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EPG 파형과 감로 분비, 미세절편 관찰로 해석된 애멸구의 벼 섭식행동

        서보윤,권윤희,정진교,김길하,Seo, Bo Yoon,Kwon, Youn-Hee,Jung, Jin Kyo,Kim, Gil-Hah 한국응용곤충학회 2016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5 No.4

        DC-EPG 시스템을 활용하여 애멸구(Laodelphax striatellus) 암컷 성충이 벼를 섭식하는 동안 발생되는 전기적 신호를 기록하고 분석하여, 벼멸구에서 보고된 것(Seo et al., 2009)과 같은 방식으로, np, L1, L2, L3, L4-a, L4-b, L5의 7 개 EPG 파형으로 구별하였다. 파형들의 모양과 발생 패턴은 벼멸구(Nilaparvata lugens)와 매우 유사하였고, L4-b의 직전에는 반드시 L3와 L4-a가 연속된 순서로 나타났다. 감로는 L4-b에서 주기적으로 분비되었다. 레이저 stylectomy 후 섭식부분의 미세절편을 관찰한 결과, 애멸구 구침의 끝이 L3와 L4-a, L4-b에서는 벼의 체관부 근처 또는 체관부에서 관찰된 반면, L5에서는 물관부에서 관찰되었다. 레이저 stylectomy로 L4-b에서 잘려진 애멸구 구침의 절단부로부터 유일하게 벼수액이 용출되었고, HPLC로 분석된 수액 안의 당 성분으로 식물의 체관부 탄수화물 이동태인 설탕(sucrose)만이 검출되었다. 이상의 관찰 결과와 애멸구의 EPG 파형 전개 과정 분석을 통해, L1과 L2는 관다발 도달 전에 발생하는 구침을 찌르고 타액 분비가 동반된 구침의 이동 행동으로, L3와 L4-a는 체관부에서 섭식을 위해 사전에 준비하는 과정으로, L4-b는 체관부 수액을 흡즙하는 행동으로, 마지막으로 L5는 물관부에서 형성되는 섭식행동으로 벼멸구와 유사하게 결론지었다. Consistent with a previous study on the brown planthopper Nilaparvata lugens (BPH) (Seo et al., 2009), we identified seven distinct EPG waveforms (np, L1, L2, L3, L4-a, L4-b, and L5) in adult female Laodelphax striatellus (SBPH) that fed on rice plants, by using the direct current electrical penetration graph (DC-EPG) system. The shape of waveforms and the pattern of occurrence of each waveform of SBPH were very similar to those of BPH. L3 and L4-a always occurred prior to L4-b. Periodical honeydew excretion was observed in L4-b only. Microsection observation following laser stylectomy revealed that the tips of SBPH stylets severed in L3, L4-a, and L4-b were commonly located in or near the phloem region of rice plants, but were located in the xylem in L5. Plant sap flowed from the stylets severed in L4-b only, and its main carbohydrate component was detected as sucrose by HPLC analysis. These results and the patterns of EPG waveform progress in SBPH suggested that feeding activities on rice plant tissue were relevant to each EPG waveform. L1 and L2 corresponded to the initiation of stylet penetration and stylet movement with salivation on the outside of the vascular bundle. L3 and L4-a were related to feeding activities within the phloem region in preparation for phloem sap ingestion. L4-b was closely associated with phloem sap ingestion, and L5 corresponded to xylem feeding behavior.

      • KCI등재

        멸구과 8종의 ITS2 DNA 염기서열 비교 분석과 고리매개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한 벼멸구 특이 진단법

        서보윤,박창규,고영호,정진교,조점래,강찬영,Seo, Bo Yoon,Park, Chang Gyu,Koh, Young-Ho,Jung, Jin Kyo,Cho, Jumrae,Kang, Chanyeong 한국응용곤충학회 2017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6 No.4

        멸구과(Delphacidae) 8종의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DNA 염기서열로 종간 차이 추정값을 비교하고 분자계통수를 추론하였다. ITS2 DNA 염기서열 길이는 종(species)마다 550 bp (흰등멸구)에서 699 bp (겨풀멸구)까지 차이를 보였다. 같은 Nilaparvata 속의 겨풀멸구와 벼멸구붙이 사이의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d{\pm}S.E.$)은 $0.001{\pm}0.001$로 가장 낮았으며, 사슴멸구와 일본멸구 사이는 $0.579{\pm}0.021$로 가장 높았다. 벼멸구와 다른 멸구류들과의 종간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은 $0.056{\pm}0.008$ (겨풀멸구)에서부터 $0.548{\pm}0.021$ (일본멸구)로 구분되었다. 반면, Neighbor-joining 방법으로 추론된 분자계통수에서는 겨풀멸구와 벼멸구붙이를 제외하고 나머지 멸구류들은 독립된 다른 그룹으로 분지되었다. 벼멸구의 ITS2 염기서열을 참고하여 벼멸구 특이 고리매개등온증폭(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프라이머 4 세트(BPH-38, BPH-38-1, BPH-207 및 BPH-92)를 제작하였다. 이들 각각을 벼멸구, 흰등멸구 및 애멸구의 게놈 DNA와 $65^{\circ}C$에서 60분간 반응시켰을 때, 벼멸구 시료에서만 증폭 산물들이 관찰되었다. BPH-92 LAMP 프라이머 세트로 $65^{\circ}C$에서 벼멸구 DNA의 양(0.1 ng, 1 ng, 10 ng, 100 ng)과 반응시간(20분, 30분, 40분, 60분)을 달리하여 형광반응을 관찰하였을 때, 20분과 30분 반응에서는 100 ng 까지에서도 발광여부 구별이 어려웠다. 그러나 40분 반응에서는 10 ng 이상에서, 60분 반응에서는 0.1 ng 이상에서 발광여부가 명확히 구별되었다. Estimates of evolutionary sequence divergence and inference of a phylogenetic tree for eight delphacid planthopper species were based on the full-length nucleotide sequenc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region. Size of the ITS2 DNA sequence varied from 550 bp in Sogatella furcifera to 699 bp in Nilaparvata muiri. Nucleotide sequence distance ($d{\pm}S.E.$) was lowest between N. muiri and N. bakeri ($0.001{\pm}0.001$), and highest between Ecdelphax cervina and Stenocranus matsumurai ($0.579{\pm}0.021$). Sequence distance between N. lugens and other planthoppers ranged from $0.056{\pm}0.008$ (N. muiri) to $0.548{\pm}0.021$ (S. matsumurai). In the neighbor-joining phylogenetic tree, all planthoppers were clustered separately into a species group, except N. muiri and N. bakeri. The ITS2 nucleotide sequence of N. lugens was used to design four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imer sets (BPH-38, BPH-38-1, BPH-207, and BPH-92) for N. lugens species-specific detection. After the LAMP reaction of three rice planthoppers, N. lugens, S. furcifera, and Laodelphax striatellus, with the four LAMP primer sets for 60 min at $65^{\circ}C$, LAMP products were observed in the genomic DNA of N. lugens only. In the BPH-92 LAMP primer set, the fluorescence relative to that of the negative control differed according to the amount of DNA (0.1 ng, 10 ng, and 100 ng) and incubation duration (20 min, 30 min, 40 min, and 60 min). At $65^{\circ}C$ incubation, the difference was clearly observed after 40 min with 10 ng and100 ng, but with a 60-min incubation period, the minimum DNA needed was 0.1 ng. However,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fluorescence among all DNA amounts tested with 20 or 30 min incubations.

      • KCI등재

        ITS2 rDNA 염기서열 분석을 통한 Trichogramma 속(벌목: 알벌과)의 조명나방 알기생벌에 대한 종 추정

        서보윤,정진교,박기진,조점래,이관석,정충렬,Seo, Bo Yoon,Jung, Jin Kyo,Park, Ki Jin,Cho, Jum Rae,Lee, Gwan-Seok,Jung, Chung Ryul 한국응용곤충학회 2014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3 No.3

        옥수수 포장에서 발생하는 Trichogramma속 조명나방 알기생벌의 종 분포를 조사하기 위해 채집된 알기생벌로부터 핵내 ITS2 DNA 전체 염기서열 정보를 해독하였다. 그리고 종 구별을 위한 참고정보로 NCBI GenBank에 등록된 Trichogramma속 60종의 ITS2 전체 염기서열을 확보하여 비교하였다. 국내 채집 알기생벌은 ITS2 DNA 길이와 3' 말단 염기서열 패턴에 따라 3개 그룹(K-1, -2, -3)으로 구분되었다. 국내 채집 그룹 내 염기서열 차이 추정값(Evolutionary distance, d)은 0.005 이하로 그룹 간 비교 시 d 값(${\geq}0.080$)보다 낮았다. 그룹 및 GenBank 등록 종 간 비교시 K-1은 T. ostriniae, K-2는 T. dendrolimi, K-3은 T. confusum과 d 값이 각각 0.016, 0.001, 0.002로 가장 작았다. 추론된 분자계통수에서 K-1은 T. ostriniae, K-2는 T. dendrolimi와 각각 분지되었으나 K-3는 T. confusum, T. chilonis, T. bilingensis와 함께 분지되었다. NCBI BLAST 결과에서도 K-1은 T. ostriniae와 K-2는 T. dendrolimi와 99% identity를 보였다. 그러나 K-3의 홍천 채집 기생벌들은 T. confusum, T. chilonis와 99-100% identity를 보였지만, 고창 채집 기생벌은 T. bilingensis, T. confusum, T. chilonis와 98% identity를 보였다. 이상의 분석 결과 본 연구에서 채집된 알기생벌 K-1과 K-2는 각각 T. ostriniae와 T. dendrolimi, 단일한 종으로 추정되었으나 K-3는 ITS2 정보만으로 종을 추정하기 어려웠다. To identify the species of Trichogramma occurring in the corn fields of Korea as egg parasitoids of Ostrinia furnacalis, we sequenced the full-length of ITS2 nuclear rDNA from 112 parasitoids collected during this study. As a reference to distinguish species, we also retrieved full-length ITS2 sequences of 60 Trichogramma species from the NCBI GenBank database. On the basis of the size and 3'terminal sequence pattern of the ITS2 sequences, the Trichogramma samples collected in this study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K-1, -2, and -3). Evolutionary distances (d) within and between groups based on ITS2 sequences were estimated to be ${\leq}0.005$ and ${\geq}0.080$, respectively. In the net average distance between groups or species, the d value between K-1 and T. ostriniae, K-2 and T. dendrolimi, and K-3 and T. confusum was the lowest, with values of 0.016, 0.001, and 0.002, respectively. In the phylogenetic tree, K-1 and K-2 were clustered with T. ostriniae and T. dendrolimi, respectively. However, K-3 was clustered with three different species, namely, T. confusum, T. chilonis, and T. bilingensis. NCBI BLAST results revealed that parasitoids belonging to K-1 and K-2 showed 99% identity with T. ostriniae and T. dendrolimi, respectively. Parasitoids in K-3 collected from Hongcheon showed 99-100% identity with T. confusum and T. chilonis, and one parasitoid in K-3 collected from Gochang had 98% identity with T. bilingensis, T. confusum, and T. chilonis. On the basis of these results, we infer that the species of Trichogramma collected in this study are closely related to T. ostriniae (K-1) and T. dendrolimi (K-2). However, it was not possible to distinguish species of K-3 using the ITS2 sequence alone.

      • KCI등재

        고리매개등온증폭법(LAMP)을 이용한 흰등멸구 특이 판별법

        서보윤,박창규,정진교,조점래,이관석,김광호,Seo, Bo Yoon,Park, Chang Gyu,Jung, Jin Kyo,Cho, Jumrae,Lee, Gwan-Seok,Kim, Kwang-Ho 한국응용곤충학회 2018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7 No.4

        고리매개등온증폭법(LAMP)으로 흰등멸구를 특이적으로 구별해낼 수 있는 프라이머 세트(WBPH-65)가 핵내 ITS2영역의 전체염기서열(KC417469.1)을 바탕으로 설계 제작되었다. WBPH-65는 총 6개의 프라이머, F3 (18 bp), B3 (18 bp), FIP (43 bp), BIP (40 bp), LF (21 bp), LB (25 bp)로 구성되는데, 전체 합한 길이가 165 bp이다. WBPH-65를 흰등멸구, 벼멸구 및 애멸구의 게놈 DNA와 $65^{\circ}C$에서 60분간 고리매개등온증폭 반응시켰을 때, 흰등멸구 시료에서만 증폭 산물들이 관찰되었다. $65^{\circ}C$에서 WBPH-65와 흰등멸구 게놈 DNA의 양과 반응시간을 달리하여 형광반응을 관찰하였을 때 40분 반응에서는 10과 100 ng DNA에서, 60분 반응에서는 0.01, 0.1, 1, 10, 100 ng DNA에서 발광여부가 명확히 구별되었다. 그러나 20분과 30분 반응에서는 준비된 모든 DNA 양에서 발광여부 구별이 어려웠다. 한편, WBPH-65에서 LF와 BF 프라이머를 뺀 경우 60분 반응에서는 벼멸구, 애멸구 뿐만 아니라 흰등멸구의 게놈 DNA에서도 발광되지 않았다. 본 연구 결과로부터 WBPH-65가 60분 이내 반응에서 흰등멸구를 특이적으로 구별하기 위해서는 6개의 프라이머가 모두 필요하며 최소한 벼멸구와 애멸구를 구별해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A loop-mediated isothermal amplification (LAMP) primer set (WBPH-65) was designed for the species-specific detection of white-backed planthopper (WBPH) Sogatella furcifera based on the full-length sequence of the internal transcribed spacer 2 (ITS2) (KC417469.1). The WBPH-65 primer set consists of six primers (total 165 bp), F3 (18 bp), B3 (18 bp), FIP (43 bp), BIP (40 bp), LF (21 bp), and LB (25 bp). After the LAMP reaction of three rice planthoppers, S. furcifera, Nilaparvata lugens, and Laodelphax striatellus, with the WBPH-65 primer set for 60 min at $65^{\circ}C$, the LAMP products were observed in the genomic DNA of S. furcifera only. According to the DNA amount of S. furcifera and incubation duration at $65^{\circ}C$, the difference of fluorescence relative to the negative control (0 ng) was clearly observed in a 40-min incubation with 10 and 100 ng or in case of 60-min incubation with 0.01, 0.1, 1, 10, and 100 ng. There was little difference in fluorescence between the negative control and all the other DNAs tested in 20- and 30-min incubations. On the other hand, the WBPH-65 primer set without LF and LB primers showed little amplification in the genomic DNAs of the three rice planthoppers, S. furcifera, N. lugens, and L. striatellus in a 60-min incubation. These results suggest that all six primers (F3, B3, FIP, BIP, LF, and BF) are necessary for the WBPH-65 primer set to detect S. furcifera within a 60-min incubation, and is able to discriminate S. furcifera from at least N. lugens and L. striatellus.

      • KCI등재

        성페로몬을 이용한 열대거세미나방 포획과 시토크롬 옥시다제 1(CO1)에서 종내 변이군 특이적 단일염기다형성 분포

        서보윤,정진교,이관석,양창열,조점래,김양표,Seo, Bo Yoon,Jung, Jin Kyo,Lee, Gwan-Seok,Yang, Chang Yeol,Cho, Jumrae,Kim, Yang Pyo 한국응용곤충학회 2020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9 No.3

        2019년에 서남해안 지역인 고창군의 옥수수 밭 주변에서 성페로몬을 이용하여 열대거세미나방(Spodoptera frugiperda) 성충을 효과적으로 모니터링하는 방법을 조사하였다. 총 함량이 300 또는 1000 ㎍인 2종류 성분 조성의 성페로몬 미끼[(100%) (Z)-9-tetradecenyl acetate and (2%) (Z)-7-dodecenyl acetate]를 설치한 깔대기형 트랩과 델타형 트랩 중에서 열대거세미나방은 300 ㎍ 미끼의 깔대기형 트랩에서 8월 6일에 처음 잡혔고 가장 많이 포획되었다. 또한 깔대기형 트랩 모두에서 비표적 종인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Mythimna loreyi)이 많이 포획되었다. 총 함량이 1000 ㎍인 위의 2종류 성분 조성과 4종류 성분 조성의 미끼[(100%) (Z)-9-tetradecenyl acetate, (8%) (Z)-11-hexadecenyl acetate, (2%) (Z)-7-dodecenyl acetate, and (1%) (Z)-9-dodecenyl acetate]를 설치한 날개형 트랩에서 열대거세미나방은 비슷한 수준의 낮은 포획수를 보였으나 뒷흰가는줄무늬밤나방은 4종류 성분 조성의 미끼에서 훨씬 더 많이 포획되었다. 성페로몬 트랩에 포획된 열대거세미나방 70마리의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제 1(CO1)의 부분염기서열(1,004 bp)을 이용하여 계통수를 분석한 결과, 두 개의 종내 변이군으로 나눠졌으며 66마리가 CO1-RS로, 나머지 4마리는 CO1-CS로 분지되었다. 또한 두 개의 CO1 변이군과 기주식물계통(벼, 옥수수)에서 일관되게 차이가 있는 총 12개의 CO1 단일염기다형성(SNP)이 확인되었으며, 전체 73마리 중 4마리만 CO1-CS 그룹(옥수수계통 포함)과 동일한 패턴을 보였으며 나머지 69마리는 CO1-RS그룹(벼계통 포함)과 같았다. In 2019, the sex pheromones of Spodoptera frugiperda were used to examine moth trapping in cornfields in Gochang, Korea. Four types of traps were prepared, two funnel-types and two delta-types, each baited with 300 or 1000 ㎍ of a two-component (2C) blend of synthetic sex pheromones [100% (Z)-9-tetradecenyl acetate (Z9-14Ac) and 2% (Z)-7-dodecenyl acetate (Z7-12Ac)]. The greatest number of S. frugiperda were captured in the 300 ㎍ funnel-type trap (first catch: August 6). Large numbers of Mythimna loreyi (a non-target) were also caught in the funnel-type traps. Two wing-type traps were baited with 1000 ㎍ of the 2C blend or a four-component (4C) blend [100% (Z)-9-tetradecenyl acetate, 8% (Z)-11-hexadecenyl acetate (Z11-16Ac), 2% (Z)-7-dodecenyl acetate, and 1% (Z)-9-dodecenyl acetate (Z9-12Ac)] and the capture efficiency was assessed. Low numbers of S. frugiperda were captured regardless of the blend, and more M. loreyi were captured using the 4C blend. The two intraspecies groups clustered separately in a phylogenetic tree constructed using partial sequences (1004 bp) of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1 (CO1). Of the 70 S. frugiperda captured in the pheromone traps, 66 belonged to CO1-RS (CO1 rice-strain) and 4 to CO1-CS (CO1 corn-strain). Twelve consistent single nucleotide polymorphisms (SNPs) were identified in CO1 between the CO1-RS and CO1-CS groups of S. frugiperda. Of the 73 S. frugiperda, 4 had the same SNP pattern as the CO1-CS group (including the corn strain) and 69 had the same SNP pattern as the CO1-RS group (including the rice strain).

      • KCI등재

        미토콘드리아 COI 영역의 뉴클레오티드 서열 차이를 이용한 팥나방과 어리팥나방의 PCR 판별법

        서보윤,정진교,조점래,김용균,박창규,Seo, Bo Yoon,Jung, Jin Kyo,Cho, Jum Rae,Kim, Yonggyun,Park, Chang Gyu 한국응용곤충학회 2012 한국응용곤충학회지 Vol.51 No.4

        The two closely related major leguminous crop pests in Korea, Matsumuraeses phaseoli and M. falcana (Lepidoptera: Tortricidae) have very similar morphological characters, which occasionally give rise to a failure in distinguishing between the two. In this study, we report an easy PCR-SSP method to distinguish between them, with a sequence specific primer set (P-SF2, F-SF3, and C-SR3) based on single nucleotide mismatch in 3' terminal base of a primer, which is found in the mitochondrial cytochrome c oxidase subunit I DNA (mtCOI). Through application of this method, each species may be clearly identified in terms of its PCR band size and pattern, only one band (245 bp) for M. falcana and one (409 bp) or two bands (409 bp & 245 bp) for M. phaseoli. 콩과(Fabaceae) 작물 해충인 팥나방(Matsumuraeses phaseoli)과 어리팥나방(M. falcana) (나비목: 잎말이나방과)은 형태적으로 매우 유사하여 종 구별이 힘든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서는 PCR-SSP(PCR with Sequence Specific Primers) 방법으로 두 종을 빠르고 정확하게 구별할 수 있는 판별법을 찾고자 두 종의 미토콘드리아 시토크롬 옥시다제 I(mtCOI) DNA 부분영역(439 bp)의 염기서열을 해독하였다. 그리고 다른 나방 종의 mtCOI 염기서열과 함께 나열하여 비교한 후 팥나방과 어리팥나방에서 종 특이적으로 차이가 나는 단일 뉴클레오티드를 프라이머의 3' 말단으로 하는 염기서열 특이 프라이머 조합을 만들었다. PCR 산물들을 전기영동 한 결과, 어리팥나방은 245 bp, 팥나방은 409 bp와 245 bp의 특이적 밴드 패턴을 보여 두 종을 구별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초등학교에서 외톨이 아동을 위한 또래 지원 방법의 개발과 그 효과

        서보윤 ( Bo Yun Seo ) 한국초등교육학회 2007 초등교육연구 Vol.20 No.3

        본 연구는 초등학교에서 외톨이 아동을 돕기 위한 또래 지원법을 개발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초등학교 아동의 상호작용 빈도를 측정할 수 있는 또래 상호작용 평가 척도를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포항시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5, 6학년 212명(남자 110명, 여자 102명)을 조사 대상으로 하였다. 또래 상호작용 평가 척도를 요인 분석한 결과 정서적 상호작용, 도구적 상호작용, 교내에서의 동반적 상호작용, 교외에서의 동반적 상호작용의 4요인으로 나누어졌다. 또한, 상호작용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사회성 측정 검사에서 긍정적인 지명수가 많은 반면, 부정적인 지명수는 적게 나타났다. 그리고 상호작용이 많은 집단이 적은 집단보다 외톨이 점수, 우울감, 불안감, 적대감, 편집증의 점수가 낮게 나타났다. 연구 2에서는 또래 협력아가 외톨이 아동을 도울 때 사용하는 또래 지원 목록을 개발하고 3명의 사례를 통해서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그 결과 세 명의 아동은 상호작용 빈도가 모두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사회성 측정 검사에서도 부정적인 지명수가 1/2이상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peer support method to help isolated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 Research 1 aimed at developing peer interaction rating scale that will be able to measure interaction frequen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212 students(Male 110, Female 102) in Pohang of grade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The result factor analysis was classified in 4 factor; emotional interaction, instrumental interaction, companion interaction in the school, companion interaction from school outside. Also, the high interaction group received a higher affirmative nomination than the low interaction group, while the low interaction group received a higher negative nomination than the high interaction group in the sociometric test. More, the high interaction group was lower isolated score, depression, anxiety, hostile feeling than the low interaction group. The aim of research 2 was to develop peer support list to help isolated students and to verify the effects through cases study in elementary school. The result was showed the tendance where the interaction frequency increased at the three cases, while negative nomination diminished above 1/2 in the sociometric test.

      • KCI등재
      • KCI등재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과 학습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

        서보윤(Seo Bo-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

        본 연구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을 매개로 하여 학습 지속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서 초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태도 척도를 개발하여 요인 분석한 결과, 과보호형, 방임형, 지도형의 세 요인이 추출되었다. 이 세 가지 부모의 양육태도가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 및 학습 지속성 척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토하였다. 조사 대상은 경북에 소재하는 2개 초등학교 187명(남자: 94명, 여자: 93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조사 시기는 2017년 12월 4일에서 12월 22일 사이에 이루어졌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지도형의 양육태도는 자기 주도적 학습 전략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과보호형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둘째,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은 학습의 지속성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지도형의 양육태도는 학습의 지속성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았고, 자기 주도적 학습전략을 매개로 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교사의 학부모 상담이나 부모의 자녀 교육 측면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how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fluence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and persistence of learning. For this, we developed the scale of parenting attitudes perceiv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ree types of guiding parenting type, neglect type, and overprotective type were extracted from factor analysi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87 elementary school students (94 male, 93 female) from two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Korea. The main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guiding parenting attitude directly influence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However, overprotect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Second,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 impact on the persistence of learning. Third, the guiding parenting attitude did not directly affect the persistence of learning, but indirectly through self-directed learning strategies.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can be meaningful for teachers to counsel students with parents or to educate parents.

      • KCI등재

        일본의 학교폭력 현황과 대책

        서보윤(Seo Bo-Yu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9

        목적 본 연구에서는 일본의 학교폭력의 현황과 대책에 대해서 분석하고 그 특징을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학교폭력 대응에 시사점을 얻고자 하였다. 방법 이를 위하여 2020년 일본 문부과학성에서 발표한 이지메 현황 및 기본 대책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그 결과 다음과 같은 네 가지 특징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초등학교에서 학교폭력 인지건수가 가장 많았다는 것이다. 일본의 경우 초등학교가 중, 고등학교보다는 학교폭력의 인지건수가 더 많았으며, 초등학교에서도 1-3학년이 4-6학년보다 더 많았다. 둘째, 일본은 학교폭력의 예방을 위해서 학교(혹은 학급) 내에서의 인간관계를 회복하고 집단 규범의식을 강조하는 경향이 있었다.셋째, 일본은 학교폭력의 조기 발견, 조기 대응을 강조하고 있다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학교폭력 대책을 살펴보면, 학교폭력의 사전예방과 사후 처리 2가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일본의 경우는 미연 방지, 조기 발견, 조기 대응, 중대 사태에 대한 대응과 같이 크게 4가지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그 중에서 특히 조기 발견과 조기 대응에 대해서 강조하고 있었다. 넷째, 중대한 학교폭력에 대해서 일반적인 학교폭력과 분리하여 대처하고 있었다. 일본의 경우는 ‘중대 사태에 대한 대처’라고 하여 자살, 심각한 심신의 상해나 금품의 손실을 끼쳤을 경우, 이지메로 인한 장기간 학생이 등교하지 않을 경우는 중대 사태로 규정하여 특별한 대처를 하고 있었다. 결론 일본의 학교폭력은 최근 5년간 조금씩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고 있었으며, 일본 문부과학성에서는 학교폭력의 방지를 위해서 미연 방지, 조기 발견, 조기 대응, 중대한 사태에 대한 대응의 4가지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대응하고 있었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present state and policy of school violence in Japan and to identify its characteristics. Methods To this end, the analysis was focused on the current situation and basic measures announced by the Japanes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in 2020. Results As a result, the following four characteristics were obtained : First, the number of school violence was the highest in elementary school. In Japan, school violence was more prevalent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secondary school, and 1-3 grades were more common in elementary school than in grades 4-6. Second, for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there was a tendency in Japan to place importance on human relationships within schools (or classes) and to emphasize the sense of group norms. Third, Japan is emphasizing early detection of school violence and early response. Fourth, serious school violence was dealt with separately from general school violence. In the case of Japan, suicide, serious physical or physical injury, or loss of money or valuables, or students not attending school for a long period of time, were considered a serious situation, and special measures were taken. Conclusions School violence in Japan has shown a tendency to increase little by little over the past five years,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Culture, Sports, Science and Technology (MEXT) in Japan responds specifically to the prevention of school violence, focusing on four main areas: prevention, early detection, early response, and response to serious situ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