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모바일 웹소설 UI 연구

        서재인(Jane Seo),최용순(Yongsoon Choi) 한국HCI학회 2017 한국HCI학회 학술대회 Vol.2017 No.2

        본 연구는 네이버와 코미코에서 제시된 웹소설 UI 디자인에대한 평가 정도가 사용자의 가독성, 몰입도, 선호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해 진행되었다. 네이버와 코미코가 제시한 웹소설의 새로운 UI 디자인 요소 중 캐릭터 이미지, 말칸, 캐릭터 이름 총 세가지로 분류하여 각각의 디자인 평가 정도가 독자의 웹소설 선호도, 몰입도, 가독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측정하고자 한다. 실험에서는 두 가지 조건의 텍스트를 구성하여 모바일로 지문을 읽고 설문에 응답하도록 진행하였다. 실험 결과 UI 디자인에 대한 평가 정도가 사용자의 선호도, 가독성, 몰입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 KCI등재

        디지털 게임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캐릭터 분석

        서재인(Jane Seo),한혜원(Hye-Won Han) 한국게임학회 2021 한국게임학회 논문지 Vol.21 No.1

        본 연구는 디지털 게임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캐릭터의 신체 이미지와 게임 플레이를 통해 형성되는 유목적 주체를 분석했다. 유목적 주체란 복합적이고 단일하지 않은 정체성을 지닌 주체로 포스트휴먼 정체성으로 나타난다. 최근 디지털 게임에서 포스트휴먼 신체를 가진 캐릭터가 나타나고 있으며, 플레이어가 캐릭터를 직접 조작하는 과정에서 포스트휴먼을 직접적으로 경험하게 된다. 포스트휴먼 캐릭터의 신체 이미지는 이상화된 신체를 모방하는 유형, 절합을 통해서 신체를 변형하는 유형, 장비를 통해서 신체를 확장하는 유형으로 구분된다. 플레이어는 게임의 제약 아래 선택을 통해서 분기형 서사를 진행해 나가면서 윤리적 정체성을 구축하게 된다. This paper analyzed the body images of the posthuman characters in digital games and the nomadic subjects formed through gameplay. Nomadic Subject is the subject with a complex and non-single identity that appears as a posthuman identity. The player experiences posthuman subject directly in the process of controlling characters. Body images of posthuman characters are categorized into three types that imitate idealized bodies, deform the bodies through articulation, and extend the bodies through equipment. The player builds ethical identity by making choices under the constraints of the game.

      • KCI등재

        수집형 모바일 게임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구조 분석

        서재인(Seo, Jane)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2022 만화애니메이션연구 Vol.- No.66

        본 연구의 목적은 수집형 모바일 게임에서 나타나는 트랜스미디어 구조를 살펴보고 캐릭터 기반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이 확장되는 양상을 확인하는데 있다. 다인원 캐릭터를 수집하여 육성하는 수집형 모바일 게임은 플레이어의 소유욕을 자극하기 위해 트랜스미디어를 활용한다. 모바일 플랫폼 중 수 집형 RPG 게임의 대표 타이틀인 <그랑블루 판타지>, <페이트/그랜드 오더>, 그리고 <쿠키런: 킹덤>을 대상으로 각각 트랜스미디어로 활용된 캐릭터를 추출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먼저 캐릭터의 생성 패턴을 확인할 수 있는 오쓰카 에이지의 캐릭터 이론과 빌렘 플루서의 코드화 이론을 활용하여 캐릭터의 요소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캐릭터는 추상적인 캐릭터의 특징인 모티브가 동일하여도 조합되는 구체적인 요소의 변화에 따라 창발적으로 나타나며 이는 일종의 코드로서 작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코드로 나타나는 캐릭터는 상호매개적 특징을 보이며 이는 캐릭터 자체가 트랜스미디어를 통해 확장될 수 있는 요건이 된다. 이를 바탕으로 각 캐릭터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 구조를 마리-로르 라이언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이론을 적용하여 각각 곁가지가 있는 중앙매개 형, 말미잘 형, 선로 전환형으로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쿠키런: 킹덤>에서 주로 나타난 중앙 매개 형은 이름 그대로 중앙의 선이 이야기세계의 메인 우주가 되어 여러 미디어나 텍스트들로 분산되어 있었던 이야기세계가 중앙의 우주와 상호작용하면서 일부 편입되거나 융합하게 되는 유형이다. <페이트/그랜드 오더>에서 나타난 말미잘 형은 중앙에 메인 우주에서 다양한 하위 우주로 반복적으로 펼쳐지는 형태로 각 노드들을 통해 중앙으로 언제든 접근이 가능한 구조이다. <그랑블루 판타지>에서 나타난 선로 전환 형은 각각의 동등한 개별 우주들이 존재하고 트랜스미디어로 통해 이동되는 노드들의 관계를 그려내고 있다. 수집형 모바일 게임의 트랜스미디어 스토리텔링 구조를 분석한 본 연구를 통해 앞으로 트랜스미디어 캐릭터 창작에 참고할 수 있는 실제적인 방법론으로 확대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transmedia structure that appears in collectible mobile games and to verify the expansion of character-based transmedia storytelling. Collectible mobile games that collect multi-person characters utilize transmedia to stimulate players’ desire to possess. The research was conducted by extracting characters used as transmedia from the representative titles of mobile character games, 〈Granblue Fantasy〉, 〈Fate/Grand Order〉, and 〈Cookie Run: Kingdom〉. First, the elements of the character were examined using Eiji Otsuka’s character theory and Villen Flusser’s code theory, which can identify the character’s pattern. As a result, it was verified that even if the motif, which is a abstract characteristic of the character, is same,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 appear creatively according to the change of specific elements to be combined, and this acts as a kind of code. Characters appearing in code show intermediation characteristics, which is a requirement for the character itself to be expanded through transmedia. Based on this, it was identified that the transmedia story structure of each character was shown as vector with side-branches, sea-anemone, and track-switching by applying Marie-Laure Ryan’s transmedia storytelling theory. The ector with side-branches, which mainly appeared in〈Cookie Run: Kingdom〉, is a type in which the central line becomes the main universe of the storyworld, and the storyworld, which was distributed in various media or texts, interacts with the central universe, partially incorporating or converging. The sea-anemone type shown in〈Fate/Grand Order〉 is a structure that repeatedly spreads from the main universe to various sub-universe in the center, allowing access to the center at anytime through each node. The track-switching type shown in〈Granblue Fantasy〉 depicts the relationship between nodes that exist and move through transmedia. Through this study, which analyzes the transmedia storytelling structure of collectible mobile games,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expanded to practical methodologies that can be referenced for creating transmedia characters in the future.

      • KCI등재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