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서양건축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연속성에 관한 연구

        성우철 대한건축학회 2006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2 No.6

        There are two purposes in this research. Firstly, it is to prove that modern architecture is not a new one that is discontinued from the past architectural tradition but the one connected with the previous architecture as is shown from the statement of modern architecture. Secondly, it is to induce the features of the spatial continuity in modern architecture, which is also effective in contemporary architecture, and to prepare theoretical foundation that enable us to apply such features to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uced from this review are as follows. Firstly, modern architecture does not mean the historic discontinuity from the past. It is rather associated with the history in light of the pursuit of spatial continuity and has historical continuance throughout history including modern architecture. Secondly, spatial continuity had been emphasized through the control and integration of structural and decorative elements prior to the modern architecture period, whereas various expressions of spatial continuity have been possible because of the development of new technology and material since the modern architecture period. Lastly, the boundary becomes obscure due to the superposition of the spaces. The spaces become mutually integrated and create continuous spaces. By the superposition of the layers created by diverse architectural elements, there appears an obscurity between spaces, and consequently, it becomes possible to secure spatial continuity. In this research, I tried to prove that many architects have pursued spatial continuity throughout history as a main theme and architectural history might be understandable through this theme.

      • KCI등재

        淸文鑑類 만주어 사전의 성립과 전파, 그리고 동아시아적 변용

        성우철,오민석,김유범 경희대학교 인문학연구원 2020 인문학연구 Vol.0 No.45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established in China had diffused to East Asian countries, and to give a general overview of how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had been adapted in such a process. So far, there have been some studies that have partly reviewed the characteristics of Manju dictionaries Cheongmungam in China, Japan, and Korea respectively, but there has been no study that has expanded the scope to the whole East Asia to review the variations comprehensively. Han i araha manju gisun i buleku bithe (HMB) was compiled as a monolingual dictionary for learning Manchu language, but it has been reconstructed into various forms depending on sociocultural environment of each country. The aspects of the adaptations can be compared according to some points such as the transformation of microstructure for various purposes, the understanding definitions written by Manchu script through Literary Chinese, and the method of writing foreign languages. The reason why Manchu dictionaries Cheongmungam had developed in different ways may be because not only East Asian countries had different lexicographic traditions, but also there were differences in understanding of which methods were effective for foreign language learning. The different aspects of the variations shown in the adaptations of HMB in East Asian countries are specific examples of how a culture can be diffused, accepted, and transformed. 본고는 중국에서 성립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동아시아 각국에 전파된 과정을 살펴보고, 그러한 과정에서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겪은 변용의 양상을 거시적으로 조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지금까지 중국, 일본, 한국의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각기 어떤 모습을 보였는지 개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더러 있었으나, 그 범위를 동아시아 전체로 확장하여 포괄적으로 검토한 연구는 없었다. 『御製淸文鑑』은 만주어의 학습을 위한 단일언어 사전으로 편찬되었으나, 각국의 사회문화적 환경에 따라 재구성되어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동아시아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의 변용 양상은 목적에 따른 미시 구조의 변용, 한문을 통한 만문 原釋의 이해, 서로 다른 언어의 교차 표기 등으로 나누어 살펴볼 수 있다. 청문감류 만주어 사전이 이처럼 다양한 모습으로 나타나게 된 것은 동아시아 각국이 서로 다른 사전학적 전통을 가지고 있었을 뿐만 아니라,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어떤 방법이 효과적인지에 대한 각국의 이해가 차이를 보였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御製淸文鑑』이 동아시아 각국에서 보인 서로 다른 변용의 양상은 하나의 문화가 어떻게 전파되고 수용되며 발전할 수 있는지 알려주는 구체적인 실례가 된다.

      • KCI등재

        남대문시장 지역의 도시·건축적 공간 특성에 관한 연구 : 건축 프로그램과 건축물 구성 관계를 중심으로

        성우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2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4 No.1

        본 연구는 서울 사대문 안의 도시구조 특성과 이에 따른 건축공간의 구성유형을 살펴보기 위한 과정의 한 부분으로 진행되었다. 무라토리안 학파의 연구방법론을 기본으로 하여, 고지도와 문헌연구를 통한 도시조직의 변화와 남대문시장의 형성과정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며, 현황조사를 위한 현장답사를 병행하여 진행하였다. 또한, 각종 사진과 단면 등의 자료 수집을 통한 입체적인 분석으로 도시 조직에 건축물이 어떻게 반응하는지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를 통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남대문시장의 건물은 가로에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건물의 외곽 부는 가로와 '직접소통'하며 적극적으로 가로를 실내로 유입한다. 주변 건물들의 경계는 해체되며, 내부공간은 다양한 방법으로 '면적확장'을 이루는 공통된 성향을 발견할 수 있었다. 이는 연구대상지역이 시장이라는 건축 프로그램적 특성, 즉 가로와 상업시설 간의 적극적인 소통과 유사 업종간의 군집에 따른 거대 상권형성을 위한 바닥면적 확보의 필요성에 기인하는 것으로 판단된다.

      • KCI등재

        시지각 인식에 따른 도시 외부공간 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 서울 정동지역의 시립미술관 및 시청 별관 부지와 이화여고 부지를 중심으로

        성우철 대한건축학회지회연합회 2013 대한건축학회연합논문집 Vol.15 No.4

        본 연구의 목적은 정동지역의 미래 개발에 대비하여 시각적 분석방법을 통하여 도시구조적 특성에 의해 형성된 지역의 대형필지에서 관찰되는 외부공간 유형을 발견하고자 하는데 있다. 연구를 위하여 연구자는 고든 컬렌의 ‘연속적 시각’과 연속적인 공간구성의 분석을위해 사용된 앙리 시라아니의 ‘공간분석방법’으로부터 추론된 시각적 분석방법을 개발하였으며, 이를 정동 지역의 대형필지인 서울시립미술관 및 시청별관 부지와 이화여고 부지의 분석에 활용하여, 정동지역의 외부공간구성 유형과 원칙을 발견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정동지역은 건축물, 담 그리고 수목군 등의 많은 요소들의 조합에 의해 만들어진 다양하며, 연속적인 공간형태가 존재하며, 이들이 시각틀을 형성하여 외부공간을 정의한다. 이들 요소들은 공간 규모의 변화 및 다양한 축의 변화와 어우러져 다양한 풍부한 시각적 인식이 가능하게 한다. 정동지역의 이러한 외부공간 구성은 평행과 직각의 2가지 유형으로 구분되며, 이렇게 2가지 유형에 의해 만들어진 외부공간구성은 다시 인식적 영역과 암시적 영역의 2가지 영역으로 구분된다. 즉 직각과 평행의 2가지 유형은 자기반복과 타 유형의 조합이라는 방식으로 지각과 암시를 통하여 동선과 시각적 흐름을 유도하며, 결과적으로 다양하고 연속적인 외부공간의 흐름을 완성한다.

      • KCI등재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 -’의 기능에 관한 연구

        성우철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2022 東洋學 Vol.- No.88

        Prefinal ending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has long been attracting attention from researchers in that it is used as subject honorific, while {––} in Hangeul materials does not seem to be used as such function. Until recently, however, the academic understanding of the functions of ‘––’ has not reached an agreement, because there were no objective criteria for analyzing functions of honorifics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Therefore, in this study, criteria for analyzing the functions of ‘––’ are established through a theoretical review of the nature of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nd non-subject honorifics. Then, a total of 101 instances of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are analyzed consistently according to the criteria.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 has three functions: non-subject honorific,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and subject honorific. And the function as subject honorific can be divided into two sub-functions: inclusive subject honorific and exclusive subject honorific. Especially, the most remarkable result of this study is that the process in which subject honorific developed from embedded-clause-subject honorific is explained from a new perspective. However, some instances of ‘––’ are difficult to interpret as any of these functions, and they require more detailed discuss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on ‘––’ in Jato-seokdokgugyeol materials will provide another stepping stone to reconstruct the history of prefinal ending -sʌp-, along with {––} in Hangeul materials and ‘– 白 –’ in Idu materials.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은 한글 자료의 {––}과 달리 주체 높임의 기능으로 쓰인 예가 보인다는 점에서이른 시기부터 관련 연구자들의 주목을 받아 왔다. 그러나 비교적 최근까지도 ‘––’의 기능에 관한 학계의 이해가 일정한 합의에 이르지는 못하였는데, 이것은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높임 요소의 기능을 분석하기위한 객관화된 준거가 마련되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자토석독구결 자료와 객체 높임의성격에 관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의 기능 분석을 위한 준거를 마련하였으며, 그러한 준거를 토대로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의 용례 총 101건을 일관되게 분석하였다. 그 결과 ‘––’이 객체 높임, 내포절주체 높임, 주체 높임이라는 세 가지 기능을 지니고 있었으며, 주체 높임의 ‘––’은 다시 포괄적 주체 높임과배제적 주체 높임이라는 두 가지 하위기능으로 세분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내포절 주체 높임에서 주체 높임이 발달한 과정을 새로운 관점에서 설명한 것은 본 연구의 가장 주목할 만한 성과라고 할 수 있다. 다만 이들 가운데 어느 것으로도 해석하기 어려운 ‘––’의 용례도 일부 관찰되는데, 이에 대해서는 앞으로더 정밀한 검토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자토석독구결 자료의 ‘––’에 관한 본 연구의 성과는 한글 자료의{––}과 이두 자료의 ‘– 白 –’에 이어 선어말어미 {––}의 문법사를 조망하기 위한 또 하나의 디딤돌을 마련해줄 것이다.

      • KCI등재

        『合部金光明經』 卷3의 ‘白’을 포함하는 口訣點에 대한 연구

        성우철 구결학회 2023 구결연구 Vol.50 No.-

        In Hebujinguangmingjing(合部金光明經), the single dot(短點) 11∼12(·) which corresponds to ‘’ occurs, and the frequency of reference honorifics is relatively high. Thus, Hebujinguangmingjing is an important source for analyzing the function of ‘-(sʌp)-’ in Jeomto-Seokdokgugyol of Yujiashidilun(瑜伽師地論) group. In this study, a total of 40 examples of mark glosses including ‘’ in Hebujinguangmingjing are examined. As a result, the two arguments that have not been mentioned before are raised. First, the two single dots in ‘世’(15:16:01) which have been identified as 22(·) and =23(·) respectively are identified together as the horizontal double dot(水平雙點) 22(··) which corresponds to ‘’. Instead, 11∼12(·) is excluded from mark glosses in ‘世’(15:16:01). Second, the mark gloss written on the upper left of ‘王’(02:01:10) is identified as 21(·.) and deciphered as ‘’ rather than ‘’. Because ‘寶須彌山王’ can not be the object of ‘-(sʌp)-’ in the context, ‘’ in ‘已’(14:22:08) is also written in a shape similar to ‘’, and ‘-(ko)-’ may be placed before ‘-(o)’, considering the order of endings in Jato-Seokdokgugyeol. However, since the decipherment of 21(·.) is based on more or less loose inference, more positive evidences should be provided through subsequent studies. 『합부금광명경』은 유가사지론 계통의 다른 점토석독구결 자료와 달리 ‘’에 대응되는 단점이 확인되며 높임 요소의 사용 빈도도 비교적 높게 나타난다는 점에서 유가사지론 계통의 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의 기능을 분석하기 위한 중요한 근거가 된다. 본 연구에서는 합부금광명경 에서 ‘’을 포함하는 구결점 5종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여 다음 두 가지 주장을 제기하였다. 첫째, 15:16:01의 ‘世’에서 기존에 22(․)으로 판독해 온 구결점과=23(․)으로 판독해 온 구결점은 아울러 하나의 구결점 22(․․)으로 판독된다. 이 구결점은 구결자 ‘’에 대응된다. 해당 글자에서 ‘’에 대응되는 것으로 여겨져 온 11∼12(․)은 판독에서 제외된다. 둘째, 02:01:10의 ‘王’에서 글자 좌상단에 기입된 구결점은 21(․.)로 판독된다. 이 구결점은 ‘’가 아닌 ‘’에 대응된다. 본문의 맥락상 ‘寶須彌山王’이 ‘--’에 의한 높임의 대상이 되기 어렵고, 14:22:08에도 ‘’가 ‘’과 비슷한 자형으로 표기된 예가 보이며, 자토석독구결 자료에 나타난 어미의 배열 순서상 ‘-’ 앞에 ‘--’가 놓일 개연성이 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후자는 다소 느슨한 추론에 기반을 둔 것이므로 후속 연구를 통해 더 적극적인 근거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 KCI등재

        서울 인사동길의 도시구조 특성에 따른 공간구성 유형에 관한 연구

        성우철(Sung Woo-Chul) 대한건축학회 2010 대한건축학회논문집 Vol.26 No.12

        This study is a first step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through successive analyses of various places of Seoul. The purpose of the study is unveiling the principles and typ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Insa-Dong, under the fact that the characteristics of the urban structure of an area influence not only the urban design but also the architectural & interior space design. Based on the Muratorian school’s typo-morphological method by reference review, the analytical framework of the study is improved, contains the analysis of present conditions of the site by field survey. The framework includes the basic elements of urban structure, namely road systems, blocks, composition of lots, buildings, building codes, and related plannings. Each basic element was dealt not only with a historical view point but also with a synthetic analysis method to draw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and typ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of the site. The conclusion of the study summarized as follows. The linear court, so called, 'Insa-Dong street' has a crucial part of the site and interacts with buildings by means of three types : a direct connection, a connection with a front court yard, and a connection with an inner court yard. Various forms of alleys, which are another critical character of the site, are the results of development in order to interact with Insa-Dong street. Finally, it is compulsory that the types for the spatial composi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urban structure in Insa-Dong must be applied to not only the urban design, but also the architectural & interior space desig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