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CSB^+-Tree 인덱스를 이용한 DTD가 없는 Well-Formed XML 문서 저장 기법

        신성현(Sung-Hyun Shin),김진호(Jin-Ho Kim) 한국정보과학회 2004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31 No.1B

        최근 인터넷 상에서 정보 양이 증대함에 따라 DTD 기반의 XML을 이용하여 방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저장하고 검색하기 위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DTD의 문서를 작성에는 많은 노력이 필요하고, 문서 구조의 검사가 필요없는 간단한 문서만 사용하는데 있어서 DTD 작성은 불필요한 작업이 아닐 수 없다. 하지만 DTD 문서가 없을 경우에도 XML 기본 문법만 맞으면 문서를 파싱할 수 있고, 불필요한 네트? 부담을 줄이기 위해 DTD없이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DTD가 없는 Well-Formed XML 문서를 구성하는 엘리먼트의 구조를 통해 정보를 추출하고, 주기억장치의 효율적인 저장 공간을 활용한 CSB^+-Tree 인덱스를 이용하여 Well-formed XML 문서를 저장하기 위한 기법을 제안한다.

      • KCI등재
      • 수막종에 대한 선형가속기형 정위방사선수술

        신성수(Seong Soo Shin),김대용(Dae Yong Kim),안용찬(Yong Chan Ahn),이정일(Jung Il Lee),남도(Do-Hyun Nam),임도훈(Do Hoon Lim),허승재(Seung Jae Huh),여인환(Inhwan J Yeo),신형진(Hyung Jin Shin),박관(Kwan Park),김보경(BoKyoung Kim),김종 대한방사선종양학회 2001 Radiation Oncology Journal Vol.19 No.2

        목 적 :수막종 환자에 대한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의 임상 경과, 영상의학적 반응, 그리고 신경학적 후유증을 분석하여 수막종에서 정위방사선수술의 역할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 및 방법 : 1995년 2월부터 1999년 12월까지 26명의 수막종 환자에 대해 선형가속기를 이용한 정위방사선수술을 시행하였다. 9명은 외과적 절제술이 선행되었으며 나머지 17명은 정위방사선수술만 시행되었다. 대상환자들의 남녀 비는 7:19이었고, 연령 분포는 14∼67세(중앙값 51세)이었다.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17명에서 병변으로 인한 신경학적 증상을 보였다. 종양 용적의 범위는 0.7∼16.5 cm3 (중앙값 4.7 cm3)이었고, 정위방사선수술 시 처방선량은 최대선량 기준으로 46∼90% (중앙값 80%) 등선량곡면에 10∼20 Gy (중앙값 15 Gy)이었다. 임상 추적관찰 기간은 1∼71개월(중앙값 27개월)이었고 영상 추적관찰 기간은 1∼52개월(중앙값 25개월)이었다. 결 과 :정위방사선수술 당시 임상 증상이 있었고 임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 중 13명(93%)에서 증상의 소멸 및 완화를 보였으며, 나머지 1명은 치료 후 4개월부터 종괴효과로 증상이 악화되어 7개월 후에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영상 추적관찰 기간이 1년 이상인 14명의 환자들 중 7명(50%)은 정위방사선수술 후 6∼25개월(중앙값 11개월)에 종양 크기의 감소를 보였고, 6명(43%)은 종양 크기의 변화가 없었다. 종양 크기의 증가를 보인 1명(7%)은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6명(23%)의 환자에서 정위방사선수술 후 새로운 신경학적 후유증이 발생하였으며, 이 중 5명은 일시적 후유증으로 스테로이드 투여 등의 보존적 치료 후에 증상이 소멸되었고, 1명은 정위방사선수술로 인한 조직 괴사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 받았다. 결 론 :정위방사선수술을 이용한 수막종의 치료는 외과적 절제술이 불가능한 경우, 불완전한 절제술을 시행한 경우, 그리고 수술 후 재발한 경우에 안전하고 매우 효과적인 치료 방법으로 판단된다. 하지만 더 오랜 기간의 추적관찰이 필요하며 종양용적이 크고 주위에 결정장기가 있는 경우에는 신경학적 후유증을 줄이기 위해 좀 더 신중한치료 계획 및 선량 결정이 필요하다. Purpose : To evaluate the role of LINAC- based stereotactic radiosurgery (SRS) in the management of meningiomas , we reviewed clinical response, image response, neurologica l deficits for patients treated at our institution. Methods and Materials : Between February 1995 and December 1999, twenty- s ix patients were treated with SRS. Seven patients had undergone prior resection. Nineteen patients received SRS as the initial treatment. There were 7 male and 19 female patients . The median age was 51 years (range, 14∼67 years). At least one clinical symptom presented at the time of SRS in 17 patients and cranial neuropathy was seen in 7 patients . The median tumor volume was 4.7 cm3 (range, 0.7∼16.5 cm3). The mean marginal dose was 15 Gy (range, 10∼20 Gy), delivered to the 80% isodose surface (range, 46∼90%). The median clinica l and imaging follow- up periods were 27 months (range, 1-71 months) and 25 months (range, 1∼52 months), respectively. Results :Of 14 patients who had clinical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hirteen patients (93%) were improved clinically at follow- up examination. Clinical symptom worsened in one patient at 4 months after SRS as a result of intratumoral edema,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7 months . Of 14 patients who had radiologic follow- up of one year or longer, tumor volume decreased in 7 patients (50%) at a median of 11 months (range, 6∼25 months), remained stable in 6 patients (43%), and increased in one patient (7%), who underwent surgical resection at 44 months . New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s developed in s ix patients (23%). Five patients (19%) had trans ient neurological deficits , completely resolved by conservative treatment including steroid therapy. Radiation- induced brain necros is developed in one patient (3.8%) at 9 months after SRS who followed by surgical resection of tumor and necrotic tissue. Conclusions : LINAC- based SRS proves to be an effective a nd safe management strategy for small to moderate s ized meningiomas , inoperable, res idual, and recurrent, but long- term follow- up will be necessary to fully evaluate its efficacy. To reduce the radiation- induced neurological deficit for large s ize meningioma and/or in the proximity of critical and neura l structure, more delicate treatment planning and optimal decis ion of radiation dose will be necessary.

      • LBS/GIS 기반 사용자 중심의 플랫폼 구현

        신성현(Seong-Hyun Shin),황현숙(Hyun-Suk Hwang),김기욱(Ki-uk Kim),이석철(Seok-Cheol Lee),김창수(Chang-Soo Kim) 한국멀티미디어학회 2006 한국멀티미디어학회 학술발표논문집 Vol.2006 No.2

        국내 LBS(Location Based Service)산업은 매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오고 있으며, 현재 가장 성장성이 높은 서비스 분야로 자리 잡고 있다. 또한 LBS를 응용한 다양한 서비스들도 개발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서비스들이 서비스 제공자에 의한 일방적인 지리정보를 보여주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지리정보를 사용자의 관점에서 사용자가 원하는 지리정보를 선택할 수 있는 뷰어를 구현하고, 이를 GPS와 연동하여 향후 LBS응용서비스를 위한 기반 플랫폼을 구축한다.

      • KCI등재

        동아시아 계율 이해 연구

        신성현 ( Sung Hyun Shin ) 한국불교선리연구원 2015 禪文化硏究 Vol.19 No.-

        인도에서 불교승가가 시작되면서 성립된 계율은 중국을 거쳐 한국과 일본에 불교에 수용되는 과정에서 크고 작은 변화를 거치게 된다. 인도에서 처음 계율이 만들어지던 당시와는 다른 시대적 배경, 인도와는 다른 동아시아의 정치·사회·문화차이로 인해 본래 인도의 계율과는 다른 새로운 계율을 만들어 내고 창출하였다. 본래 인도불교에서 계와 율은 다른 개념으로 사용되었던 단어이었다. 초기불교에서는 계와 율을 분명하게 나누어 설명한다. 계는 주관적인 개인의 결의로 범계(犯戒)에 대한 벌칙이 없으며, 세간의 윤리도덕에 해당하고 자발적인 면이강조되고 있다. 율은 상가라는 공동체의 규칙으로 범계에 대한 경중(輕重)의 벌칙을 받으며, 세간의 법률에 해당하고 타율적인 규범이다. 중국에서는 계와 율을 나누지 않고 계율을 혼용하여 사용하였다. 계율은 경전을 번역하는 과정에서 만들어진 새로운 용어이다. 계율이 의미하는 말은 시라의 의미보다는 상가의 규칙, 즉 바라제목차를 일컫는 말로 사용되었다. 이 말은 한국과 일본불교에도 지대한 영향을 그대로 수용하게 되었다. 『범망경』이 번역되어 유통된 후에는 성문계보다는 범망계가 중국불교에서 우위를 차지하였고, 이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었다. 특히 천태지의와 현수법장등에 의해 계율에 대한 새로운 이해와 해석이 활발하게 이루어졌다. 한국에서도 불교수용과 더불어 계율에 대한 이해가 생기기 시작하였다. 특히 신라에서는 계율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였다. 원광과 자장에 의해 기틀이 만들어졌다. 통일신라 이전에는 성문계인 『사분율』을 중심으로, 삼국이 통일된 후에는 대승의 범망보살계가 중점적으로 연구되었다. 그 중심에 원효가 있다. 원효의 계율관은 범망계가 그 중심을 이루고 있다. 범망계는 출가자와 재가자 모두에게 적용되는 계율로서 지범(持犯)의 판단기준은 표면적인 행위보다는 중생제도라는 내면적 동기에 두어 더욱 중요시하고 있다. 고려시대에 계율은 지눌과 지공에 의해 전승되었다. 지눌의 『권수정혜결사문』 『계초심학인문』은 청규의 영향을 받았다고 할 수 있다. 지공은 무생계(無生戒)로서 사부대중에게 수계를 하였는데, 그 영향력은 매우커서 술과 고기를 즐기던 사람들은 이를 끊었고, 무당을 따르던 사람들은 이를 멀리했다고 한다. 조선시대에는 배불정책가운데서도 기화 휴정, 긍선, 등이 계율정신을 강조하였으며 근세 학명 동산에 의해서 전승되었다. 일본불교의 계율의 기원은 백제로부터 시작되었다. 계율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던 백제불교는 일본불교의 계율 수용에 절대적인 영향을 주었다. 도광은 도선의 『사분율산번보궐행사초』를 가지고 귀국하여 그 해에 『의사분율초찬록문依四分律抄撰錄文』1권을 발표함으로써 중국에서 일본에 최초로 율종을 전래한 사람이 되었다. 이때까지도 구족계의식이 여법하지 않았기 때문에 도광은 『사분율』에 의거해 일본의 비구 비구니들을 규율하였다고 한다. 이로서 일본의 불교계는 겨우 본격적인 계율을 지향하는 기반을 조성하였다. 천평승보(天平勝寶) 7년(755)에 이르러 당승(唐僧) 감진(鑑眞)이 동대사에 계단을 설치하고 구족계와 보살계를 전계하면서부터 일본불교도들은 중요한 생활규범을 전수받았다고 한다. 가정(嘉禎) 2년(1236) 동대사에서 자서수계(自誓受戒)를 한 각성(覺盛, 1194~1249)과 예존(叡尊, 1201~1290) 등에 의해 율종이 부흥되었다. Sila Vinaya, which was established along with the start of Buddhist Sangha, experienced great and small changes in the acceptance procedure to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Their periodic background, culture, political, social, cultural climate different from India’s created their own novel Sila Vinaya. Originally, Sila and Vinaya had been used as different concepts. The early Buddhism divided up Sila and Vinaya distinctively. Sila is a subjective resolution of individuals, and has no penalties of violation. It corresponds to morals and ethics of the world, and puts emphasis on spontaneity. Vinaya is a regulation of monastic community, and has penalty of gravity. It corresponds to a law of the world and heteronomous. China didn’t divide up Sila and Vinaya and used them together. The word Sila Vinaya was created in the process of scripture translation. It was used to refer to regulations of monastic community, Patimokkha, and accepted to Korean and Japanese Buddhism affecting them profoundly. Since Brahamajala Sutra was translated and distributed, Brahamajala Sila held a dominent position over Shravaka Sila and was studied actively. Especially, Cheontae Jiui and Hyeonsu Beopjang interpreted and understood Sila and Vinaya freshly. Korea started to understand Sila and Vinaya as accepting Buddhism. Silla did active research on Sila Vinaya. Won - gwang and Ja - jang built its foundation. Before unified Silla, Dharmagupta Vinaya was a center of the research; and after unified Silla, Brahamajala Bodhisattva Sila took the position. Won - hyo was a key figure of the research. His Sila Vinaya concept focused on Brahamajala Sila. It was applied to both monks and lay people, and its criteria was internal motive of liberation of sentient beings. In the Koryo Dynasty, Sila Vinaya was passed down by Ji - nul and Ji - gong. Ji - nul’s Gwonsujeonghyegyeolsamun and Gyechosimhaginmun were influenced by Cheonggyu. Ji - gong gave commandments to the fourfold assembly by Musaenggye. It had a profound impact onf people, making them quit enjoying alcohol and meat and avoid shamans. In Joseon Dynasty, despite its anti - Buddhism policy, Gi - hwa, Hyu - jeong and Geung - seon focused on Sila Vinaya spirit, and it was handed down by Hak - myeong and Don - san in modern times. Sila Vinaya of Japanese Buddhism was based on Baekje. Baekje Buddhism, Sila Vinaya - centered, played an absolute role to acceptance of Sila Vinaya in Japanese Buddhism. Do - gwang obtained Do - seon’s Sbunyulsanbeonboguelhaengsacho and published the first volume of Uisabunyulechochanrokmun, to become the first initiator of Yule-jong to Japan in China. Because Upasampada ritual was not legal until that time, he was said to regulate Japanese Bhikkhu and Bhikkhuni under Dharmagupta Vinaya. This managed to create foundation aiming at real Sila Vinaya in Japanese Buddhism. Ever since Kim - jin, a Tanng Dynasty monk, installed a stairway in Dongdaesa and spread Upasampada sila and Bodhisattva sila in the seventh year of Cheonpyeongseungbo(755), Japanese Buddhists were handed down major living criteria. Yule - jong was reestablished by Gak - seong(覺盛, 1194~1249) who received Buddha’s precepts on his own in Dongdaesa in the second year of Ga - jeong(1236) and Ye - jon(叡尊, 1201~1290)

      • KCI등재

        정책옹호연합모형을 통한 정책변동 사례분석: 지역자원시설세 과세정책을 중심으로

        신성현(Shin, Sung Hyun),정준금(Jung, Joon Keum) 한국지방정부학회 2019 지방정부연구 Vol.23 No.2

        본 연구는 정책옹호연합모형을 적용하여 화력발전에 대한 지역자원시설세 도입·변동 과정을 분석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외부요인들은 정책변동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외부요인과 정책하위시스템 사이의 매개변수로서, 대통령의 통치이념이 더욱 적절한 변수로 나타났다. 셋째, 정부부처는 대통령의 통치이념이나 정부의 정책방향 등 상황변화와 입장에 따라서 정책옹호자, 정책조정자, 정책협상자, 정책결정자, 감독자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였다. 넷째, 학습활동은 정책협의회 등을 통해 옹호연합 간 합의의 시도로 타협의 가능성 탐색과 대안 수정의 기회를 가졌지만 대부분 내부 지향적인 학습 수준에 머물렀다. 추후 조세정책 결정 과정에서는 조세정책의 쟁점을 공개하여 세금을 부담할 국민들의 참여를 강화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사회적 합의를 통해 조세정책이 결정되는 원칙을 수립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analyzed the policy change process of the local resource and facility tax on the thermal power applying Advocacy Coalition Framework (ACF).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most external factors of ACF were found to affect policy changes. Second, the president s governing ideology has emerged as a more appropriate parameter between external factors and the sub-policy system. Third, the government ministries played various roles, including policy advocates, policy coordinators, policy makers, and supervisors, depending on the changing situation. Forth, the policy learning activities had the opportunity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compromise and revise alternatives in an attempt to reach an agreement among advocacy groups, but were mostly internal-oriented learning levels. In the future process of making tax policy, the government needs to strengthen the participation of the people who will bear the tax burden by making wide public the issues of tax policy, and establish the principle in which the tax policy will be decided through social consensus.

      • KCI등재
      • KCI등재

        보살계(菩薩戒)의 전개와 발전에 대한 일고(一考)

        신성현(Sung Hyun Shin)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2010 佛敎學報 Vol.0 No.54

        계는 불교라는 종교에 들어가는 가장 중요한 덕목이다. 그러므로 불교사를 볼 때, 시대를 불문하고 계에 대하여 설명하지 않는 시기가 없었다. 대승불교에서는 율보다 계를 부각시킨 시대이다. 율이라는 형식보다 계라는 내용이 보다 중요하다고 생각하였기 때문이다. 대승불교의 계를 우리는 보살계라고 한다. 대승불교의 이상상인 보살이 지녀야하는 계이기 때문이다. 초기부파불교와 달리 대승불교에서는 율장이라는 텍스트를 따로 두지 않고, 경장에서 계율에 대한 설명을 한다. 이는 계를 붓다의 말씀, 즉 진리로서 이해한 결과라고 생각된다. 대승불교시대에서의 계는 다양하게 해석되고 이해된다. 계에 시대정신을 담아 생명력 있게 끊임없이 발전시켜 나아간다. 보살계는 10선계, 3취정계, 10중48경계로 발전되어간다. 10선계는 10선업도에서 발전된 것이다. 10선업도 자신만이 아닌 남까지도 선한 행위를 하도록 계도하는 형태로 시대에 걸맞게 변형시켜 계로서 수용하였다. 복잡하지 않고 단순하지만 현실성 있게 이해한 결과였다. 3취정계는 섭율의계·섭선법계·섭중생계의 3가지 계를 말한다. 대승으로서의 보살은 3취정계에 의해서 자리이타행을 완성시킬 수 있다. 보살은 단지 악을 그치는 섭율의계를 지키는 것만을 강조하는 것이 아니라, 모든 선을 행하여 모든 중생을 포섭하는 것도 역시 중요하다는 것을 설명한다. 10중48경계는 성문의 250계를 바탕으로 하여 새로이 세운 계이다. 10중48경계는 단순히 악을 제지하는데 그치지 않고 적극적으로 善을 실천하는 데에 있다. 이처럼 대승계는 시대정신에 따라 자신과 남이 동시에 실천하도록 하는 것에 있으며, 궁극적으로는 선을 행하는 데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되는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Precepts are the most important item of virtue included in Buddhism. Therefore, it was explained in the history of Buddhism regardless of era. Morality was, however, emerged above precepts in Mahayana Buddhism; precepts as contents were thought as more important than morality as forms. Precepts of Mahayana Buddhism were called precepts of bodhisattva; they were the precepts that bodhisattva should bear as a ideal image of Mahayana Buddhism. Unlike as in the early era of Abhidharma Buddhism, there was no text known as chapter of morality in Mahayana Buddhism. Rather, it described precepts & morality through light chapter. This was regarded as a result of understanding precepts as words of Budda. Precepts were interpreted and understood in various ways in the era of Mahayana Buddhism. Also, precepts went further and were developed without a pause by embodying Zeitgeist into them. Precepts of bodhisattva were developed into ten good precepts,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and 10 heavy precepts 48 light precepts. Ten good precepts were discovered through the ten good paths of action. Also, the ten good paths of action were transformed as time needed and were accepted as precepts not only for itself but also with the shape of what not behaved by others. It was simple without complexity but a result of understanding it in reality.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consisted of three precepts including morality as temperance or restraint; samvara-sila, morality as pursuit of the good; kusala-dharma-samgrahaka-sila, and morality as altruism or supererogation; sattva-artha-kriya-sila. Mahayana bodhisattva was able to complete self-profit and altruism through threefold classification of Mahayana sila. It was important for bodhisattva to keep morality as temperance or restraint; samvara-silaquit by quitting bads only. It described that it was also important to win all humankind over to your side by doing all the good. 10 heavy precepts 48 light precepts were newly made precepts based on 250 precepts of Sravaka. The purpose of them was not only to restrain the bad but also to practice the good. As such, the purpose of Mahayana precepts was to make self and others practice according to Zeitgeist. Thus, the central idea of Mahayana precepts was to do the good eventually and it was interpreted as su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