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四書에 대한 미 학계의 최신 연구(1) — 『論語』와 『孟子』에 관한 연구 —

        성동권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8 No.-

        A general understanding of Confucianism in Korean society is premodern and conservative. Moreover, Confucianism has been regarded as a fundament factor, which made Korea a Japanese's colony. And some intellectuals analyze that a social malady in Korea is resulted from Confucian thought in Choson dynasty in Korea. Apart from the evaluation of Confuciansm in Korea, how Confucianism has been understood in West? To give an answer of this question I want to investigate the current researches on the Four-Books(四書) in American academy. Hereupon I will study how America academy has approached the Four-Books since 1990s and what kinds of current researches have been formed in their studies. After analyzing papers regarding the Four-Books, I classified the current researches into 4 categories. 1) The interpretation of 『論語』(Analects) 2) The interpretation of 『孟子』(Mencius) 3) The study on the ethical characteristics of Confucianism 4) The study on confucianism from the ethical perspectives It is impossible to discuss all of the subjects in this paper since there is the limit of the amount of paper. So, in this paper I will examine two topics, the interpretation of 『論語』 and 『孟子』. And the rest of the topics will be handled in next paper. The core of the interpretation of Analects(『論語』) is about the concept of yin(仁) and ye(禮) and the harmonious interpretation of Analects. Regarding the concept, yi(仁) is the collection of emotions or the inclination of emotions. And regarding the harmonious interpretation, the discussion was ended in the skeptical conclusion. The main theme about Mencius(『孟子』) is the meaning of the yen-shing(人性) in Mencius. In this debate, there are two groups, which have a different ideas from each other. One group insists that yen-shing(人性) is the outcome aquired by education. The other group maintains that yen-shing is inherent in human being. This debate has been caused by the different perspective, which is historical or philosophical. Is the current researches on Analects and Mencius right? I think that these brilliant papers have failed to notice the key to understand the essence of Confucianism. And the key is the theory of the knowledge in Confucianism, 天人無間(I call this Han-Maum philosophy). Viewing the American academy regarding the study on the Four-Books, we need to study the theory of the knowledge in Confucianism, Han-Maum philosophy. 본 논문의 주제는 유학에 대한 서구의 이해를 살펴보는 데 있다. 이를 위해 논문은 구체적으로 1990년 이후 미 학계가 사서를 어떠한 관점에서 어떻게 연구하고 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이에 연구자는 미학계 연구흐름을 1) 『논어』해석, 2) 『맹자』해석, 3) 유학의 종교적 특질 연구, 4) 윤리학적 관점에서 접근 등 네 가지 주제로 분류했다. 특히 위 네 주제를 한자리에서 모두 검토하는 것은 지면의 한계로 인해 불가능하므로 여기에서는 우선, 『논어』와 『맹자』의 해석에 대한 미 학계의 논의들을 우선 소개하고 다음 기회에 나머지 주제들을 소개하기로 한다. 『논어論語』에서 가장 중요하게 다뤄진 문제는 핵심개념인 인과 예의 개념과 각 장들 사이에서 발생하는 모순을 조화롭게 해석하는 것이었다. 결과 인은 예의 정신을 이루는 감정의 집단 내지 경향으로 정의되었고 『논어』를 총체적으로 조화롭게 해석할 수 있는 가능성에 대해 회의적인 결론을 이끌어 냈다. 『맹자孟子』에서 미학계가 첨예한 논쟁을 벌인 분야는 인성론이다. 가장 쟁점이 되었던 것은 맹자의 인성이 교육의 결과로 획득되는 것인지, 아니면 본래부터 고유한 것인지에 관한 것이었다. 이러한 이해의 대립은 인성에 대해서 역사적 접근과 철학적 접근에서 기인한 것이다. 미학계의 『논어』와 『맹자』의 연구는 올바른 것인가? 이들 연구가 놓치고 있는 것은 유학을 이해하기 위한 인식론이다. 유학의 인식론은 천인무간天人無間의 인식론(나는 이것을 ‘한마음 철학’이라고 부른다.)이므로, 이것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면 유학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 미학계의 연구성과를 보았을 때, 가장 시급한 것은 천인무간의 인식론을 명확하게 정리하는 것이다.

      • KCI등재후보

        退溪의 西銘考證講義에서 乾坤父母 硏究

        성동권 영남퇴계학연구원 2015 퇴계학논집 Vol.- No.17

        본 논고는 退溪 선생의?서명고증강의?(西銘考證講義)를 통해서 우리 사회의 심각한 문제 가운데 하나인 ‘갑(甲)질’의 원인과 그것을 해소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법을 연구한 것이다. 退溪 선생에 의하면, 갑질은 ‘나’ (予)와 천지만물이 ‘無間’이라는 사실을 모르는 不仁한 마음에서 비롯된 다. 그렇기 때문에 갑질 없는 세상은 ‘갑과 을’의 구분이 사라진 ‘兼愛의 세상’이 아니라, 서로 다른 갑과 을이 본래 無間임을 아는 ‘理一分殊의 세상’이다. 갑과 을의 分殊가 사실상 理一에 뿌리 두고 있음을 아는 마음, 이 마 음을 퇴계 선생은 仁이라고 한다. 우리가 仁한 마음으로 살아가면, 갑은 을에게 갑질을 할 수 없게 된다. 을은 갑의 갑질에도 불구하고 갑을 증 오할 수 없게 된다. 갑은 갑답게 을을 사랑하며, 을은 을답게 갑을 사랑하게 된다. 이것은 도덕적 의무에 기초한 행동이 아니라 단 하나의 이치 인 無間을 아는 갑과 을의 자연스러운 사랑 감정이다. 즉, 사랑은 無間 을 증명한다. 퇴계 선생은 ?西銘考證講義?의 乾父ㆍ坤母를 통해서 無間의 이치가 저 멀리 있는 것이 아니라 ‘나’(予)의 몸에 있다고 한다. 그래서 갑질은 ‘나’의 본래 모습이라 할 수 없다. 갑질에 대한 을의 분노와 폭력 역시 ‘나’의 본래 모습이 아니다. 모두가 사실상 ‘나’ 자신에 대한 無知를 증명 하는 마음의 병이다. ?西銘考證講義?와 ?聖學十圖?에 담겨 있는 부모 이야기는 ‘나’와 천지 만물이 본래 無間이라는 사실을 깨닫게 해준다. 그러므로 ‘부모’에서 시 작하는 ‘나’의 자기 이해는 갑질 같은 마음의 병과 갑질 때문에 고통 받 는 을의 괴로움을 완전하게 치료한다.

      • KCI등재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증명된 퇴계 선생의 경(敬)

        성동권 영남퇴계학연구원 2016 퇴계학논집 Vol.- No.19

        본 논문은 『성학십도』의 ‘철학적 장르’가 ‘기하학’이라는 사실을 밝히 기 위해서 작성되었다. 이를 위해 성학십도의 1도와 6도에서 기하학의 정의와 공리에 해당하는 것을 추려냈다. 퇴계 선생의 『성학십도』가 그 장르에 있어서 기하학이라고 할 때, ‘기하학적으로 증명되는 것이 무엇 인가?’에 대해서 본 논문은 ‘경’(敬)을 다루었다. 오로지 기하학적 질서 에 의해서 퇴계 선생의 敬을 증명했으므로 논문의 제목을 ‘기하학적 질 서에 따라 증명된 퇴계 선생의 敬’이라고 했다. 끝으로 『성학십도』의 철 학적 의의는 성리학의 한 갈래인 도설(圖說)이 아니라, 17세기 스피노자 의 『윤리학』 보다 1세기 앞선 ‘기하학적 체계’에 근거한 철학 작품이라는 것이다. 이러한 사실은 조선의 학문이 서양 근대의 학문과 비교했을 때 뒤처지지 않을 뿐만 아니라 오히려 더 앞선다는 것을 보여준다.

      • KCI등재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 장르분석

        성동권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This paper aims at a genre analysis on the diagram B of the 6th diagram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e diagram B ascertains the necessity of ‘情理’ from ‘性理’ on the basis of ‘性發爲情’ which exists as a axiom to explain the necessity between the nature and the feelings to be the principle of cause and effect. From this fact we deduce that the core of the diagram B lies in ‘情理’. However, we have not fully grasped the meaning of 情理. To solve this problem this paper tries to analyze the genre of the diagram B. The genre analysis is based on Kant’s critique for pure reason. I crystallized the four genres of human cognition on the ground of the Kant’s work, and summed it up as a quadrant: a priori-analysis, a priori-synthesis, a posteriori-analysis, and a posteriori-synthesis. And I, finally, proved that 情理 exists in a posteriori-analysis in the Kant’s cognition-quadrant. This means that feelings is in itself perfect and good. 본 논문은 『聖學十圖』 「心統性情圖」의 「中圖」에 대한 ‘장르분석’이다. 「中圖」는 性發爲情에 근거하여 性理로부터 情理의 필연성을 확인한다. 「中圖」의 핵심이 ‘情理’에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우리는 지금까지 「中圖」의 情理가 무엇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논자는 근본 원인이 「中圖」에 대한 장르분석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은데 있다고 보았다. 이러한 문제의식으로 논자는 「中圖」에서 확인할 수 있는 退溪의 ‘性情理氣’ 이해에 근거하여 인식의 4分面을 정리했다. 다음으로 Kant의 『순수이성비판』에서 Kant의 ‘선험‧후험‧분석‧종합’ 이해에 근거하여 인식의 4分面을 정리했다. 그리고 이 두 학자의 4分面이 서로 완벽하게 일치하고 있음을 증명했고, 이에 근거하여 退溪의 ‘情理’가 Kant의 ‘후험‧분석’에 있음을 증명했다. 그 결과 退溪의 情理는 Kant가 간과한 ‘감정의 자기이해’라는 사실을 증명할 수 있었다. 그 핵심은 다음과 같다. 감정[후험‧종합]은 자기 안에 자기 본성의 필연성으로 순수지선[情理:후험‧분석]을 본래부터 품고 있고 있으며, 오직 이러한 자기 본성의 필연성을 따라서 무한한 방식으로 무한하게 존재한다. 따라서 감정이 자기 안에서 자명하게 이해하는 ‘감정 그 자체’의 사실이 후험‧분석으로서 「中圖」의 情理이다.

      • GSIS를 이용한 호수 성충현상 분석

        성동권,전형섭,고제웅,조기성 전북대학교 공업기술연구소 2000 工學硏究 Vol.31 No.-

        As there are climate profile of concentrating the rainfall at summer and short runoff profile, it is difficult to secure usable water. Such that, we construct many dams along the streams and that cause the many artificial lakes. The lakes take an important water source providing about 40% usable water from the whole. However, the more the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become developed, the worse the water pollution become along with the inland drainage pollution. So it brings about great difficulties to use water resource and supply source. Therefore, we need new solution to preserve water quality in water pollution problem.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method of lake's stratification analysis using GSIS. Consequently we try to suggest the possibility to manage the water quality of lake using GSIS. And we could draw the water quality information of lake by developing GSIS program which can interpret and show the stratification of lake on cross section and profile.

      • 해양안전 정보의 효율적 제공방안

        성동권,안장현 한국통신학회 2017 정보와 통신 Vol.34 No.6

        해마다 증가하고 있는 피서철 해수욕장 안전사고 및 비선박사고의 감소를 위해 본고에서는 연안해역정밀조사 자료를 활용한 해양안전지도의 제작 및 체감형서비스를 구축하여 서비스하는 방안을 마련하였다. 해양안전에 관련한 각종 자료를 수집, 현장조사, GPS측량, 전문가 및 현지주민의 인터뷰 등을 통해 취득하였다. 서비스에 이용될 기본 배경지도로는 5m급 육상 지형기복도와 국립해양조사원의 수심자료를 사용한 해저지형기복도를 융합하여 제작, 이용하였다. 각종 해양안전관련 정보들은 해양영토(구역), 어촌양식, 항로, 각종사고이력, 시설, 위험요소 등 해양안전과 관련한 총 26종의 다양한 분류체계를 구성하여 구축하였다. 이렇게 수집, 구축된 기본 해양공간정보들을 바탕으로 사용자에게 정보의 전달성을 고려하여 국민이 간접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형태의 사이트(해수욕장 등)별 도면 형태의 해양안전지도를 제작하고, 개방형 대국민 해양공간정보 웹서비스인 ‘개방海’, 해양전문 공공기관용 웹서비스인 ‘공유海’ 대국민 해야안전정보 앱서비스 안전海’와 시스템들을 구축하여 서비스방안을 구축하였다. 각 서비스에는 해양안전사고 예방을 위한 각종 안전 및 위험정보 콘텐츠들을 수록하였고, 목적에 따라 이용가능한 분석 기능들을 제공하였으며, 위험구역에 노출될 경우 사용자간 위험을 알려주는 알림 기능 등을 제공함으로써 위험에 노출되고 조치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도록 하였다. 그 결과, 현재 각종 기관에서 해양공간정보의 이용을 확대하고자 연계신청 증가와 더불어, 대국민 서비스 이용자수가 증가하는 실적을 기록하였으며, 향후 보다 광범위한 영역에서 안전사고, 안전대응, 안전관리 등의 분야에서 대책 도구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

        기하학적 질서에 따라 증명된 思學의 四端之情과 不思不學의 七者之情

        성동권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21 한국문화 Vol.- No.94

        On the basis of Toegye’s presentation address in the Ten Diagrams on Sage Learning,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method of sage learning is ‘thinking(思)’ and ‘learning(學).’ Thinking is the clear and distinct understand on the necessity of nature itself, i.e Li(理). Learning is the execution of the necessity of nature itself conceived by thinking. Since Toegye had summarized the method for the sage learning this paper analyzed whether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representing Toegye’s sage learning, matched this method. To this end, this paper established 10 definitions and 1 axiom based on Toegye’s writings, and deduced 10 theorems deduced from them as the necessity of geometric order. As a result, it is proved that the four feelings defined as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is coherent with the method of sage learning. ‘Lival(理發)’ is the clear thinking and learning of Li. However, fundamentally different from the four feelings, the seven feelings defined as ‘Kival-i-Lisengji(氣發而理乘之)’ proved to be contrary to the method of sage learning. ‘Kival(氣發)’ is not the clear thinking and learning of Li. Therefore it is certain that the four feelings in Toegye’s sage learning is thinking and learning but the seven feelings is not thinking and learning. Based on these geometric conclusions, this paper understands the theory for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epitomized by Toegye’s sage learning as the feelings epistemology. That is why the four feelings and the seven feelings epitomized by Toegye’s sage learning cannot be explained by feelings(四端) that are morally good and feelings(七情) that are not morally determined. Furthermore, there is no distinction between ideal(四端) and realistic(七情) feelings. According to the conclusion of this article, all feelings exist in the necessity of Li-Ki(理-氣) causality. In this necessity of Li-Ki(理-氣) causality, all feelings(情氣) exist with their own Li(情理) as the necessity of their own nature, and exist only according to the necessity of that nature. This way of understanding on feelings based on thinking and learning was encapsulated into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by Toegye. In so far as we think and learn all feelings with this method all feelings are perfect and good in itself. Therefore it is the four feelings that thinks and learns all feelings by the method for the sage learning, but it is the seven feelings that does not think and learn all feelings in that manner. As thinking and learning about feelings, the core of the four feelings is, above all, clearly and distinctly recognizing the necessity of feelings in the Li-Ki (理-氣) causality. All feelings(情氣) inherently have the necessity of one's own nature(情理), which exists only according to this nature. Based on the Li(理)-Ki(氣) necessity of feelings, this article defines Toegye’s four feelings(四端) as the science of feelings, i.e 情理學. Therefore, the truth of feelings, from eternity to eternity, is originally the four feelings explained by ‘Lival-i-Kisuji(理發而氣隨之).’ .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