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 분석: B 출판사 북클럽 그림책을 중심으로

        성미영 성결대학교 다문화평화연구소 2021 다문화와 평화 Vol.15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국내 유아용 그림책 출판사인 B 출판사의 북클럽 프로그램에 포함된 그림책 총 171권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또한, 171권 중 다문화에 관한 주제를 다루고 있거나 등장인물이 다인종인 그림책 11권의 내용에 대해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전체 분석 대상 그림책 171권 중에서 11권, 단지 6.4%의 그림책만이 다문화에 관한 내용을 주제나 등장인물의 측면에서 직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다문화 내용이 포함된 그림책 11권에서 이야기 진행자는 작가 또는 주인공 아동의 시각에 의한 경우로 구분되었다. 작가가 그 문화와 언어에 친숙한 내부인인 경우와 친숙하지 않은 외부인인 경우로도 구분되었다. 특정 문화가 사실적이고 정확하게 표현되어 있는지에 관한 분석 기준에 따라 내용 분석 대상 11권의 그림책을 살펴본 결과, 전반적으로 특정 문화에 관한 내용이 정확하게 묘사되어 있었다. 그러나 일부 그림책의 경우 세부적인 묘사가 풍부하게 제시되지 않았거나, 서로 다른 문화가 긍정적으로 묘사되지 않은 경우, 그리고 주인공이나 등장인물만이 특정 문화와 관련된 것으로 나타났다. 코로나19로 인해 유아용 그림책을 가정에서 배송받거나 온라인으로 이용하는 북클럽 프로그램이 최근 급성장하고 있는 시점에서 유아용 북클럽 프로그램의 다문화 그림책 현황을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In this study, a total of 171 picture books included in the early childhood book club program of B Publishing Co., a domestic picture book publisher, were selected for analysis to analyze the statu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e book club program. In addition, among the 171 books, 11 picture books with multicultural themes or characters were further analyz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of all, only 11 out of 171 picture books subject to analysis, and only 6.4 percent of them contained content on multiculturalism directly in terms of subjects and characters. Next, in the 11 picture books containing multicultural content, the story moderator was divided into cases based on the perspective of the writer or the main character child. The author was also distinguished between an insider familiar with the culture and language and an outsider unfamiliar with it. In accordance with the evaluation criteria on whether a particular culture is realistic and accurately represented, 11 picture books of content analysis were accurately described in general. However, in some picture books, detailed descriptions were not given in abundance, different cultures were not portrayed positively, and only the main character or character was found to be related to a particular culture.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can be found in that it analyzed the status of multicultural picture books in the early childhood book club program at a time when the book club program, which receives picture books from home or uses them online, is rapidly growing.

      • KCI등재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 주도성 기반 플립러닝 모듈의 개발 및 적용 연구

        성미영,권유진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3

        목적 OECD 2030에서 향후 교육의 방향으로 학습자 주체성이 강조되며, 최근 원격수업이 확산되면서 원격수업에서도 적절히 활용할 수 있는 플립러닝 형태의 예비교사 모듈이 요구된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 주도성 기반 플립러닝 모듈을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방법 온라인과 오프라인을 병행할 수 있는 블렌디드 러닝 중심의 학교 환경을 고려할 때 플립러닝 모델은 매우 유용하며 특히 예비교사들에게는 교사 이전 교육과정에서 반드시 경험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학교 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학습자 주도성 기반플립러닝 모듈을 온라인 출판 활동을 중심으로 개발하였다. 특히 향후 교육 분야에 종사할 예비교사 대상 수업에 먼저 적용하였다. 이는 학습자 주도성 교육이 아직 현장에서 활성화되지 않았으며, 성인교육으로서 예비교사들에게 먼저 적용하는 것은 의미가 있기때문이다. 본 연구에서 개발한 예비교사를 위한 학습자 주도성 플립러닝 모듈은 전면 비대면 방식의 4주차 플립러닝 방식으로 구성되었다. 결과 개발된 모듈을 2021년 1학기 D대학교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파일럿 테스트를 거쳤으며, 학생들의 만족도와 학계 및 현장 전문가 21명의 타당성 및 적합성 검증 과정을 통해 모듈을 수정⋅보완하였다. 결론 본 연구의 학습자 주도성 플립러닝 모듈은 고등교육뿐만 아니라 향후 중등학교 수업에도 적용 가능하며, 블렌디드 러닝이 확대되는 상황에 학교 교육에서 유용하게 활용될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 KCI등재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 적용 사례 분석: 비대면 온라인 수업

        성미영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3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3 No.11

        목적 본 연구는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문제중심학습(PBL) 수업 모형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적용한 사례를 분석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이를 위해 D대학교 아동학과 전공교과목인 언어지도 과목을 2020-1학기와 2021-1학기에 비대면 문제중심학습(PBL) 수업으로 진행한 후 PBL 수업의 주차별 운영 내용과 방식, 성적 평가, 만족도를 사례로 제시하고, 학습자의 강의평가 점수와 만족도평가 점수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결과 비대면으로 진행된 PBL 수업 모형의 적용 결과, 2020-1학기 PBL 수업 운영 결과 나타난 문제점을 보완하여 2021-1학기수업에 이를 개선함으로써 강의평가 점수와 만족도 평가 점수가 전반적으로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4차 산업혁명 시대에 필요한 동기 유발, 심화 학습, 자기 주도 학습 등 역량 제고를 위해 대학 수업의 PBL 적용 확대 필요성을 보여준다. 또한, COVID-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불가능한 상황에서 PBL 수업을 비대면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 본 연구의 결과는 포스트 코로나 시대 대학 수업의 새로운 모형 개발에 기초자료를 제공해준다.

      • KCI등재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의 재난안전 교육내용 비교 분석 : 2019 개정 누리과정과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성미영,김신혜 한국콘텐츠학회 2019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9 No.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an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the comparative analysi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in the national level curriculum.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ntent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for preschoolers in the 2019 Revised Nuri Curriculum was clarified as ‘Knowing how to react in case of accident, fire, disaster, abuse, kidnap etc.’ in ‘Living safety’ category of physical exercise and health sections. Secon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found to have the difference between school year in same elementary school curriculum. For first and second graders, ‘Disaster safety’ was cleary presented in one of major categories of ‘Living safety’, which was newly created at the creative activity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On the other hand, for third to sixth graders, safety education is dispersed in the related subjects such as physical education, science, practical courses or in the creativity activity. Third, the safety contents in the Revised 2015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were also found to be dispersed in social studies, physical education, science, technology-home economics and creativity activity.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ntents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in the national curriculum did not have continuity and systemicity from kindergarten to high school. Therefore, efforts should be made to ensure continuity and systemicity of disaster safety education contents when the national curriculum is revised in the future.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2019 개정 누리과정(유치원)과 2015 개정 교육과정(초·중·고)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첫째, 2019 개정 누리과정에서 유아 대상 재난안전 교육내용은 신체운동·건강영역의 ‘안전하게 생활하기’ 내용범주에 ‘재난’이라는 용어가 명시되어 있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초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은 초등1∼2학년과 3∼6학년과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1∼2학년은 창의적 체험활동의 ‘안전한 생활’ 대분류 영역 중 하나인 ‘재난안전’영역에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명확하게 제시된 반면, 초등3∼6학년은 체육, 과학, 실과 등의 관련 교과목이나 창의적 체험활동에 안전교육내용이 분산되어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중고등학생 대상 안전교육내용 역시 사회, 체육, 과학, 기술·가정 등 관련 교과와 창의적 체험활동에 분산되어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나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나타난 재난안전 교육내용이 유치원부터 고등학교에 이르기까지 연속성과 체계성을 갖추지 못했음을 보여주었다. 따라서 향후 국가수준 교육과정 개정 시 재난안전 교육내용의 연속성과 체계성 확보를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 KCI등재

        과제 상황 및 계층에 따른 만 5세 유아의 스크립트 지식

        성미영,이순형 대한가정학회 2002 Human Ecology Research(HER) Vol.40 No.11

        This study investigated preschool children's script knowledge according to task situation and socioeconomic status. Subjects were seventy-eight 5-year-old children (38 low- and 40 middle-income children; 36 boys and 42 girls) recruited from three day-care centers in Seoul. Each child participated in the script knowledge assessment session. Assessment of script knowledge consisted of a picture-recognition and picture-sequencing task. Statistical methods used for data analysis were means, standard deviations, repeated measures ANOVA. Results showed that children script knowledge scores were higher in familiar task situation than in unfamiliar task situation. Furthermore, middle-income children had higher scores of script knowledge than low-income children. Findings of this study indicate that there is the difference of script knowledge between low- and middle-income preschoolers.

      • KCI등재후보

        심방세동환자에 있어 고주파전극도자술 시 와파린 용량변화

        성미영,고경미,안성심,김순주,나현오 한국병원약사회 2012 病院藥師會誌 Vol.29 No.2

        Radiofrequency ablation (RFA) is an effective strategy for the treatment of drugrefractory atrial fibrillation (AF). Our department evaluated warfarin maintenance dose on peri procedure in patients with AF, who underwent RFA, and analyzed factors that affected International normalized ratio (INR) to obtained factors, which are applicable in ACS (anticoagulant service). A total of 84 patients were enrolled, who underwent the RFA and were followed up at cardiological outpatient department from January 2009 to June 2010. Of those 84 patients, only 37 patients maintained target INR* in survey period. They were treated with warfarin during ablation and visited at ACS regularly. This study is based on ACS counsel record and EMR, retrospectively. Investigated characteristics are age, gender, smoking, drinking, the number of RFA, comorbidities, and the mean total weekly dose (TWD), during the period of attained target INR and mean value of INR in pre- and post-ablation. The mean TWD of the 37 patients were 28.1 mg (±0.98) pre-ablation and 24.9mg(±0.83) postablation,which decreased 12.0% compared to that of pre-ablation (p<0.001). Factors like age, gender, hypertension, and early adverse effect, didn`t affect the degree of warfarin dose reduc-tion between pre- and post RFA. However, TWD differed significantly, according to the maintenance dosage change on peri-procedure between the diabetic group and the non-diabetic group (p=0.05). TWD of non-diabetics decreased during the procedure (28.5±1.07→24.8±0.91, p<0.001), and TWD of diabetics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during the procedure (p=1.0). Based on this study, it’s possible for patients after RFA to be treated with lower dose warfarin. But further clinical trials are needed to customize the degree of warfarin dose reduction. Diabetics can maintain the same dosage of warfarin compared with beforehand, but it needs confirmed results through large study. Target INR*: 2.0~3.0(±0.2)

      • KCI등재

        유아의 어휘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의도

        성미영,이순형 한국인간발달학회 1997 人間發達硏究 Vol.- No.4

        유아의 어휘 양식에 따른 의사소통 의도의 차이 여부를 알아보기 위해 만 2세 및 3세 유아와 그 어머니 20쌍을 대상으로 블록놀이 상황을 설정하고 유아와 어머니의 언어적 상호작용을 비디오 카메라로 녹화하여 유아의 발화를 어휘 양식과 의사소통 의도에 따라 범주화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유아의 의사소통 의도에 나타난 경향을 살펴본 결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유아는 어휘 양식에 관계없이 제공 의도를 가장 빈번하게, 그리고 표현 의도를 가장 드물게 보였다. 둘째, 유아의 의사소통 의도는 유아의 어휘 양식에 따라 다르게 나타났다. 제공 의도의 경우 대물지향적 어휘 양식을 사용한 유아가 대인지향적 어휘 양식을 사용한 유아보다 정보 제공 의도를 더 빈번하게 보였으나, 표현 의도의 경우에는 유아의 어휘 양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요구 의도의 경우에는 대인지향적인 어휘 양식을 사용한 유아가 대물지향적인 어휘 양식을 사용한 유아보다 행위 요구 의도를 더 번번하게 보였으나, 부응 의도의 경우에는 유아의 어휘 양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 KCI등재

        유아의 어휘 양식과 보육 경험에 따른 언어적 상호작용의 주제 수행

        성미영,이순형 한국영유아보육학회 1997 한국영유아보육학 Vol.0 No.10

        이 연구는 유아의 어휘 양식과 보육 경험에 따른 유아의 주제 수행의 차이 여부를 검증하기 위해서, 유아가 산출한 어휘 양식과 보육 경험에 따라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나타나는 유아의 주제 수행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가정하고 만 2세 및 3세 유아와 그 어머니 20쌍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여 블록놀이 상황에서 이루어진 유아와 어머니간 언어적 상호작용을 녹화ㆍ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의 언어적 상호작용에서 만 2세 및 3세 유아는 거의 대부분 제시된 주제를 유지했으며, 주제 일탈은 약 3% 정도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의 주제 수행은 유아의 어휘 양식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둘째, 유아의 주제 수행은 유아의 보육 경험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즉 보육 경험이 있는 유아가 보육 경험이 없는 유아보다 주제에서 더 많이 일탈하였다.

      • KCI등재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 비교

        성미영 한국보육지원학회 2016 한국보육지원학회지 Vol.12 No.1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이 또래놀이행동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을 비교하기 위해 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4세 및 5세 유아 209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유아의 놀이성을 측정하기 위해 ‘놀이성척도’를,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을 측정하기 위해 ‘정서규제체크리스트’를, 또래놀이행동을 측정하기 위해 ‘또래놀이행동척도’를 사용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t-검증, 피어슨의 적률상관계수, 단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령에 따라 유아의 또래놀이행동, 놀이성, 정서통제, 정서불안정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놀이상호작용은 정서통제와 놀이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 유아의 놀이방해와 놀이단절은 정서불안정과 놀이성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에 기초하여 유아의 또래놀이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정서 관련 변인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한 후 향후 과제와 제언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실습 운영

        성미영,노미나 한국보육학회 2022 한국보육학회지 Vol.22 No.2

        Objective: This study attempted to analyze the changes in childcare practice guidance in daycare centers where outsiders were restricted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social distancing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ethods: To this objective,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from May 31 to June 25, 2021 for 12 childcare teachers and principals who had experience in guiding childcare practice before and after COVID-19.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interview data, both the training guidance teacher and the director tried to ensure that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ents of the training guidance before and after COVID-19, and recognized it as an impositional difficulty. In addition, the practice guidance teachers and directors considered the reduction of the practice period from 6 weeks to 4 weeks to reflect the COVID-19 situation as a desirable reduction for infants and toddlers, but mentioned that preliminary childcare teachers had difficulty performing practice tasks for a short period of time. Conclusion/Implicat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desirable direction for pre-education based on the opinions of the field to prospective childcare teachers and training institutions preparing for childcare practice in the context of COVID-19. 본 연구의 목적은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보육실습을 준비하고 있는 예비보육교사와 양성기관에 현장의 의견을 바탕으로 한 보육실습 사전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성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COVID-19 전후로 보육실습 지도 경험이 있는 어린이집 보육교사와 원장 12명을 대상으로 2021년 5월 31일부터 6월 25일까지 심층 면접을 하였다. 면접 자료의 분석 결과 실습지도교사와 원장은 모두 COVID-19 전후의 실습지도 내용에 차이가 없도록 노력하였으며, 예비보육교사인 실습생의 개인 방역 유지를 부과적인 어려움으로 인식하였다. 또한 실습지도교사와 원장은 COVID-19 상황을 반영하여 실습 기간을 6주에서 4주로 단축 운영한 것에 대해 영유아의 안전을 위해 바람직한 축소라고 생각하였으나, 예비보육교사들은 기간 축소로 인해 짧은 기간 동안 실습 과제를 수행한 것에 대한 어려움과 아쉬움을 나타냈다고 언급하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