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금융시장의 안전자산 현황 및 수요함수 추정

        손종칠,주동헌 보험연구원 2023 보험금융연구 Vol.34 No.1

        This study investigates the demand and supply of safe assets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with the flow of fund table and tries to estimate the government bond demand function.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increases in the government bond supply have reduced the credit risk premium since the 2000s. However, the credit risk premium in the Korean financial market has remarkably increased since the global financial crisis despite an increase in the government bond supply and a decrease in the bond market volatility, which are supposed to reduce the credit risk premium. It suggests that other factors - such as population aging and lowered productivity – seemed to shift safe asset demand. 본 연구는 자금순환표를 통해 금융시장에서 공공 및 민간부문의 안전자산 수급 현황을검토해 보고 안전자산 중 그 비중이 높아진 국채에 대해 신용등급 BBB- 회사채의신용위험 프리미엄을 종속변수로 하는 국채 수요함수의 추정을 시도하였다. 추정 결과2000년대 이후 국채 공급의 증가는 국내 금융시장에서 신용위험 프리미엄을 낮추는역할을 하였음을 확인하였다. 그럼에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우리나라 금융시장에서신용위험 프리미엄은 크게 확대되었는데 이는 공공부문 안전자산, 즉 국채 공급 증가와채권시장의 변동성 감소로 신용위험 프리미엄이 축소되어야 했음에도 불구하고 발생한현상으로서 고령화, 생산성 등 안전자산 수요를 증가시키는 다른 요인에 기인한 것으로보인다.

      • KCI등재

        대전충남지역 기업의 생산성,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분석

        손종칠,문용필 경남대학교 산업경영연구소 2016 지역산업연구 Vol.39 No.3

        This study delves into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much the productivity, growth and job creation can be affected by the characteristics of a firm such as size, age, and entry into an industry between Daejeon and Chungnam provinces (DCP) and other provinces excluding Seoul metropolitan area (OPES). To this end, a firm-level panel dataset from 2000 to 2014 is compiled where a firm has held or used to hold a status of external audit. The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DCP have a relatively higher share of manufacture centering around electronic components, computer, film and video, communication, and vehicle industries than OPES have. In the meantime, the traditional service industries in DCP such as wholesale and retail trade, accommodation and food service activities have a lower portion over total service industry while the service industries in DCP such as real estate activities and renting and leasing have a higher portion when compared to those in OPES. The further rigorous estim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 relatively higher degree of capital deepening (R&D ratio) in DCP does not enhance the productivity of the firms. This result contrasts to that using nation-wide dataset in which the R&D ratio has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productivity. Secondly, the results about how much the size and the age of a firm in DCP can have effects on its growth indicate that the younger firms with relatively small size in their initial step exhibit higher growth in later. Thirdly, a young firm in service industries in DCP has a better performance in job creation in later. Further analysis, however, indicates that the degree of firm growth and job creation of a young firm in DCP has been diminished when compared to that in OPES, implying the firm dynamics has declined in DCP. 본 연구는 외부감사대상 기업 기준으로 2000~2014년에 걸쳐 연도별·기업별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대전충남지역 기업의 생산성, 성장성 및 고용창출 효과 등이 기업의 규모, 업력 그리고 기업의 신규 진입 여부 등에 따라 여타 비수도권과 차별화되는 특징이 있는지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우선 현황분석 결과, 대전충남지역은 여타 비수도권에 비해 제조업 비중이 높았으며 그 중에서도 전자부품·컴퓨터·영상·통신·자동차·의료정밀 제조업의 비중이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업 기준으로는 도소매·숙박·음식점업 등 전통적인 서비스업의 비중은 다소 낮은 반면 부동산 및 임대 서비스업의 비중이 여타 비수도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전충남지역 기업의 경우 R&D 집중도가 전반적으로 여타 비수도권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다 엄밀한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여타 비수도권에비해 높은 R&D 집중도가 기업의 생산성 제고로 연결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경우 R&D 집중도가 생산성 제고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치는 추정결과와 대조되었다. 둘째, 업종별로 초기 시점의 기업의 규모나 업력 등이 해당 기업의 성장성 및 고용창출에 미치는 영향이 있는지에 대해 추정해보았다. 추정 결과, 대전충남지역은 신규 진입하는 기업의 성장성이 기존의 기업들과 비교하여 오히려 더 클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대전충남지역의 경우 외부감사대상에 신규로 진입하는 서비스업 기업을 중심으로 고용창출이 보다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전충남지역을 제외한 여타 비수도권 지역과 비교할 경우, 대체로 대전충남지역 젊은 기업의 성장성 및 고용창출 기여 효과가 낮은 것으로 나타나 기업의 역동성이 저하되어왔음을 시사하였다.

      • KCI등재

        부채비율 변동과 거시경제 및 노동소득분배율 추이 - OECD 28개국 비교·분석 -

        손종칠 고려대학교 노동문제연구소 2022 노동연구 Vol.45 No.-

        When Korea’s macro leverage is compared to major OECD countries, the government debt ratio was low, while the household debt ratio was relatively high. Meanwhile,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te (or household) and government debt ratio in the major OECD countries, showed complementary movements across the 2008-2011 global financial crisis and the Euro fiscal crisis. In the face of the crisis, the deleverage occurred due to debt repayment in the private sector, while government debt extended due to increased spending. This complementarity between private and government debts has been hardly found in Korea. The heightened debt ratios around OECD countries can restrict policy space and present several challenges in terms of macroeconomic consequences. First, the current government debt ratios of major OECD countries have already exceeded or are close to the threshold level that negatively affects the economic growth suggested in previous studies. However, it can be evaluated that the fiscal limit point at which fiscal policy is incapacitated has not yet been reached. However, not only the level of the government’s debt ratio but also a sharp rise can act as a financial instability factor as can be seen in the recent case of the UK's tax cut policy turmoil. Second, the increased private leverage, such as the continuous rise in the household debt ratio in Korea, is likely to serve as a potential factor elevating the possibility of a financial crisis. Thir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clear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current inflation and the changes in the private debt ratio for 5 or 10 years. Finally, unlike the downward trend reported in previous studies, the labor income shares in OECD countries showed a clear U-shaped pattern across the two crises from 2008 to 2011. In addition, the trends of labor income share and private leverage reversed before and after the crises, and a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variables was observed. As the relative importance of capital income based on fluctuations in asset prices such as stocks and real estate increased, leverage for high-yield investments increased, and the labor income share fell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trends have shifted in the opposite direction, such as a decrease in the household debt ratio and a rise in the labor income share as asset prices have fallen since the two crises. 우리나라의 매크로 레버리지는 OECD 주요국 비교할 때 정부부채비율은 낮은 반면, 가계 부채비율은 높은 수준을 기록하였다. 한편 OECD 주요국의 경우 2008∼2011년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로재정위기를 기점으로 민간(또는 가계)과 정부부채비율이 상호보완적 움직임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위기 발생과 수습 국면에서 민간부문에서는 채무변제에 따른 부채 축소가 일어난 반면, 정부부채는 지출확대 등으로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민간과 정부부채 간의 상호보완성이 우리나라에서는 잘 발견되지 않았다. 세계적으로 높아진 부채비율은 정책 공간을 제약하며 거시경제 측면에서 도전적인 과제를 제시하고 있다. 첫째, 현재 OECD 주요국의 정부부채비율은 기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경제성장률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임계치 수준을 이미 넘어섰거나 근접한 상태다. 다만 재정정책이 무력화되는 재정한계 지점까지는 아직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다만 최근 영국의 감세정책 혼란 사례에서 볼 수 있듯이, 정부부채비율의 수준뿐만 아니라 급격한 상승도 금융 불안정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둘째, 우리나라 가계부채비율의 지속적인 상승 등 높아진 민간 레버리지는 금융위기 도래 가능성을 높이는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 셋째, 민간 부채비율의 5년간 및 10년간 변동과 인플레이션 간에는 뚜렷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OECD 주요국을 중심으로 노동소득분배율은 기존 연구에서 보고한 하락 추세와 달리 2008∼2011년 글로벌 금융위기 및 유로재정위기를 기점으로 뚜렷한 U자형의 패턴을 보였다. 또한, 위기 전후를 기점으로 노동소득분배율과 민간 레버리지의 추세가 역전되며 두 변수 간 역의 상관관계가 관찰되었다. 이는 주식 및 부동산 등 자산가격의 변동에 기초한 자본소득의 상대적 중요성이 커지면서 고수익 투자를 위한 레버리지가 늘어나고 이 과정에서 가계 부채비율의 상승과 함께 노동소득분배율의 하락도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다만 두 차례 위기 이후 자산가격이 하락하면서 가계 부채비율의 축소와 노동소득분배율의 상승 등 반대 방향으로 추세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평가할 수 있다.

      • KCI등재

        인구구조 변화가 개방경제의 성장률에 미치는 영향: 인구고령화와 자본이동간의 관계를 중심으로

        손종칠 한국은행 2014 經濟分析 Vol.20 No.4

        Previous empirical literatures studying the effects of demographics change on economic growth are mostly conducted without the possibility of capital movements. However, the effects could be different in an open economy with international capital movements. Against this background, this paper investigates the effects of demographic shifts on economic growth by observing country-level panel dataset for 108 countries from 1965 to 2010. The estimation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high correlation between saving rate and investment rate proposed by Feldstein and Horioka (1980) has gradually diminished with time. This implies a steady increase in capital movements across borders. Furthermore, as the population aging progressed, both saving rates and investment rates fell while investment rates decrease less than the saving rates do. This suggests that if the shortages in investment were to be financed through external capital inflow, the negative impact of population ageing, as forecasted by models without capital movements, could be exaggerated. Finally, the rigorous estimation results involving panel-data techniques indicate that capital inflows in an open economy cancel out 9.5~21.9% of the total negative effect of the dependency ratio on economic growth, depending on estimation specifications. The cancelling-out effects are more pronounced with higher youth population ratio and when the types of capital inflow are FDI and debt rather than portfolio equity.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대다수의 기존논의의 경우 자본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에 기반하여 실증분석을 실시하고 예측을 수행하였다. 그러나 국가간 자본이동을 고려하는 경우 인구고령화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효과는 그렇지 않은 모형에 기반한 효과분석과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본고는 이런 점에 착안하여 1965~2010년의 기간에 대해 전세계 108개 국가의 패널자료를 구축하고 국가간 자본이동을 고려하여 인구구조 변화가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분석하였다. 우선 Feldstein and Horioka(1980)가 제기했던 저축률-투자율의 높은 상관관계는 시간이 흐름에 따라 점차 약화되는 것으로 나타나 최근의 활발한 국가간 자본이동을 시사해주었다. 또한 인구고령화가 진전될수록 저축률과 투자율 모두 하락할 수 있으나 투자율이 저축률보다 덜 하락하고 이때 부족한 투자재원이 국외의 자본유입으로 조달될 수 있다면, 기존의 자본이동을 고려하지 않은 모형에서 분석한 인구고령화 진전에 따른 경제성장률 하락효과는 다소 과대평가될 소지가 있음을 시사하였다. 실제로 국가패널 자료를 이용한 보다 엄밀한 실증분석 결과, 자본유입이 가능한 경우, 피부양인구비율의 경제성장률 하락효과(100%)중 9.5~21.9% 정도를 상쇄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러한 상쇄효과는 유입되는 자금이 주식투자자금 보다는 해외직접투자 또는 차입자금인 경우 그리고 피부양인구중 유소년인구 비중이 높을수록 보다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중고령자 은퇴 및 은퇴 만족도 결정요인 분석

        손종칠(Jong Chil Son) 한국노동연구원 2010 노동정책연구 Vol.10 No.2

        본고는 은퇴자의 특성을 심도 있게 반영하고 있는 「고령화연구패널」 1차년도 자료를 이용해 은퇴자의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은퇴 결정 및 은퇴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이변량 로짓(logit) 모형을 통한 실증분석을 시도했다. 기존 문헌이 연령이나 대용변수를 이용해 은퇴자를 간접적으로 설정한 후 ‘취업ㆍ미취업’ 분석에 집중한 반면 본고는 설문조사상의 주관적인 ‘은퇴’ 행위에 초점을 맞추어 ‘계속노동-은퇴’에 대한 분석에 주안점을 두었다. 패널자료 분석 결과, 우리나라 45세 이상 중고령자는 대체로 축적된 순자산 규모가 저조한 가운데 노후소득도 가족ㆍ친지들의 용돈 등 이전소득에 의존하는 비중이 커 노후 대비가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증분석 결과 은퇴 결정에는 정년퇴직 등 비자발적 퇴직 관행으로 인해 ‘연령’이 주요한 변수로 작용했으며 자녀의 교육비, 건강 상태, 은퇴 후 연금 및 부동산 등 보유자산도 유의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은퇴에 대한 만족도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비자발적 은퇴, 좋지 않은 건강 상태, 작은 규모의 부동산 보유 등은 은퇴 만족도를 낮춘 반면, 은퇴 당시의 일자리 형태는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This study explores the determinants of retirement and retirement satisfaction through binary logit model as well as the characteristics of retirees using KLoSA(2005), which reflects various and deep information about retirees. In this paper I focus on the "work vs. retire" analysis through clearer category for the retirees who are selected by their own personal judgement based on the appropriate survey questions while previous literatures choose the retirees based on somewhat arbitrary age or proxy variables and then try to analyzes "work vs. not-work". The cross-sectional data indicate that the older who are older than 45 year old are poorly preparing the coming retire time because they have small amount of accumulated assets as well as are mainly depending on transferring income from family or relatives. The estimation results illustrate that the age, education costs for children, health status, and non-labor income or assets after retirement affect the decision of retirements. Especially the age has an significant effect on it partly due to non-voluntary regular retirement practice in Korea. Also the estimation results show that non-voluntary retirement, unhealthy status, and smaller amount of real estates diminish the satisfaction of retirement while the job status such as regular or irregular when they retire does not have significant effect on it.

      • KCI등재
      • KCI등재

        인구고령화의 경제적 영향 및 정책과제

        손종칠(Jong Chil Son),이동렬(Dongyeol Lee),정선영(Sunyoung Jung) 한국경제연구학회 2016 한국경제연구 Vol.34 No.2

        우리나라는 고령화가 가속화되면서 생산가능인구가 2016년 정점에 이른 후 그 수가 급격히 하락하는 인구절벽에 직면해 있다. 반면 고령인구의 비중은 빠른 속도로 높아지면서 부양비의 상승속도는 가속화되고 있어 급속한 인구고령화가 경제ㆍ사회 전반에 미칠 수 있는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할 필요성이 우리 사회에서 점점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급속한 인구고령화의 원인 및 추이를 짚어보고 이러한 고령화 현상이 노동시장 및 경제성장률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그 결과를 바탕으로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우리나라의 급속한 인구 고령화는 2000년대를 기점으로 총인구의 14%를 차지하는 거대한 인구집단인 베이비붐 세대가 핵심생산인구에서 비생산가능인구로 점차 이동하면서 기인한 측면이 크다. 급속한 고령화가 노동시장 및 경제성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시나리오 분석을 수행해 본 결과, 고령화에 따른 주 고용층 비중 하락 등으로 고용률 및 노동생산성 증가율이 둔화됨에 따라 향후 연평균 GDP 성장률은 2% 초반대로 하락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에 따라 향후 고용률 및 노동생산성 제고를 동시에 성취할 경우에만 향후 3%대 이상의 GDP 성장률을 유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실증분석 결과는, 급속한 인구고령화에 대응하여 향후 3~4%대의 견조한 경제성장률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노동시장 퇴장이 임박한 베이비붐 세대 뿐만 아니라, 청년층ㆍ여성 등 유휴노동력의 고용률 및 노동생산성 제고 노력이 함께 이루어질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Population aging has had an enormous effort on the economy across years or even generations. In this paper, we attempt to investigate the a causes and current status of population aging in Korea and also analyze its effects on the labor market and economic growth. Lowest-low fertility rates and rising longevity (or life expectancy) are causing a gradual decline in population growth and a shift in the age structure of population toward a greater share of the elderly. Also, especially for Korea, the speed of aging is becoming faster than any other country as the babyboom generation entered the elderly group. Korea is expected to enter an aged society, where the proportion is more than 14%, in three years, and a post-aged society with elderly people accounting for more than 20% in its population by 2026. In contrast, it is estimated that the share of the Korean population aged 15 to 64, that is, the working-age population, begins to decrease in 2016. As the results of scenario analyses on macroeconomic effects of an aging population for Korea, the economic effects of an ageing population are expected to be considerable. Potential growth could be eroded unless there are large and sustained productivity gains. Population aging is estimated to reduce the country`s GDP growth rate to 2% in the long run as it leads to declines in both the employment rate and the productivity growth. Only under alternative assumptions of increased both labor productivity and employment rate, the estimated impact of population aging on growth would be smaller than expected and keep the GDP growth rate higher than 3%. These empirical results show that we need to raise awareness about population aging. Also we need to actively develop comprehensive and consistent labor policy solutions to population aging, not only aimed at the babyboom generation but also female labor force and youth generation, in order to respond to the emerging needs of labor caused by the labor force shortage and the sluggish labor productivity.

      • KCI등재

        가구패널을 이용한 과다부채와 소비의 상관관계 분석

        손종칠 ( Jong Chil Son ),최영주 ( Young Joo Choi ) 연세대학교 경제연구소 2015 延世經濟硏究 Vol.22 No.1

        본고는 노동패널자료를 이용하여 가계의 채무부담이 소비를 위축시키는지여부를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금융위기 이전 자산대비 부채보유 비율이 높았던 가구에서 금융위기 충격에 따른 소비위축 효과가 더 크게 나타났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소득대비 높은 부채를 갖고 있는 가구와 금융위기 이전 주로 주택구입을 위해 차입규모를 증가시켰을 것으로 보이는 중·상위소득계층에서 더욱 강했다. 아울러 이러한 소비위축 효과는 2년 정도 지속성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고의 분석 결과는 최근 부동산 시장회복 조짐과 함께 가계부채 증가세 확대가 우려되는 상황에서 자산 및 소득대비 가계부채가 과다해지지 않도록 관리하는 정책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We investigate whether excessive household debt hampers consumption using Korean household panel data (KLIPS). Estimation results indicate that first, negative effects of the 2008 crisis shock on consumptions are more significant and greater in the households with higher LTV (loan to value) ratios before the 2008 crisis. Secondly, this negative effects on consumption last two years. And finally, the negative effects on consumption are more significant and larger in households with higher DTI (debt to income) ratios and in middle and higher income households who expanded the financial borrowings for housing purchases. Given that the household debt overhang has been regarded as a potential risk triggering another crisis in Korea, our results suggest that macro-prudential policy customized for managing household debt ratios with respect to their incomes or real assets be needed to enhance macroeconomic stability.

      • KCI등재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 분석

        최영준,손종칠 한국금융학회 2018 금융연구 Vol.32 No.1

        This paper analyzes the impact of foreign capital inflow on inflation, centering on the exchange rate effect and total demand effect: foreign capital has continuously flowed in the Korean market since 2000 due to capital liberalization. The effect of exchange rates refers to the phenomenon where the inflow of foreign capital leads to lower import prices due to the won’s appreciation, consequently causing the downward pressure on inflation. Meanwhile, the effect of total demand leads to the upward pressure on inflation since foreign capital inflow encourages private consumption and investment via the asset channel (stock investment by foreigners), interest rate channel (bond investment by foreigners) and loan channel (bank borrowings). This paper, in a bid to examine the impact of foreign capital inflow on inflation, reviews the trend and current status of foreign capital inflow with the quarterly data from 2000 to 2016, and then thoroughly analyzes the data using a Bayesian VAR model. The result of this paper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estimate the impulse response function by the type of foreign capital inflow using the Bayesian VAR model over the whole period. The estimation result shows that import price drop and the consequent decrease in inflation are generally observed in initial stage due to a fall in nominal exchange rates (the won’s appreciation) induced by foreign capital inflow; but, in the later periods, the upward pressure on inflation is generated under the complex combination of import price rise by the won’s depreciation and international commodity price fluctuations, and the effect of total demand. In addition, we apply the same impulse response function to the prior-to and the post financial crisis period, respectively. According to the result, structural changes seem to be occurred in the spreading path of foreign capital inflow to inflation. That is, before the crisis, the effect of exchange rates is generally distinct; and the downward pressure on inflation to the capital inflow shock is relatively stronger. Afterward, however, the effect of exchange rates through the won’s appreciation is weaker when compared to the prior-to crisis; and accordingly, the downward pressure on inflation is seen to be somewhat diluted. 본고는 2000년대 이후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에 대해 서로대립되는 환율 효과 및 총수요 효과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환율 효과는 외자유입 시 원화의평가절상에 따른 수입물가 하락을 통해 인플레이션 하락 압력으로 작용하는 것을 의미하며, 총수요 효과는 외국인 주식투자를 통한 자산경로, 외국인 채권투자를 통한 금리경로 및 은행차입에 의한 대출경로 등을 통해 민간의 소비와 투자가 늘어나고 이를 통해 인플레이션 상승압력이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본고는 2000~2016년 분기 자료에 대해 베이지언 VAR을 이용한충격반응함수 분석을 통해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영향을 살펴보았다. 베이지언 VAR 모형을 통해 전 기간을 대상으로 외자유입별 충격반응함수를 추정해 본 결과, 대체로 초기에는 외자유입에 따른 명목환율 하락(원화 평가절상)의 영향으로 수입물가 하락 및이에 따른 인플레이션 하락 압력이 나타나지만, 이후의 기간에는 원화의 평가절하 및 국제상품가격의 변동을 통한 수입물가 상승 그리고 총수요 효과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면서 인플레이션에대한 상승 압력이 나타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분석대상기간을 글로벌 금융위기전후로 나누어 동일한 충격반응함수를 살펴본 결과, 외자유입의 인플레이션에 대한 파급경로에일정한 변화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즉, 위기 이전의 경우 대체로 환율 효과가 보다 뚜렷하게나타나면서 단기에 외자유입 충격에 대한 인플레이션 하락 압력이 보다 유의하게 나타난 반면, 위기 이후에는 환율 및 총수요 효과가 모두 제약되면서 외자유입 충격의 인플레이션에 대한파급경로가 약화된 것으로 나타났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