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이용자 중심의 도시공원 조성방안

        성현찬,서정영,이용구,강대인,황소영,이양주 경기연구원 2009 위탁연구 Vol.2009 No.1

        최근 삶의 질 고양과 쾌적한 도시환경조성을 위하여, 도시기반시설로서의 도시 근린공원의 중요성은 점차 높아지고 있으나, 대부분의 도시 근린공원의 경우 잔디밭 중심의 획일적인 공간구성으로 공원이 조성되고 있으며, 설치되는 공원시설들이 공원의 특성이나 이용자의 욕구를 반영하기보다는 법적인 시설들만을 획일적으로 설치하고 있어, 이용자들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 또한, 최근의 지구온난화에 대비한 도시내 녹지의 거점으로서 도시공원의 역할과 기능도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경기도내 도시들의 도시 근린공원의 공간구성과 공원시설의 설치 실태와 문제점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토대로, 도시공원의 도시환경 개선기능, 도시 내 녹지거점의 기능 등을 높이고, 이용자의 쾌적한 휴식과 휴양, 문화적 욕구를 최대한 만족시킬 수 있는 공원의 공간구성 개선방안을 검토?제시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었다. 연구범위로서는 면적 3만㎡ 이상의 도보권 혹은 도시지역권 근린공원을 대상으로, ‘인공조성형 근린공원’ 3개소와 ‘자연형 근린공원’ 1개소를 비교 공원으로 선정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공원 내 잔디만의 면적은 평균 24.4%(전체의 1/4수준) 수준이었으며, 전체 공원면적 중 평균 75.6%의 면적만이 공원이용자가 자유스럽게 이용할 수 있었다. 또한, 공원 내 녹지면적에서의 잔디면적과 수목면적의 분석결과, 잔디공간이 44.2%, 수목공간이 55.8%로 잔디면적이 거의 절반 수준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이용자 행태조사 결과, 잔디공간 이용자는 전체 평균이용자수의 11.9% 수준에 불과하며, 광장 공간의 단위 면적(100㎡당) 이용자 수 62.8명에 비하여 1명도 되지 않은 0.6명으로 나타나, 4개 구분 공간 중 가장 단위면적당 이용효율성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공원 내 설치된 시설물은 평균적으로 약 30가지 시설이 설치되어 전체 법상 설치가능한 공원시설 125가지 중 약 24% 수준만 설치되어 있었다. 넷째, 이용자 행태조사 결과, 광장공간에 공원이용자수의 절반 수준이 이용하고 있어 가장 많이 이용하고, 다음으로 시설공간, 도로(산책로)공간이 많이 이용되고 있었다. 다섯째, 설문조사 결과, 공원 이용자의 과반수가 넘는 65%가 잔디공간을 줄이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앞으로 신규 공원의 조성계획 수립 시, 충분한 숲이나 나무그늘, 들어갈 수 없는 잔디밭의 축소, 공원면적의 확대, 이용자가 만족할 수 있는 시설물의 설치 등이 반영되어야 할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도시공원 공간구성의 개선방안으로, 출입 금지된 잔디공간을 이용이 가능한 잔디공간으로 개선하여 현재 75.6% 수준인 공원이용면적을 100%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과, 현재의 면적(약 24.4% 수준)보다 10-14% 수준 줄이고, 확보된 공간을 이용자가 선호하는 수림대 및 나무그늘 공간이나 공원 시설 공간 등으로 개선하여 현재 75.6% 수준인 공원이용면적을 86-90% 수준으로 확대하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이에 대하여는 수림대 및 나무그늘의 추가 확보 대안, 수림대 및 나무그늘과 이용자의 요구시설 병행 확보 대안, 시설율을 감안하되 이용자의 요구시설 전면 확보 대안 등 3가지 대안을 검토하여 제시하였다. 일곱째, 이러한 개선방안은 경기도의 31개 시·군 전체에서 1,066만㎡의 공원면적이 추가 확보되며 근린생활권 근린공원 1,066개소, 도보권 근린공원 355.3개소, 도시지역권 근린공원 106.6개소가 신규로 조성되는 효과가 있으며, 경기도민 1인당 0.98㎡/인의 공원면적이 확대되는 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이것은 3만㎡ 규모의 도보권근린공원 355.3개소를 건설하는 효과를 거두면서도, 추가로 도시공원을 조성하는데 필요한 4조 504억원의 예산을 절감하는 경제적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경기도의 2008년도 총 예산 12조 3천억원의 33%에 해당하는 것이다. 여덟째, 공원시설의 개선방안으로 기존 공원의 경우 공원이용자가 요구하는 운동공간, 수림대와 나무그늘, 휴식공간, 산책로, 어린이놀이터 등을 적극적으로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였고, 신규 공원의 경우, 사전에 잠재적 공원 이용자들에 대한 설문조사, 인터뷰등을 통하여 주민의 요구시설 및 선호시설을 파악하고, 가장 이용효율이 높은 공간과 시설로 나타난 다양한 ‘광장공간’의 도입과 휴양시설, 유희시설, 교양시설의 3가지 시설유형에서 공원이용자들이 보다 선호하는 시설들을 선별하여 선정하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5가지 정책적 건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후변화 대응할 수 있는 요소로서 도시공원이 도시녹지의 거점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둘째, 보다 이용자 중심의 도시공원 조성을 위해서는 본 연구에서 제안한 도시공원녹지등에관한법률 상의 몇 가지 규정에 대한 개정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셋째, 공원조성계획의 수립 시 이용자의 욕구조사가 반드시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넷째, 대학의 교재에서 공원녹지분야의 내용전개상 과거 근대공원의 공간구성보다는 최근의 달라진 공원의 기능과 역할이 반영된 공간구성에 대해 논의되어야 할 것이다. 다섯째, 잔디밭 공간의 조성시 답압에도 견딜 수 있는 품종의 선정과 시공방법을 개선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to analyze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issues in the structure of urban neighborhood parks and park facility installation in cities in Gyeonggi-do. Then, based on its findings, plans to improve the space structure of the parks were examined and suggested to raise the city environment improvement function and green area base function of urban parks and fully satisfy users' needs for pleasant rest, recreation and cultural activities. The findings showed that, within parks, the area of grass where access was restricted reached about 24.4% in average. In other words, only 75.6% of total park area could be freely used by park visitors. A user behavior survey showed that only 11.9% of park visitors used grass space in average. As for facilities installed in a park, about 30 different facilities were set up in average, which was only 24% of 125 park facilities that are legally allowed in a park. As for an improvement plan, the grass area where access is limited may be converted into a grass area that can be freely used to raise the park use area, which currently stands only at 75.6%, to 100%. In addition, the current grass area can be reduced by 10~14% to expand forests and tree shade spaces or park facility spaces preferred by users. This would allow to secure additional 106.6 million ㎡ park area in 31 cities & counties in Gyeonggi-do. It also has an effect of newly creating 355.3 neighborhood parks within walking distance. It would have economic effects of reducing budget required for creating urban parks by KRW4.0504 trillion. This study also made some policy suggestions. urban parks must be a base of city green areas to counter climate changes. When developing a park creation plan, a user demand survey must be conducted in advance. In addition, grass construction methods should be improved to tolerate foot pressure.

      • KCI등재

        전략환경평가 모형의 적용에 관한 연구 (II) : 수원 도시기본계획 평가를 사례로 with reference to Suwon Urban Comprehensive Plan

        성현찬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 1997 환경영향평가 Vol.6 No.2

        In this study for the effective environmental investigation at the level of planning, environmental assessment model to be integrated with urban comprehensive plans was developed. This model was applied to the Suwon City urban comprehensive plan and was tested to derive the future application program and the adaptability to the current research issu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we defined basic items for environmental assessment as to be used in the developed SEA model. We also defined three range and twelve items for the environmental assessments, which can be used in the assessment of the urban comprehensive plan through the expert advices. Second, we performed the case study by applying the developed SEA model to the Suwon City urban comprehensive assessment, and investigated the environmental impacts through an expert inquiry at the "phase 5" of the model. The results of the case study showed that Suwon City urban comprehensive plan contained partially discrepancies at the goal of the planning. The spatial startegy for leisure, park and open space, and green belt was analysed not to be effective in nergy use. The case study also indicated that the environment of Suwon City are expected to be much in each sectional plan, if the City was to implement the present five sectional plans fer life boundary and distribution, land use plan, transportation plan, industrial development plan, and life environmental pla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case study, an mitigation plan for urban comprehensive plan of Suwon City was proposed as the following four stages; modification of planning goal, modification of site alternatives, modification of planning contents, and proposal of mitigation measures.

      • KCI등재

        지역 활성화를 위한 백두대간 보호지역 용도구역체계 개편방안 연구

        성현찬,이경일,김윤지,전성우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2019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Vol.22 No.5

        The Baekdudaegan protected area is a regulatory-oriented policy that does not consider the residents, and has been affected by the shrinking of local economy and the reduction of community activities. In order to minimize the damages, Baekdudaegan resident support programs has been implemented but various problems have been pointed out failing to lead to local revitalization. In addition, the zoning districts consists only of the core district and buffer district,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to improve the lives and satisfy the needs of residents due to the stricter regulations. This study suggests the re- vitalization of Baekdu-daegan protected area by reforming the zoning system of Baekdu-daegan pro- tected area. Considering related plans and systems, legal validity, residents' repulsion, area, etc., four reorganization plans were drawn according to each strength and weakness. Principles, additional per- missible activities, example of amendment to ‘Baekdudaegan Protection Act’ according to each plan were also presen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improvement of income and welfare of the residents in Baekdudaegan protected area. However, further research is needed because it is a limitation that the specific scope of the proposed plans could not be set.

      • KCI우수등재

        쾌적환경평가 및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경기도를 중심으로 -

        성현찬,이영준 한국조경학회 1997 韓國造景學會誌 Vol.24 No.4

        In this Study,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menity were determined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the resident's consciousness in all thirty one cities and counties of Kyonggi. Also, environmental amenity that the resident feel in terms of recognition level was evaluated and based on the determined environmental indicators, environmental amenity for the physical environmental situation was evaluated. By analyzing the results, basic data for the planning of the future environmental management were prepared.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developed indicators for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menity consist of four intermediate evaluation items and fifteen individual evaluation items, and fifty four evaluation standards in total . Two to five evaluation standards were determined for the respective individual evaluation items. Second, using the developed indicators,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al amenity were implemented based on both resident's consciousness and statistical data. Third, by analyzing the difference between two evaluation results, future research plan was proposed.

      • KCI등재

        가로환경복원을 위한 도시의 주요 가로유형별 가로수 실태에 관한 연구 - 경디도내 7개 도시를 중심으로 -

        성현찬 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2003 國土計劃 Vol.38 No.3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he specific roadside tree plantation status and road environment of cities/counties in Kyonggi province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future roadside tree management policies by conducting a field survey on 41 roads of various types in 7 major cities with a focus on the standard of planted roadside trees and plantation status, the impact of surrounding environment on roadside trees, and creation of roadside environment by roadside trees and analyzing the survey results. The study result shows that, first, roadside tree species did not vary by road types. As for the size of tree species, they were mostly medium-height trees. Only in seven sites or 17%, flowering plants or shrubs were planted at the lower layer of roadside trees. It indicated that, if possible, plantation should be created in two rows along roadside within urban area and be linked with buffer green area, and a plantation plan including plantation of lower layer of roadside trees should be developed. Second, as for barriers for the growth of roadside trees, they were in an order of telegraph poles and electric wires, narrow sidewalks, and goods piled on roads. Therefore, in long term, laying electric wires underground using utility-pipe conduits and voluntary management by residents through ownership of roadside trees seemed necessary. Third, signboards were often blocked by roadside tree crowns indicating that management including tree species selection and roadside tree pruning needs to be improved. Also, it was analyzed that a median strip should be obligatory in order to create a canopy on road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