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도시재생을 통한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관한 연구

        신윤선,안진근,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우리나라는 급속한 산업화로 도시의 무분별한 개발과 쇠퇴로 인해 도시의 곳곳에서 본연의 기능을 상실한 건축물와 폐산업시설 등 흉물처럼 남아 있는 유휴지를 활용한 도시재생사업이 중요한 사업으로 부각되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 중 지역의 활성화에 크게 기여하고 있다고 평가되고 있는 문화 중심의 도시재생 사업으로 한정하였고, 방문객들이 가장 많이 이용하며 교류의 중심이 되는 복합문화공간의 공공공간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공간특성과 공간구성을 중점으로 연구하였다. 이에 앞으로 추진될 문화 중심의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에 대한 방향성을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을 통해 문화적 도시재생의 개념과 복합문화공간에 대해 파악하고, 선행연구를 통해 도시재생 공간의 공공공간 특성요소와 복합문화공간의 공간구성 요소를 도출하였다. 앞서 도출된 공공공간 특성요소 항목은 평가의 항목으로 선정하고, 공간구성 요소는 사례조사에 활용하였다. 연구분석을 위한 사례는 최근 5년 이내로 한정하였으며, 연구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전문가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취합된 내용을 분석모형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도시재생과 복합문화공간에 관한 선행연구 결과 공공공간의 공간특성은 복합성, 체험성, 접근성, 장소성, 역사성, 심미성, 쾌적성이 도출되었으며, 공간구성 요소는 체험공간, 휴식공간, 상업공간 및 창작·교육공간으로 조사되었다. 각 사례에 대한 연구결과 공간구성요소는 전체적으로 잘 구성되어 있었으며, 공공공간의 특성요소에 대한 전문가 조사결과 복합성과 역사성이 공통적으로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공간에 대한 장소성과 심미성이 두 번째로 높게 평가되었으며 다음으로 체험성과 쾌적성, 접근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결론) 문화를 중심으로 하는 복합문화공간 조성 시 공공공간 측면에서 다음과 같은 공간특성요소를 고려해야 한다. 첫째, 문화적 관점에서 복합성을 고려한 공공공간 구성이 필요하며 둘째, 재생의 공간이라는 시대적 역사성을 공간에 담아야 하고 셋째, 미학적 요소를 살려 공간의 심미성을 중점으로 공간을 구성해야 하며 넷째, 지역문화 활성화와 문화적 거점의 공간이 되기 위해서는 재생공간의 정체성과 문화적 장소성을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복합문화공간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문화 수준향상을 위한 문화중심의 도시재생 공간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복합문화공간 구축 시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간의 변증법적 관점에서 바라본 문화적 도시재생 사례 연구

        신윤선,김주연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공간은 생산과 재생산을 통한 변증법적 과정을 반복한다. 도시는 급격한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한 쇠퇴와 주거환경의 노후화에 대한 문제를 도시재생사업으로 개선하고자 한다. 이 과정에서 성공적인 사례도 많지만 이면에서는 여러 갈등으로 인해 실패라는 평가를 받는 곳도 생겨나고 있다. 이에 변증법적 관점에서 공간의 지속성을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도시재생의 실패사례 분석을 통해 유사한 과정이 반복되지 않게 지속가능한 재생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방법) 선행연구 단계에서는 도시재생의 유형을 고찰하여 공간특성을 추출한다. 문헌연구를 통해 변증법적 공간에 대해 알아보고, 이후 사례 분석을 위한 틀을 제시한다. 온라인 검색을 통해 실패라고 언급되는 사례에 대한 정보를 수집하고, 정성적·정량적 분석을 진행한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검증을 위해 전문가 평가를 진행하고, 변증법적 공간 관점에서 실패의 원인을 분석하여 향후 방안을 제시한다. (결과) 첫째, 성과 위주의 문화 콘텐츠는 단기적인 이목은 끌 수 있지만 대부분 재방문은 하지 않아 지속적인 방문객 유치에 한계가 있다. 또한 지역 주민들의 입장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문화가 아닌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선 노후화된 주거 환경을 개선한 뒤 문화적 측면을 보완해야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둘째, 지역 주민주도의 거버넌스를 통해 사업 초기부터 중요 사항은 공론화해야 한다. 주민 참여도를 높여 공감대를 형성하고 대립과 갈등 상황이 생기지 않게 지역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할 상호 소통의 과정이 필요하다. 셋째, 성공사례 카피형 사업유형은 지양하고, 지역의 역사성과 산업유산을 활용한 지역 맞춤형의 차별화된 콘텐츠 발굴이 시급하다. 넷째, 경제의 지속성 측면에서 사업 종료 후에도 자연스럽게 경제 순환이 일어날 수 있도록 사회간접자본을 구축하고 지역 자생을 위한 중장기적 계획이 필요하다. (결론) 도시는 끊임없는 생산활동 속에 변증법적 공간을 만들어 내고 있다. 이에 도시재생은 잘 활용하면 생기를 잃은 공간을 위한 좋은 해결책이지만 충분한 검토와 준비단계가 미흡한 상태에서 실적 위주로 추진된다면 공간을 통해 갈등을 겪게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러 실패사례를 통해 앞으로 진행될 도시재생에서 이와 유사한 갈등이 생기지 않게 사전에 점검하고 지속가능한 사업이 되기 위한 기반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공공자전거 무인대여기와 자전거 단말기 사용성 향상을 위한 UI디자인 개선

        신윤선,연명흠 디자인융복합학회(구.한국인포디자인학회) 2017 디자인융복합연구 Vol.16 No.6

        The current local government public bicycle system was developed independently and lacked unity, when use there is a problem that it causes confusion and re-learning according to the rental method from each local government. At present, some local government apply bicycle terminal, but UI design is insufficient, and there is a problem in kiosk UI causing confusion in use. Therefore, in this study, propose an improvement plan focusing on kiosk and bicycle terminal. As a method of proceeding, we selected the local governments operated by the kiosk system and identified problems by VOC investigation and field visit survey. Analysis of the rental process for 12 local government, layout representing screen elements, and UI design analysis based on interactive design elements were set as general standard. In this way, the existing public bicycle system UI has generalized. Then, the usability evaluation was progressed for 40 participants in order to examine whether the improvement plan improved usability. At this time, task contents of usability evaluation were rental shop information, rental process by user type, return information, and breakdown report. As a result, it is statistically proved that the improvement proposal is better than the existing one in terms the number of errors, use time, the satisfaction. 현 지자체 공공자전거 시스템은 독자적으로 개발되어 통일성이 결여되었으며, 이용 시 혼란을 야기하고 각 지자체의 대여 방법에 따라 재학습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현재 일부 지자체의 경우, 자전거 단말기를 적용하고 있으나 UI 디자인이 미흡하고 무인대여기 UI의 문제점(용어의 혼란, 화면 구성요소의 다름, 자전거 선택의 어려움)이 있어 이용 시 혼란이 발생하고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인대여기와 자전거 단말기를 중심으로 개선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진행방법으로는 무인대여기 방식으로 운영 중인 지자체를 선정하여 VOC 조사 및 현장방문조사로 문제점을 파악했고, 12개 지자체를 대상으로 한 대여과정 분석, 화면 구성 요소를 나타내는 레이아웃, 인터랙티브한 디자인 요소를 바탕으로 UI 디자인 분석하여 일반적인 기준을 마련했다. 이를 통해 현재의 공공자전거 시스템 UI를 일반화한 기존안을 도출하였다. 이용자의 요구 사항을 반영하고 인터페이스 가이드라인의 기본 구성을 고찰하여 개선안을 제안하였다. 이어, 개선안이 기존안보다 사용성이 향상되었는지를 검토하고자 참가자 40명을 대상으로 사용성 평가를 진행하였다. 이 때 사용성 평가의 태스크 내용은 대여소 정보, 이용자 유형별 대여과정, 반납정보, 고장신고였다. 그 결과, 개선안이 오류 횟수, 사용시간, 만족도에 있어서 기존안보다 유의미함을 통계적으로 입증하였다.

      • KCI등재

        SoC 환경에서 TIDL NPU를 활용한 딥러닝 기반 도로 영상 인식 기술

        신윤선,김인중,서주현,이민영 (사)한국스마트미디어학회 2022 스마트미디어저널 Vol.11 No.11

        Deep learning-based image processing is essential for autonomous vehicles. To process road images in real-time in a System-on-Chip (SoC) environment, we need to execute deep learning models on a NPU (Neural Procesing Units) specialized for deep learning operations. In this study, we imported seven open-source image processing deep learning models, that were developed on GPU servers, to Texas Instrument Deep Learning (TIDL) NPU environment. We confirmed that the models imported in this study operate normally in the SoC virtual environment through performance evaluation and visualization. This paper introduces the problems that occurred during the migration process due to the limitations of NPU environment and how to solve them, and thereby, presents a reference case worth referring to for developers and researchers who want to port deep learning models to SoC environments. 자율주행 자동차에서 딥러닝 기반 영상처리는 매우 중요하다. 자동차를 비롯한 SoC(System on Chip) 환경에서 실시간으로 도로 영상을 처리하기 위해서는 영상처리 모델을 딥러닝 연산에 특화된 NPU(Neural Processing Unit) 상에서 실행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GPU 서버 환경에서 개발된 7종의 오픈소스 딥러닝 영상처리 모델들을 TIDL (Texas Instrument Deep Learning) NPU 환경에 이식하였다. 성능 평가와 시각화를 통해 본 연구에서 이식한 모델들이 SoC 가상환경에서 정상 작동함을 확인하였다. 본 논문은 NPU 환경의 제약으로 인해 이식 과정에 발생한 문제들과 그 해결 방법을 소개함으로써 딥러닝 모델을 SoC 환경에 이식하려는 개발자 및 연구자가 참고할 만한 사례를 제시한다.

      • KCI등재

        브랜드 경험(BX) 중심의 복합 충전스테이션 전략에 관한 연구

        신윤선,김성현 한국기초조형학회 2023 기초조형학연구 Vol.24 No.2

        본 연구는 고객의 브랜드 경험을 중심으로 복합 충전스테이션에서의 경험적 요소에 대한 전략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범위는 친환경 자동차를 충전하는 복합 충전스테이션으로 한정하였다. 사례 대상지는 기본적인 충전 기능 외에 휴식과 복합 편의시설이 함께 조성된 곳으로 선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를 통해 경험요소와 브랜드 경험특성을 조사한 후 전문가 설문을 통해 정량적·정성적 분석을 진행하여 검증하였다. 연구의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브랜드 경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경험 특성은 감각성, 직관성, 연상성, 비일상성 순으로 조사되었다. 새로운 충전문화에 대한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경험은 브랜드를 연상시키는 중요한 전략 요소가 된다. 둘째, 경험요소에 대한 사례조사와 전문가 설문을 통한 조사 결과 유희적 경험, 감성적 경험, 지적 경험, 사회적 경험 순으로 동일한 결과가 도출되어 유의미한 전략 요소임을 유추할 수 있었다. 이는 긴 충전시간 동안 즐겁고 특별한 유희적 경험이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브랜드 경험 특성에 대한 연구결과 충전 경험에 대한 편리성이 가장 중요한 요소로 조사되었다. 다음으로는 시각적 요소와 사용성을 배려한 직관성에 대한 중요성이 지적되어 이에 대한 전략이 필요하다. 결과적으로 충전 대기시간의 브랜드 경험을 통한 만족감과 신뢰도는 브랜드 충성도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을 하기에 경험 중심의 전략적 접근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미래의 충전문화를 정립하고 기 구축된 충전공간을 개선하기 위한 브랜드 경험의 전략적 방안을 제시함으로써 연구의 의의를 갖는다.

      • KCI등재

        텍스트 마이닝을 통한 전기차 충전스테이션 인식에 관한 연구

        신윤선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2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7 No.3

        (연구배경 및 목적) 전 세계적으로 탄소중립에 대한 환경 키워드가 대두되며 친환경 자동차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글로벌 완성차 업체 주도의 전기차 시장은 해마다 증가하면서 전기차 관련 산업 또한 배터리 기술부터 충전산업까지 확대되고 있다. 하지만 미래 고객들의 구매를 망설이게 하는 가장 큰 이유로 충전 인프라 부족을 지적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무분별한 충전스테이션 설치보다는 빅데이터를 활용한 정략적 데이터 기반의 조사방법인 텍스트마이닝을 활용하여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이용자의 인식과 환경에 대한 시사점을 도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의 방법은 첫째,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에 대한 선행연구를 진행하였다. 둘째,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의 이용자들에 대한 인식과 시설 현황에 대한 반응을 조사하기 위해 텍스트마이닝 분석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텍스트마이닝으로 수집된 텍스트를 분류하고 군집분석을 통해 각 군집에 대한 특성을 수집하여 이용자들의 인식에 대한 현황을 추출하였다. (결과) 텍스트마이닝 분석결과 ‘충전공간’이 1,744건으로 가장 많이 언급된 키워드로 조사되었고, 다음으로는 ‘충전소 설치’가 907건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기차를 충전하는 공간적 측면에서 장소와 관련된 텍스트로 이와 관련된 인프라구축, 충전시설, 공공충전소 등이 지속적으로 등장하였다. 따라서 전기차를 구매한 후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부분이 충전 서비스와 충전공간이라는 점을 유추할 수 있었다. 그리고 ‘대기시간’,‘서비스’,‘카페’,‘편의시설’은 충전하는 동안 대기 공간에서의 서비스와 관련된 텍스트로 다소 높은 빈도로 조사되었다. (결론) 전기차 시대를 맞아 새로운 플랫폼을 경험하고자 하는 이용자들은 충전 경험 또한 중요한 요소가 된다. 이에 전기차 충전스테이션의 경우 공간기능, 입지조건, 인프라, 장소 등을 고려하여 구축해야 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경험하게 될 충전 서비스, 편의시설, 휴식공간 등 충전을 위해 머무르는 공간 환경에 대한 보완도 필요하다. 대기시간 동안 즐길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를 구성하여 공간의 근본적인 질적 개선을 통해 쾌적한 충전 문화를 만들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내연기관차가 단종되고 전기차 운영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는 충전스테이션 인프라 구축, 운영 및 유지 측면에서 많은 보완이 필요하기에 본 연구는 미래의 충전문화 정착을 위한 충전공간 연구의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KCI등재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분석을 통한 공공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신윤선 ( Shin Yoonsun ),안진근 ( Ahn Jinkeu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기후변화에 따라 추진중인 탄소 배출 제로를 위해 자동차 트랜드는 친환경 자동차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중심의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빠른 증가 추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충전 인프라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재 구축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EV Charging Station) 중 완성차 업계에서 추진중인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를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공공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기차 제조사 중심의 충전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구축현황에 대해서는 선행연구, 직접방문 및 인터넷 조사를 통해 도심 실내형과 외부 설치형으로 나뉘어 대표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을 크게 공공공간과 공공시설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접근성, 쾌적성, 복합성, 편의성, 장소성을 평가항목으로 전기차 업계 전문가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종합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 특성요소를 다이어그램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충전 스테이션 설치타입에 따라 도심 실내형과 외부 설치형으로 나뉘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첫 번째 도심 실내형은 접근성, 복합성 부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성은 구축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외부 설치형의 경우 독립적으로 설치된 장소로 접근성, 쾌적성, 복합성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충전 네트워크 구조물로 설치된 경우 공간 확보를 위해 주요 편의 시설과 다소 떨어진 곳에 설치되다 보니 편의성이 조금 낮게 조사되었다. (결론)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는 이제까지 전기차를 위한 장소였으나, 앞으로는 전기차 사용자를 배려한 공간으로 인식해야 하며, 아직 초기 시장인 만큼 브랜드 구축의 성장성이 아주 큰 분야이기도 하다. 현재 구축된 사례를 종합 해 보면 충전하는 동안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보완해야 하며, 최소한의 휴식공간 제공이 소비자의 대기시간을 즐거운 경험으로 기억하게 하는 방법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구축시 기존 충전 네트워크에서 보완이 필요한 특성을 미리 파악하여 공공공간을 제안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utomobile trend is rapidly shifting toward eco-friendly vehicles to achieve zero carbon emission, being pursued in response to the climate change issue. Focusing on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network brand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mong the currently established EV charging stations, thus study recognizes the problem of relatively insufficient EV charging infrastructure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of EVs.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be used when building EV charging network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Metho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charging network centered on EV manufacturers; through previous studies, direct visits, and an internet survey, the representative case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status into urban indoor and outdoor installation types. Furthermore, EV charging sta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EV industry experts and users, using accessibility, comfort, complexity, convenience, and location as evaluation items, through previous studies. Finally, quality factors of public spaces were specified in a diagram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the charging station install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urban indoor and outdoor installation types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and complexity were found to be high in urban indoor types, and placenes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location. Second, with outdoor installation type, accessibility, comfort, and complexity were all high as an independently installed place. When installed as a charging network structure, the convenience was surveyed as a slightly low because it wa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major convenience facilities to secure space. (Conclusions) Until now, the EV charging network was a place for EVs; in the future,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that considers EVs users. As the market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an area with great potential for brand building and growth. Summing up the currently established cas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s to users that can be enjoyed while charging; further, providing a minimum resting space would make consumers’ waiting time a pleasant experience. Expectedl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useful basic data in proposing a public space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supplemented along with the existing charging network in advance, when building a new charging network bra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