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Nemonapride 및 Olanzapine 투여 후 정신분열병 환자의 혈장 Homovanillic Acid 농도의 변동

        변기욱,한규희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It has been postulated that dopamine (DA) is a key neurotransmitter in the pathogenesis of schizophrenia. The significance of plasma concentration of the major metabolite of DA, homovanillic acid (HVA), was investigated in this study. Sixteen patients with schizophrenia were enrolled after 2 week washout of neuroleptics. Plasma were taken before neuroleptic treatment, post-neuroleptic samplings were done at 2 week and 4 week point after neuroleptic treatment. Plasma HVA (pHVA) levels following nemonapride or olanzapine treatment were assayed by high pressure liquid chromatography with electrochemical detection. The pHVA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 week treatment with nemonapride, then the levels decreased after 4 week treatment. The pHVA levels increased significantly after 2 week treatment with olanzapine, then the levels continuously increased after 4 week treatmen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VA levels between nemonapride group and olanzapine group at starting point after neuroleptic washout, but pHVA levels of olanzapine group were significantly higher than those of nemonapride group at 2 week and 4 week point after treatment. The chronic treatment with nemonapride and olanzapine induced different changes in the dopaminergic system. Olanzapine is an atypical neuroleptics and nemonapride is regarded as typical neuroleptics. This finding suggests that different mechanism might be related to the antipsychotic effect of atypical neuroletpics in contrast to classical neuroleptics. The contribution of other neurotransmitter systems, possibly serotonin, GABA, or glutamate, may explain this differential finding. In the near future we will try to delineate this finding in extended research. DA의 주요 최종 대사 산물인 혈장 HVA의 변동이 약물에 대한 반응과 상관성을 가지고 있다는 연구 결과가 제시되었고 이를 확인하고자 하는 연구들이 진행되어 왔다. 16명의 정신분열병 환자를 대상으로 정형 항정신병약물인 nemonapride와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인 olanzapine을 투여한 후 혈장 HVA농도변화를 알아 보았다.16명의 정신분열병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2주간 항정신병약물의 투여를 중단한 후 오전 8시 공복상태에서 채혈하였다. 9명의 환자는 nemonapride를 처방하였고, 7명은 olanzapine을 처방하였다. 각각의 약물투여후 2주, 4주째에 다시 채혈하였다. 혈장 HVA 농도는 HPLC-ECD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Nemonapride투여군은 2 주후 증가하다가 4 주후 다시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olanzapine투여군은 투여 2주후 유의하게 증가한 후 투여 4주째에도 계속 증가하는 모습을 보였다. 약물에 따른 혈장 HVA농도를 비교했을 때, 비정형 항정신병약물인 olanzapine을 투여군은 전통적 항정신병약물인 nemonapride를 투여한 군보다 2주, 4주 모두에서 유의하게 높은 농도를 보였다. 본 연구결과로 미루어 nemonapride와 olanzapine은 DA계에 각기 다른 영향을 주는 것으로 생각된다. 이러한 차이점은 serotonin, GABA, glutatamate등의 다른 신경전달체계와 상호작용에 의해 나타나는 것으로 추정된다. 추후 연구에서 대상환자군을 확대하고, 연구 기간을 늘여 본 연구 결과가 재현성이 있는 지를 확인하고, 5-HIAA와 MHPG를 같이 측정하여 정신분열병의 생물학적 지표에 대하여 입체적으로 접근할 계획이다.

      • KCI등재

        항정신병약물을 투여 받은 정신분열병환자의 체중,BMI,및 혈장 Leptin 농도의 변화

        김재종,변기욱,김봉조,손진욱,박철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0 생물치료정신의학 Vol.6 No.1

        Objective : Weight gain is a major side elect of treatment with newer antipsychotics. The mechanism, however, of weight gain is poorly understood. Recent researches suggested that there is a positive relationship between the levels of plasma leptin and the weight gains of the schizophrenic patients receiving the antipsychotic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verify, firstly, the effect of the use of olanzapine and haloperidol on the weight gain, BMI, and the change of plasma leptin concentration and to find, secondly, whether there is any co-relationship between the plasma leptin level and the antipsychotic-induced weight gain. Method : 18 male schizophrenia inpatients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receiving olanzapine(N=8) or haloperidol(N=10) treatment and weight, BMI and plasma leptin level were measured weely over 5 weeks. Prior to the whole measurements, and patients were curtailed all diet from 21:00 of the previous day and the blood samples were collected at 8:00 and 8:15 in the morning. Results : In schizophrenic patients receiving olanzapine, significant increases in weight and BMI were found from the second week of medication, while those of the plasma leptin levels were shown from third week. In schizophrenic patients receiving haloperidol, no significant increases in the measurements were found for the 5 weeks of medication period. There was a close co-relationship between the plasma leptin concentration and the body weight increases. The weight gains were initiated from the second week of medication while the increases of plasma leptin concentration were started from the third week. The weight gains were followed by the continuative increases in plasma leptin levels for up to 5 weeks. Conclusion : Medication of olanzapine appears to be associated with an increase in weight, BMI, and plasma leptin level, whereas that of haloperidol does not. From the results observed the following suggestion could be made that most probable reason for olanzapine-induced increases in leptin levels are weight gain.

      • 알코올 의존 환자에서 금주시간에 따른 갈망 정도와 Leptin, ACTH, Cortisol 혈중 농도의 변화와 상관 관계

        김봉조,변기욱,한규희,손진욱,박철수,곽욱환 대한생물치료정신의학회 2002 생물치료정신의학 Vol.8 No.2

        연구목적: 알코올 의존의 발병과 재발의 원인에 관한 신경생물학적인 연구로서, 식이 장애의 원인으로 식욕의 조절과 관계되는 것으로 알려진 leptin이 알코올 갈망에 미치는 영향과 이들의 상관 관계에 관한 연구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금주 시간에 따른 혈중 leptin 농도와 갈망 정도의 변화를 알아보았다. 또한 시상하부-뇌하수체-부신축에 미치는 알코올의 영향을 알아보고, leptin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leptin on alcohol craving in patient with alcohol dependence. We investig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lasma leptin level and craving degree of patients with alcohol dependence according to abstinence duration. We also investigated effects of alcohol on hypothalamic-pituitary-adrenal(HPA) axis and relationships between plasma leptin levels and HPA axis.

      • KCI등재

        한국인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추적운동 이상과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유전자의 SNP A와 P1763 다형성의 연합에 대한 연구

        이창희,박병래,김령효,김동현,조숙현,박진수,김임렬,이인상,서한길,변기욱,김봉조,한규희,김기훈,신태민,신형두,우성일,Lee, Chang Hee,Park, Byung-Lae,Kim, Lyoung Hyo,Kim, Dong Hyeon,Cho, Sook Hyun,Park, Jin-Soo,Kim, Im-Yel,Lee, In-Sang,Seo, Han-Gil,Byun, 대한생물정신의학회 2006 생물정신의학 Vol.13 No.4

        목 적: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추적운동 이상은 유력한 생물학적인 지표이나 유전자적인 원인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지 못하였다. 최근 여러 연구들에서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dysbindin)이 정신분열병의 원인 유전자의 후보 유전자로서 시사되었으나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운동 이상의 원인으로 작용할 것인지에 대한 연구는 거의 없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DTNBP1 유전자상에 존재한 비교적 인접한 두개의 단염기 다형성들인 SNP A와 P1763이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추적운동 이상의 유전자적인 원인으로 작용할 것인지를 알아보고자 시행되었다. 방 법: 대상군은 217명의 입원한 만성 정신분열병 환자들이며 안구운동(SPEM)을 측정하였고, 신호/잡음의 자연대수 값(Ln S/N ratio)을 구하여 안구운동이 우수한 군과 열등한 군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대상군의 혈액에서 추출한 DNA로부터 DTNBP1 유전자상의 단 염기 다형성들인 SNP A와 P1763를 분석하여 유전자형과 대립인자형을 알아낸 후, 안구운동 이상 유무에 따른 두 군사이의 분포의 차이를 조사하였다. 결 과: 정신분열병 환자들 중 안구운동이 우수한 군의 신호/잡음의 자연대수 값(Ln S/N ratio)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4.39{\pm}0.33$이었고, 안구운동이 열등한 군의 신호/잡음의 자연 대수 값(Ln S/N ratio)의 평균과 표준편차는 $3.17{\pm}0.71$이었다. 두 군 사이에 나이나 성별비율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의미가 없었다. SNP A와 P1763의 유전자형과 대립인자형의 분포의 차이는 안구운동 이상 유무에 따라 구분한 두군 사이에 나타나지 않았다. 결 론: DTNBP1 유전자상에 존재한 SNP A와 P1763은 정신분열병 환자의 안구추적운동 이상의 유전자적인 원인으로 작용한다는 증거를 얻지 못하였다. Objectives : We investigated the association of SNP A and P1763 polymorphisms on dystrobrevin binding protein 1(DTNBP1) gene with smooth pursuit eye movement(SPEM) abnormality in Korean schizophrenic patients. Methods : We measured SPEM function in 217 Korean schizophrenics(male 116, female 101) and divided them into two groups, one is a good SPEM function group and the other is a poor SPEM function group. We then analyzed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from their DNAs extracted from their blood. We compared the differences of genotype and allele distributions of the two polymorphisms on DTNBP1 gene between the two groups. Results : The Ln S/N ratio(mean${\pm}$SD) of the good SPEM function group was $4.39{\pm}0.33$ and the ratio of poor SPEM function group was $3.17{\pm}0.71$.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f age and male/female ratio between the two groups.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of genotype or allele distributions of the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between the two schizophrenic groups divided by SPEM function. Conclusion : The results suggest that SNP A polymorphism and P1763 polymorphism on DTNBP1 gene might not be related to SPEM function abnormality in schizophren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