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및 양육태도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

        송화진,박영심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2019 어린이미디어연구 Vol.18 No.3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ion between mother’s ego-resilience and nurturing attitude, and 3-year-ol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and the effects of mother’s ego-resilience and nurturing attitude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The study was conducted for five hundred 3-year-old children of day care center and their mothers in Jellabukdo.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shows that mother’s ego-resilience is not correlated to 3-year-ol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but affection and consistency are positively correlated, and rejec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to it. Out of sub-factor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affection is positively correlated, and overprotection is negatively correlated to 3-year-ol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Second, mother’s resilience has no significant effects on children’s school adaptation, but affection and consistency have positive effects, and rejection has negative effects. Out of sub-factors of mother’s nurturing attitude, affection and rejection have significant effects on 3-year-old children’s school adaptation. 본 연구는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및 양육태도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이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고, 어머니의 자아탄력성 및 양육태도가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전북지역 소재한 어린이집 만3세 유아와 유아의 어머니 500명이었다. 본 연구 결과 첫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과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 일관성과는 정적 상관관계를, 거부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은 어머니의 양육태도 하위요인 중 애정과는 정적상관을, 과보호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둘째, 어머니의 자아탄력성은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지는 않았으나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 일관성에는 정적인 영향력을, 거부는 부적영향력을 미쳤다. 어머니의 양육태도 중 애정과 거부가 만3세 유아의 교육기관 적응에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쳤다.

      • KCI등재

        한국농촌에서 마을의 역량과 마을사업체 : 1960-70년대 경기도 송라마을 사례연구

        송화진 한국농촌사회학회 2022 農村社會 Vol.32 No.2

        This article examines the contribution of village capacity to the establishment and operation of village enterprises through the case of rural villages in Korea in the 1960s and 1970s. Previous studies have analyzed factors affecting rural development in Korea by dividing them into government, village leader, and village residents. The existing experiences of cooperation among village people and the village-level cooperative organizations in the 1960s closely connected to the Saemaul Undong in the 1970s. However, this continuity has not been sufficiently studied. Therefore this study empirically analyzed how the village's capabilities contributed to the operation of the village business, an economic cooperative organization at the village level, by selecting Songra Village, Icheon, Gyeonggi-do as the case. Specifically, I analysed three research questions. First, I explore how the cooperative experience of social organizations within the village functioned as a resource for the establishment of village businesses. Secondly, I examined how the face-to-face relationship of villagers contributed to the reduction of transaction costs of village business operation. Thirdly, I analyzed how Daedongkye, a village operating organization, was utilized for the smooth operation of village businesses. Overall,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focused on continuity between the cooperative experience of villagers and the cooperative organizations, particularly paying attention to the rural village, a social unit. In addition, it provides policy implications for the need to pay attention to and nurture social relations among village residents in the village to revitalize rural areas. 본 연구는 1960-70년대 한국 농촌마을의 사례를 통해 마을의 역량이 마을사업체의 설립과 운영에 기여한 내용을 살펴본다. 마을의 역량은 한국 농촌발전의 세 요인인 국가, 지도자, 마을 중 하나로 강조되어 왔다. 그러나 마을의 역량과 그 역량이결집된 협동조직은 충분히 연구되지 못했다. 또한 한국농촌의 선행연구들은 시기적으로 1970년대에 집중되어있다. 1960년대까지 이어져온 마을 내 협동의 전통 및경험들은 1970년대 농촌발전의 내용과 긴밀히 연결되지만, 이러한 연속성은 충분히 연구되지 않았다. 1960년대까지의 농촌마을의 발전상을 바탕으로 1970년대 농촌발전이 가능했다는 연속적이고 종합적인 이해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사례지역으로 경기도 이천 송라마을을 선정하여 마을의 역량이 마을단위 경제적 협동조직인 마을사업체의 운영에 어떻게 기여했는지를 실증적으로 분석했다. 연구자료로경기도 성남 새마을운동중앙연수원이 소장한 마을기록물을 활용했다. 또한 문서기록의 맥락을 파악하기 위해 마을 주민들을 면접하였다. 면접은 2018년 3월과2020년 10월에 집중적으로 이뤄졌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년회, 부녀회, 계 등 마을 내 사회조직의 협동경험이 마을사업체의 설립의 자원으로 기능했다. 둘째, 마을주민들의 대면관계가 마을사업체 운영의 거래비용 절감에 기여했다. 셋째, 마을운영조직 대동계가 마을회의와 마을기금을 통해 마을사업체의 원활한 운영에 기여했다. 본 연구는 마을이라는 사회적 단위에 주목하여 마을주민들의 역량과 협동조직의 연속성을 본격적으로 연구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이 연구결과는 농촌지역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마을에 존재하는 주민들 간의 관계자원에 주목하고 이를 육성해야 한다는 정책적 시사점을 제공한다.

      • KCI등재
      • KCI등재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팀에 관한 연구: 경기도 이천 송라마을 사례연구

        송화진(Song, Hwa-jin) 한국농촌사회학회 2021 農村社會 Vol.31 No.1

        이 글은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특성을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선행연구들은 1970년대 농촌 마을의 발전에 영향을 미친 요인으로 국가, 지도자, 마을이라는 3대 요소를 제시했다. 이 중에서 마을지도자의 역할을 강조한 연구들은 지도자 개인의 1인 리더십의 역할을 강조했다. 본 연구는 1970년대 농촌 마을지도자의 리더십 구조를 1인 리더십뿐 아니라 리더십 팀의 관점에서도 분석하는 것을 시도한다. 이를 위해 새마을운동중앙회가 소장한 경기도 이천군 송라마을 기록물을 분석하고 마을 주민들을 인터뷰하였다. 송라마을은 1960-70년대에 여러 개의 ‘마을사업체’를 운영한 ‘발전’마을이다. 이 글에서는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을 중심으로 나타난 리더십 구조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기 위해 196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사업체의 형성과 운영 과정에서 마을지도자의 ‘1인 리더십’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 1970년대를 중심으로 마을지도자들의 ‘리더십 팀’은 어떻게 발휘되었는지가 분석되었다. 이 글은 사례연구를 통해 1970년대 한국농촌마을의 리더십 구조에 대한 이해 확장에 기여할 수 있다는 의의를 가진다. This study purpose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a leadership team. It is suggested three factors: the country, the leader, and the village as factors that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rural villages in the 1970s by previous studies. Among them, there were studies emphasizing the role of village leaders, hey have emphasized the role of individual leaders. This study attempts to analyze the leadership structure of rural village leaders in the 1970s from the perspective of not only a single leadership but also a leadership team. I analysed the records of Songra village, Icheon-gun, Gyeonggi-do, which are kept as Saemaul Undong Archives and interviews of village residents. Songra Village can be defined as a “development” village since several “village businesses” were operated in the 1960s and 1970s. In this study, I will explore the leadership structure that emerged around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To examine these research questions in more detail, first,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single leadership was demonstrated in the formation and operation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centering on the 1960s. Secondly, I analysed how the village leaders" "leadership team" was demonstrated in the management process of village businesses around the 1970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analysing through empirical data that many village residents formed a leadership team and played the role of a leader in the 1970s, overcoming emphasis on the leadership of one leader suggested by previous studies. This study has significance that it can contribute to the expansion of understanding of the leadership structure of Korean rural villages in the 1970s through case studies.

      • SPLICE 방법에 기반한 잡음 환경에서의 음성 인식 성능 향상

        김종현,송화진,이종석,김형순,Kim, Jong-Hyeon,Song, Hwa-Jeon,Lee, Jong-Seok,Kim, Hyung-Soon 대한음성학회 2005 말소리 Vol.53 No.-

        The performance of speech recognition system is degraded by mismatch between training and test environments. Recently, Stereo-based Piecewise LInear Compensation for Environments (SPLICE) was introduced to overcome environmental mismatch using stereo data. In this paper, we propose several methods to improve the conventional SPLICE and evaluate them in the Aurora2 task. We generalize SPLICE to compensate for covariance matrix as well as mean vector in the feature space, and thereby yielding the error rate reduction of 48.93%. We also employ the weighted sum of correction vectors using posterior probabilities of all Gaussians, and the error rate reduction of 48.62% is achieved. With the combination of the above two methods, the error rate is reduced by 49.61% from the Aurora2 baseline system.

      • KCI등재

        영유아교사 자질에 대한 교사·학부모 인식과 대인관계능력 연구

        노명숙,송화진 사단법인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4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ercep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bout the quality and human relationdhip skill of infant education teachers. The subjects were 215 teachers and 240 parents of Early Childhood institutions(Nursery Center and Kindergarten). Research method was performed to analyze the cross-black difference (t-test), regression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영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선생님의 인식First, the teachers’ perceptions about quality of Early Childhood Teacher were not any differences in most variables. But in the professional knowledge and teaching skills of teacher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groups. In addition, at the recognition of the qualifications of teachers according to the majors, who majored Children and Social Welfare Studies awared of the importance of humanity than the Early Childhood Education majors. Second, at the awareness of parents about the quality of infant teacher, there were not any differences in most variables. But high scores in teaching attitudes were showed in girls than boys.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ing attitudes could be seen that parents are more sensitive to the attitude of the teachers attitude when children are girls than boys. The difference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bout teacher quality analysi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sonality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teachers have a higher score than parents.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are aware that it is important to humanity than the parents.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eachers in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skill. As a result of the post-test, 4 year college graduates teachers were higher than 2~3 year college graduates teachers. It is analyzed that the perception of personality and interpersonal skill was high because of one year long academic year and the number of related subjects. 본 연구는 교사와 학부모가 영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과 교사의 대인관계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영유아 교육기관(어린이집 및 유치원)에 근무하고 있는 215명의 선생님과 어린이집·유치원에 원아를 보내고 있는 240명의 학부모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교차분석과 차이검정(t-test),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선생님의 인식은 대부분의 변인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교사의 전문적지식과 교수기술에서 집단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또한 전공에 따른 교사의 자질에 대한 인식은 아동학 및 사회복지학 전공자가 유아교육학 전공자 보다 인성에 대해 더 중요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학부모의 일반적 특성에 따라 영유아교사의 자질에 대한 학부모의 인식은 대부분의 변인에서 차이가 없었지만, 태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남아보다 여아에서 더 높은 점수를 보였다. 이는 학부모들이 자녀가 남아일 때 보다 여아일 때 교사의 교직태도에 대해서 더 민감하게 여기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교사와 학부모의 인성, 지식, 기술, 태도의 차이 분석 결과 인성에서 교사와 학부모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가 학부모보다 점수가 더 높았다. 이는 학부모보다 교사들이 영유아교사들이 갖추어야 할 자질 중 인성 측면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음을 의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