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통일이행기 한국문학-분단체제 이후의 모색-

        신철하 ( Shin Chul-ha ) 한민족문화학회 2021 한민족문화연구 Vol.74 No.-

        코리아의 현 단계를 특징짓는 것은 미적 레짐으로서의 아포리아다. 그것은 분열의 내면을 거느린다는 점에서 분단체제와 변별되는 ‘통일이행기’의 문화적 구성을 자질로 한다. 통일이행기를 특징짓는 정념은 통일시대를 향해 나아가면서도 분단체제를 수용하는 분열된 내면을 특징으로 하며, 그런 이유로 분단과 통일, 전쟁과 평화, 보수와 혁명, 밤과 낮, 남과 여, 증오와 사랑의 대립적 긴장을 하나의 주제로 내면화해야 하는 어려움을 요구한다. 통일이행기 한국문학의 전위를 보여주는 국경의 해체, 이데올로기의 해체, 국가주의의 해체는 그런 시대정신의 정확한 재현으로 평가할 수 있다. What characterizes Korea’s current stage is Aporia as an aesthetic regime. It is characterized by the cultural composition of the “tongil-ihaenggi” which is distinguished from the divisional system in that it has the inner side of schizo. The virtue that characterizes the tongil-ihaenggi is characterized by the schizo inner part that accepts the divisional system while go forward toward the unification era. For that reason, calls for division and unification, war and peace, conservative and revolutionary, night and day, over the South, the difficulty of internalizing the oppositional tension of hatred and love as a topic. The dismantling of borders, dismantling of ideology, and dismantling nationalism, which show the dislocation of Korean literature during the period of unification, can be evaluated by the accurate representation of the spirit of the times.

      • KCI등재후보

        몽타주의 영화

        신철하(Chul-Ha Shin) 픽션과논픽션학회 2022 픽션과논픽션 Vol.4 No.1

        영화는 이미지의 운동을 통해 장르의 독자적 자질을 표현하는 예술이다. 이미지-운동은 들뢰즈가 쁠랑(plan)이라고 지칭한 쇼트의 연결, 컷팅, 뒤섞음, 배치, 꼴라주 작업을 수행하는 과정을 거치면서 그 특질을 드러내게 된다. 이 글은 웨스 앤더슨의 2014년 텍스트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의 숏 구성이 내포한 특별한 미적 질감을 알아보기 위한 일환으로 몽타주분석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이 글은 영화의 현대성에 기여한 아이젠슈타인의 영화작업을 원용하여, 텍스트의 쁠랑-숏 기능을 미시적으로 탐구한다. 분석을 통해 이 글이 주목한 것은 영화에 실험되거나 영화를 영화답게 하는 몽타주 효과이다. 이 텍스트는 몽타주의 영화라고 할 만큼 흥미로운 기법과 카메라워크를 통해 수용자의 미적 효과를 유발한다. 그 중심에 화면구성 원리로서의 몽타주 효과가 있다. 분석을 통해 드러난 〈그랜드부다페스트호텔〉의 몽타주는 어떤 점에서 영화의 기법이 영화의 미학이자 사유체계라 해도 과언이 아님을 근사하게 증명할 수 있는 미적 특질을 암유하고 있다. Film is an art that expresses the unique qualities of a genre through the movement of images. The image movement reveals its traits through the process of connecting, cutting, shuffling, arrangement, and collage the shot that Deleuze calls the plan. This article is aimed to analyze the Montage of Wes Enderson's 2014 years film 《The Grand Budapest Hotel》. To this end, this article focuses on Sergei Eisenstein's montage theory, which has contributed greatly to the modernity of the film. This article attempts to observe microscopically the function of shot in film. The aim of this article is amontage effect that is experimented on one movie or film is filmed. Contemporary films attract audiences through a variety of cinematic techniques, such as montage movies. There is a montage in the center. The montage can be regarded as a key device to prove that the technology of the film is not an exaggeration even though it is aesthetics and thought system of the film.

      • KCI등재

        영화서사에서의 시간 -"메멘토"와 "박하사탕"-

        신철하 ( Chul Ha Shin ) 한민족문화학회 2012 한민족문화연구 Vol.39 No.-

        인간 영혼의 궁극적 깊이는 시간의 근원적 깊이다``라는 토마스 만의 통찰은 필름 『메멘토』나 『박하사탕』의 경우에도 해당하는 것처럼 보인다. 전자가 시간의 의도적 왜곡과 인물의 기획적 지배를 통해 시간의 심리적 깊이에 도달하려는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면, 후자는 주제를 전달하기 위한 효과적인 방법으로 ``창조적 회상``이라는 오래된 시간 기법을 차용한다. 궁극적으로 시간을 거슬러 가는 방식으로서의 기억이라는 심리적 자질을 이용해 한 인간의 일상에 균열을 내는 두 텍스트의 시간 사용 방식은, 두 텍스트가 예술이기 위한 참신한 실험으로 평가된다. 그 모험은 시간이 언어를 통해 ``창조적 회상``으로서의 예술을 감상할 수 있는 기회를 대중에게 유쾌하게 제공한다. 그것은 문화상업주의 시대에 영화가 예술이기 위한 자기 언어의 획득과정을 통찰하게 하는 것처럼 보인다. The insight of Thomas Mann when he observed that ``The ultimate depth of human soul is the fundamental depth of time.`` applies to the case of film 『Memento』 amd 『Peppermint Candy』. 『Memento』 and 『Peppermint Candy』as a way of going upstream against the flow of time joins an entirely new venture for it to deserve the category of art by using a psychological trait called memory and by creating a crack in the daily routine of a man. In the venture, time cheerfully provides the public with an opportunity of appreciating art as a form of ``creative recall`` through language. It is an experiment that invites a film to gain an insight into the process of acquiring its language for the film to deserve the name of art in an age of cultural commercialism.

      • KCI등재

        서사적 욕망과 형식 -「마더」와 정신분석-

        신철하 ( Chul Ha Shin ) 민족어문학회 2011 어문논집 Vol.- No.63

        이 논문은 「마더」에 나타난 인물들의 욕망을 분석하려는 시도이다. 이를 위해 이 글은 라깡의 명제 ``무의식은 언어처럼 구조지어져 있다``라는 전언을 원용한다. 주지하듯이 그는 소쉬르의 구조주의 언어학을 원용하여 프로이드의 정신분석학을 언어적 차원으로 재구성함으로써, 정신분석학적 구조주의의 단초를 마련했다. 그가 이를 통해 궁극적으로 해명하고자 한 것은 무의식을 언어적 구조를 통해 해석하는 것이었다. 이 논문은 라깡식으로 ``오인``과 ``응시``의 키워드를 바탕으로 「마더」의 두 인물 ``혜자``와 ``도준``의 왜곡된 욕망과 그 무의식의 심층을 탐구한다. 그 해석은 이 필름의 내면이 밀도있는 서사와 인물을 통해 구성되어 있다는 것을 증거하는 과정과 맞물려 있음을 보여준다. This writing attemtps to analyze the desires of the characters appearing in ``Mother.`` To this end, it takes note of the wording ``unconsciousness is structured like language,`` which is one of 라깡`s propositions. As widely known, he once provided a clue to a psychoanalytic structualism by reconstructing Freudianism on the linguistic level based on structual linguistics. What he attempted to make clear ultimately by this was interpreting unconsciousness through linguistic strucure. This writing interprets the distorted desires of ``Hae-ja`` and ``Do-Joon,`` the two characters appearing in ``Mother`` and the depth of the unconsciousness through ``misperception`` and ``stare.`` The interpretation shows it is interlocked with the process proving that the inner side of this film is made up of condensed narration and characters.

      • KCI등재

        일반논문 : 지역축제의(/와) 콘텐츠 -축제 인식제고를 위한 시론

        신철하 ( Chul Ha Shin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4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56

        축제는 하나의 에너지이다. 쾌락과 탐닉의 엑스터시가 있으며, 인간해방을 향한 자유가 있다. 그러나 현단계 한국 축제는 퇴폐와 부조리와 부패로 퇴행적이다. 어떤 축제가 미래적이며 새로운 가능성을 내재하고 있는가. 이 글은 그 보기를 3개의 서로 다른 유형의 주목할 만한 축제콘텐츠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통찰한다. 그 결과 적어도 한국적 상황에서는 주민정치, 혹은 주민자치의 실질적 만개가 공동체의 복원을 위한 초석을 놓을 수 있으며, 이 과정에서 주민축제가 자연스런 형태로 생성, 복원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한다. 축제는 그때 갈등을 치유하고, 공동체의 결속을 강화하며, 문제의 원인과 근인을 발본하게 하여 근대적 생활방식과는 다른 형태의 삶과 인간적 연대를 재구축하는 계기를 촉매할 수 있다. A festival is a form of energy, accompanied by ecstasy of pleasure and indulgence, and freedom toward human liberation. However, Korean festivals at the present stage is regressive by nature, characterized by their decadence, absurdity and corruption. This article provides an insight into the examples of what kind of festivals are futural, embracing new possibilities through a process of analyzing noteworthy festival contents of 3 differing types. As a result, the flowering of resident politics or residential autonomy at least under the Korean situation will lay a foundation stone for the recovery of the community, and the article concludes that residents` festivals will be generated and recovered in their natural forms. Festivals cure conflicts of the time, strengthen union of the community, uproot causes both near and remote, and act as a cataclysm rebuilding the life and human alliance different in form from the modern way of living.

      • KCI등재

        포스트분단체제와 ‘동학’

        신철하(Shin, Chul-ha) 한국비평문학회 2018 批評文學 Vol.- No.69

        이 글은 전혀 새로운 형태의 민중혁명인 ‘2017 촛불’에 관한 미적 기원을 탐색해보려는 시도의 하나로 작성된다. 이 글은 이 화두를 ‘비평’이 현실과 만나는 잠재적 인식의 단초로 판단한다. 비평이란 무엇인가, 비평의 새로움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의 질문이 그것이다. 이 질문의 긴요한 화두로 ‘직접행동민주주의’와 그것의 동력을 내포한 ‘東學’을 호출했다. 특별히 동학의 ‘無爲而化’는 포스트분단체제, 다시말해 ‘통일이행기’의 정치적 무의식을 탁월하게 재현할 수 있는 미적 에너지를 잠재하고 있다. 분단체제를 온몸으로 돌파해간 김수영의 시학에서 우리는 그 파편을 목도한다. 지금까지의 잡다한 문건들에서의 주장과 달리 ‘풀’은 김수영의 무위적 상상력을 예증할만한 텍스트이다. 이 시에서 엿보이는 리듬감과 주술적 역동성은 김수영이 시대를 인식하는 미학적 정치성으로 판단된다. 현 단계는 분단체제를 넘어 통일이행기로 진입하고 있다. 통일이행기는 이중구속된 메카니즘으로 우리의 삶을 포획한다. 동학은 이 이중구속된 삶의 억압을 변혁할 수 있는 내재적 에너지를 함유하고 있는 것처럼 보인다. 이른바 무위적 에너지가 바로 그것이다. This article is part of an attempt to explore the optimal aesthetic origin of the ‘2017 candle", a totally new kind of popular revolution. I judge this problem as the basis of the fundamental perception that ‘criticism" meets reality. What is the criticism, what is the new criticism? As a critical issue of this question, we chose ‘Donghak’, which contains ‘direct action democracy’ and its modern power. Especially, Donghak’s ‘mu-wi-e-wha(無爲而化)’ has the potential to reproduce the political unconsciousness of the post-divided system, that is, the ‘Unification Transition Period". In the poetry of Kim Soo-young, who broke the division system all over, we witness the traces.

      • KCI등재

        동학의 노자수용 ― 미학과 정치(Ⅱ) ―

        신철하 ( Shin Chul-ha ) 현대문학이론학회 2017 現代文學理論硏究 Vol.0 No.71

        이 글은 “문학이 정치를 구성하는 방식”에 대한 어떤 질문으로부터 출발한다. ‘정치의 본질은 불일치’라는 랑시에르의 전언이 유효한 전거로 차용되었다. 정치적 불일치는 의견들의 대립이나 갈등, 충돌의 차원을 넘어서, 감각적인 것과 그것 사이의 틈을 현시하는 어떤 것이다. 정치적 현시는 우리에게 보이지 않았던 것을 볼 수 있게 하는 것과 관계한다. 이 지점에서 우리는 노자의 텍스트와 긴밀하게 호흡할 수 있다. 특별히 나는 노자를 정독하는 과정에서 3개의 주요한 개념어를 적출했다. 노자의 텍스트를 시적언어로 환원하는 작업이 그 하나이다. 그러니까 노자의 언어는 우리가 문학의 영역이라고 생각해왔던 고도의 감각적인 언어의 구성을 통해 당대의 정치를 전혀 다른 차원으로 이동시키는 작업임을 예시한다. 나는 그 작업을 ‘에로스’와 ‘정치’의 개념어를 통해 읽는 노동을 수행했다. 에로스는 라캉이 그의 『세미나8』에서 『향연』 해석을 퍼포먼스하는 과정을 통해 언급한 ‘사랑의 은유’와 ‘욕망의 환유’의 범주에 있는 것이기도 하다. 노자에게서 에로스는 여성성과 모성성이 혼재한 상태로 표상되는 모호한 영역에 있다. 그 모호함은 ‘현묘’나 ‘현빈’으로 특징지어지는 암흑에너지의 어떤 것에 비견된다. 이를 조금 더 현대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떼야르 드 샤르댕의 과학적 탐구를 빌려온 이유이다. 마지막으로 나는 81개의 텍스트 조각을 해체-재구성하는 퍼포먼스를 수행했다. 이를 통해 의미의 파편들을 하나의 서사로 완성하는 것이 가능하다는 결론에 도달했다. 그 궁극이 정치다. 말하자면 노자의 정치는 현대적으로 들뢰즈의 ‘되기’, 궁극적으로 ‘지각불가능하게 되기’로 나아가는 인간의 가장 창조적이고 정열적인 지적 행위의 영역에 있는 어떤 것이다. 그것이 미학적인 이유이기도 하다. 요약하면, 19세기 역사적 사건이 되기를 주저하지 않았던 동학의 역동적 자질은 부분적으로 노자의 언어를 통해 더 명료하게 자기정체성을 획득할 수 있었다. 이와 관련하여 3개의 개념어-‘侍’, ‘不燃其然’, ‘無爲而化’-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동학의 ‘侍’는 높은 미적 정치성을 내재하고 있다. ‘侍’는 ‘포태한 여성’에 대한 사랑의 은유다. ‘母’에 대한 노자의 해석을 최시형은 ‘시’를 이해하는 과정에서 조선 현실에 정확하게 투사한다. 말하자면 ‘不燃其然’은 그 ‘시’를 19세기 조선에 실천하는 과정에서 획득한 방법적 자각이다. 방법적 자각으로서의 ‘불연기연’은 노자가 夷, 希, 微의 상태라고 말한 유물 혼성의 미학적 원리를 비약적으로 해석한 것처럼 보인다. 다른한편, ‘無爲而化’는 불연 기연의 방법적 자각을 19세기 조선 현실에 전개하는데 작동한 정치적 실천강령이다. 최제우의 무위이화는 최시형의 ‘玄妙無爲’라는 혁명적 해석을 통해 동학혁명의 이론적 에너지로 수혈된다. 그 에너지는 현단계 동아시아의 다른 국가들과는 차별화된 한국의 시민민주주의를 향한 무한 잠재태로 기능하고 있다. This article is written in order to devise the truth of the Laotzu of Dong-Hak(東經大全). In this process, this article attempts to overturn two texts. It is to read the Laotzu in the main language of 'Eros' and 'politics' and to interpret it as the program of action of revolution especially for democracy. Through this interpretation, I would like to show that Donghak can be a dynamic doctrine that is not only a peasant uprising or a simple religion that has been defeated by foreign powers, but the most brilliant living in Korean modern democracy. The dynamic nature of Donghak, which did not hesitate to become the most brilliant historical event of the 19th century, was able to acquire its identity more clearly through the language of the Laotzu. In this regard, three conceptual words need to be noted. The ‘侍’ of Donghak has a high aesthetic politics. ‘侍’ is a metaphor of love for an 'pregnant woman'. Laotzu's interpretation of ‘母’ is precisely projected to the reality of ‘朝鮮’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侍’. In other words, ‘不然其然’ is a methodological awareness obtained in the process of ‘有物混成’ representation the ‘侍’ in 19th century ‘朝鮮’. ‘不然其然’ as a methodical awareness seems to be a breakthrough interpretation of the aesthetic principle of ‘that Laotzu described as the state of ‘夷’, ‘希’, and ‘微’. ‘無爲而化’ is a political code of practice that worked to spread the methodical awareness of ‘不然其然’ ceremony to the reality of ‘朝鮮’ in the 19th century. Choi Jae-woo's ‘無爲而化’ is transfused into the theoretical energy of the Donghak revolution through a dynamic interpretation of Choi Si-hyung's ‘玄妙無爲’. That energy functions as an infinite potential for Korean civil democracy that is differentiated from other countries in East Asia at this stage.

      • KCI등재

        문학생태학의 미학적 과제 - 『관촌수필』과 속도 -

        신철하(Shin Chul-Ha) 한국언어문학회 2003 한국언어문학 Vol.51 No.-

        In studying contemporary literature, the theories of 'Literary Ecology' can work as the key factor among the pending questions. The writer contemplated to talk in detail about the novel named 'Essay on the Village of Kwan-chon' and the subject of 'Speed of Change', so that he can eventually show the answer for the question of how to access the aesthetics in literary ecological way and observ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iterary Ecology from an acute standpoint as well. In the novel called 'Essay on the Village of Kwan-chon', dialect of Choong-chung province located in the west coast of Korea has been used in a very disordered way and this must be the striking feature of this novel. The dialect makes the readers so tardy that they spend more time in reading, and shows how biologically diverse a language can be. From here, we find the true beauty of 'Literary Ecology.' The modem language is dying. It is the language of ideology and of fascist as well. It spoils and destroys the diversity of language. It is now time to point out the problem lying in Korean language, which has almost become an artificial language and also think about the aesthetic problem that 'Essay on the Village of Kwan-chon' casts a strong question.

      • KCI등재
      • KCI등재

        욕망의 형식으로서의 영화

        신철하(Shin, Chul-ha) 중앙어문학회 2012 語文論集 Vol.52 No.-

        The reconstructing process of the series of human unconsciousness and its externalized symbols are positioned at the apex of the most interesting imaginative power that humans can possibly show. Desire from the persepctive of others as a way of jouissance and desiring the story that could be called desires for the lack a process of filling up, complementing and reconstructing in ways completely new and satisfying alienation or a certain part of lack. This article is an experimental note where the reading of two film texts concerning unconsciousness and desire that show up all too frequently in the language of Lacan and the linguistic structure associated with this was applied. An interpretative key word that runs consistently through ‘The Game of Evening’ almost coincides with the process of asking back what the substance of the desire a woman is signifying and why. Sung-Jae"s sexual eccentricity and desire is the symbol of unconsciousness she is internalizing as well as a process of the total healing through it. ‘Mother’ wonderfully reproduces the proposition that the desire of a human entity Lacan named ‘alienation within language’ ultimately comes down to linguistic desire. That reproduction consists in the sight of misunderstanding and gaze, through which Mother and Do-Joon sublimate politics of human relationships up to that of desire. That sublimation is an insight of a higher level into the life and truthfulness that we have kept under ourt domain both our inside and outside as well. Our epical text has come so far as to pose such questions as who I am, what makes me uniquely what I am today and what kind of language it is that looks into it. Lacan r the two text poses questions about other parts and stages of interpretation that have been left undone or left out. The essence of his text is a form fo poignant questions about the cave within the inside of humans called desire, khoradhk rather, in such a sens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