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패턴 분석

        심석영 ( Seok-yeong Shim ),박석곤 ( Seok-gon Park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7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1 No.2

        탐방객이 집중화되는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객수와 탐방패턴·행태를 분석해 탐방객 관리방안을 제시하고자 했다. 서석대 집중화에 영향을 주는 무등산국립공원의 연간 탐방객수와 지역·계절별 입장객수는 자동계수기 데이터로 분석되었다. 서석대의 계절·시기별 탐방객수와 행태는 현지조사가 이루어졌다. 2015년도 탐방객은 2,563,651명이었고, 83.9%의 탐방객이 광주광역시에서 가까운 증심사·원효사지구로 방문했다. 이곳에서 서석대일대까지는 가깝고 쉽게 산행가능해 서석대를 찾는 대부분의 탐방객들이 증심사·원효사지구를 통해 들어왔다. 계절별 탐방객은 가을, 여름, 봄, 겨울 순으로 약간 많았지만 계절별 큰 차이가 없었다. 탐방객수와 기상요인사이에는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없었다. 무등산을 많이 찾는 광주시민들이 특정시기와 날씨에 상관없이 자주 찾기 때문일 것이다. 서석대로 출입하는 탐방로는 원효사·장불재 탐방로인데 가을·겨울철에는 장불재탐방로의 탐방객이 약간 많았으나 여름철에는 원효사탐방로가 더 많았다. 탐방거점지역인 장불재에서 서석대로 유입되는 탐방객이 통상 많으나 원효사탐방로는 나무그늘 아래로 산행할 수 있어 여름철의 탐방객이 약간 많았을 것이다. 여름철에는 서석대에서 탐방객의 체류시간이 짧고 혼잡도가 낮았다. 반면 가을·겨울철에는 이곳에서의 점심식사와 휴식으로 체류시간이 길었다. 이때 순간최대 탐방객수가 최대가 되어 극도로 혼잡해져 지정장소 밖의 억새초지에 들어가는 탐방행태를 보였다. 이런 행위는 서석대 정상부의 억새초지 훼손과 더불어 토양침식을 일으킬 수 있으니 집중적인 탐방객 관리가 필요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number of visitors to the top of Seoseokdae in Mudeungsan National Park, in which visitors are concentrated, and their visiting patterns, thereby suggesting measures to manage the visitors. The number of annual visitors and the numbers of regional and seasonal visitors to Mudeungsan National Park, which affect the concentration of visits to Seoseokdae were analyzed using the data produced by an automatic digitizing device. A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number of seasonal and periodic visitors to Seoseokdae and their visiting patterns. In 2015, the number of visitors was 2,563,651 and 83.9% of the visitors visited via the Jeungsimsa and Wonhyosa area that is near Gwangju City. This area is close to the Seoseokdae area and it is easy to hike between the areas. Therefore, there was an influx of most visitors to Seoseokdae into the Jeungsimsa and Wonhyosa area. In terms of seasonal visitors, the largest number of visitors came in the fall, followed by the summer, spring, and winter in order. However, the seasonal differences were not notabl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number of visitors and meteorological factors. This result may have been because Gwangju citizens frequently visit Mudeungsan regardless of period and weather. Visitors can get to Seoseokdae via the trails into Wonhyosa and Jangbuljae. A slightly larger number of visitors used the trail into Jangbuljae in the fall and winter, whereas a larger number of visitors used the trail into Wonhyosa in the summer. In general, there is a large influx of visitors into Jangbuljae, a strategic visiting point. However, a slightly larger number of visitors may have chosen the trail into Wonhyosa in the summer because they could hike under the shade of trees. In the summer, visitors stayed in Seoseokdae for a short time with a low level of crowdedness. On the other hand, in the fall and winter, visitors stayed in the area longer because they had lunch and rested. During the time, the number of momentary maximum visitors peaked, causing extreme crowdedness. Therefore, some visitors showed the visiting pattern of entering the grassland outside the designate zone. Because this behavior can damage the grassland on the top of Seoseokdae, which can lead to soil erosion, intensive visitor management may be necessary.

      • 무등산국립공원서석대정상부의탐방패턴분석a

        심석영,박석곤,오구균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무등산국립공원은 서석대, 입석대 등의 주상절리는 우리 나라를 대표하는 경관을 간직하고 있으며, 호남정맥이 무등 산을 지나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무등산국 립공원은 한해 382만명(2014년)의 탐방객들이 찾아 북한산 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다음으로 많았다. 무등산국립 공원의 탐방객들을 집중되는 증심사 및 원효사 입구를 거쳐 손쉽게 서석대 까지 등반하고 있어 서석대 정상 식생훼손과 토양침식이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석대 정상부일 원의 탐방패턴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무등산 전체 탐방객의 이용패턴 분석을 위하여 무등산에 설치된 43개의 2015년도 자동계수기 데이터를 활용하여, 지역별, 계절별 탐방객수를 분석하였다. 서석대 정상부 탐 방객의 이용패턴은 계절별(여름, 가을, 겨울)로 금, 토, 일요 일 3일간 서석대 정상부의 입출입 탐방로 2곳(원효사↔서 석대, 장불재↔서석대방향)에서 입장 및 퇴장객수를 06 시~18시까지 10분단위로 조사해 통행량을 추정했다. 또한, 순간최대 탐방객 수는 06~18시까지 10분 단위로 서석대 정상부에 최대 탐방객 수라 판단되는 시점에 탐방객 수를 조사했다. 한편 탐방객의 이용행태는 식사(간식), 휴식(전 망)로 구분하였고, 지정장소 안(데크, 전망대)과 밖(초지, 암 반)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현재 88.7%의 탐방객들이 무등산사무소가 관할하는 지 구인 증심사(59.3%), 원효사(29.4%)를 거쳐 입장하였다. 탐방객들은 가을철에 약간 높았으나 특정 계절에 편중되어 서석대 정상부를 탐방하지는 않았다. 지역별로 살펴보아도 계절별 탐방객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기상요인과 탐방객 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강우량이 많을수록 탐방객 수가 낮아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강수량보다 다른 요인들이 무등산 방문의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등산 은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 인접해 있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 여 광주시민들의 도시공원과 같은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계절, 날씨 등과 관계없이 언제든지 쉽게 탐방할 수 있어 대중교통 및 주차장 등의 교통편익시설이 편리한 증심사와 원효사 지역별 탐방객이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의 탐방객을 유도·분산하기 위해 화순, 담양지역의 탐방코스 개선 및 홍보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대중교통 및 주차장 등의 교통편익시설 확충이 요구된다. 서석대 정상부로 오르는 탐방코스인 원효사와 장불재 방 향으로 등반하는 탐방객과 하산하는 탐방객의 비율은 거의 비슷하였고, 계절별 차이는 없었다. 요일별로는 금요일 장 불재와 원효사 방향이 비슷하였으나, 주말(토, 일)은 원효사 방향에서 올라오는 탐방객이 훨씬 많았다. 서석대 정상부에 서 하산객은 금요일은 두 방향이 유사하였지만, 주말(토, 일)에는 장불재 방향으로 내려가는 탐방객이 더 많았다. 이 러한 원인으로서 주중에는 무등산을 잘 아는 광주시민들 이 대중교통 및 자가용 승용차 이용이 용이한 증심사, 원 효사 방향으로 입장하여 서석대 정상부를 거쳐 장불재 및 원효사 방향으로 퇴장하기 때문에 비슷한 수준인 것으 로 추정된다. 반면, 주말의 경우는 단체산행 등의 외지인과 광주시민들이 방문하기 때문에 완만한 탐방로인 원효사 방 향으로 서석대 정상부를 걸쳐 장불재에서 점심식사를 먹고 여유롭게 하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시간대별 탐방패턴을 보면, 여름철에는 새벽부터 무등산을 입장하여, 11시경에 입장객이 절정을 다다르며, 12시경에 퇴장객이 최고조가 되 었음. 서석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비교적 짧았다. 가을철 에는 여름철보다 입장객의 상승폭이 완만하며, 최대가 12 ∼13시경이며, 13시경에 최대가 되었다. 이러한 통행패턴 은 오전시간에 지속적으로 서석대로 탐방객이 유입되며 서 석대에서의 점심식사, 휴식 등으로 체류시간이 길었기 때문 이다. 겨울철의 경우, 다른 계절에 비해 이른 시간에 입장객 은 적어 14시경에 퇴장객이 최대가 되었다. 최대순간탐방객 수는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최대순간 탐 방객 수가 오전에 가파르게 올라가다가 13시에 최고조치를 보인 뒤 급격하게 떨어졌다. 반면, 가을철에는 오전부터 완 만하게 상승하다가 11∼12시에 최고치에 다다르고, 그 이 후에 천천히 내려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는 여름철과 겨울 철에는 12∼13시 전후에 서석대에 도착하여, 점심식사 및 휴식, 전망 등의 탐방 활동시간이 가을철에 비해 짧았기 때 문일 것이다. 계절별 탐방행태를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서석대 정상부 는 무덥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식사 및 간식을 먹는 탐방행태는 그리 많지 않으며, 짧은 시간동안 휴식 및 전망하는 탐방객들이 많았다. 또한, 이 탐방객들은 지정된 장소 밖인 억새 등의 초지에는 들어가지 않았고, 노출암반 이나 나지에서 휴식 및 전망하는 경우가 탐방객이 많았다. 가을철에는 날씨가 쾌청하여 서석대 정상부의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지정된 장소 밖에서 탐방이 이루어지는 많았 다. 또한, 이 탐방객들은 억새 등의 초지로 들어가 돗자리 등을 깔아 점심식사를 하는 탐방객이 많았고, 단체 탐방객 들은 음식과 함께 음주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탐방패턴은 서석대 정상부의 초지나 관목 고사와 더불어 토양침식으로 이어져 심각한 훼손이 일으킬 수 있으니 적절한 단속이 필요할 것이다. 겨울철에도 의외로 피크시 간인 12, 13시에 바람이 부는 서석대 정상부 노출암반이나 데크시설에서 식사 및 간식을 먹지 않으며, 대부분 억새초 지에 들어가 점심식사를 하였다. 겨울철에도 지정장소에 서 탐방이 이루어지도록 계도활동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한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객 관 리 및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서석대로 접근하는 탐방로 정비 및 관리직원, 시민봉사단 등을 확보 하여 탐방객이 집중되는 시기에 적극적인 계도 및 감독을 강화하고 시기 및 공간적으로 탐방객들 분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며, 중·장기적으로는 탐방로 경계 정비, 탐방로 주변 훼손지 복원, 자연생태계 훼손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하여 탐방객 수 제한의 조치 등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단 계적인 대책을 수립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무등산국립공원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패턴 분석

        심석영 ( Seok Yeong Shim ),박석곤 ( Seok Gon Park ),오구균 ( Gu Gyun Oh ) 한국환경생태학회 2016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Vol.2016 No.1

        무등산국립공원은 서석대, 입석대 등의 주상절리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경관을 간직하고 있으며, 호남정맥이 무등산을 지나가고 있어 생태학적으로 중요한 곳이다. 무등산국립공원은 한해 382만명(2014년)의 탐방객들이 찾아 북한산국립공원, 한려해상국립공원 다음으로 많았다. 무등산국립공원의 탐방객들을 집중되는 증심사 및 원효사 입구를 거쳐손쉽게 서석대 까지 등반하고 있어 서석대 정상 식생훼손과 토양침식이 우려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서석대 정상부일원의 탐방패턴을 밝히는데 목적이 있다. 무등산 전체 탐방객의 이용패턴 분석을 위하여 무등산에 설치된 43개의 2015년도 자동계수기 데이터를 활용하여,지역별, 계절별 탐방객수를 분석하였다. 서석대 정상부 탐방객의 이용패턴은 계절별(여름, 가을, 겨울)로 금, 토, 일요일 3일간 서석대 정상부의 입출입 탐방로 2곳(원효사↔서석대, 장불재↔서석대방향)에서 입장 및 퇴장객수를 06시~18시까지 10분단위로 조사해 통행량을 추정했다. 또한, 순간최대 탐방객 수는 06~18시까지 10분 단위로 서석대정상부에 최대 탐방객 수라 판단되는 시점에 탐방객 수를 조사했다. 한편 탐방객의 이용행태는 식사(간식), 휴식(전망)로 구분하였고, 지정장소 안(데크, 전망대)과 밖(초지, 암반)으로 구분하여 조사하였다. 현재 88.7%의 탐방객들이 무등산사무소가 관할하는 지구인 증심사(59.3%), 원효사(29.4%)를 거쳐 입장하였다. 탐방객들은 가을철에 약간 높았으나 특정 계절에 편중되어 서석대 정상부를 탐방하지는 않았다. 지역별로 살펴보아도 계절별 탐방객 수는 큰 변화가 없었다. 기상요인과 탐방객수간의 상관관계 분석에서 강우량이 많을수록 탐방객 수가낮아지는 부의 상관관계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강수량보다 다른 요인들이 무등산방문의사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무등산은 대도시인 광주광역시에 인접해 있어 쉽게 접근이 가능하여 광주시민들의 도시공원과 같은 성격이 강하다. 따라서 계절, 날씨 등과 관계없이 언제든지 쉽게 탐방할 수 있어 대중교통 및 주차장 등의 교통편익시설이 편리한 증심사와원효사 지역별 탐방객이 집중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곳의 탐방객을 유도·분산하기 위해 화순, 담양지역의 탐방코스개선 및 홍보가 필요하며, 이와 함께 대중교통 및 주차장등의 교통편익시설 확충이 요구된다. 서석대 정상부로 오르는 탐방코스인 원효사와 장불재 방향으로 등반하는 탐방객과 하산하는 탐방객의 비율은 거의 비슷하였고, 계절별 차이는 없었다. 요일별로는 금요일 장불재와 원효사 방향이 비슷하였으나, 주말(토, 일)은 원효사방향에서 올라오는 탐방객이 훨씬 많았다. 서석대 정상부에서 하산객은 금요일은 두 방향이 유사하였지만, 주말(토,일)에는 장불재 방향으로 내려가는 탐방객이 더 많았다. 이러한 원인으로서 주중에는 무등산을 잘 아는 광주시민들이 대중교통 및 자가용 승용차 이용이 용이한 증심사, 원효사 방향으로 입장하여 서석대 정상부를 거쳐 장불재 및 원효사 방향으로 퇴장하기 때문에 비슷한 수준인 것으로 추정된다. 반면, 주말의 경우는 단체산행 등의 외지인과 광주시민들이 방문하기 때문에 완만한 탐방로인 원효사 방향으로 서석대 정상부를 걸쳐 장불재에서 점심식사를 먹고 여유롭게 하산하는 것으로 추측된다. 시간대별 탐방패턴을보면, 여름철에는 새벽부터 무등산을 입장하여, 11시경에 입장객이 절정을 다다르며, 12시경에 퇴장객이 최고조가 되었음. 서석대에서 체류하는 시간이 비교적 짧았다. 가을철에는 여름철보다 입장객의 상승폭이 완만하며, 최대가 12~13시경이며, 13시경에 최대가 되었다. 이러한 통행패턴은 오전시간에 지속적으로 서석대로 탐방객이 유입되며 서석대에서의 점심식사, 휴식 등으로 체류시간이 길었기 때문이다. 겨울철의 경우, 다른 계절에 비해 이른 시간에 입장객은 적어 14시경에 퇴장객이 최대가 되었다. 최대순간탐방객 수는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최대순간 탐방객 수가 오전에 가파르게 올라가다가 13시에 최고조치를 보인 뒤 급격하게 떨어졌다. 반면, 가을철에는 오전부터 완만하게 상승하다가 11~12시에 최고치에 다다르고, 그 이후에 천천히 내려가는 형태를 보였다. 이는 여름철과 겨울철에는 12~13시 전후에 서석대에 도착하여, 점심식사 및 휴식, 전망 등의 탐방 활동시간이 가을철에 비해 짧았기 때문일 것이다. 계절별 탐방행태를 살펴보면, 여름철에는 서석대 정상부는 무덥기 때문에 어느 정도 시간이 필요한 식사 및 간식을 먹는 탐방행태는 그리 많지 않으며, 짧은 시간동안 휴식 및 전망하는 탐방객들이 많았다. 또한, 이 탐방객들은 지정된장소 밖인 억새 등의 초지에는 들어가지 않았고, 노출암반이나 나지에서 휴식 및 전망하는 경우가 탐방객이 많았다.가을철에는 날씨가 쾌청하여 서석대 정상부의 체류시간이 길기 때문에 지정된 장소 밖에서 탐방이 이루어지는 많았다. 또한, 이 탐방객들은 억새 등의 초지로 들어가 돗자리등을 깔아 점심식사를 하는 탐방객이 많았고, 단체 탐방객들은 음식과 함께 음주를 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이러한 탐방패턴은 서석대 정상부의 초지나 관목 고사와 더불어 토양침식으로 이어져 심각한 훼손이 일으킬 수 있으니 적절한 단속이 필요할 것이다. 겨울철에도 의외로 피크시간인 12, 13시에 바람이 부는 서석대 정상부 노출암반이나 데크시설에서 식사 및 간식을 먹지 않으며, 대부분 억새초지에 들어가 점심식사를 하였다. 겨울철에도 지정장소에서 탐방이 이루어지도록 계도활동이 필요하다. 위와 같은 분석을 토대로 한 서석대 정상부의 탐방객 관리 및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단기적으로는 서석대로 접근하는 탐방로 정비 및 관리직원, 시민봉사단 등을 확보하여 탐방객이 집중되는 시기에 적극적인 계도 및 감독을 강화하고 시기 및 공간적으로 탐방객들 분산시키는 방안을 모색하며, 중·장기적으로는 탐방로 경계 정비, 탐방로 주변훼손지 복원, 자연생태계 훼손여부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하여 탐방객 수 제한의 조치 등의 근거자료를 마련하고 단계적인 대책을 수립하여 관리방안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무등산국립공원 중봉과 누에봉 복원공사지역 식생회복 평가

        김영선,심석영 한국환경생태학회 2019 한국환경생태학회지 Vol.33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ssess the degree of vegetation recovery such as the vegetation change and the effect of artificial restoration measur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years since the restoration works at the damaged Jungbong and Nuebong area in Mudeungsan National Park. We set up a total of 21 survey areas including 11 monitoring areas to analyze the flora, relative dominance, species diversity, and similarity in the restored site after relocation of Zungbong army base in 1996 and the restored site after the demolition of Neeebong telecommunication facility in 1999 and 10 control areas in the adjacent natural forest to assess the vegetation recovery in the restored sites and the nearby natural forest. The Mean Similarity Index of seed composition was relatively low at 3.5% in the Jungbong restoration site 17 years after the restoration, and the height of shrub layer, in which azaleas and furred azaleas appeared, recovered to the level of 82.6%. We conclud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tinue monitoring the restored sites to develop the recovery assessment method and recovery work technology for sub-alpine areas in Mudeungsan National Park and other national park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무등산국립공원 식생복원사업후 경과년수에 따라 식생변화상태, 인위적 복원조치에 대한 효과등 식생회복정도를 평가하는데 있다. 1996년에 시행한 중봉 군부대 이전 복원공사지역과 1999년에 누에봉 방송통신시설 철거 복원공사지역에 식물상, 상대우점치, 종다양도, 유사도 등을 분석하기 위해 모니터링 시험구 11개소, 복원공사지역 인근 자연림에 대조구 10개소 등 총 21개소의 조사구를 설치하여 복원공사지역과 주변 자연림간 식생회복 정도를평가하였다. 복원 후 17년이 경과한 중봉 군부대 이전 복원공사지역은 종구성의 유사도지수 평균치가 3.5%로 낮았으나관목층의 수고는 112%의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복원 후 14년이 경과한 누에봉 방송통신시설 철거 복원공사지역의유사도지수 평균치는 5.05%이었고 산철쭉과 털진달래가 출현하는 관목층의 수고는 82.6% 수준으로 회복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과 다른 국립공원지역의 아고산대 복원평가방법과 복원공사기술개발을 위하여 복원공사지역의 지속적인모니터링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고추재배에서 토성별 토양수분, 토양온도, 무기태질소 변화에 따른 CO₂ 배출량 평가

        김건엽,송범헌,석영,고병구,노기안,교문,장용선 한국토양비료학회 2008 한국토양비료학회지 Vol.41 No.6

        시험포장은 수원시에 위치한 국립농업과학원의 기후변화생태과 시험포장에서 고추를 재배하여 식양토와 사양토의 2개 토성을 대상으로 각 관수시점을 -30kPa 와 -50kPa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요인인 토양수분, 토양온도, 토양 중 무기태질소를 측정하여, CO2배출 간의 관계와 배출 특성을 구명하고자 하였다. 본 시험의 연구 결과, 토양의 CO2배출량과 무기태질소 리고 토양온도에서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으나, 토양수분과는 상관을 보이지 않았다. 그리고 CO2 배출 량과 토양수분함량과는 상관관계가 없었다. CO2 배출량과 토양온도 및 무기태질소의 상관계수는 식양토에서 0.830**, 0.876**, 사양토에서 0.793**, 0.804**로 상관은 고도로 유의하였다. 고추 재배기간 143일간 CO2의 작기종합 배출량을 토양 토성에 따라 수분장력별로 처리하여 비교한 결과, 수분장력이 식양토에서 -30kPa에 비해 -50kPa에 서 37.5%, 사양토는 50.0% 저감되었으며, 식양토에 비해 사양토에서 21.2∼36.9% (-30kPa∼-50kPa) 저감되었다. 고추밭에서 온실가스배출에 관여하는 무기태질소, 토양수분함량, 토양온도 등의 요인들 중 온실가스배출에 어느 정도 영향을 주는가를 정량적으로 분석하 기위하여, CO2배출에 대한 기여도를 평가하였다. CO2배출에 대한 각 요인들 간의 기여도는 토양온도 (식양토; 46.6, 사양토; 69.7%), 무기태질소 (39.3, 26.2%), 토양수분함량 (14.1, 4.1%) 순으로 나타나, CO2배출에 관여하는 요인 중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토양온도로 나타났다.

      • SCOPUSKCI등재

        혈청학적 방법을 이용한 결핵 진단 방법의 효용성

        김덕겸,권성연,석영,박계영,정경해,이춘택,유철규,김영환,한성구,염수,Kim, Deog-Kyeom,Kwon, Sung-Youn,Lee, Suk-Young,Park, Gye-Young,Jung, Kyung-Hae,Lee, Chun-Taek,Yoo, Churl-Gyoo,Kim, Young-Whan,Han, Sung-Koo,Shim, Yong-Soo 대한결핵및호흡기학회 1999 Tuberculosis and Respiratory Diseases Vol.47 No.5

        연구배경: 객담 도말 및 배양 검사나 방사선학적 검사 등의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은 낮은 민감도와 진단까지 소요되는 기간이 길다는 단점이 있어서 결핵의 조기 진단 및 치료에 제한점이 있었다. 최근에 혈청학적 진단 방법의 하나로 개발된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들이 소개되고, 외국에서 비교적 높은 진단율를 보여, 결핵 유병율이 높은 국내에서 그 유용성을 평가하고, 질병 양상에 따른 차이점을 조사하여, 기존의 결핵 진단 방법들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지 알아보고자하였다. 연구방법: 환자군을 폐결핵 환자군(36명), 폐외결핵 환자군(3명) 및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22명)으로 나누었으며, 대조군은 과거 결핵 병력이 있는 비활동성 결핵환자(17명), 결핵이외의 폐질환자(16명) 및 폐질환이 없는 심장 환자(14명)를 대상으로 38kDa 항체를 포함한 ICT tuberculosis 또는 BioSign$^{TM}$TB를 이용하여 혈청화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결 과: ICT tuberculosis를 사용한 경우, 환자군 56명 및 대조군 47명에 대하여 64.3%의 민감도 및 91.5%의 특이도를 나타내었으며, 폐결핵만 있는 환자군에서 76.5%의 민감도를 보여, 폐외 결핵만 있는 환자군(33.3%)나 두 가지 모두 이환된 군(47.4%)에 비하여 더 높은 민감도를 나타내었다(p=0.039). BioSign$^{TM}$TB를 이용한 경우, 환자군 43명 및 대조군 43 명에 대하여 74.4%의 민감도 및 95.3%의 특이도를 보였으며, 폐질환이 없는 환자군에서는 100%의 특이도를 나타내었다. 환자군중에서 초발환자 및 과거 폐결핵 병력이 있는 환자군 사이에는 민감도에 차이가 없었으며, 공동성 폐결핵 환자와 비공동성 폐결핵 환자사이에 검사상 민감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73.3% vs. 69.6%, p>0.05). 결 론: 혈청학적 방법의 하나인 immunochromatographic assay 기구는 높은 특이도와 양성 예측도를 보여 임상적 유용성이 기대되나, 상대적으로 낮은 민감도와 음성 예측도를 고려할 때, 단독 사용보다는 기존 방법과의 상보적 사용이 결핵진단에 더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된다. Background: Many diagnostic tests have developed to diagnose tuberculosis and other mycobacterial diseases but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relies largely on radiological findings and acid-fast staining of sputum and/or culture. Recently, new serologic diagnostic methods, which are safe and easy to use have been introduced into Korea. In this study, the usefulness of serologic diagnosis for tuberculosis and the disease pattern induced variation of the test were evaluated. Methods: Serological assay was performed upon 108 patients with two test kits, the ICT tuberculosis and the BioSign$^{TM}$TB, which are based upon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technique, capable of being interpreted within 15 minutes. The case groups consisted of 61 patients with active pulmonary tuberculosis(36 patients), extrapulmonary tuberculosis(3 patients), or both(22 patients). Control groups consisted of 47 patients with inactive old pulmonary tuberculosis(17 patients), nontuberculous pulmonary disease(16 patients) and nonpulmonary cardiac disease(14 patients). Results :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ositive predictive value(PPV) and negative predictive value(NPV) of the ICT tuberculosis were 64.3%, 91.5%, 90.0% and 68.3% respectively. The diagnostic sensitivity, specificity, PPV and NPV of the BioSign$^{TM}$TB were 76.5%, 95.3%, 94.1 % and 78.8% respectively. Differences in sensitivity were not significant between patients with previous history of tuberculosis or patients without prior history of tuberculosis. The ICT tuberculosis test showed higher sensitivity in 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76.5%) than extrapulmonary tuberculosis patients(33.3%). There was no difference in sensitivity between patients with or without cavitary lesion by chest X-ray. Conclusion: Considering high specificity and PPV, serologic diagnosis using a rapid immunochromatographic assay device is another helpful diagnostic method in the diagnosis of tuberculosis, when combined with previous diagnostic methods such as chest X-ray, microbiologic study but it has limitation in terms of confirming the diagnosis for tuberculosis as the only diagnostic method because of relatively low sensitivity and NPV.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