 經濟硏究 Vol.18 No.4

        본 연구는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전반적으로 분석하여 정부가 실제로 어떠한 요인에 의하여 각 대학에 대한 재정지원 규모를 결정하고 있으며, 특히 평가에 의한 재정지원 사업의 규모는 실제로 대학의 실행 성과를 반영하여 지원되고 있는지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지난 5년간(2001-2005)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분석대상으로 하였으며, 정부의 재정지원 사업을 일반지원과 평가에 의한 지원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정부의 재정지원 규모는 대체적으로 각 대학의 학생 수를 기준으로 배정되어 왔으며, 사업의 목적에 따라 다른 요소들(설립유형, 교육여건지표)을 적절히 반영하는 방법을 선택해 온 것으로 확인되었다. 평가에 기반한 재정 배정에서도 이러한 원칙이 그대로 적용되어 온 것으로 보인다. 다만, 대학의 교육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도입된 재정지원 사업들의 경우 대교협의 평가결과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연구력 향상을 위하여 도입된 사업들의 경우 대학의 연구성과(교수 1인당 SCI급 논문 수, 교수 1인당 일반 논문 수)와 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대학에 대한 평가인증과 재정지원 연계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This study was initiated to analyze the factors that affect budget allocat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in South Korea from 2001 to 2005. In the analysis, our first research interest was what factors are influential in budget allocation; and our second research interest was whether institutional performance affect budget allocation in its evaluation-based budget allocation mechanism. In this study, we found that institutional size measured by student enrollment was the strongest factor in explaining budget allocat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during the periods considered in this study. As well as student enrollment, we also found that institutional performance was also main considerations in evaluation-based budget mechanism. Based on the findings, we discussed the possibility of linking quality assurance which is the other mechanism of measuring institutional performance with budget allocation to higher education institution.

      • KCI등재

        일반계 고등학교 학업성취 수준에 따른 학교 특성 비교 : 랏소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박소영 ( Park So-young ),박상완 ( Park Sang-wan ),심현기 ( Shim Hyun-ki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2 교육문화연구 Vol.28 No.3

        본 연구는 학생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특성을 분석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해 201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나타난 고등학교 학생의 학업성취 수준을 기준으로 우수학력 학생과 노력요망 학생 비율이 평균 이상인 학교를 각각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로 구분하고, 연구문제를 다음과 설정하였다. 첫째, 교과목별 학업성취수준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를 예측하는 학교 특성 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이 요인은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차이가 있는가? 이를 위해 201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와 학생, 교사, 교장 설문조사를 분석자료로 활용하였다. 연구문제에 대한 답은 벌점화 회귀모형의 한 방법인 랏소 로짓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변수별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학교특성 평균차이는 분석 결과에서 통계적으로 의미있는 것으로 나타난 변수를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국어, 영어, 수학에서 공통적으로 우수학력학교와 노력요망학교 간 차이를 보여주는 변수는 학부모 풍토(자녀의 학업성취 향상을 위한 학부모 요구), 기초생활수급대상자 수, 다문화가정 학생수, 학생의 학교에 대한 긍정적 인식, 학교설립유형(국공립/사립), 학생 자율학습 시간 등이었다. The study compares the characteristics of high-schools depending on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o this end, based on the level of academic achievement of high school students, schools are divided into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chools. Research questions are set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predictors of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chools for reading, English, and mathematics? Second, what is the extent of the differences in the predictors between high-achieving and low-achieving schools? The 2019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 (NAEA) results and surveys from students, teachers, and principals are used for analysis. To find the school-level predictors, first, the LASSO logit model using the penalty regression model is applied. Second, the averages of high- and low-achieving school characteristics are compared. Characteristics that commonly exhit differences between high- and low-achieving schools in reading, English, and mathematics are the parent climate (request of parents to improve their children's academic achievement), the number of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positive perception of schools, school types(public/private), and students’ self-study time, and so 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