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지표 특성 변화에 대한 평형온도의 반응 연구 : EBM 연구

        서예원,추정은,하경자,Seo, Ye-Won,Chu, Jung-Eun,Ha, Kyung-Ja 한국제4기학회 2010 제사기학회지 Vol.24 No.2

        Energy Balance Model (EBM) was used to experiment the distribution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which responds to external forcing associated with the surface characteristics.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is calculated as sum of incoming solar radiation and latitudinal transport is balanced with outgoing infrared radiation. To treat incoming solar radiation, the source of the earth energy, significantly for energy balance, the experiment for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istribution was performed considering the energy balance with the latitudinal albedo change as well as land and sea distribution. In addition, linear albedo change experiment, arctic albedo 5%, 10%, 15% change experiments and the opposite albedo change experiments between arctic and mid-latitudes were performed using incoming solar radiation as an external forcing. Moreover, with and without ice-albedo feedback experiments were performed. Increasing of arctic albedo is blocked out the incoming solar radiation so that it induces decreasing of latitudinal heat transport. It is strengthened energy transport from low latitudes by keeping arctic low energy states. Therefore the temperature change in the mid-latitudes exhibits larger response than that of arctic due to the difference of transport. The land which has lower heat capacity than sea can be reach to equilibrium temperature shortly. Also land is more sensitive to temperature change with respects to albedo. Thus it induces the thermal difference between land and sea. As a result, the equilibrium temperature exhibits differently as the difference of albedo and heat capacity which are the one of surface characteristics.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ecreases as albedo increase and the ratio of temperature change is large as heat capacity is small. The decreasing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with respects to increasing of linear albedo is accelerated by ice-albedo feedback. However local change of surface equilibrium temperature decreases non-linearly. 지표 특성 차이에 따라 외부강제력에 대한 차별적인 반응을 보이는 지표 평형온도 분포를 실험하기 위해 에너지 균형 모형(Energy Balance Model, EBM)이 사용되었다. EBM은 입사되는 복사에너지가 각 위도별로 수송되는 에너지와 방출되는 복사에너지의 합과 균형을 이루었을 때의 온도를 산출한다. 지구의 에너지 원천인 태양복사에너지를 전지구 에너지 균형에 있어 중요하게 취급하기 위하여 위도별 알베도 변화뿐만 아니라 해륙의 분포 차이에 따른 에너지 균형을 고려한 지구 평형온도 분포에 관한 실험이 수행되었으며, 입사되는 태양복사에너지량을 강제력으로 하여 위도별 알베도의 선형적인 증감, 극지역 알베도의 5%, 10%, 15% 증감에 대한 반응, 극과 중위도 지역에서의 상반된 증감에 대한 반응을 실험하였다. 그리고 얼음-알베도 피드백의 유무에 대한 실험도 수행되었다. 극지역의 알베도를 증가시키면 입사되는 태양에너지를 차단시켜 위도별 열수송을 감소시키는데 이는 극지역을 저에너지 상태로 유지시킴으로써 저위도에서부터의 에너지 수송을 강화시킨다. 이러한 수송량의 차이로 인해 중위도 지역의 온도 변화는 극지역에 비해 크게 나타난다. 육지는 해양에 비해 열용량이 작기 때문에 평형온도에 도달하는 시간이 짧으며 알베도에 따른 온도변화에 민감하여 해양과의 온도차이를 유발시킨다. 따라서 평형온도는 지표가 가지는 특성인 알베도와 열용량의 차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나며 알베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고 열용량이 작을수록 변화율이 큰 특징이 있다. 얼음-알베도 피드백은 알베도의 선형적인 증가에 따른 지구 평형온도의 감소를 가속화시키지만 국지적으로는 비선형적인 감소를 보인다.

      • KCI등재

        휴식간격 동안 수면 유무에 따른 워밍업 감소 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3

        휴식간격 후에 나타나는 수행 역동성을 예측하기 위해 제시된 Newell et al(2009)의 BPL 모형은 운동과제의 연습 후 휴식을 취하는 동안 항상 수행을 감소시키는 워밍업 감소 작용이 일어나고 그 효과는 휴식 간격의 길이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고 예측하였다. 그러나 BPL 모형은 휴식간격의 어떤 요인들이 그리고 어떻게 워밍업 감소 효과를 결정하는지에 대해 구체적인 설명과 예측을 제공해주지 않았다. 이 문제를 규명하기 위해 본 연구는 휴식간격 동안 취한 수면 유무에 따라 워밍업 감소 효과가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조사하였다. 24명의 피험자들은 수면과 무수면 집단으로 나누어 골프퍼팅을 연습하였다. 수면집단은 연습시행을 실시한 후 야간 수면이 포함된 12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그 다음날 검사 시행을 실시하였다. 무수면 집단은 연습시행을 실시한 후 12시간의 깨어있는 휴식을 취한 후 같은 날 검사시행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두 실험집단은 동등한 간격의 휴식을 취했음에도 불구하고 서로 다른 워밍업 감소 효과를 나타냈다. 즉, 무수면 집단은 검사 시행에서 유의하게 감소된 수행을 나타냈다. 반면 수면 집단은 그러한 수행감소 효과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 결과에 따르면 워밍업 감소 효과를 일으키는 변인은 BPL 모형의 예측과는 달리 단순히 휴식간격의 길이가 아닌 깨어있는 휴식에 보내어진 시간 길이인 듯 보인다. 휴식간격에 포함된 수면은 기억의 공고화 작용을 일으켜 깨어있는 휴식으로 인한 워밍업 감소 효과를 줄여주는 것처럼 보인다. Newell et al(2009)`s BPL model suggests that warm-up decrement on short time scale is at work during the rest period after a practice session. The amount of warm-up decrement depends on the length of rest period.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test the prediction of BPL model on the effect of length of rest period. Specifically, we examined how the sleep during the rest period influenced warm-up decrement in a practice of a golf putting skill. Twenty-four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75 balls in the practice phase and 15 balls in the test pha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wo test groups according to sleep during 12-hr rest period. In the sleep group subjects practiced a practice session at 9 p.m. and were tested at 9 a.m. next day. The no sleep group performed a practice session at 9 a.m. and was tested at 9 p.m. The no sleep group revealed significant performance decrement at the test phase. However, the sleep group did not show significant warm-up decre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significant warm-up decrement effect is determined by the awake rest period not by the overall rest duration. The sleep included during the rest period appears to takes a role in reducing warm-up decrement by providing a memory consolidation effect.

      • KCI등재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 학습효과를 최대화하기 위해 어떻게 제공되어야 하는가?

        고영규 ( Young Gyu Ko ),서예원 ( Ye Won Seo ),곽연희 ( Yeon Hee Gwak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4

        동영상 피드백의 효과를 조사한 선행연구들의 결과에 따르면 동영상 피드백이 긍정적인 학습효과를 발생시키기 위해 학습자에게 단독으로 제공되어서는 안 되고 주의집중 단서, 오류수정 정보, 전문가 모델 동영상 등과 함께 결합되어 제공되어야 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운동학습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동영상 피드백을 어떻게 제공해야 하는지 규명하기 위해 위 요인들의 결합된 효과를 조사 하였다. 구체적으로 선행연구들이 가장 효율적인 동영상 피드백 제공방법으로 제시한 ‘오류수정 정보+학습자 동영상’ 제공조건에 언어적 주의집중 단서와 전문가 모델 동영상이 부가될 때의 학습효과를 조사하였다. 40명의 피험자들은 네 가지 동영상 피드백 제공집단으로 나누어 땅볼 인사이드 축구 패스를 연습하였다. 24시간 후에 실시된 파지검사 결과, ‘오류수정 정보+학습자 동영상’ 조건에 주의집중 단서가 부가되었을 때 학습효과는 다르게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전문가 모델 동영상이 추가로 제공되었을 때 학습효과는 가장 우수했다. 부가된 전문가 모델의 동영상은 학습자에게 오류탐지를 위한 견본으로 사용된 것처럼 보인다. 또한 전문가 모델 동영상은 관찰학습 효과와 신체분절의 상대동작 정보를 제공하여 동작 폼의 습득을 더 용이하게 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동영상 피드백에 오류수정 정보가 결합될 경우 주의집중 단서의 추가적 제공은 불필요 한 것처럼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mobile phone video feedback should be delivered to learners to maximize the motor learning effect. Specifically, we investigated the effect of video feedback(VF) combined with error-correcting information(EI), attention-focusing cues(AC) and expert model video(EMV). The to-be-learned task was an inside-of-the-foot soccer accuracy pass.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kicking form and pass accuracy. Forty-six fema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experimental groups according to what factors were combined with a video feedback; 1) control, 2) EI+VF, 3) EI+AC+VF, and 4) EI+AC+EMV+VF groups. All participants practiced 10 trials without any information during a practice phase and 40 trials with video feedback during an acquisition phase. A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24 hours later. The results indicated that all video feedback groups displayed better learning effect than the control group. The EI+AC+EMV+VF group exhibited better learning effect compared with other video feedback group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video feedback should be combined with EI+AC+EV to maximize learning effect. However, attention-focusing cues are redundant when error-correcting information was presented. Adding expert model video to video feedback seems to facilitate the detection of movement error by providing a template for evaluating kinematic features of video feedback.

      • KCI등재
      • SCOPUSKCI등재

        한우(韓牛) 말초혈액내(末梢血液內) rosette 형성세포(形成細胞)의 효소화학적(酵素化學的) 염색성(染色性) 비교(比較)

        김연수,송희종,김순재,서예원,Kim, Nyeun-su,Song, Hee-jong,Kim, Sun-jae,Seo, Ye-won 대한수의학회 1997 大韓獸醫學會誌 Vol.37 No.1

        Peripheral blood mononuclear cells(PBMNC) of Korean native cattle rosetted with Korean goat erythrocytes(KGRBC) and blood monocytes were evaluated for four cytochemical reactions such as acid phosphatase(ACP), alkaline phosphatase-anti-boby(ALP-Ab), ${\alpha}$-naphthyl butyrate esterase(${\alpha}$-NBE) and peroxidase. The results obtained were as follows; In rosetted cells, the positivities of ACP in E AET-DeX, EA and EAC were 70.3%, 22.4% and 25.2%, those of ${\alpha}$-NB were 27.4%, 44.2% and 79.8%, and those of ALP-Ab were 9.5%, 88.3% and 91.5%, respectively. Whereas, the positivity for Peroxidase in monocytes was 100%. In non-rosetted (remained) cells, the positivities of ACP in E AET+DeX. EA and EAC were 41.4%, 57.2% and 61.9%, those of ${\alpha}$-NB were 38.6%, 16.5% and 18.9% and those of ALP-Ab were 98.2%, 5.3% and 6.3%, in order.

      • KCI등재

        휴대폰이 운동기술 학습을 위한 동영상 피드백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을까?

        고영규 ( Young Gyu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4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ether a mobile phone can be a video feedback tool for the learning of multiple-degrees-of-freedom movements. For this purpose it was investigated whether an instruction method through a mobile phone video feedback has better learning effect than the traditional instruction method. Specifically, transitional information(TI)+video feedback(VF) condition was compared with TI+instructor`s demonstration(D) condition. Thirty four participants threw a ball with left hand as long as possible 75 times a day for two days. A retention test was administered 24 hours later.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throwing form and throwing distance. The results indicated that the TI+VF group showed better form rating score than the TI+D groups during a 24-hr retention test as well as a practice phase. In throwing distance the TI+VF group threw the ball longer than TI+D group, although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ce. These results suggest that a mobile phone can be an effective video feedback tool for improving motor learning. The video feedback provided with transitional information induces a positive learning effect by facilitating the search for coordination solution as well as increasing cognitive effort and motiv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휴대폰이 운동학습 현장에서 학습효율을 높이기 위한 동영상 피드백 제공도구로 활용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검증하는데 있었다. 검증을 위해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을 사용한 지도방법이 전통적 지도방법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갖는지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전이적 정보(TI)+동영상 피드백(VF)이 제공된 조건과 전이적 정보(TI)+지도자 시범(D)이 제공된 조건들의 학습효과를 비교하였다. 24명의 피험자들은 두 지도조건으로 나누어져 왼손으로 공 던지기를 하루 75회씩 2일간 150회 연습하였다. 24시간 후에 실시된 파지검사 결과, 동작 폼 점수의 경우 TI+VF 집단은 TI+D 집단보다 유의하게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동작결과를 나타내는 던진 거리의 경우 TI+VF 집단은 유의함에는 미치지 못했지만 TI+D 집단보다 더 우수한 파지수행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휴대폰이 동작기술의 지도 현장에서 피드백 제공 도구로 활용될 수 있음을 나타낸다. 전이적 정보가 주어진 후 보강된 휴대폰 동영상 피드백은 학습자에게 협응해법을 찾도록 안내해주는 정보속박으로 작용하는 것처럼 보인다. 또한 학습자의 인지적 노력과 동기를 증가시켜 학습효과를 높여주는 것처럼 보인다.

      • KCI등재

        원문 : 골프퍼팅 과제의 연습시간을 오전, 오후, 야간으로 배분할 때의 학습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서예원 ( Ye Won Seo ),곽연희 ( Yeon Hee Gwak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3 체육과학연구 Vol.24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하루 중 동작기술을 오전 또는 오후에 1회만 연습할 경우,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2회 연습할 경우, 또는 오전, 오후, 야간으로 분산하여 3회 연습할 경우 전체 연습시행 수가 모두 같다면 어느 연습조건이 가장 우수한 학습효과를 부여하는지 조사하는데 있었다. 36명의 피험자들은 세 연습조건에 무작위로 배치되어 골프퍼팅 과제를 연습하였다. 1회 연습집단은 150회의 시행을 오전 또는 오후에 집중하여 실시하였다. 2회 연습집단은 오전에 75회를 실시하고 5시간의 휴식간격 후 오후에 다시 75회를 실시하였다. 3회 연습집단은 오전에 50회, 5시간 후인 오후에 50회, 그리고 다시 5시간 후인 야간에 50회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세 연습집단들은 연습단계는 물론 10분과 24시간 후에 실시된 파지검사에서 유의한 차이를 드러내지 못했다. 이 결과는 하루 중 연습을 통해 학습효과를 높이기 위해 연습시간을 오전, 오후, 야간으로 분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을 나타낸다. 오히려 연습효율을 고려할 때 연습시간을 오전, 오후, 야간으로 분산하는 것보다 집중하여 1회만 연습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유의하지 않은 집단차이는 연습시간들 간 간격에 의해 분산연습 효과가 발생되기 위해 휴식간격 동안 수면에 의존한 기억 공고화 작용이 필요한 것처럼 보인다. 즉, 분산연습 효과는 연습시간들을 하루 안에 분산할 때는 발생되지 않고 야간 수면이 포함된 휴식간격으로 분산하여 여러 날에 걸쳐 연습할 때에만 유의한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이점을 확증하기 위해 부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distributing practice across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sessions on learning of a golf putting skill. Thirty-six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groups that differed in the number of practice session performed in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In the one session group participants practiced once in the morning or afternoon. The two session group practiced the first practice session in the morning and 5 hours later the second practice session in the afternoon. The three session group practiced three times at intervals of 5 hours in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The practice groups revealed no difference during the practice phase and 10-min and 24-hr retention tests. These results indicate that distributing the practice sessions across the morning, afternoon, and evening does not benefit motor learning. Rather, considering learning efficiency massing practice sessions is more efficient. than distributing. If the present results came from sleep-dependent consolidation process, the practice sessions should be distributed across days not within a day for learning benefit. If the present results was resulted from wake-based consolidation process, the interval between the practice sessions should be longer for a sufficient consolidation process. However, more detailed study is needed to clarify whether the present results are the effects of wake-based memory consolidation or sleep-dependent consolidation process.

      • 틸팅열차 운용효율화 방안 연구

        장재승(Jang Jae-Seung),정도원(Jung Do-Won),김명수(Kim Myeong-Su),원용환(Won Yong-Hwan),서예원(Seo Ye-Won) 한국철도학회 2009 한국철도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Vol.2009 No.11월

        KORAIL is planning to induce EMU(Electric Multi Unit) at the speed of 180㎞/h as an alternative of Saemaeul train(PP;Push-Pull) which is disappearing in 2012 according to the crapped trains out of date and the development of the area around Yong San train station. Accordingly, Korean Tilting Train eXpress(TTX) localized in 2013 has achieved the operation test of 100,000 ㎞ non-accident safely so far, and is continuously scheduled to go through an efficiency test and improvement of train in the future. This study scrutinized the proper manufacture settings of train by making preparation for TTX' import and operation, the whole economy efficiency by analyzing the operational cost such as operating revenue, labor cost, maintenance cost, and power equipment cost in accordance with the introduction of TTX. Therefore, we'd like to maximize the effectiveness of importation and operation of TTX by performing the study on decreasing the operation cost when TTX is working on.

      • KCI등재

        연습시간들 간 휴식간격에 의한 기억 공고화와 분산연습 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심리학회 2013 한국스포츠심리학회지 Vol.24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기억 공고화 이론에 비추어 분산연습에서 연습시간들 사이에 제공된 휴식간격의 길이가 골프퍼팅 과제의 수행과 학습에 어떻게 다르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하는데 있었다. 36명의 피험자들은 골프퍼팅을 두 연습시간으로 나누어 240회 연습하였다. 120회 시행의 첫 번째 연습시간을 마친 후피험자들은 무휴식, 5시간, 또는 야간 수면이 포함된 24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120회의 두 번째 연습시간 시행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24시간 후에 60회의 파지검사 시행이 주어졌다. 분석 결과, 24시간 휴식집단은 휴식을 마친 직후 실시한 두 번째 연습시간의 초기시행에서 무휴식 집단보다 더 크게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뿐만 아니라 파지검사에서도 24시간 휴식집단은 무휴식 집단보다 더 우수한 학습효과를 나타냈다. 반면 5시간 휴식집단은 두 번째 연습시간의 초기시행과 파지검사에서 무휴식 집단과 유의한 차이를 드러내지 못했다. 이 결과는 연습시간들을 하루 안에 분산하여 실시하는 것보다 24시간 간격으로 여러 날에 걸쳐 연습하는 것이 학습에 더 효과적이라는 선행연구들의 주장을 지지하는 것처럼 보인다. 그러나 본 연구의 24시간 휴식집단이 나타낸 분산연습의 효과가 수면에 의한 공고화 작용 효과인지 아니면 휴식간격의 길이에 의한 공고화 작용 효과인지는 아직 명확하지 않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length of a rest period interpolated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on performance and learning of a golf putting skill. Thirty-six participants were asked to putt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120 balls in the first practice session and 120 balls in the second practice session.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three rest groups that differed in the length of a rest period (no rest, 5, and 24 hr) between two practice sessions. The 24-hr rest group revealed a significant improvement in putting performance after a rest period. The 5-hr rest group also showed improved performance but the difference did not reach a significance. In 24-hr retention test the 24-hr rest group revealed significantly better learning than the no rest group. However, the 5-hr rest groups did not show significant learning benefit relative to the no rest group. These results seem to support the suggestion of previous studies that spacing practice sessions across days results in enhanced performance and learning compared to spacing practice sessions within a day. However, it is not clear yet whether the significant learning effect observed in 24-hr rest group is attributable to the length of a rest interval (i.e., wake-based consolidation process) or to a night of sleep (i.e., sleep-based consolidation process).

      • KCI등재

        골프퍼딩 연습에서의 오프라인 학습 효과

        고영규 ( Young Gyu Ko ),고하나 ( Ha Na Ko ),서예원 ( Ye Won Seo ) 한국스포츠정책과학원(구 한국스포츠개발원) 2012 체육과학연구 Vol.23 No.4

        이 연구의 목적은 골프퍼팅 과제를 연습한 후 취한 휴식시간이 워밍업 감소와 오프라인 학습 효과를 유발하는지 조사하는 것이었다. 48명의 피험자들은 120회의 연습단계 시행을 마친 후 즉시, 1시간, 5시간 또는 24시간의 휴식을 취한 후 검사단계 시행을 실시하였다. 동일한 실험과제와 절차를 사용한 선행연구(고영규 등, 2011)에서 휴식집단들은 20회의 검사시행 동안 향상된 수행을 보이지 않고 워밍업 감소만을 나타냈다. 이 연구는 검사단계의 초기시행에서 발생하는 워밍업 감소 효과를 감안하여 검사단계 시행을 60회로 늘려 일시적인 워밍업 감소 시행 후에 드러날지 모르는 오프라인 학습 효과를 조사하였다. 분석결과, 검사단계의 초기 20회 시행 동안 즉시 검사집단을 제외한 모든 휴식집단들은 연습단계의 종기 국면보다 더 저조한 수행을 나타냈다. 그러나 검사단계의 나머지 40회 시행 동안 휴식집단들은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1시간 그리고 5시간 휴식집단들이 나타낸 수행향상의 크기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야간 수면을 취한 24시간 휴식집단은 유의하게 향상된 수행을 나타냈다. 이 결과는 연습을 마치고 휴식을 취하는 동안 짧은 시간 범위에서 수행을 감소시키는 일시적인 워밍업 감소와 그리고 비교적 느린, 실제로 수행을 향상시키는 기억의 공고화 작용이 일어나고 있음을 나타낸다. 이처럼 이 연구의 결과는 골프퍼팅 과제의 학습은 연습 동안뿐만 아니라 휴식을 취하는 동안에도 일어날 수 있음을 나타낸다. 골프퍼팅의 연습에서 오프라인 학습 효과는 5시간 이하의 휴식기간 동안에는 유의하지 않다. 그러나 연습 후 야간 수면을 동반한 24시간의 휴식을 취할 경우 그 효과의 발생 확률은 유의하게 높아진다. This study examined an warm-up decrement and off-line learning effect by investigating the effect of length of a rest period after a practice session of a golf putting. Forty-eight subjects putted the ball as close to the target as possible. The performance score represented actual distance (in cm) from the target. Participants putted 120 balls in a practice phase and 60 balls in a test phase. Participa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one of four test groups that differed in the length of rest period (immediate, 1, 5, and 24 hrs). The experimental results indicated that during the initial 20 trials of the test phase all the rest groups showed reduced performance relative to the performance level during the last 40 trials of a practice phase. However, the groups showed improved performance during the last 40 trials of test phase. The performance improvement in 1-hr and 5-hr rest groups was not significant, but was significant in the 24-hr rest group.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memory consolidation process occurs during the rest period after the practice of a golf putting task, leading to an off-line learning. The off-line learning effect does not occur when the period of rest is less than 5 hr but can occur reliably after a 24-hr rest with anight of slee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