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일반논문 : 다문화가정 결혼이주여성의 학습경험에 따른 정체성 구성에 관한 연구 -다문화교육 교사양성 프로그램 참여자를 중심으로

        손민호 ( Minho Shon ),조현영 ( Hyunyoung Cho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3 교육문화연구 Vol.19 No.3

        최근 한국사회가 다문화사회로 급격히 변화하고 있는 상황에서 결혼이주여성 지원프로그램 참여자를 대상으로 그들이 참여 경험을 통해 정체성을 어떻게 구성해 나가는지 탐구하고자 하였다. 참여자들은 7개월간 900시간에 이르는 집중이수과정을 거치면서 상호작용을 통해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자들의 공식적인 학습 경험 이외에 잠재적인 학습 경험이 정체성 구성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내러티브 방식을 사용하였는데, 이것은 면담과정에서 자신의 경험을 하나의 의미있는 이야기로 구성해나가는 방식을 분석하여 참여자들이 정체성을 어떻게 형성해나가는지를 설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참여자들은 참여의 기회를 통하여 자신의 과거와 현재와 미래에 대하여 성찰하게 되었다. 또한 자신을 둘러싼 의미있는 타자들과의 관계 속에서 ``한국인으로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역량을 자연스럽게 습득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참여자들은 프로그램 참여 과정에서 마주하는 다양한 경험 속에서 끊임없이 ``한국아줌마``의 전형에 자신을 견주어보면서 심리적 멤버십을 획득하고 서로 유사한 사고와 행위방식을 갖게 되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다문화 가정 구성원들에게 제공하는 프로그램의 잠재적 학습 경험의 중요성에 주목하는 인식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하였다. Multicultural society has recently struck the Korean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support program participants of immigrant wives make up their identity throughout their experiences. The participants developed interactive relationship during intensive curriculum for 900 hours in seven months. This study intended to analyze the effect of the participants` latent learning experiments besides their official learning experiments on constructing identity. The method of study is narrative research. We analyzed the way a participant construct personal experiment into a meaningful story during interview, to explain how the participant`s identity was constructed. The result showed that the participants reflected on theirselves of the past, present, and future throughout their participating experiments. They naturally acquired the necessary competency of living "a Korean" from relationship between significant others. Various experiments during the participating program had endlessly made them compare themselves with a model of "Korean lady", and acquire mental membership and methods of similar practical actions. Finally,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the importance of the program`s latent learning experiments on multicultural family members should be noteworthy. culture in daily life. The child of the family has been grown up as a monolingual speaker whose Korean was not fluent like his mother`s. The language development of the child was delayed until he came into the educational institutions including preschool and elementary school where he gained abundant opportunities to interact verbally with other Korean students and foster his language skills. The spouse of the immigrant woman had no interest on home language of her and never try to support her who consistently attempted to teach her first language to their child. Finally, there is an institutionalized-educational condition which limits lives of the case-family members. There had not been hardly any institutionalized-educational interest on the family until the kid of the family entered the elementary school. However, while there were provided after-school activity or multicultural program for the child and the other family members from the school, those programs were not fitful for the kid and the family either in various ways. The immigrant woman had much trouble in discipling, educating, and guiding her kid in Korean, which, consequently, she mainly depended on the other sources or private education system for supporting him academically. Based on the above, this paper not only dealt with the relations between contextual conditions of the case-family and lives of those family, but also drew some implications about the socio-ecomomic, lingua-cultural, institutionalized -educational conditions of marternal intertional-marriage family.

      • KCI등재

        행위내 반성적 사고, 바깥의 사유 그리고 질적 기술의 가능성

        손민호 ( Minho Shon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철학학회 2015 교육철학연구 Vol.37 No.2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관한 설명을 보다 일원론적으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를 생활세계의 화용론적인 성격 그리고 경험의 직접성에 비추어 이해할 필요가 있다. 초월적인 의미로서의 반성적 사고의 발생과 같은 이원론적인 오해는 듀이의 개념들을 충분히 생활세계 내에서의 직접적인 경험의 현상으로 다루지 않음으로 인해 초래된 결과라고 볼 수 있다. 본고에서는 행위내 반성적 사고(reflection-in-action)가 어떻게 ‘시간의 흐름 속에서 상황에 따른 질성(quality)을 취하게 되는 실제적이면서 관찰가능한 행위’로 전개되는지 몇몇 일상의 탐구 상황에 대한 질적인 기술을 통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듀이의 반성적 사고에 대한 이러한 재해석은 철학적인 논증이 어떻게 질적인 경험 연구의 가능성으로 이어질 수 있는지 보여줄 것이다. This study seeks to re-specify reflection as a procedure of practical actions which Dewey termed as reflection-in-action. This study finds a way to describe problem solving-in-action in situ, instead of relying on dualistic mode of explanation of our actions and situation. The shop floor is described as being into view, in which inference and action works as situated properties. This study expects to demonstrate a description of events which succeeds in Dewey``s unfulfilled project of understanding a quality in situation. Dewey argues that thinking is what occurs most expecially in situations where regular channels of action no longer suffice, where conflicts or ruptures in practice cause perplexity. A man is intelligent not in virtue of having reason which grasps first and indemonstable truths about fixed principles but in virtue of his capacity to estimate the possibilities of a situation and to act in accordance with his estimate. However, Dewey``s project has never been succeeded in its own right. This kind of reflection is a matter of formulating what one is doing, reflecting and using meta-language. And it is associated with skeptical concerns about referential correspondence between statements and what they describe. It also reflect back on an abstract individual and cognitive source. This study, in order to avoid a cognitive and transcendental reduction, begins with a problematic of the pragmatic aspect in the everyday life world. The life-world is not only perceived and experienced in subjective consciousness, it is also constituted by pragmatic social actions. This study shows a way to describe how Deweyan transactional exploration of reflection-in-action is brought into view in and as actual occasions in everyday world. It promises to open a possibility to lead one to qualitative inquiry of situated actions and learning.

      • KCI등재

        탈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으로서의 아이덴티티 메타포: 역량기반교육과정의 대안적 설계

        손민호 ( Minho Shon ),조현영 ( Hyunyoung Cho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6 교육과정연구 Vol.34 No.2

        본고에서는 총체성으로서의 역량을 교육과정에 반영하고자 할 때 아이덴티티의 의미가 어떻게 대안적 교육과정 설계의 논리와 모형을 제시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현행 역량기반교육과정에 관한 설계는 대체로 역량을 기능별로 구분한 채 가법적인 교육과정 목표모형을 따르고 있다. 이는 신자유주의 관점과 맞닿아 있으며 결과적으로 역량을 함양하고자 하는 교육의 취지를 무력화시킬 가능성을 안고 있다. 본고에서는 이에 대비하여 공동체주의의 따뜻한 역량에 관하여 정리하고 여기서 말하는 역량의 총체성이 어떻게 아이덴티티의 문제로 접근될 수 있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달라진 세계의 여건 하에서 아이덴티티는 교육과정 이해의 대상에 그치지 않고 학교 교육과정에 적극적으로 구현될 가능성이 더욱 높아졌기 때문이다. 아이덴티티로 재개념화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은 교육과정의 설계에 있어서 기능주의 교육과정 모형과 어떻게 다른 접근을 요구하는지 제시해 보았다. 아이덴티티의 논리와 모형에 관한 추후 연구는 교육과정 연구에서 이해의 패러다임과 개발의 패러다임간의 간극을 좁힐 수 있는 해법 또한 제공해 줄 것으로 기대한다. Revisiting competence in favor of communitarianism, this study criticizes functionalism in the model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In developing the competence curriculum model, functionalism has been postulated along with liberal thought, which presents a partial model for vocational education. Respecting the totalistic nature of competence, I propose a metaphor of identity as a post-functionalistic model of curriculum development with a warm-competence-based curriculum. The term “identity” has taken on a great many different meanings in the literature. I sketch out but one approach that draws on a consistent strand of participation. I propose new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n identity-based curriculum, as follows: First, personalized curriculum should be seen as a life project. Designing a personalized curriculum does not mean developing customized courses; instead, the courses should involve self-directed, deep, and long-term learning. The school curriculum should take support for individual learning portfolios as a primary principle in its development. Second, the curriculum should include subject and non-subject contents. A competence-based curriculum requires a critical perspective related to the dualism of knowledge and experience in favor of situated practice. The separation of the subject from non-subject curriculum in the current national curriculum should be re-organized. Third, a community-based curriculum should be developed. Living community features a classroom culture of mutual respect and caring based on practical ethics and the accountability of community members. A learning community allows the school to be transformed into a learning organization where members of the community form their identities. Fourth, a school culture should be fashioned that represents its own character. Competence is encouraged to develop through participation in a culture; this conditions the ecological environment of learning.

      • KCI등재

        상황주의 교수설계론: 실천의 관점에서의 재고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5 교육과정연구 Vol.33 No.4

        교육이론에서 상황주의 패러다임이 제시된 이후 학교 안팎의 프로그램이나 교수과정에 관한 이해 및 설계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쳐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설계 모형들에서는 상황주의의 취지를 제대로 반영하고 있지 않은 채 기존의 이원론적인 패러다임과의 차별성을 찾기 어렵다. 본 연구는 상황주의 학습론이 일원론적인 논리를 견지하면서 교수이론으로서 정립가능할 수 있는 방법을 탐색해보고자 하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하였다. 하나의 방법으로 실천을 분석과 설계의 단위로 설정할 수 있는지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많은 상황기반 교수설계론이 상황인지라는 일원론적인 논리를 제대로 견지하지 못하는 이유 가운데 하나는 상황학습에서의 실천의 속성을 충분히 고려하지 않음으로써 비롯되었다고 보았기 때문이다. 상황학습의 실천적 측면에 주목한다면 상황주의 교수설계론에서는 인지나 이해에 기반한 종전의 접근과는 달리, 패턴화된 상황 직접적이고 비매개적인 행위가, 그리고 지식의 논리적 순서보다는 상황의 시간적 흐름에 따른 비선형적인 시계열성을 고려해야 한다는 점에 관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상황주의 패러다임이 교수설계의 연구 및 디자인에 있어서 종래의 인지주의와 왜 총체적으로 다른 프레임의 접근을 요구하는지 보여주고자 하였다. This study intends to suggest a different approach for the design of education under a situational paradigm. Many educational designs under such programs still tend to approach the world in terms of irreducible dualisms between actor/system, social/material, body/mind, theory/action, and visible/invisible. In order to resolve this problem, this study introduces a practice-based approach to bring the situatedness of learning and instruction into view. The study of situated practices is expected to respond to the need for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differences between prescribed models and real practice. First, “context” can be viewed as the objects of direct actions.Knowledge in use, and learning by practice, proceed in unmediated perception and action with emotional interaction, in which practice makes the setting visible and hearable, and thereby accountable. This requires a different way of designing knowledge in use and learning by practice,while it reconsiders learning by doing. Second, context can be viewed as non-linear temporal sequences that inquire about relevancies between the current and the next situation. In the procedure of work, step-by-step inference and practical actions have demonstrated ad hoc inference and practical actions. Taking situational properties into consideration, problems and solutions are the characteristics of puzzle formation and its dissolution, in that a problem and its solution are occasionally negotiated and determined in situ. The problem formation and its dissolution are negotiated and improvised in a turn-by-turn procedure by emerging the situation in which the next inference finds its way; a turn-by-turn procedure provides a local environment.

      • KCI등재

        경기도교육청의 IB 도입 현황 및 과제 탐색

        호양선(yangsun Ho),손민호(minho Sh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20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2023학년도 IB 프로그램을 도입한 경기도교육청의 IB 도입 현황을 알아보고, 경기형 IB 프로그램을 운영하기 위한 과제를 탐색하는 데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경기도교육청에서 발표한 IB 프로그램 관련 문서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경기도교육청이 도입하고자 하는 IB 교육과정의 수준과 범위를 체계화하였다. 경기형 IB에 대한 이해로 IB 교육과정의 특징과 교수학습체계, IB 평가 체계를 톺아보고, 경기도교육청의 IB 프로그램 추진 배경 및 현황, IB 학교 운영에 대해 살펴보았다. 또한 경기형 IB 도입 및 운영 방안을 탐색하며 시사점을 부연하였다. 결과 경기도교육청은 경기형 IB 도입을 위하여 국가교육과정의 지침 아래 지역교육과정과 학교교육과정을 유기적으로 연계하여, 학교교육과정의 재구조화, IB 프로그램 관련 과목 신설, 학교 자율시간 활용, 공동교육과정 운영, 학교 밖 학습경험 학점화 등을 IB 프로그램 도입 및 운영 방법으로 구안할 수 있다. 결론 이를 위하여 IB 학교 운영 비용과 함께 IB 프로그램 도입에 대한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로드맵이 필요하고, 교원 양성과 수급에 따른 법적·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더불어 IB DP 이수자에 대한 진로진학의 기회 확대가 필요하다. Objectives This study will examine the status of the IB program imported by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and measures to adopt and operate the program. Methods IB program-related data issued by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were collected. In order to under-stand the IB program, the characteristics of the IB curriculum, the teaching-learning system, and the IB perform-ance evaluation were reviewed. The progress and challenges of the IB program in introducing the IB program were studied as well as its implication to explore the introduction and operation initiatives for the IB program. Results Gyeonggido Office of Education originally links the local curriculum with the school curriculum under the guidelines of the national curriculum. It can also be devised as a method of introducing and operating the IB pro-gram to restructure the school curriculum, to establish IB program-related subjects and to utilize school autono-mous time, to manage a joint curriculum, to earn credit form extra curricular learning. Conclusions To this end, a long-term and systematic roadmap for the introduction of the IB program is required along with IB school operation costs. Legal and institutional regimes must be prepared for teacher training and suppl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IB DP graduates to map out their careers.

      • KCI등재

        Ethno-method로서의 학습경험에 관한 이해

        송슬기(Seulgi Song),손민호(Minho Shon) 한국질적탐구학회 2023 질적탐구 Vol.9 No.1

        본고는 최근 교육과정의 관심사 중 하나인 ‘빅 아이디어’ 또는 ‘영속적 이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에쓰노메쏘돌로지(Ethnomethodology, 이하 EM)를 통해 이해하고자 하였다. 소위 ‘빅 아이디어 또는 영속적 이해’를 사실적 지식을 모두 잊어버려도 남아있는 가장 일반적이고 포괄적인 수준의 일반화된 상태라고 한다면, 학습의 맥락에서든 일상의 활동과 경험의 맥락에서든 그것이 실제 맥락에서 어떻게 작동하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EM의 핵심 관심사는 실제 맥락 안에서 일반인이든 전문가든, 신참이든 고참이든, 신체 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이든 개념적/추상적 지식노동에 종사하는 사람이든, 개념적 지식을 배워가는 학생이든 그것을 가르치는 교사든 공히 그들이 일상적으로 수행해낼 수 있는 역량이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이해하는 데 있다. EM에 관한 이러한 이해는 교육연구에서 생소한 것이 아니다. EM 연구는 7-80년대를 거치면서 소위 상황인지 및 상황학습 연구를 통해 교육 연구에서 사회구성주의 학습에 관한 관심을 촉발하였으며, 2000년대 이후 기존 학습이론의 규범과학 패러다임을 벗어나 학습과학(learning science)이라는 ‘실증’ 과학을 태동시키는 데 일조했다. 이는 개인의 앎과 배움에 삶과 공동체의 그림자가 어떻게 드리워져 있는지에 관한 탐구이기도 하고, 지식의 구조(structure)에 대한 추론이 아닌 사고와 행위의 구조화(structuration) 과정으로서의 탐구, 그리고 정보처리로서의 사고가 아닌 바깥세상과의 상호작용으로서의 사고에 대한 면밀하고 체계적인 연구를 본격화하고자 한 시도라 할 수 있다. 이 연구들의 지향점은 결국 학습자 맥락과 역량에 대한 이해 그리고 그 환경적 조건의 디자인에 관한 이해를 제고해 나가는 데 있다. 본 연구는 EM의 질적 탐구의 논리와 전략이 어떻게 진일보된 학습경험 연구로 이어질 수 있었는지를 되짚어 보고, 학습경험 연구에서의 EM의 적용 가능성을 타진해보고자 하였다. This paper attempted to understand how “big idea” or “permanent understanding” works, one of the recent interests of the curriculum, through Ethnomethology (EM). If the so-called big idea or permanent understanding is the most general and comprehensive level of generalization that remains even if all factual knowledge is forgotten, we tried to see how it works in practices, whether in the context of learning or daily activities and experiences. EM’s core concern is to understand how everyday actions and practical reasoning work, whether they are ordinary people, professionals, newcomers, seniors, people in physical labor, people in conceptual/abstract knowledge labor, students learning conceptual knowledge or teachers. EM is not unfamiliar in educational research. EM’s research direction has already triggered situational cognitive and social constructivist learning theories and research in 1980s. Since the 2000s, it has inspired an empirical study called “Learning Science”, which is away from the normative science of existing learning theory. This is an explanation of how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through systematic study of thinking as an interaction with the outside world, not as an inference about the structure of knowledge. The goal of these studies is to improve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context and the understanding of competency and designing the conditions to improve that learning. This study saw that EM had implications for research on learning experience, and tried to explore the applicability of EM in learning experience research.

      • KCI등재

        일반논문 : 일상적 문제해결과정에서의 실천적 지식의 사용에 관한 연구: 학교 학습에의 시사점 탐색

        조현영 ( Hyunyoung Cho ),손민호 ( Minho Shon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4 교육문화연구 Vol.20 No.1

        본 연구는 일상의 문제해결과정에서 상황적 맥락이 문제해결에 대하여 어떻게 내생적 요인으로 작용하는지 살펴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여기서 상황적 맥락은 실천적 지식, 즉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에 의해 엮여 진행되는 시간의 흐름을 의미한다. 상황적 맥락이 문제해결과정에서 어떻게 내생적 요인으로 작동하는지, 본 연구에서는 도구의 전유로 인한 지식의 상황 임베디드성과 포월성, 상황적 행위의 불확정성과 사후수정, 세계의 안정성으로부터 비롯된 시비불가성으로 정리해 보았다. 이상의 특징들은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에서 비롯된 것으로서 우리의 사고 과정에 깊숙이 임베디드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우리가 의존해 있는 문제해결방법을 설명할 수 있는 합리적인 논리가 있다면 그것은 민속-방법, 상황적 추론의 방법론적 아나키즘이라고 할 수 있다. 상황적 추론과 실제적 행위가 어떻게 문제해결과정 그 자체를 생성해 나가는지에 관한 이해는 학습 현상을 좀 더 심화하여 해명하는 데 시사점을 줄 것으로 기대한다. This study begins with a general question about the connections between cognitive theory, educational forms, and everyday practice. In order to consider this question, orthodox explanations of cognitive processes, and the assumptions underlying them, are explored anew. This excursion, which will lead us through diverse empirical investigations, ends with suggestions that transform our conceptions of context, cognition, and activity in the lived-in world. Algorithmic problem solving is assumed to be the ideal model for the cognitive procedures employed to solve questions in the service of practical actions exogeneous to the process. This view isolates action as technique, and knowledge as fact. This study examines how the very characteristic of ongoing activity render contextual properties an endogeneous, crucial condition in problem solving process. The features of ad hoc, incorrigibility in the process of problem solving are generated from the very nature of our ongoing actions, continuity in activity and it also influences crucially in the development of our thought. Familiarity and routine are experienced by persons-acting-in-setting. Unmediated situated inferences suggest methodological anarchism, which provide implications for study of learning that would take context as endogeneous factors into consideration.

      • KCI등재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미술과 지도 유형에 관한 연구

        안금희(Ahn Keumhee),손민호(Shon Minho),김현정(Kim Hyunjeong) 한국미술교육학회 2007 美術敎育論叢 Vol.21 No.3

        본 연구에서는 미술과 수업 장학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고, 장학에서 봐야 할 내용으로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고찰하고, 관찰 방법으로 교육 비평의 방법을 사례 중심으로 제시하였다. 먼저 본 연구는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수업 개선을 위한 교과 장학이 의미있게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장학의 전문성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장학 자체의 절차 보다는 수업 이해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미술과 수업 장학의 요소로 ‘미술과 지도의 유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수업에 대한 이론적 틀과 질적 연구를 바탕으로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무엇을 봐야할 지에 대한 문제 즉 관찰 요소를 심층적으로 논의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미술과 수업 장학에서 활용될 수 있는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였다. 미술 수업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미술 수업 장학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업에 대한 질적 관찰 및 비평 기법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실제 수업 관찰 및 비평 기법을 개발하고, 적용해 봄으로써, 의미있는 수업 장학이 이루어질 수 있는 기초를 제공하였다. This study investigates typifications of art instructions which provide us with the resources for supervision of art classes. This study finds in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is initially termed by E. Eisner its way of analyzing and representing the field data. The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is study provides the art instruction types which might b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We discuss what the supervisor should take a look at, that is to say, the objects of instruction supervision based on the research on instruction and the in-depth qualitative research. Second, this study provides the observation method and the educational criticism which are used for the purpose empowering art teachers" instructional competence. For supervising based on the understanding of art instruction, the qualitativ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re essential. Therefore. this study suggests a foundation for the meaningful supervision developing the observation and criticism methods and utilizing them on art classrooms.

      • KCI등재

        Experiences of Community-managed Education in El Salvador: An Investigation from the Perspective of Social Learning Theory

        Jullianny Batres,조현영(Hyunyoung Cho),손민호(Minho Shon) 한국비교교육학회 2020 比較敎育硏究 Vol.30 No.2

        [연구목적] 본 연구에서는 실천공동체론에 터하여 엘살바도르 마을교육공동체(EDUCO) 프로그램 운영과 지역사회에 미친 영향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 학교중심운영을 지역에 도입하기 위한 세 가지 방법에 대해 연구하였다. 첫째, 엘살바도르 EDUCO 프로그램의 현황과 특징에 관해 살펴보았다. 둘째, 마을교육공동체 사업이 엘살바도르와 같은 개발도상국에서의 학교시스템 분권화에 기여한 정도와 역할에 관해 살펴보았다. 셋째, 해당 프로그램이 지역사회 활성화와 주민들의 문해력 향상에 기여한 정도와 역할에 관해 고찰하였다. [연구결과] EDUCO 프로그램은 교육의 실제에서 공동체를 포함하며 수준 높은 교육으로 학습자와 사회를 도와주므로 CoP의 기초특성에 부합하는 것을 알 수 있다. [결론] 엘살바도르 EDUCO 프로그램은 개발도상국가에서의 교육이 지역사회의 활성화와 어떻게 긴밀하게 연계되는지 잘 보여준 사례라 할 수 있다. EDUCO은 마을-학교연계를 통해 실천공동체를 활성화함으로써 지역사회 개발과 학교교육 성취에 크게 기여할 수 있었다. Purpose : This study examines the development of El Salvador’s Education with Community Participation (EDUCO) school-based management program and its impact on the community through the lens of Wenger’s perspective, Community of Practice (CoP) as the Social Theory of Learning. Methods : Three issues were investigated, namely, how school-based management in rural areas had been introduced; El Salvador’s EDUCO program’s foundations, characteristics, and outcomes; how EDUCO program contributed to decentralize school system in a developing country; and finally reexamine how it enhances learning outcomes in the society in the dimension of community development. Results : It is noticed that EDUCO program fits the main aspects of CoP by involving community in school practices and benefiting students and community itself with qualified education. Conclusion : It is important to underline that the outcomes of this program were not only centered on education for children but also for the community rehabilitation, specifically for the participants on ACE, the council responsible of managing the program to local level together with the Ministry of Educ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