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기혼여성의 경제활동 참여와 출산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직장 유형을 중심으로

        신자은 ( Ja-eun Shin ) 한국여성경제학회 2022 여성경제연구 Vol.19 No.3

        본 연구는 기혼여성의 경제활동과 총 자녀 수, 자녀 유무, 둘째아 여부 및 추가 출산 의향과의 관계를 직장 유형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실증 분석하였다. 전국 출산력 및 가족 보건·복지 실태조사 2009~2018년 자료의 기혼여성 표본에 대한 포아송 모형, 이항 로지스틱 모형 및 성향점수 매칭 평균처리효과 모형 분석을 시행한 결과, 기혼여성의 취업, 특히 민간부문 및 중소기업 취업은 총 자녀 수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부의 관계가 있었다. 공공부문 취업, 특히 정부기관 취업은 총 자녀 수와 둘째아 출산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의 관계가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기혼여성의 취업과 출산과의 관계는 직장 유형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고용 안정성, 일·가정 양립 지원 등 근로조건의 개선과 사각지대 해소가 저출산 대응에 유효한 정책임을 시사한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employment on fertility among married females with an emphasis on sectoral differences. Using a pooled data of the 2009-2018 National Survey on Fertility and Family Health and Welfare, the poisson models, logistics models and propensity-score matching estimations for average treatment effect are conducted. Results show that employment of married females is negatively associated with fertility but this association is mainly attributed by private sector employment, in particular, at the large and medium-size firms. Public sector employment and regular employment have positive associations with fertility. These findings imply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employment and fertility depends on sectors. Work-life balance support such as paid maternity leave and career interruption relaxation, if enhanced in all sectors, would promote both female career development and fertility.

      • KCI등재

        모바일 포트폴리오 애플리케이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자인 분석 및 연구

        신자은(Shin, Ja Eun),김기현(Kim, Gi Hyun),김정희(Kim, Jung Hee) 한국전시산업융합연구원 2015 한국과학예술융합학회 Vol.20 No.-

        모바일 기기의 보급이 대중화되면서 휴대성 높은 모바일 기기를 통해 정보를 주고받는 사용시간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디자이너에게 있어서 홍보의 주요 수단인 포트폴리오의 형태도 기술발전과 트렌드의 변화에 따라 전통적인 프린트미디어에서 더 다양한 미디어 분야로 변화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모바일 포트폴리오의 제작이 활발해 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기기에서 구현가능한 모바일 웹과 애플리케이션의 형태 중 다양한 모바일 기기의 기술과 연동이 가능하고 구조와 형태에 있어서 유연성이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앱스토어에 있는 디자인 포트폴리오 애플리케이션들 중에서 개인, 교육기관 및 회사 등의 포트폴리오를 고르게 선정하고 해당 애플리케이션들의 내비게이션 및 인터페이스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사용자의 인터페이스 요소들에 대한 선호도 평가를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하고 그 결과도 분석하였다. 포트폴리오는 앱별로 Drawer, Launcher와 같은 내비게이션의 형태와 레이아웃, Viewer나 Slider와 같은 인터페이스 요소의 사용이 차별화되어 있었으나 웹사이트와는 달리 체계적인 가이드라인이 확립되어 있지 않아서 사용자가 앱을 작동시키는데 학습이 필수적이거나 사용성이 떨어지는 애플리케이션들이 상당수 있었다. 인터페이스 요소에 대한 선호도 설문조사는 Viewer, launcher, 상세 정보 Popover, 상세 정보 Page 내 제공, Slider 및 Indicator, Drawer의 순으로 평가점수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를 바탕으로 앱 제작시 해당 요소들을 활용하는 것이 사용성을 높이는 방법으로 판단되었다. 웹사이트에 대한 사용자 경험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서 가이드라인이 확립되어 있는 것처럼, 향후 모바일 기기에서의 웹이나 앱 제작시에도 규격화된 스타일 가이드가 연구·개발되어 디자이너의 창의적인 표현은 지켜주되 확고한 사용자중심의 인터페이스 지침이 확립되어야 할 것이다. With the popularization of mobile devices, the duration of send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through the highly portable mobile devices is drastically increasing. The form of portfolio which is a major promotion means for a designer is changing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and trends, transiting from the traditional printed media to more various media, and the production of mobile portfolio is on the rising these days. As for the research target, this study took the applications that are able to be connected to the various mobile devices and flexible in terms of the structure and form among the mobile webs and applications implementable on a mobile device. The portfolios of the personal, education institutional and corporate design portfolio applications were selected evenly from the app store, and the navigations and interfaces of those were analyzed. Also the user interface elements were analyzed as evaluating the preferences through the survey. In terms of portfolio, the form and layout of navigation like Drawer and Launcher, and the use of interface elements such as Viewer or Slider were differentiated by app, but unlike website, the systematic guideline was not established, requiring the users to learn how to operate the app or having low usability. The interface elements preference survey showed the preference in the order of Viewer, Launcher, detailed information Popover, offer in detailed information page, Slider, Indicator, and Drawer, and it was judged that the usability can be increased as using the relevant elements based on the result when creating apps. As the specific guidelines are established through the active researches on the website users’ experiences, the solid user-centered interface guidelines are to be established in producing a web or app for a future mobile device by researching and developing a standardized style guideline as guaranteeing the creative expression of a designer.

      • KCI등재

        건강보험제도 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신자은 ( Ja Eun Shi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09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건강보험 제도 만족도의 결정 요인을 소득, 의료이용 경험, 그리고 건강보험 가입 여부의 객관적 요인과 전반적인 정서상태를 반영하는 생활만족도라는 주관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건강보험료 미납에 미치는 제도 만족도의 영향을 평가하는 동시에, 건강보험 제도 만족도와 재정 기여 동기 그리고 수행간의 연관성을 평가하여, 만족도 제고를 위해 필요한 재정 확충에 대한 공공의 인식과 태도 일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한국복지패널 2차 자료에 근거한 실증분석 결과, 만족도는 소득, 건강보험 가입, 교육수준, 그리고 건강상태와 음의 관계를, 생활만족도와는 양의 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험료의 미납은 보장성에 대한 낮은 만족도, 그리고 낮은 소득과 불안정한 고용상태와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그러나, 태도 일관성에 대한 증거는 찾지 못했다. 본 연구결과는 만족도의 결정과 보험료 납부에 있어서 소득변수가 매우 중요함을 시사하며, 낮은 만족도가 재정 불안정의 요인이 될 수 있다는 점, 만족도가 제도에 대한 객관적 평가가 아닐 수 있다는 점, 그리고 만족도 개선을 위해 필요한 정책적 수단을 집행함에 있어서 국민적 합의를 이끌어내는 것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해주고 있다. This study examines determining factors of system satisfaction with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NHI) in Korea using data from the Korea Welfare Panel Survey 2006. In both bivariate and multilvariate analyses, we uniformly find that income level, NHI enrollment, education level and self-rated health status are negatively related with the level of satisfaction whereas the emotional distress in daily living and having chronic diseases lead to lower satisfaction level. Further, the delay in premium payment statistically significantly depend on the satisfaction level in regard to whether the NHI plan appropriately provides financial protection for needed care. Also unstable employment type and voluntary payement seem to be related with not paying premium. There is, however, no evidence for attitude consistency among the expectation on the governmental contribution in health care financing, motivation in tax payment, and actual premium payment. Findings imply that income i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system satisfaction and premium payment and that the satisfaction measures may not necessarily reflect the objective quality of the NHI plan which would be assessed through direct experience of service utilization. To fully address adequacy and performance effectiveness of the NHI system, further study should consider other relevant factors such as out-of-pocket payment and private insurance enrollment status.

      • KCI등재

        부천 박물관 클러스터의 형성과 전개: 박물관밸리 계획과 클러스터의 과도적 운영(2002-2017) 중심으로

        신자은(Ja Eun Shin) 한국문화융합학회 2021 문화와 융합 Vol.43 No.4

        이 연구에서는 2000년대 초반 문화를 통한 지역의 차별화를 위해 박물관 클러스터 사업을선도적으로 추진한 부천시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문화클러스터는 20세기 후반부터 유럽과 미국중심으로 실천된 문화전략이다. 문화 클러스터의 여러 유형중 박물관 클러스터가 그 문화집약적속성과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널리 실천되었는데, 국내에서도 지자체의 출범과 더불어 적극 도입되었다. 박물관밸리라 명명된 부천의 박물관 클러스터 사업은 도시 전역을 테마별로권역화하뎌 권역별로 박물관의 집적을 조성하는 내용을 골자로 삼았다. 그러나 20년의 계획을갖고 출발한 박물관밸리는 지방정부의 정책적 변화로 인해 10여년이 지난후 대폭 축소되었고, 클러스터 운영에 대한 전문성 부족으로 지역의 문화적 및 경제적 재생 효과를 충분히 창출하지못하였다. 그럼에도 단기간 내에 문화기반시설이 부족하였던 부천시에 시설적 확충을 촉진하였고, 이는 곧 부천이 대외적으로 문화의 도시로서 이미지를 확립하는 바탕이 되었다. 또한 지역의문화적 스펙트럼을 넓히는 결과를 가져왔다. 이외에 클러스터의 대내적 효과로서, 소규모로 집적을 이루었던 6개 박물관간에 업무협력의 시너지가 관찰되었는데, 이는 2020년 통합 개관간 부천시립박물관의 운영적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문화클러스터는 독자성을 지니고 개별적인 맥락에 따라 성공을 위한 방안 또한 개별성을 띌수밖에 없다. 부천 박물관 클러스터에 대한 심층적 분석을 통해 나타난 특성으로, 박물관밸리의추진과정에서 보여진 문화행정주체의 시설 중심적 접근, 지자체가 문화정책 초기에 조속한 기관확충을 위해 시행한 독자적 제도, 박물관밸리 사업의 전개과정에서 보여지는 문화정책의 가변성, 국내에 박물관 클러스터가 도입된 시기에 부족했던 클러스터 운영에 대한 이해를 언급할 수 있다. 앞으로의 과제는 2018년 클러스터의 개편 이후 보이는 양상을 연구하여, 지방 박물관의 역사를살펴보고 국내의 박물관 클러스터의 향후 발전방안을 도출하는 일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cs and significance of Bucheon’s Museum Cluster, a pioneering case of such cultural project in Korea. In Europe and US, cultural clusters became a key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since the late 20th century. Among its many subtypes, museum clusters became prevalent for their cultural significance and impact on tourism and have been enthusiastically adopted by regional governments in Korea since the early 2000s. Bucheon’s museum cluster project which started in 2002, was named Museum Valley and aimed to develop the entire city into a large accumulation of museums. Although its development was intended to span over 20-years, its original plan was largely dropped after 10 years. However, the project led to a fast growth of museums in the region and contributed to enlarging the cultural spectrum of the city. Also the small cooperation network developed during the transitional period acted as a basis for the management of the new form of cluster today. This study on Bucheon’s Museum Cluster can find its meaning on the distinctive features the case presents: as every cultural cluster is unique and context-dependent, the case of Bucheon serves to enrich the knowledge on the singular aspects of Korean cultural clusters. From the study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have been observed. First, it demonstrates the local government’s hardware-based approach in cultural policy in the early 2000’s and the unique system implemented to enable fast growth in the number of museums. Also, the case shows that long-term cultural policy have been subject to revision according to political environment. Finally, Bucheon’s museum cluster reflects the local government’s lack of expertise in the management of cultural cluster. Further research on the changes after the museum cluster’s restructuration after 2018 need to be conducted in order to provide a complete picture on the development of Bucheon’s museum cluster.

      • KCI등재
      • KCI등재

        건강자본 변수와 질병의 경제적 비용 추정: OECD 국가에서의 HIV/AIDS 사례

        최성욱 ( Sung Woog Choi ),신자은 ( Ja Eun Shin ) 한국보건경제정책학회(구 한국보건경제학회) 2009 보건경제와 정책연구 Vol.15 No.1

        본 연구는, 질병의 경제적 비용을 측정하는데 있어서 건강자본(health capital) 변수 선택의 중요성을 계량적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Solow의 augmented 경제성장 모형으로부터 국민소득의 로그선형모형을 도출하고, OECD Health Data 2006로부터 20개 OECD 국가들의 1975년부터 2000년까지 자료를 추출하여 인구 10만 명당 평균 HIV/AIDS 환자수가 실질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추정하였다. 건강자본을 영아 사망률 과 국민 1인당 총 의료지출의 두 변수로 정의하고, 어떤 변수를 사용하는가에 의해서 HIV/AIDS의 경제적 비용 추정치의 통계적 유의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 지 비교하였다. 또한, 건강자본 변수와 국민소득간의 내생성 문제를 고려하기 위하여 도구변수를 활용한 2SLS 방법을 사용하였다. 영아 사망률 에 기초할 때, HIV/AIDS의 발생은 OECD 국가들의 실질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결과가 나온 반면, 1인당 국민 총 의료지출로 건강자본을 측정한 분석에서는 인구 100만 명당 평균 20건의 HIV/AIDS 발생시, 실질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은 0.20% 감소하였다. 본 결과는, 질병의 경제적 비용을 측정함에 있어서 건강자본 변수의 신중한 선정이 필요하며, 변수의 선택이 잘못되었을 경우, 질병이 거시경제에 미치는 부정적인 영향이 과소평가 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의 시사점을 제공해준다. 첫째, 특정지역의 저개발 국가에 국한된 문제로 인식되고 있는 HIV/AIDS와 같은 질병이 OECD 국가들에게 초래하는 경제적 비용이 기존의 연구들에서 제시된 것과 달리 정책적 접근이 필요한 중요한 공공보건상의 문제일 수 있다는 점이다. 둘째, 의료와 질병에 대한 거시 경제적 영향 분석의 경우 국가의 경제사회적 발달 정도와 특성을 고려하여 적정한 건강변수의 선별적 사용이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This paper examines the importance of health capital measurement in accounting for the economic cost of health problem by analyzing the case of HIV/AIDS prevalence among developed countries. The growth equation is derived from the augmented Solow model and estimated using a pooled cross sectional data of 20 OECD countries during the period of 1975 to 2000. Potential endogeneity problem due to the bidirectional relationship between health capital and the growth of national income is dealt with Two Stage Least Squares (2SLS) method. We compare the performance of two proxies for health capital, `infant mortality rate` (IMR) and `health expenditure per capita`. Findings show that the choice of health capital measure makes a critical difference in the estimated effect of HIV/AIDS on the economic growth. 20 additional incidences of HIV/AIDS per million populations is associated with 0.20% reduction in the growth rate of GDP per capita in the health expenditure model, while the IMR model yields no statistically significance. It suggests that a careful discretion on health capital measurement is necessary to correctly assess the economic cost of health problem, especially among developed countr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