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방자치단체 인권의 제도화에 대한 연구

        서재호 ( Seo Jae-ho ),이정훈 ( Lee Jung-hoon ) 한국지방행정연구원 2018 地方行政硏究 Vol.32 No.4

        이 논문은 지방자치단체 인권의 제도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실증분석을 통해 규명하였다. 지방자치단체 수준에서 인권의 제도화 여부와 제도화 수준에 대한 영향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이산형 및 순서형 로지스틱 회귀모형을 설정하고 분석을 실시했다. 분석결과 지방자치단체 인권 제도화 여부에 대해서는 진보성향 단체장, 인권취약계층의 규모, 도시형 자치정부로서 자치구 더미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인권 제도화 수준에 대해서는 진보성향의 지방의원의 비율, 인권취약계층의 규모가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됐다. 특히 인권취약계층의 규모의 영향력의 크기는 진보성향의 단체장이나 진보성향 지방의원의 비율보다 더 큰 것으로 확인됐다. 실증분석 결과는 지방정부의 제도화 요인에 대한 기존 연구의 한계를 보완하면서, 지방자치를 통한 지방정부 정책의 다양화를 확인해 주었다. 또한 인권취약계층의 영향력이 큰 것으로 나타난 결과는 정치적 신념에도 불구하고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환경을 고려했을 때 지방자치단체의 인권 제도화를 추진할 필요성이 높다는 점을 시사했다. This article is trying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human rights through empirical analysis in local government. In order to analyse the factors, a discrete and ordinal logistic regression model was established and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e analysis showed that the political belief of mayor of local government, the size of the vulnerable citizen as to the human rights, and the type of local government effect on whether the human rights was institutionalized or not in local government. Regarding the level of human rights institutionaliza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 of progressive local council members and the size of the vulnerable citizen had a significant impact. In particular, the size of the vulnerable citizen as to the human rights was found to be larger than the ratio of progressive council members of local government or mayor. The results of the empirical analysis supplemented the limitations of existing research on institutionalizing factors on local government, confirming the diversification of local government policies through local autonomy. Also, the influence of the underprivileged suggests that despite political beliefs, local governments need to push ahead with human rights system, considering the policy environment of local governments.

      • KCI등재

        국내 공동체(커뮤니티) 연구에 대한 종합적 메타분석과 행정학에 대한 함의

        서재호(Seo, Jae-ho) 서울행정학회 2012 한국사회와 행정연구 Vol.22 No.4

        Many researchers have turned to communities for solutions to new problems caused by the radical industrialization and informatization of our society. However, previous community research according to academic discipline (i.e., sociology, geology, local development and engineering), and as such was not based on common conceptual and theoretical foundations, instead focusing on different aspects of communities.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in particular, community research did not gain momentum, despite the increasing importance of community as a tool for solving social problems. This paper makes recommendations for community research in the field of public administration, through explorative meta-analysis on the community studies. The analysis results reveal that papers focusing on community are still rare in public administration compared to other fields, they used qualitative methods more than quantitative approaches to methodology, and more descriptive studies have been published rather than theoretical studies. These results imply that in order to vitalize community study in public administration, a theoretical approach is required, and quantitative research focusing on theoretically constructed variables should be conducted.

      • KCI등재

        공기업 운영의 실태와 과제

        서재호(Seo, Jae-ho) 서강대학교 법학연구소 2012 법과기업연구 Vol.2 No.2

        Public enterprises is a mass enterprise group which takes 17% of GDP of Korea and it hired around 75,000 person. The traits of public enterprises pursuits publicness and profits of operation together, and produce public goods and services to citizens by harmonize these opposite values. Explaining theories of public enterprises systematically this paper analyzes the reality of operation of this firms and proposes several recommendations to solve problems which these organizations faced. By analyzing dats of the information disclosure system of public enterprises from 2007 to 2011, this paper discovered that the debt ratio in total assets increased sharply since 2007 and operating profits did not increased continuously though profits increased continuously and the number of the hired decreased continuously since 2007 under the reason of reform. By analyzing the reality of operation, this paper proposes three recommendations; frist, rationalize managerial system of public enterprise. second, guarantee the autonomy of runs business of the organization. third, intervene aggressively the allocation of operating profits by the government to control moral hazard of the firms.

      • KCI우수등재

        지방정부의 가치지향으로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

        서재호 ( Jae Ho Seo ),김혜정 ( Hye Jeong Kim ),이승종 ( Seung Jong Lee ) 한국행정학회 2012 韓國行政學報 Vol.46 No.1

        이 논문은 지방정부의 목적이자 가치지향인 ``주민 복리``가 무엇인지를 밝히기 위하여 지역공동체에서 생활하는 개인의 영역을 포괄하면서 지방정부라는 지역공동체의 수준까지 확장된 ``커뮤니티 웰빙`` 개념의 활용을 제안하였다. 과거 지방정부의 가치에 대한 연구는 존재가치를 직접적으로 다루기보다는 공공서비스의 전달 혹은 분배의 효과를 평가하는 과정에서 평가기준과 관련되어 간접적으로만 논의되었고, 서로 다른 가치들 간에 동일한 결과를 상이하게 바라보는 등 가치간의 충돌문제도 나타났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가치지향을 주민의 복지와 웰빙의 측면에서 접근하는 커뮤니티 웰빙 개념을 제시하였다. 관련 이론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커뮤니티 웰빙의 기본적인 개념요소로 ``사회경제적, 문화환경적 조건영역, 시민의 참여 또는 임파워먼트영역, 지방정부 또는 공동체의 활동영역``을 발견하였고, 그 수준도 개인수준과 공동체에 대한 개인의 인식에서 공동체 자체의 수준까지 포괄적인 것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커뮤니티 웰빙 개념이 공동체의 목표를 설정하는 기능을 수행하면서 이러한 목표를 얼마나 달성했는지를 평가하는 과정으로서 기능을 수행하기도 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This paper proposes the use of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to determine citizen welfare, which is the goal of local government. Former studies on the value orientation of local government handled this topic indirectly, and they omitted some important values and did not handle some conflicts between values well. Taking this into account, we proposed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as a new value orientation in local government. On the basis of the literature review, we determined three factors that make up the concept of community wellbeing: socioeconomic, cultural and environmental condition of community, citizen participation and empowerment, local government, and public service. Community wellbeing can be used as a criterion for community goal setting and the process that evaluates local govern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