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보행 가능 높이에 따른 재실자의 보행속력에 관한 연구

        손종영(Jong-Yeong Son),배영훈(Young-Hoon Bae),전규엽(Gyu-Yeob Jeon),홍원화(Won-Hwa Hong),신영민(Young-Min Shin) 한국화재소방학회 2020 한국화재소방학회논문지 Vol.34 No.2

        건물화재 시 발생한 연기는 천장에서부터 내려오는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화재상황에 따라 연기가 존재하는 공간을 지나는 사람들의 보행 가능 높이는 낮아지게 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보행 가능 높이에 따라사람들의 보행속력을 분석하기 위해 보행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은 남녀 총 23명의 참가자가 참여하였다. 실험에대한 분석결과, 전체적으로 보행 가능 높이가 낮아질수록 실험참가자들의 평균 보행속도는 낮아졌다. 하지만 보행가능 높이가 1.2 m일 때의 보행속도만이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냈다. 또한, 실험참가자들의BMI 지수 등급(저체중, 정상, 과체중, 비만)에 따라 분석한 결과 각 BMI 지수 등급 사이에는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못했다. 하지만 정상 등급은 경우 보행 가능 높이가 1.2 m에서의 보행속도가 정상 등급의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저하되었고, 과체중 등급의 경우 1.8 m, 1.7 m에서의 보행속도가 과체중 등급의 자유보행속도와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During fire outbreaks, smoke accumulates from the ceiling and reduces the available walking height of people passingthrough. In this study, a walking experimen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walking speed ofpeople and available walking height. Twenty-three participants were enrolled. Based on the results, the lower the availablewalking height, the lower the average walking speed of the participants. However,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ed onlyin the walking speed when the available walking height was 1.2 m compared to the free walking speed. In addition, there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articipants in terms of their BMI index grade. However, in the case of participantswith normal BMI, the walking speed at a 1.2 m available walking h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when walking freely. Further, in the case of overweight participants, the walking speed at 1.8 m and 1.7 m available walking height wassignificantly increased compared to that when walking freely.

      • 우리나라 지적측량 정확도의 현황과 특성

        윤하수,최윤수,손종영,김재명,Yoon, Ha-Su,Choi, Yun-Soo,Son, Jong-Young,Kim, Jae-Myeong 한국공간정보학회 2011 한국공간정보학회지 Vol.19 No.5

        The current cadastral surveying is used digital cadastral map. This map is no local confirmation. Besides, Base cadastral map drawn up 100 years ago. And Graphical cadastral characteristic is difficult to ground boundary points restoration. Due to the lack of ground boundary points can cause land dispute and Cadastral Non-Coincidence. In this Study, Understand the concept of accuracy and error, Analyzing the current regulations. Also Comparative analysis of current cadastral regulations and other surveying regulations to suggest improvements to the cadastral surveying. The results indicated a clear definition of accuracy and error and The installation of permanent ground boundary points are needed. Uniform and consistent reference point system is needed. In addition, the accuracy provided by the landowner should understand. Cadastral Surveying Regulations require specific and detailed procedures. 현재의 지적측량은 100년 전에 작성된 지적도를 현지 확인을 거치지 않고 전산화한 것을 사용하고 있으며, 도해지적이라는 특성으로 인하여 경계복원이 어렵다는 한계를 내포하고 있다. 이와 같은 특성과 지상경계표지의 부재로 인하여 토지소유자간 분쟁, 지적불부합지 발생 등의 많은 문제를 발생시키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정확한 지적측량을 위하여 정확도와 오차에 대한 개념을 이해하고 현재의 지적측량 시행규칙에 규정된 정확도 문제에 대해 분석하였다. 또한 현재의 지적측량 규정을 다른 측량 규정과 비교 분석하여 지적측량 정확도 향상을 위한 개선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로 지적측량의 정확도와 오차에 관한 명확한 정의와 영구적인 지상경계점의 설치가 필요하며, 통일되고 일관적인 기준점 사용체계가 정립되어야 한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토지소유자 중심의 정확도가 제공되어야 하며 지적 측량 작업규정의 절차에 대한 구체적이고 세부적인 절차가 필요할 것으로 판단되었다.

      • KCI등재

        GIS를 이용한 토지정보관리체계 구축에 관한 연구

        김석종(Kim Seok Jong),장준복(Jang Jun Bok),손종영(Son Jong Young),조병현(Cho Byung Hyun),이승호(Lee Sung Ho) 한국지적학회 2004 한국지적학회지 Vol.20 No.2

        현재, 전 국토의 도시화 현상 및 지방자치시대가 본격화 되면서 주민들은 토지권리에 대한 재한사항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게 되었고, 이로 인해 민원ㆍ행정업무의 주민 요구사항이 복잡하고 다양한 형태로 전개됨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통합 토지이용관리 시스템이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본 논문은 토지 이용에 관련된 민원업무 및 행정업무를 통합전산화 함으로써 토지 이용에 관련된 전반적인 사항을 분석, 수정하고, 이에 관련된 각종 문서를 발급하기 위한 토지이용관리 시스템을 개발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시스템은 데이터베이스 서버, 데이터 입력 PC, 대장 발급 PC와 DBMS 서버로 총 4개의 컴포넌트로 구성되어 있다. 데이터베이스 서버는 운영체제를 Windows 2000 server를 사용하였고, DBMS(Database Management System)으로는 SQL Server를 사용하였다. 데이터 입력 PC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 자료를 전송하기 전에 대장 발급 PC에 호완이 가능하도록 데이터를 수정, 편집, 그리고 변환하는 PC를 말하며, 대장 발급 PC는 데이터베이스 서버에서 자료를 받아 토지 이용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발급하는 기능을 가진 PC를 말한다. 데이터베이스 서버의 데이터 입력 PC는 상용 프로그램을 가지고 구축하였으며, 대장 발급 PC의 애플리케이션인 토지 이용 관리 시스템은 GDK를 기반으로 개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개발된 토지 이용 관리 시스템으로 토지 이용 관리 업무를 효율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고, 여러 기관에서 발급된 주제도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관리자 및 민원인의 불편을 최소화 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Currently, the urbanization of the entire national land and the establishment of local/regional self-governing systems have been being regularized in full scale. Accordingly, land and/or property owners throughout the nation have become keenly interested in the overall issues surrounding their rights as land and/or property owners. As their demands for their rights and the areas of issues involved become more complex and varied, the government offices handling these issues have been trying to standarize and regulate civil and administrative policies in place, Which can cover all the variety of these demands and needs involving land and property ownership. Also, due to the rapid urbanization, we observe an ever increasing needs for mapping of land use for multiple purpos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and use management system. The system developed for this system consists of four components a server operation system, a database management system servel, a data inputting personal computer, and an official document offering computer. The Windows 2000 server was used for the data base server operation system and SQL server was used for the database management system. The data inputting personal computer cleans, edits and transforms the data prior to transmitting it to the official document offering computer in order to facilitate the communication of the data between the two computers. The official document effering computer is a PC which applies the land use management system to the data it receives from the database server and generates official documents. The database server and the data inputting personal computer were built using the commercially available pregrams and the application software at the official document offering computer, "land use management system", was developed on the bassis of GDK. The result of this study proves that the land use management system developed for this study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managing issues involving land use. It also indicates that we can alleviate the complaints raised by the administrative staff and by the public discontentors if we manage land use by integrating the thematic maps issued by the various administative branches.

      • SCOPUSKCI등재
      • KCI등재

        지상경계제도

        임형택(Lim Hyung Taek),김진(Kim Jin),손종영(Son Jong Young),양근우(Yang Geun Ou) 한국재산법학회 2014 재산법연구 Vol.31 No.2

        우리 법제는 지적도나 임야도 등의 도면에 표시된 도상경계를 원칙으로 1필지의 토지의 경계를 정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국토교통부는 지상에 직접 경계를 표시하는 지상경계(경계표시)제도를 전면적으로 도입ㆍ시행할 예정에 있다. 이미 지적재조사지구에서는 이러한 지상경계(경계표지)를 설치하고 이를 기초로 경계점표지등록부를 작성 중에 있지만, 그 전면적 시행에 앞서 외국 입법례를 참조하여 관련 법제도를 정비하고 있는 중이다.본 논문은 이러한 국토교통부의 관련 법제 정비작업의 일환인 "2013년 지적재조사 연구" 중 제2과제인 "경계점표지등록부 작성방법 및 지상경계점 관리 방안 연구"의 법제도 관련 부분을 기반으로 이를 심화 연구한 것이다. 현재 우리 법제에서 지상경계에 관한 기본규정은 「민법」 제237조라고 할 수 있다. 즉, 「민법」제237조 제1항은 경계표지의 설치근거와 그 비용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동조 제2항은 경계표지의 비용 및 이를 위한 측량비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명시하고 있다.그러나 학설이나 판례는 민법 제237조를 주로 인접한 토지의 사용관계를 구분하기 위한 시설물에 초점을 맞추어 해석하고 있을 뿐, 이를 지상경계제도의 근거로 활용하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이 외에 「측량, 수로조사 및 지적에 관한 법률」이나 「지적재조사에 관한 특별법」은 지상경계의 설치 및 지상경계점등록부의 운영 등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다. 그러나 그 규정내용이 경계표지의 규격이나 재질 및 경계점표지등록부의 기재사항 등에 한정될 뿐, 지상경계제도의 목적, 지상경계와 도상경계의 관계, 지상경계의 효력 등 지상경계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기본적 사항에 관해서는 거의 규정하고 있지 않다. 종래 지상경계제도의 도입을 주장하였던 학설 역시 도상경계제도의 문제점을 지적하면서 그 대안으로서 지상경계제도를 도입할 것을 주장할 뿐 지상경계제도의 구체적 내용에 대해서 밝히고 있지는 않다. 이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외국의 입법례를 참조하여 지상경계제도를 운영하기 위한 기본 사항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에 따르면 지상경계제도는 도상경계제도와 대립되는 관계가 아니라 도상경계제도를 보완하기 위한 제도이다. 즉, 도상경계는 도면상의 경계로서 이해관계인이 지상에서 가시적으로 경계를 확인할 수 없기 때문에 지상경계를 통해 이를 가시화하기 위한 경계이다. 이러한 지상경계가 안정적으로 운영된다면 이해당사자의 법적 분쟁이 완화되고 지상경계를 기준으로 거래가 활성화되는 사실상의 효과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상경계의 법률 효과로는 지상경계가 올바른 경계로 추정되는 추정적 효력이 발생한다. 다만 지상경계가 종국적인 경계로 인정되는 확정적 효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지상경계와 도상경계의 추정력이 충돌하는 경우에는 도상경계의 추정력을 우선하는 것이 외국입법의 일반적 모습이다. 이와 같이 지상경계와 도상경계를 함께 운영하는 국가에서는 도상경계를 원칙으로 한 후 지상경계를 보조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따라서 도상경계의 대체수단으로 지상경계를 도입할 것을 주장하는 견해에 대해서는 신중히 재검토해야 할 부분이 있다. 한편 우리 법령에 의하면 지상경계는 경계점표지등록부에 등록되어야 한다. 통상적으로 외국에서는 지상경계를 지적공부나 등기부(지적공부와 등기부가 일원화된 국가)에 직접 등록한다는 점에 비추어 별도의 경계점표지등록부를 작성하는 것은 이례에 속한다. 생각건대 장기적으로는 경계점표지등록부를 종래의 지적공부에 흡수ㆍ통합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다만 현재 우리나라의 지적도에는 경계점표지의 위치가 표시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를 표시하기 위해서는 적지 않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 최근 지적재조사사업이 시행되면서 종래의 도상경계를 대신하여 현실경계에 따른 경계가 늘어나고 있다는 점, 당분간은 경계점표지등록부가 작성된 지역과 작성되지 않은 지역이 병존할 수밖에 없다는 점 등을 고려할 때, 단기적으로는 종래의 지적공부 외에 경계점표지등록부를 별도로 운영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Das Grundstück in Süd-Korea hat bisher die Grenze nach dem Liegenschaftskataster gezogen. Das Ministerium für Landes und Verkehr in Süd-Korea fasst jedoch in der letzten Zeit einen neuen Plan, alles umfassend das Abmarkungssystem in Süd-korea einzuführen. In der Arbeitszone zu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sters ist bereits teilweise das Grenzzeichen angebracht worden und das Grenzpunktsregister eingetragen worden. Das Ministerium bringt dafür das bezogene Rechtsszstem in Ordnung. Dieser Aufsatz basiert grundsätzlich auf den im Jahre 2013 fü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sters abgefassten Bericht in das Ministerium. § 237 Ⅰ KBGB bestimmt, dass der Eigentümer eines Grundstücks, das mit Nachbargrundstück aneinander stoßt, kann auf Mitkosten die gewöhnliche Mauer oder das Grenzzeichen errichten. Es trägt eigentlich dem Grenzsystem im Feld Rechnung. Es dürfte aber heute allgemeine Meinung sein, dass die Regelung des § 237 Ⅰ KBGB für die Benutzungsbeziehung der benachbarten Grundstücken eine große Rolle spielt. Das Gesetz über die Vermessung, Wasserwegsermittlung und Liegenschaftskatarster(KVWLG) und das Sondergesetz zur Wiederermittlung des Liegenschaftskatarsters(KWLSG) bestimmen auch die einigen Abmarkungsvorschriften. Sie regelen jedoch nur den Standard und die Materialqualität des Grenzzeichenes, und daneben die Eintragungsmethode des Grenzpunktsregisters. Für die Ausführung des Abmarkungssystems ist zunächst die ausgehende Untersuchung unentbehrlich, für welches Ziel es einleiten soll. Es ist daneben näher zu prüfen, welche Beziehung es zwischen der Grenze nach dem Liegenschaftskatarsters und der Grenze im Feld gibt, und welche Wirkung die Grenze im Feld eintreten soll. Für die Lösung der vorgelegten Fragen ist es zunächst unentbehrlich, genauer auf die Regelungen über das Abmarkungssystem einzugehen. Von dieser Betrachtung ausgehend werden die rechtlichen Schwerpunkte über das Abmarkungssystem untersucht. Abschließend werden die gefundenen Ergebnisse zusammengefasst.

      • 대구지역 상가건물형 전통시장의 시장크기별 재실자밀도에 관한 연구

        장혜민(Hye Min Jang),배영훈(Young-Hoon Bae),손종영(Jong Yeong Son),홍원화(Won-Hwa Hong),황정하(Jung Ha Hwang) 대한설비공학회 2018 대한설비공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18 No.6

        본 연구는 전통시장의 상가건물형 전통시장의 시장크기에 따른 수용인원 및 재실자 밀도를 조사하여 향후 성능위주설계의 기초자료를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의 전통시장의 시장크기에 따라 분류를 실시하였으며, 소상공인시장 진흥공단에서 제공하는 상권분석 시스템과 대구광역시 유동업체 등록현황분석을 통해 각 시장별 재실자 수와 면적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유동인구와 면적데이터를 기반으로 전통시장의 크기에 따른 재실자 밀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 대형시장은 1.47인/㎡, 중대형시장은 2.59인/㎡, 중형시장은 0.94인/㎡ 그리고 소형시장은 1.13인/㎡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성능위주설계 방법 및 기준 별표 1』에 따라 제시하고 있는 재실자 밀도와 큰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 KCI등재

        지적재조사측량을 통한 건축물정보 구축방법 및 활용에 관한 기초연구

        최윤수(Choi, Yun Soo),김재명(Kim, Jae Myeong),손종영(Son, Jong Young),민관식(Min, Kwan Sik) 한국지적학회 2017 한국지적학회지 Vol.33 No.1

        지적재조사를 통해 취득되고 있는 다양한 정보 중 건축물정보는 건축물의 등록 및 관리, 도로명주소 정보 구축 외에도 재해재난 대응과 같이 도시지역의 안전관리 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정보이다. 그러나 건축물정보는 불규칙하고 빠르게 변경함에 따라 정확한 정보를 신속하게 구축하는 데 많은 한계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적재조사를 통해 취득되는 건축물정보를 활용하는 것이 좋은 대안이라 할 수 있으나, 지적재조사특별법 등 관련법에는 지적재조사 시 건축물정보 구축 및 등록 활용등을 위한규정이 미흡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국내 건축물과 지적재조사관련 법제도, 업무 분석을 통해 지적재조사에서 조사되어야할 건축물의 대상을 정의하고 관련 법제도 개선과 각 업무별 적용되는 건축물에 대해 일관적인 측량기준을 제시하고 등록방법을 개발하였다. 또한 현행 지적재 조사특별법에서 혼용되고 있는 건축물관련 용어를 재조정하고 법적 적용범위에 대한 법제도 개선 및신설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축된 정보의 연계 및 활용을 위해 중장기적으로 데이터표준화, 시스템 연계 등을 통해 두 분야의 정보와 업무 연계를 위한 추진방안을 제안하였다. Diversified building information being acquired through cadastral re-survey is very important information for safety management of urban area such as disaster management in addition to registration, management of building, construct of road name address information. However, as building information is irregular and changed rapidly, there is considerable limitation in constructing accurate information promptly.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utiliz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being acquired through cadastral re-survey would be a good alternative but actually, a method of building information construct, registration and utilization at the time of cadastral re-survey is not sufficiently specified in relevant law like special law of cadastral re-survey.Under this background, in this study, building target to be surveyed in cadastral re-survey through legal system relevant to domestic building and cadastral re-survey, business analysis was defined and relevant legal system improvement, consistent survey criteria for the buildings being applied by each business was suggested and its registration method was developed. In addition, building related terms being used in special law of current cadastral re-survey in a mixed form was readjusted and legal system improvement for legal application range and newly established plan were suggested. Finally, in order to ensure linkage and utilization of constructed information, a promotion method for information, business linkage of two fields through data standardization and system linkage on medium/long-term basis was suggest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