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태안읍 골목길을 중심으로-

        안진근 ( Jinkeun Ahn ),김지현 ( Jih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5

        (연구배경 및 목적)골목길은 주민들의 다양한 생활문화 속에서 형성된 장소로 기능적, 사회적, 문화적으로 가치 있는 곳이나 노후화 된 환경에 의해 범죄취약공간과 같은 안전상의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최근 안전한 환경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높아지게 되면서 범죄예방대책으로 여러 가지 방안들이 고려되고 있으며, 특히 환경디자인을 통한 범죄예방활동을 하는 범죄예방디자인(CPTED: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해 각 지방자치단체들은 제도적으로 범죄예방디자인을 적용하고 있으나 장기적으로 유지관리 부실이나 획일적인 디자인 적용에 의한 문제점이 드러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서 본 연구는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디자인 역할과 원리를 고찰하고 이에 따른 디자인 전략과 적용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문헌연구의 단계로써 가로환경의 역할과 특성, 디자인 구성요소를 고찰하였다. 또한 범죄예방디자인의 개념과 원리를 바탕으로 실제 가로환경 사례를 분석하여 가로환경디자인에서의 범죄예방디자인 전략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태안읍에 위치한 마을길을 선정하여 현황파악, 계획수립, 전략실행, 운영 및 유지관리의 프로세스로 안전한 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결과)대상지의 특성을 반영하여 사회적 약자를 위한 여성친화정책으로 새로운 가로환경 이미지를 창출하고자 여성친화 골목길 조성을 콘셉트로 안전한 가로환경을 위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공간구성은 통행공간, 커뮤니티공간, 출입전이공간, 범죄취약공간으로 구분하여 영역적으로 차별화시켜 제안하였다. 그 내용을 살펴보면, 통행공간은 방치된 유휴공간을 휴게공간으로 개선하고 훼손된 담장을 여성친화 골목길의 이미지를 반영하여 지역이미지를 개선시키고자 하였다. 또한 커뮤니티공간은 기존 문화시설을 거점으로 문화시설 앞 유휴공간을 활용하여 활동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환경으로 제안하였다. 출입전이공간은 디자인을 통해 마을 진입부의 영역성을 강화시켜 주민들에 의해서 관리되고 있는 지역임을 인식시키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범죄취약공간은 야간안전을 보장할 수 있는 환경으로 구축하고자 하였다. (결론)가로환경에서의 범죄예방디자인은 기능적 측면에서 쾌적하고 안전한 가로환경을 향유할 평등한 기회의 제공, 사회적 측면에서 공적공간을 통한 지역주민 교류 기회의 증대, 문화적 측면에서 지역 공동체 의식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즉, 안전한 가로환경 구축은 이용자의 자유로운 보행을 보장하고 교류에 의한 공간 활성화를 통한 자연감시의 강화, 지역정체성을 반영한 디자인 요소를 통한 공동체 의식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Background and Purpose)Pathways have been formed within the population``s various lives and culture, and retain functional, social, and cultural values. However, safety has become an issue in an aging environment. Many measures are being implemented to prevent crimes with the recent social interest in creating safe environments, and especially through CPTED, or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Local government groups are systematically applying crime prevention designs, but many problems exist with their long-term maintenance and consistent design application. This study aimed to contemplate the role and principle of designs for safe street environments, and to propose corresponding design strategies and application methods. (Method)The role, characteristics, and design elements of street environments were contemplated through literature research. Further, actual street environments were analyzed, and strategic characteristics for crime prevention in street environment designs were deduced based on the concept and principle of crime prevention design. An alleyway in Tae``an-eup was selected based on these results, and space planning was proposed for a safe street environment by studying the current situation, establishing plans, and implementing the strategy and operating and maintenance processes. (Results)A space plan for a safe street environment was proposed to create a new female-friendly street environment image by reflecting the selected street``s characteristics. The space was divided into walking, community, entry transition, and crime-vulnerable spaces. Specifically, regarding walking space, idle space was improved by converting this to resting space, and ruined walls were used to improve the region``s image by reflecting an image of a female-friendly alley. A community space environment was proposed, in which activities were increased by utilizing the idle space adjacent to existing cultural facilities. Regarding the entry transition space, the territoriality of the village``s entry was reinforced through design to convey that the residents managed this area. Finally, a crime-vulnerable space was fortified to ensure safety at night. (Conclusions)Crime prevention designs in street environments provide an equal opportunity to enjoy pleasant, safe, and functional street environments; increase opportunity for social exchanges among the residents through public spaces; and enhance the cultural sense of community. A safe street environment, in other words, ensures an unrestricted traverse and strengthens natural surveillance through space utilization by exchange. Moreover, a street environment is formed by the sense of community through design elements that reflect the region``s identity.

      • KCI등재

        도시 특성에 따른 범죄예방(CPTED) 개발 연구 - 남양주시 금곡동을 중심으로 -

        안진근 ( Ahn Jink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6

        (연구배경 및 목적) 도심 속 가로공간에서의 보행환경과 안정성 확보는 지역 주민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 중요한 요소이자 필수 조건이다. 최근 들어서는 신도시들의 경우 도시설계에 있어 기본적으로 CPTED 개념을 적용하고 이를 통해 범죄로부터 어느 정도 예방 효과를 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하지만, 기존에 있던 오래된 도시들의 경우 상대적으로 소외되거나 노후된 지역들은 범죄로부터 노출이 되어있는 부분이 많이 남아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CPTED가 꼭 필요한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을 중심으로 디자인 대안을 제시하는 연구로 진행 하였으며 범죄예방 환경디자인(CPTED) 사업을 통해 안전을 확보하고 쾌적한 환경을 조성하여 시민의 삶의 질을 향상 시키고 효율적이고 지속가능한 환경설계에 대한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의 공간적인 범위는 경기도 남양주시 금곡동 주막마을이며 연구의 방법은 먼저 최근 실행된 범죄예방 디자인 선행사례들과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 관련 문헌 및 보고서를 통해 범죄 발생원인과 예방법에 대한 주요 이론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대상지 내 범죄 현황 및 통계자료를 통해 범죄특성에 따른 환경적 요인을 분석하여 원인을 제거하고 보완하여 효율적으로 CPTED 요소들을 적용한 디자인 전략을 구상 및 실행계획을 수립한다. (결과) 범죄예방 디자인 전략은 골목별 공간 특성에 맞춘 가로환경 개선에‘CPTED 기본요소(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 강화, 활동성 강화, 유지관리)’의 5가지 요소를 접목한 방향으로 구성하였다. 첫째, 청소년 범죄 및 각종 경·범죄의 주요 발생원인 중 하나인 시야가 좁은 폐쇄적인 공간에 대하여 투시성을 증대시키고 환경개선을 통한 유동인구를 늘려 자연적 감시가 이루어져 범죄 발생률이 낮아질 수 있도록 유도한다. 둘째, 무분별한 불법 주차와 쓰레기 투기, 노후 경관 등 도시를 낙후된 이미지로 연출시키는 요소들에 대한 적합한 시설물 배치와 가로 환경 개선을 통해 주민들에게 공간의 책임의식을 부여하고 적절한 이용을 유도 시켜 활동성 및 영역성을 강화 키고자 한다. 셋째, 대상지 내 범죄가 발생할 수 있는 사각지대에는 비상벨과 결합 된 CCTV를 배치하여 범법자로부터 접근을 통제한다. 넷째, 기존 범죄예방 가로환경 설계에 있어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사후 관리를 고려하여 파손에 취약한 시설물 설치나 건축물 또는 담장(벽면)에 페인팅하는 기법은 최소화하고 반영구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LED 조명 및 경질의 재질을 활용한 공공시설물, 내구성이 강한 포장재를 활용한 보도 정비를 통해 주민들이 지속적으로 안전한 생활환경을 유지한다. (결론) 범죄예방은 무조건적 방어적 디자인으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먼저 환경이 개선되고 쾌적한 도시환경이 제공되면 주민들이 안전함을 느끼면서 질 높은 생활을 영위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CPTED 디자인은 노후 된 중·소 도시들도 도시 경관개선 및 안전한 환경으로의 변화를 불러옴으로써 도시의 브랜드를 한층 높여줄 수 있는 요소로 자리매김할 것으로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Securing the pedestrian environment and stability in the street space in the city is an important factor and essential condi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of residents. Recently, the CPTED concept was applied in new towns and it shows that some degree of prevention had an effect on crime. However, relatively alienated or ramshackle areas remain exposed to crime in the old town. According to local governments, street environment creation, urban regeneration, and public design projects applying CPTED. But post-management and aesthetics were problems due to thoughtless installing. Therefore, this paper suggests presenting a plan for efficient and sustainable environmental design. (Method) Method of the study, we examine the recent precedent cases of crime prevention design and their effects and the main theories through related documents and reports. Next, by analyzing the environmental factors via the crime characteristics from the crime status and statistical data in the target site, the cause is removed and supplemented, and a design strategy that effectively applies the CPTED factors is devised and an execution plan is established. (Results) The crime prevention design strategy is composed of five elements of “CPTED basic elements (natural monitoring, access control, territorial reinforcement, activity reinforcement, maintenance)” to improve street environments tailored to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each alley. First, in the closed space with a narrow view, one of the major causes of juvenile crimes and various misdemeanor crimes, it increases the visibility and the floating population through induce natural monitoring to reduce the incidence of crime. Second, it aims to strengthen activities and territoriality by giving resident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space and inducing proper use by deploying suitable facilities and improving the street environment. Third, in the blind spot, CCTVs combined with emergency bells are arranged to control access from criminals. As CPTED-related technologies have recently developed, we plan to use CCTV and lighting, which incorporate technologies. Fourth, considering the post-management, which is one of the biggest problems in the existing, installation of facilities that are vulnerable to damage or the technique of painting on buildings or walls (fences) are minimized and semi-permanent LED lighting and rigid space and facility plans are organized. (Conclusions) Crime prevention cannot be solved with only a defensive design. First of all, if a pleasant urban environment is provided, the residents feel safe and lead a high-quality life. Therefore, the CPTED design of this study is expected to establish itself as an element that can further enhance the brand of cities by improving the urban landscape and changing to a safe environment even in old small and medium-sized towns.

      • KCI등재

        대천해수욕장 워터프런트 공간계획에 관한 연구

        김지현 ( Jihyun Kim ),안진근 ( Jinkeun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6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1 No.6

        워터프런트는 자연이 주는 쾌적성과 경관이 주는 아름다움에 의해 여가, 관광, 문화의 공간으로 부각되게 되었으며, 최근 친수활동에 대한 욕구의 증대로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워터프런트 재생사업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과도한 개발중심의 사업으로 오히려 수변공간이 과밀화 되거나 경관이 악화되는 경우가 발생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워터프런트의 공간적 가치를 인식하여 지역 특성에 맞는 워터프런트 공간계획 제시를 연구의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하여 대천해수욕장 가로환경을 대상으로 워터프런트 공간계획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본 연구의 대상은 대천해수욕장 가로환경으로서`국토 환경디자인 마스터플랜 수립구간`과`간판이 아름다운 거리조성 구간`으로 범위를 한정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이론적 고찰 단계로써 워터프런트 공간적 가치를 고찰하였고, 긍정적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디자인 전략의 특성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대천해수욕장을 대상으로 현황분석, 전략설정, 디자인 개념, 세부계획의 단계로 공간계획을 제시하였다. (결과)첫째, 공간구성계획으로는 공공공간 역할을 증진시키기 위하여 수변공간을 거점으로 조각공원, 전망대 조성, 만남의 공간 등의 다양한 용도로 계획하였다. 또한 수변공간으로의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해안을 따라 녹지축을 형성하였으며 이를 중심으로 보행로를 계획하여 보행자 네트워크를 구축하였다. 보행로의 경우 해안을 따라 곡선형태의 보행로로 보행이 즐거운 리드미컬한 공간을 조성하였다. 둘째, 경관조성계획으로 수변경관의 심미성에 의한 정서적 만족감을 극대화하기 위하여 서해안의 물결을 모티브로 한 숲길의 조성, 시각의 확장성을 고려한 야간경관을 조성하였다. 그리고 가로환경의 정체성을 나타낼 수 있는 공공시설물을 계획하였다. 또한 색채계획으로는 주변 환경과 조화로울 수 있도록 모노톤에 의한 저채도·단색조 색채를 적용하였다. 건축물의 파사드와 간판을 중심으로 한 사이니지 계획은 주변 환경 및 건물외관과 조화를 이루며 메시지 전달을 할 수 있도록 물결을 모티브한 조형물 표현으로 통일적인 요소가 반영될 수 있도록 하였다. (결론)워터프런트 공간계획은 어메너티 증진을 중심으로 공간이용과 공간접근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워터프런트는 공공공간으로서 누구에게나 쾌적한 환경과 디자인을 향유할 수 있는 기회 제공이 가능하며, 수변경관계획을 통하여 지역 정체성 확립을 기대할 수 있다. A waterfront property is naturally highlighted as a space for leisure, tours, and culture by the natural contentment it inspires and its beautiful scenery. With increasing demand for water-friendly activities and to activate the regional economy, there are multiple waterfront redevelopment businesses currently ongoing. Unfortunately, in some cases, unwarranted development efforts have led to overpopulation and ruined the landscap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ppropriate waterfront space planning by recognizing the spatial values of the space. For this purpose, waterfront space planning for the street environment of Daecheon beach was proposed. (Method)The subject of this study was the “street environment of Daecheon beach,” and the ranges were limited to the following segments: establishing an environmental design master plan” for national territories and implementing beautiful street sign boards. For the research method, waterfront spatial values were contemplated in the theoretical contemplation ph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design strategies were devised by analyzing positive development cases. Based on the findings, a spatial planning for Daecheon beach was proposed in four steps: analysis of current conditions, establishment of strategy, design conception, and detailed planning. (Results)Firstly, regarding the spatial composition plan, in order to enhance the role of public spaces, a sculpture park, observatory, and meeting space were planned for various uses with the waterfront as their hub. To improve accessibility to the waterfront, green land was formed along the coastline, and a walkable road was planned for the pedestrian network. A curved pedestrian road along the coast was constructed to create a joyful and rhythmical space. Secondly, for landscape construction plan, a forest trail with a west-coast wave motif and a night landscape, intended to expand visibility, were constructed in order to maximize emotional satisfaction through the aesthetic impression of a waterfront landscape. In addition, a public facility was planned in order to express the identity of the street environment. For color plan, a low chroma was achieved through the application of a single tone color for harmony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 signage plan with the fa□ade and signboard of the building at its center was harmonized with the surrounding environment as well as the outside of the building. The wave motif sculpture expression was created to deliver the message and to reflect the unified elements. (Conclusions)Waterfront space planning may achieve better space utilization and accessibility by promoting amenities. Furthermore, as a public space, a waterfront may provide opportunities to enjoy a pleasant environment and designs to anyone and the establishment of regional identities through waterfront landscape planning is expected.

      • KCI등재

        국립박물관 휴게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김정민 ( Jungmin Kim ),안진근 ( Jinkeun Ah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2

        (연구배경 및 목적) 21세기 현대 박물관은 여가 및 문화 활동의 장으로써 전시뿐만 아니라 도서관, 레스토랑, 카페, 교육, 문화체험 공간 등 사회·경제적 변화에 맞추어 다양한 공간을 제공해 주는 장소로 변화되고 있다. 문화체육관광부에서 통계 낸 자료에 의하면 현대인의 여가생활 목적으로 즐거움, 스트레스 해소, 마음의 안정과 휴식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나 현대사회에서 휴게공간의 중요성이 요구된다. 하지만 박물관에 대한 선행연구들은 전시공간에 중점을 두어 관람자행태와 동선, 공간구성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졌으며, 휴게공간에 대한 연구는 매우 미진하여, 기초적 베이스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립박물관의 휴게공간에 대해 연구 및 고찰하여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해 휴게공간의 공간적 특성을 종합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국가와 민족의 정체성을 대표하는 국립박물관의 휴게공간을 연구대상으로 한다. 먼저 일반적 고찰을 통해 국립박물관 휴게공간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휴게공간의 선행연구를 통해 쾌적성, 편의성, 복합성, 연계성, 접근성 총 5개의 공간계획시 필요특성을 도출하였다. 또한, 박물관의 휴게공간 유형을 기능과 배치에 따라 분류하여, 국내·외 6곳을 선정하고, 휴게공간의 유형과 특성별로 사례분석 및 종합한다. (결과) 휴게공간을 휴게의 기능을 지닌 카페와 레스토랑 및 휴게시설을 포함한 공간으로 정의하여 국내·외 6곳을 실내와 실외로 나누어 사례 분석하였다. 기능적 특성에서는 공통적으로 외부휴게공간이 주로 활성화되어 개방적 특성이 강하게 나타났고, 배치유형에서는 국내의 경우 하나의 층에 다양한 전시공간을 계획하여 복합적 특성이 나타나는 반면, 국외는 층 전체를 전시공간으로 구성하여 주로 병렬형 배치의 특성이 나타났다. 또한, 5개의 휴게공간 특성을 분석한 결과, 국내·외 공통적으로 쾌적성과 접근성이 가장 높았으며, 카페 및 레스토랑과 같은 편의시설이 부족하여 상대적으로 편의와 복합적 특성은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결론) 박물관에서 휴게공간의 역할이 다양해짐에 따라 단순한 휴식에 그치지 않고 다양한 경험과 즐거움을 제공해 줄 수 있으며, 이는 방문객 수 증가로 이어질 수 있다. 휴게공간을 계획하기 위한 공간적 특성과 이용자의 유형에 따른 목적이 다양함에 따라 향후 더 깊이 있는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휴게공간에 대한 유형과 특성분석이 앞으로의 박물관 휴게공간연구에 있어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21st century modern museum has been transformed into a place to provide various spaces according to social and economic changes, such as libraries, restaurants, cafes, educational spaces, and spaces to experience cultures, as well as exhibitions as a place for leisure and cultural activities. According to statistical data provid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the main purposes of enjoying leisure life among modern people are to experience pleasure, relieve stress, rest the mind, and provide relaxation, indicating that the importance of rest zones has increased in modern society. However, previous studies on museums have mainly examined visitor behaviors and the composition of moving lines and space, with a focus on exhibition spaces. Moreover, research on rest zones remains inadequate and lacks a fundamental basi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rganiz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t zones through an analysis of domestic and foreign cases by studying and reviewing rest zones in national museums. (Method) This paper examines the rest zones of national museums representing national and ethnic identities. This paper derived five characteristics, including comfort, convenience, complexity, connectivity, and accessibility, required for space design based on previous studies on rest zones, after providing an initial understanding of the concept of rest zones in national museums. In addition, this paper selected 6 representative places from home and abroad by classifying types of rest zones in national museums according to their functions and layouts. It then analyzed the cases according to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t zones and organized the detailed contents. (Results) This paper defined a rest zone as a place with cafes, restaurants with resting functions, and spaces including resting facilities and analyzed the cases of 6 domestic and foreign places based on their indoor and outdoor facilities. Regarding functional characteristics, external rest zones were mainly activated in common, showing that the open characteristic was strong. With respect to layout type, various exhibition spaces were planned on one floor in the domestic cases, but in foreign cases, characteristics of parallel arrangement were mainly created by organizing an entire floor as an exhibition space. Furthermor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five rest zones, comfort and accessibility received the highest scores in both the domestic and overseas cases; however, the lack of convenient facilities such as cafes and restaurants resulted in relatively low scores in terms of convenience and complexity. (Conclusion) Rest zones in museums can provide visitor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pleasures, not just rest, which can lead to an increase in the number of visitors. As the spatial characteristics for planning rest zones and the purpose of rest zones according to user types are becoming more and more diverse, further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in the future. Fi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rest zones found in this study will be helpful as a basic database for future research on rest zones in museums.

      • KCI등재

        패시브하우스를 적용한 국내 정주여건 분석에 관한 연구

        이승일 ( Lee Seungil ),안진근 ( Ahn Jinkeun ),정석환 ( Jung Seokhwa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인간이 살기 좋은 정주여건을 만들기 위해서는 건물의 에너지 성능 향상을 통한 제로 에너지화가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에너지 자립도가 높은 단독주택을 기준으로 패시브하우스의 활용 방안에 대한 필요성과 효과적인 활용 방향을 모색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연구방법으로는 첫째, 패시브하우스와 에너지 효율 관련 문헌자료 및 선행연구를 고찰하고, 둘째, 가장 최근에 phiko에서 인증된 2019년, 2020년 단독주택 다섯 곳을 선정하여 효율성, 심미성, 편의성, 안정성, 개방성을 토대로 전문가들의 분석을 반영한 평가지표를 작성하여 국내 패시브하우스의 정주여건을 분석한다. 셋째로, 앞서 분석된 결과에 근거하여 에너지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패시브하우스의 방향을 제시하고 이에 대한 효과적 운영 방안을 마련한다. (결과) 국내 사례분석의 경우 패시브하우스의 특성상 년간난방에너지요구량 1.5L로 효율 면에서 탁월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심미성에서도 지역의 차이가 다소 있을 수는 있으나 뒤떨어지지 않음을 보여주고 있다. 대상 주택의 지형이나 일조량, 강수량, 풍향 등의 지역 특성이나 환경적 요인에 따라 효율성 측면에서 발생하는 영향을 감안하고, 평가지표 기준을 통해 국내 패시브하우스들의 분석 결과를 종합해보면, 첫째로, 에너지 효율 측면에서는 외부에서 들어오는 태양의 일사량을 유입/차단하는 차양효과를 통해 건물 내부의 냉· 난방 환경을 조절하며 에너지 효율을 증가시켰으나, 지열, 풍력, 바이오 등 신재생 에너지의 활용은 부족한 편이다. 둘째로 패시브하우스를 설비 측면에서 분석해 본 결과 주택 건축에 가장 많이 적용된 기술은 고성능 창호와 자연 환기 그리고 폴딩도어에 적용되는 슈퍼단열 시스템이 사용되고 있다. 마지막으로 설계 및 디자인의 측면에서는 건물 내부의 공간 배치와 주변 경관을 고려한 설계가 잘 이루어지고 있으나 건물 외부의 심미적 추구 때문에 A/V 값이 올라가면서 열효율을 위해 단열재의 사용량이 증가하는 사례도 나타나고 있다. (결론) 여름 고온과 겨울의 저온을 모두 겪어야 하는 특성상 국내 단독주택 패시브하우스는 대부분 냉·난방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고성능 창호나 환기시스템, 슈퍼단열 시스템이 주로 적용되고 있으며, 태양에너지 외 신재생에너지(지력, 풍력, 바이오, 폐기물 등) 활용에 있어서는 다소 취약한 모습을 보이고 있어 이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와 개발을 필요로 하고 있다, 따라서 국내 단독주택 패시브하우스 활성화를 위하여 패시브하우스의 필요성 및 적용사례를 제시하여 지속적인 정책연구가 뒷받침 되어야 한다. (Research background and purpose) In order to create a settlement where human beings can live well, zero-energy through the improvement of building’s energy performance is necessary. Accordingly, this study aims at finding a necessity and an effective utilization direction about the utilization plan of a passive house based on a detached house with high energy independence. (Method) First, I consider literature materials and precedent research related to passive house and energy efficiency. Second, by selecting five places of detached houses in 2019 and 2020 that are most recently certified by phiko, I analyze the settlement conditions of domestic passive house by filling in the evaluation index that reflects the analysis of experts based on effectiveness, aesthetics, convenience, safety, and openness. Third, I suggest the direction of passive house that maximizes the energy efficiency based on the results and prepare the effective operation plan for this. (Results) I considered the effects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or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terrain, amount of sunshine, precipitation, and the direction of wind of target houses and collected the analysis results of domestic passive houses through the standard of evaluation index. First, although the energy effectiveness increased by adjusting the cooling and heating environment of the building interior through the awning effect that flows in and obstructs the solar radiation quantity in terms of energy effectiveness,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such as geothermal heat, wind power, and bio tended to lack. Second, as the result of analyzing passive house in terms of facilities, the most applied technology in house construction was high performance window, natural ventilation, and super insulation system applied to folding doors. Finally, even though the plan and design in terms of space layout of the building interior and surrounding landscape are good, the cases in which the amount used for insulating to ensure thermal efficiency increasing appeared as the price of A/V increased due to the aesthetic pursuit of external building. (Conclusion) Due to high temperature in summers and low temperature in winters, the high-performance window or ventilation system and super insulation system are mostly applied to heighten the efficiency of cooling and heating in the domestic detached houses of passive house. However, the utilization of renewable energy (geothermal energy, wind power, waste, etc.) besides solar energy shows a somehow weak appearance. This aspect thus needs consistent research and development.

      • KCI등재

        CPTED를 적용한 어린이공원 디자인에 관한 연구

        김정민 ( Jungmin Kim ),안진근 ( Jinkeun Ahn ),김주연 ( Jooyun Kim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8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3 No.6

        (연구배경 및 목적) 통계청에 의하면, 현대인들은 사회안전의 다양한 요인 중 범죄 발생에 대한 불안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범죄 및 안전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범죄로부터 사후 대응이 아닌 사전예방이론으로써 CPTED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어린이공원은 주택지로부터 접근성이 좋아, 이용률이 높은 편에 속하며, 어린이는 범죄로부터 취약한 대상으로 범죄발생 시 대처가 어렵기 때문에 어린이공원의 CPTED적용은 필요하다. 그러나 지금까지 CPTED에 대한 선행연구는 공동주택단지 및 학교를 대상으로 하거나, 공원시설물에 대한 연구가 주로 이루어져, 어린이공원의 환경적 접근은 매우 미진하므로, 본 연구에서는 어린이공원과 CPTED이론에 대해 연구 및 고찰하여, 범죄율이 높은 지역의 어린이공원을 현장 조사 및 지역별 비교분석을 통해 현 어린이공원의 문제점과 개선점을 제시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어린이공원과 CPTED의 이론적 고찰을 통해 CPTED주요전략 6가지와 이에 세부내용을 도출하고, 경찰청에 정보공개요청을 통해, 서울시에 위치한 지자체 중 아동 범죄율이 높은 순으로 노원구, 은평구, 송파구, 도봉구 4곳을 선정하고, 이에 해당하는 어린이공원을 단독주택 및 빌라에 위치하고, 상상어린이공원으로 재조성되었으며, 1,500㎡의 면적을 가진 곳으로 최종 선정하여, CPTED전략별로, 지역별로 비교·분석하여 종합한다. (결과) 국내에서 CPTED관련하여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 제시한 주요지침 내용 중 본 연구와 관계된 내용을 중점적으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현 어린이공원 현장 조사한 결과, 사례대상지인 국화, 서갈현, 안산골, 새동네 어린이공원 중에서는 새동네 어린이 공원이 대체적 낮은 결과가 나타났고, CPTED 6가지 전략으로 자연적 감시, 접근통제, 영역성강화, 활용성 증대, 명료성 강화, 유지관리 중에서는 어린이공원 4곳 모두 유지관리 부분이 현저하게 낮은 결과가 나타났다. 이는 어린이공원설계 및 재조성 시 CPTED이론을 적용하여 계획되었으나, 이후 유지관리가 되지 않아 그 기능을 잃어가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결론) 공원은 불특정다수가 이용하는 곳으로 여러 범죄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범죄로부터 가장 취약한 대상인 어린이를 위한 공원에 범죄예방디자인(CPTED)을 적용함으로써, 주민들의 불안을 감소시켜 줄 수 있고, 이는 공원의 이용률이 높아지는 결과로도 이어질 수 있다. 어린이공원을 이용하는 다양한 연령층과 범죄유형에 따라 향후 더 심층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를 통해 안전한 어린이공원을 계획 및 재조성함에 있어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al Office, crime is considered by the general population to be the most worrisome concern among various social security factors. As public interest in crime and safety has risen, the importance of CPTED in the theoretical prevention of crimes and accidents, instead of post-crime responses, has also been highlighted. Children's parks are conveniently accessible from residences and thus have a high rate of usage. Since children are an easy target for crimes and cannot make appropriate responses in the event of crimes, the application of CPTED on children's parks is imperative. Previous research has examined the application of CPTED in common housing residences, schools, and park facilities. Therefore, the environmental access of children’s parks and CPTED has not been deeply explored. This study explores and reviews the CPTED theory on children’s park to identify problems and solutions by conducting an on-site research and comparative analysis of children's parks with high crime rates. (Method) Six major strategies of CPTED are drawn, and the contents are detailed through an analysis of children parks and CPTED theory. Then, by requesting the release of information from the police, four locations are selected with high children crimes in Seoul City in ascending order: Nowon-gu, Eunpyeong-gu, and Songpa-gu, Dobong-gu. Children’s parks near detached housings and villas are located. Finally, parks with an area of 1,500 ㎡ are selected and analyzed with CPTED strategies. (Results) Of the contents of the major guidelines from the central government and regional authorities regarding CPTED in Korea, it was revealed that out of the case target locations, Gukhwa, Seogalhyeon, Ansangol, and New Town Children’s Park-, New Town Children’s Park had relatively lower results. As for the six CPTED strategies, natural observation, restricted access, enhanced territoriality, increased utilization, enhanced clarity, and maintenance, all four children's parks had noticeably low maintenance. It was revealed that although the CPTED theory was applied during the design stage and recomposition period of the children’s park, it had not been maintained, which caused the parks to gradually lose CPTED functionality. (Conclusion) Parks are accessed by unspecified individuals and therefore inherit the possibilities of various crimes. Applying CPTED to parks for children who are vulnerable to crimes, can reduce residents’ concerns and may also increase park access rates.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concerning the various ages of children and the types of crimes that occur at children’s parks. We sincerely hope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e data when designing and recomposing children’s parks.

      • KCI등재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분석을 통한 공공공간 현황에 관한 연구

        신윤선 ( Shin Yoonsun ),안진근 ( Ahn Jinkeun ),김주연 ( Kim Jooy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7

        (연구배경 및 목적) 글로벌 기후변화에 따라 추진중인 탄소 배출 제로를 위해 자동차 트랜드는 친환경 자동차 중심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중심의 전기차(Electric Vehicle, EV)의 빠른 증가 추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족한 충전 인프라에 대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현재 구축되어 있는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EV Charging Station) 중 완성차 업계에서 추진중인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를 중점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공공공간의 특성을 분석하여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 구축 시 활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방법) 전기차 제조사 중심의 충전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이론적 고찰을 진행하고, 구축현황에 대해서는 선행연구, 직접방문 및 인터넷 조사를 통해 도심 실내형과 외부 설치형으로 나뉘어 대표되는 사례를 선정하였다. 또한 전기차 충전 스테이션을 크게 공공공간과 공공시설물로 구분하였으며 선행연구를 통해 접근성, 쾌적성, 복합성, 편의성, 장소성을 평가항목으로 전기차 업계 전문가와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해 사례분석을 진행하였다. 이후 종합 분석을 통해 공공공간 특성요소를 다이어그램으로 구체화하였다. (결과) 본 연구에서는 충전 스테이션 설치타입에 따라 도심 실내형과 외부 설치형으로 나뉘어 분석하였고, 그 결과 첫 번째 도심 실내형은 접근성, 복합성 부분이 높게 나타났으며, 장소성은 구축된 위치에 따라 다르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외부 설치형의 경우 독립적으로 설치된 장소로 접근성, 쾌적성, 복합성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충전 네트워크 구조물로 설치된 경우 공간 확보를 위해 주요 편의 시설과 다소 떨어진 곳에 설치되다 보니 편의성이 조금 낮게 조사되었다. (결론) 전기차 충전 네트워크는 이제까지 전기차를 위한 장소였으나, 앞으로는 전기차 사용자를 배려한 공간으로 인식해야 하며, 아직 초기 시장인 만큼 브랜드 구축의 성장성이 아주 큰 분야이기도 하다. 현재 구축된 사례를 종합 해 보면 충전하는 동안 즐길 수 있는 컨텐츠를 보완해야 하며, 최소한의 휴식공간 제공이 소비자의 대기시간을 즐거운 경험으로 기억하게 하는 방법일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신규 충전 네트워크 브랜드 구축시 기존 충전 네트워크에서 보완이 필요한 특성을 미리 파악하여 공공공간을 제안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The automobile trend is rapidly shifting toward eco-friendly vehicles to achieve zero carbon emission, being pursued in response to the climate change issue. Focusing on electric vehicle (EV) charging network brands in the automobile industry among the currently established EV charging stations, thus study recognizes the problem of relatively insufficient EV charging infrastructure compared to the rapid increase of EVs. It aimed to provide basic data that could be used when building EV charging networks by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public space. (Method) A theoretical review was conducted on the charging network centered on EV manufacturers; through previous studies, direct visits, and an internet survey, the representative cases were selected by dividing the construction status into urban indoor and outdoor installation types. Furthermore, EV charging stations were largely divided into public spaces and public facilities, and case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EV industry experts and users, using accessibility, comfort, complexity, convenience, and location as evaluation items, through previous studies. Finally, quality factors of public spaces were specified in a diagram through comprehensive analysis. (Results) In this study, the charging station installation types were divided into urban indoor and outdoor installation types and analyze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ccessibility and complexity were found to be high in urban indoor types, and placeness wa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onstruction location. Second, with outdoor installation type, accessibility, comfort, and complexity were all high as an independently installed place. When installed as a charging network structure, the convenience was surveyed as a slightly low because it was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major convenience facilities to secure space. (Conclusions) Until now, the EV charging network was a place for EVs; in the future, however, it should be recognized as a space that considers EVs users. As the market is still in its infancy, it is an area with great potential for brand building and growth. Summing up the currently established case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ontents to users that can be enjoyed while charging; further, providing a minimum resting space would make consumers’ waiting time a pleasant experience. Expectedly,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useful basic data in proposing a public space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that must be supplemented along with the existing charging network in advance, when building a new charging network brand.

      • KCI등재

        근린공원의 CPTED 디자인 사례분석에 관한 연구

        김수민 ( Kim Sumin ),김주연 ( Kim Jooyun ),안진근 ( Ahn Jinkeu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21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6 No.5

        (연구배경 및 목적) 최근 근린공원에서의 범죄율이 증가하면서 시민들의 불안감은 높아지고 범죄로부터 안전성 확보를 위해 범죄예방설계(CPTED)의 중요성과 필요성에 대해 주목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날로 증가하는 범죄를 예방하고 시민들이 안전한 공원 이용과 휴식을 위해 CPTED 디자인을 적용한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고 분석한 사례를 바탕으로 안전한 근린공원의 CPTED디자인 제안을 연구의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 본 연구는 근린공원의 효과적인 범죄예방환경설계(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 CPTED)를 위해 개선되어야 할 문제점들을 문헌조사를 통해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근린공원의 CPTED디자인에 관해 최근의 연구 동향과 CPTED 디자인 사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한다. 사례들의 공간적 범위는 국내 근린공원 중에서 CPTED디자인이 반영된 4곳을 선정하여 연구를 진행했으며 연구의 방법으로는 선행연구를 통해 평가항목인 안전성, 개방성 활용성, 친환경성, 지속가능성이라는 5가지 항목을 도출 하였으며, 도출된 요소와 세부내용을 토대로 근린공원 이용자와 디자인 전문가의 설문을 통해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결과) 근린공원 CPTED 디자인을 적용해서 설계를 진행한 2013년 이후 국내 서울, 경기도 내에 있는 근린공원 4개의 사례를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 안전성에 대한 부분이 부족하다는 결과가 나왔다 특히 CPTED 디자인의 가장 핵심적인 요소로 생각되는 안전성과 그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끼치는 비상벨의 위치가 4곳의 사례에서 전부 상대적으로 낮은 평가를 받았다. 범죄예방을 위해 설계를 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공원의 위치도 안전성에 중요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 이에 본 연구에서는 CPTED 디자인을 적용하여 설계하는 근린공원의 사례를 분석하면서 실제 범죄율 감소와 시민들의 불안도 감소를 보여줌으로 근린공원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다는 결론을 얻었으며. 향후 본 연구를 통해 시민들이 안전하게 이용할 수 있는 근린공원을 계획하고 설계함에 있어서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Background and Purpose) As an increasing tendency of the crime rate at the neighborhood parks in recent days, the anxiety of citizens is becoming higher, and accordingly, it has been shed light on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the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CPTED) for securing safety from crimes. In this aspect, this study aimed to first analyze the cases of neighborhood parks that have employed the CPTED design in order to prevent the ever-increasing crimes and to ensure that citizens safely use and relax the parks under the rapidly changing society, and then to propose a safe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based on the case analysis. (Method) In order to design the effective CPTED of neighborhood parks, this study explor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e issues to be improved through investigating the relevant literature and proceeded the in-depth study with regard to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by focusing on the recent study trend as well as the cases of CPTED design. In terms of the spatial scope for the cases, this study selected 4 neighborhood parks in South Korea in which the CPTED design was reflected. As for the study method, 5 domains such as safety, openness, utilization, eco-friendliness, and sustainability were derived from precedent studies as the evaluation items, and based on the domains and their details that were derived, the analysis was conducted on the 4 cases of neighborhood parks through surveys with the design experts and users of the neighborhood parks. (Results) This study analyzed the 4 cases of neighborhood parks located in Seoul and Gyeonggi-do province of South Korea, which were designed by applying the CPTED design of neighborhood parks after 2013 and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safety domain was insufficient overall. In particular, safety, which is deemed as the most critical factor in the CPTED design, as well as the position of emergency bells, which directly affects safety, received a relatively low appraisal in all 4 neighborhood parks. In this context, even though the design of a neighborhood park is important for crime prevention, it was believed that the location of a park also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safety. (Conclusions) Thus, from the case analyses of neighborhood parks by applying the CPTED design, it was concluded that the utilization of neighborhood parks can be raised by demonstrating decreased actual crime rate and reduced anxiety of citize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planning and designing the neighborhood parks that citizens can safely use.

      • KCI등재

        농수산물을 활용한 6차산업화 공적지원프로그램에 관한 연구(한국과 일본의 사례비교연구)

        권혜숙 ( Hyesook Kwon ),도고야스시 ( Yasushi Togo ),안진근 ( Jinkeun Ahn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4

        (연구배경 및 목적)인구 감소 및 농어촌 지역의 고령화는 지역의 경제적 경쟁력을 잃는 원인이 되고 지역 경제 문제는 심각한 상황에 놓여있다. 이와같은 지역의 경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한국 정부는 창조 경제의 일환으로 융합 사업의 6 차 산업화를 통해서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다양한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한편, 한국과 같은 문제를 안고 있는 일본도 지역경제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농업의 6 차산업을 통한 다양한 지원제도와 인재양성제도를 추진하고 있다. 또 대학이나 연구 기관에서는 6 차 산업화의 추진 동향과 사례 조사를 통한 전략 방안 등에 관해서 활발한 연구 활동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6 차 산업화를 촉진시키기 위한 다양한 공적 지원 제도가 원활하게 추진도록 사전에 조정 관리할 수 있는 스킴에 대한 연구는 발견되지 않았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농림 수산물을 활용한 6 차 산업화의 각 프로세스 지원 내용과 범위, 지원 주체를 적절히 연계하고 배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매니지먼트 스킴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연구방법)본 연구는 6 차 산업화의 개념도부터 발전시킨 6 차 산업화를 촉진하는 공적 지원의 매니지먼트 프로그램 계획을 가설로 고안하고 그것을 틀로서 이용하여 한국과 일본에서 추진되고 있는 6 차 산업화에 대한 정부 차원의 공적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을 비교한다. 비교 내용은 지원 주체별로 시행하고 있는 지원 프로그램을 6차 산업화 프로세스의 7 개항목과 지원 내용의 5 개항목을 키워드로 하고 현재 추진되고 있는 한국과 일본의 지원 프로그램의 내용과 비율을 확인할 수 있도록 표와 그래프로 정리했다. (결과)6 차 산업화 프로세스 지원 사업에서 일본은 각 산업화 지원이 균형적인 것에 비해서 한국은 6 차 산업화를 홍보하는 단계에 대한 지원이 많았다. 지원내용에 있어서는 일본과 비교하여 한국은 기술설비나 시설, 판로개척 등에 지원이 많았고, 일본은 지적서비스데 대한 지원이 한국보다 많이 추진되고 있었다. 한국보다 10년 정도 먼저 6 차산업화가 추진되었던 일본의 6 차 산업은 정착단계에 있으므로 설비나 시설개선등 보다 지적서비스에 대한 지원이 요구되었기 때문이라고 볼 수 있다. (결론)6 차산업화를 촉진하기 위해서는 농림수산물을 활용한 지역산품을 생산하기 위한 기술과 설비 등의 인프라를 구축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6 차 산업화의 각 프로세스 지원 내용과범위, 지원 주제를 적절히 연계하고 배분상황을 통제, 관리할 수 있는 프로그램·매니지먼트 체제를 촉구하여 6차산업화를 리드하는 인재양성 프로그램을 강구해야 만 할 것이다. (Background and Purpose)Population decline and aging of people in farming and fishing areas may cause economic competitiveness in such regions to decline, which puts regional economic issues in a serious situation. With the aim of solving such regional economic issues,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s part of its creative approach to the economy, is to enforce a variety of policies to rebuild the local economy through the sixth industrialization of the fusion of business. On the other hand, Japan, which has the same problem as South Korea, has been aiming to solve local economic problems by promoting a variety of support programs through agriculture within the sixth industrialization. In addition, universities and research institutions have begun to conduct active research with respect to such strategies in relation to promotion trends and case studie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However, while various public support systems are in place to promote the sixth industrialization, research on how such schemes can be adjusted and managed has not been conducted to date. In this study, therefore, the contents and scope of each proces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with respect to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will be considered, along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appropriate cooperation and support is in place to allow the program to be developed and managed adequately. (Approach) This study aims to devise a public support management program to promote the sixth-order industrialization that evolved from the conceptual diagram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and which has been promoted in South Korea and Japan. Using it as a basic framework, we will compare the contents of public support programs at government level for the sixth industrialization. The comparison considers the five types of support within the programs, which is enforced by seven items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process in the keyword, the content, and percentage of South Korea and Japan’s support program that is currently being promoted. A graph is provided to summarize the results. (Results) Japan in support project of the sixth industrialization process as compared to the assistance of each industrialization is taking the balance, South Korea support to the stage to promote the sixth industrialization there were many. In addition, a comparative study of South Korean technical equipment and facilities and Japanese support contents revealed that a great deal of support is given in areas such as market development; in addition, Japan’s support for intellectual services was found to be greater than that given in South Korea. Japan began to promote the sixth industrialization about 10 years ahead of South Korea, because in Japan the sixth industrialization was afforded a great deal of government support, facilities, and improvement of facilities for intelligence services, which is needed for the development and commercialization of new products. (Conclusions) In order to facilitate the sixth industrialization, although it is important to build infrastructure such as techniques and equipment for the production of local goods, such as processed products that utilize agricultural and marine products, the sixth industrialization must support the contents and scope of each process, support theme appropriate cooperation to control whether or not to allocate, it is necessary to build a capable program management system, in order to address population-reduction issues and problems in the regional economy, of as well as Japan as a fundamental measure should be to offer human resources training programs that will contribute to the sixth industrialization.

      • KCI등재

        기술사회의 라이프스타일 기반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에 관한 연구

        문보경 ( Bokyung Moon ),김주연 ( Joo Yun Kim ),안진근 ( Jinkeun Ahn ),황용섭 ( Yongseup Hwang ) 한국공간디자인학회 2015 한국공간디자인학회논문집 Vol.10 No.2

        (연구배경 및 목적) 주거 공간은 사회, 문화, 환경, 기술적 변화와 상호작용하면서 끊임없이 진화되어 왔으며, 이러한 변화에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역시 궤를 같이하여 왔다. 현대의 주거는 디지털 및 정보 기술의 발전에 힘입어 인간과 상호작용하고 새로운 경험을 주는 종합적 공간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지고 기술은 공간의 다양한 경계를 모호하게 하고 있다. 이는 독자적이고 능동적으로 기능하는 새로운 스마트 주거 공간의 형태로 구체화되고 있다. 인간의 거주와 그 주거공간의 형태적 변화를 예측해 보는 것은 공간디자인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기술사회에서 인간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라서 형성되고 변해가는 스마트 주거공간을 현대인의 다양한 라이프스타일 기반으로 특징과 주거유형을 살펴보고 이에 따라 적용할 수 있는 스마트 주거 공간디자인 전략의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첫째, 문헌 고찰을 통하여 산업화 이후 라이프스타일 변화 및 주거생활과 어떠한 상호작용하는지 이해하고 이를 통해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주거의식을 이해한다. 둘째, 기술 발전에 따라 변해온 주거형태를 이해하고 현재에 이르러 성립된 스마트주거의 유형과 특징을 이해한다. 셋째, 스마트주거의 특징을 바탕으로 공간디자인 취할 수 있는 디자인 전략 틀을 구축하고 이를 관점으로 스마트 주거 환경을 구현한 선행사례를 조사하고 대입하여 분석한다. (결과) 스마트 주거공간은 거주자의 생활패턴에 따른 환경을 조성하고 다양한 구조를 제공한다. 자연소재와 스마트기술의 조화로운 결합이 주는 심미적 친환경 주거를 제공한다. 기존 물리적 공간에 콘텐츠의 유입으로 정보접근성이 용이해지고 자유롭게 정보공유를 통해 장소의 이동 없이 주거 공간 내의 환경을 니즈에 따라 해결 가능한 환경으로 조성한다. 앞으로 스마트주거환경의 편의성을 기대하는 사람들은 더욱 늘어날 것이다. 스마트주거환경이 기술의 관점에서 발전되어 온 만큼 현재는 기술기반의 접근형태가 강하게 나타나고 있는 것이 분명하다. 그러나 기술이 보다 보편화되고 세련되어 지면서 디자인에 대한 감성적 요구가 늘어날 것임은 분명하다. (결론)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해야 할 것은 공간과 기술의 결합이 아닌 인간, 인간과 공간, 공간과 공간간의 소통이 가장 중요하며 현대인의 라이프스타일 변화에 따른 대응으로 공간에 인간행태가 묻어나는 재현방식으로 구축하여야 한다. 따라서 앞으로 스마트주거 공간디자인의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에서 다루어진 사례가 한정적이라는 한계를 인정할 수밖에 없지만, 이러한 연구를 통해 스마트 주거공간디자인에 대한 다양한 후속연구를 촉발시키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Background and Purpose) Residential spaces have been evolving continuously as a result of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technological changes, and human lifestyles have been in sync with these changes. Thanks to advancements in digital and information technology, residential spaces in the modern age are structures characteristic of a complex spatial system that facilitates human interaction and delivers new experiences. Thus, technology blurs the various boundaries of space. Accordingly, a new and smart residential space that functions actively and independently has emerged. Predictions regarding residential spaces and their formative changes have considerable significance in space desig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features and typ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that are forming and changing according to changes in human lifestyles in the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The directionality in design strategies for such spaces is presented in this paper. (Method) First, a literature review was employed to understand lifestyle changes that occurred after industrialization, their interactions with residential spaces, and modern people’s residential awareness. Second, an investigation was conducted to understand changes in residential forms that have accompanied technological advancement; contemporary types and features of smart residential spaces were also examined. Third, a strategic framework design was establish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residences; further, an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previous cases regarding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were performed. (Results) Smart residential spaces form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at correspond to the life patterns of residents. An aesthetic and eco-friendly residence comes from a harmonious combination of natural materials and smart technologies. Additions to preexisting physical spaces ensure various information accessibilities; further, changes to residential spaces and environments reflect the need for unlimited sharing of information that does not require moving to a different location. The number of people seeking the conveniences of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is increasing. Furthermore, the smart residential environment requires a stronger technology-based approach. However, as technology becomes generalized and polished, emotional prerequisites associated with designs will definitely increase. (Conclusions) The primary concerns underlying the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s are humans and communications between humans and spaces-not the combination of spaces and technologies. Thus, construction is performed in response to the expansion of human consciousness as a representational method that reflects humans’ behaviors as they pertain to spaces. This study involved the exploration of a limited number of case studies; however, its findings may prompt various follow-up studies on smart residential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