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의 인위적 차단과 유산소 훈련이 항산화 체계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 한국운동과학회 2002 운동과학 Vol.11 No.2

        백일영.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의 인의적 차단과 유산소 훈련이 항산화 체계 및 에너지 대사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제11권 제2호, 315-334, 2002.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간의 유산소 훈련과 전자전달 저해제인 rotenone 투여가 항산화 효소활성, 그리고 지질과산화 정도에 미치는 영향을 처치 그룹별로 비교하고, 전자 전달계의 저해에 의해 일어나는 에너지 기질의 이용변화 차이를 비교 연구하는데 있었다. 본 연구는 SD(Sprague-Dawley) 계열의 수컷 흰쥐 80마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모든 실험동물의 사육 및 훈련은 Y대학교 의과대학 실험 동물부의 사육실과 임상실험실에서 실시하였으며, 1주간의 환경 적응 기간 후, 8주간의 본 훈련을 주 5일씩 실시하였다. Rotenone 투여는 실험동물 1㎏당 2.5㎎을 올리브 오일에 녹여 zonde를 이용한 경구투여를 사용하였다. 채혈은 복부 대동맥의 동맥혈에서 실시하여, MDA, GPX, SOD, 젖산, 글루코스, 지방산을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그룹간, 시기간에 유산소 훈련과 전자전달 저해제 투여에 따른 항산화 효소, 지질 과산화, 에너지 대사의 변화형태 비교를 위해 반복 측정에 의한 이원 변량분석법(Tow-way Repeated Measurement of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Scheffe의 사후 검증법으로 평균치를 검색하였으며(p<.05),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안정시 혈중 MDA 농도는 rotenone 투여+훈련군과 rotenone 투여군이 통제군과 훈련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둘째, 혈중 젖산 농도는 운동직후 통제군과 rotenone 투여군, 그리고 통제군과 rotenone 투여+훈련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rotenone 투여군과 rotenone 투여+훈련군에서 안정시와 운동직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셋째, 혈중 글루코스 농도는 운동직후 rotenone 투여군과 훈련군, 그리고 훈련군과 rotenone 투여+훈련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p<.05), rotenone 투여군과 rotenone 투여+훈련군에서 안정시와 운동직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넷째, 혈중 지방산 농도는 운동직후 rotenone 투여+훈련군과 훈련군, 그리고 통제군과 rotenone 투여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전자 전달계 복합체 I을 차단하는 장기간의 rotenone 투여는 안정시 지질과산화를 증가시키고, GPX 및 SOD의 부분적인 증가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 할 수 있었으며, 훈련에 의한 항산화 효소 방어 체계의 긍정적인 효과도 GPX의 두 훈련 조건에서 나타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선행 연구들과 마찬가지로 rotenone의 장기간 투여는 젖산 축적과, 탄수화물 이용의 증가, 그리고 지방산 산화의 감소를 일으킬 수 있는 rotenone 투여의 특성을 나타내는 직접, 그리고 간접적인 증거들은 제시할 수 있었지만, 훈련에 의해 일어날 수 있는 기질 대사의 특성을 반영하는 증거는 본 연구의 실험 조건에서는 찾을 수가 없었다. 따라서 장기간의 rotenone 투여는 지질 과산화를 통한 세포의 손상을 일으키며, 일부 항산화 체계를 자극하는 효과도 있고, 에너지 기질의 이용을 탄수화물에 더 의존하게 할 조건을 제공하고 있으며, 훈련에 의해 이러한 효과가 일부 제한되고 있다는 결론을 내릴 수 있었다. Paik I.Y. The Effect of Artificial Inhibition of Mitochondrial ETC and Aerobic Training on Antioxidant System, and Energy Metabolism arose Science 11(2: 315-334, 2002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9 weeks swimming training and rotenone supplement on antioxidant enzyme activity, lipid peroxidation, and energy substrate changes in SD(Sprague-Dawley rat). Eighty male SD(six-week-old) were divided into four groups: control group(C), rotenone supplement group(S) training groupt(T), and rotenone supplement+training group(ST). Also, all of the groups divided into two sacrifice sub-group resting and exercise. All the rats had one week of adaptation period of experimental environments, and training group had one week of 15min swimming conditioning period The swimming exercise were proceed 5 times a week, and red intensified every week by acting 10min, and these lasted for 8weeks. According to the National Research Council in USA, rats were fed 2.5㎎/㎏/day rotenone. The Mood samples were drawn in the main artery of abdomen, and the blood was analyzed as lactate, glucose, FA, MDA GPX, and SCO. The results obtained ware analyzed via two-way repeated measurement of ANOVA using SPSS program.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resting, MDA level was significantly elevated in S and ST comparing with those in C and T(p<.05). After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 lactate level difference in C and S, and C and ST(p<.05). Also, lactate level between resting and after exercise in S and 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5). After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 glucose level deference in S and T, and T and ST(p<.05). Also, glucose level between resting and after exercise in S and ST was significantly different(p<.05). After exercise, there was significant free fatty acid level difference in ST and T, and C and S(p<.05). In conclusion, prolonged rotenone supplement inhibits mitochondrial ETC complex I, and increased lipid peroxidation in resting, also resulted some increase in GPX and SCO activity were found It was fond fat affirmative effect of antoxidant enzyme protection system by training was showed in two training groups. Also, this study offered the evidence that prolonged rotenone supplement increased lactate accumulation and carbohydrate use, and reduced FFA oxidation, but didn't showad a specific character of energy substrate metabolism changes by training Therefore prolonged rotenone supplement results in cell damage by lipid peroxidation and some effects en antioxdant enzyme system, and increase carbohydrate use as an energy substrate, and all these effects ware someway related and inhibited by training.

      • KCI등재

        유도선수들의 반복운동이 혈중 코티졸과 지질과산화 및 creatine kinase 활성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곽이섭,이문열 한국생명과학회 2004 생명과학회지 Vol.14 No.4

        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is to investigate the lipid peroxidation, creatine kinase activity and cortisol hormone levels following the training intensity in elite judo players. Six elite Judo players participated in the experiments (3h repetition judo program), which include stretching, judo skill practice and cool down without recess. Blood sampling were taken at the judo gymnasium at the time of resting, 1h training, 2h training, 3h training, 2h recovery, and 24h recovery time and this were analyzed for CK, MDA and Cortisol levels. The results obtained were analyzed via repeated measures of ANOVA using SPSS package program (ver.10.0) and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results from this study were as follows. In the CK levels, which reflect the contribution of creatine phosphate and muscle damage degree,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judo training in every period. Recovery 24h showed the highest level. In the MDA levels, which reflect lipid peroxid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after judo training. Recovery 2h showed the lowest level. In the cortisol hormone levels, which reflect stress status,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p<.05). In this study, we can conclude that For the trained athletes, MDA level was lower at the time of exercise compare to the other period, this is caused by the increased antioxidant defence mechanism.

      • KCI등재

        목질진흙(상황)버섯과 동충하초 투여가 운동 시 혈중 피로요인 변화와 항산화체계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한대석,박태선,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Han, Dae-Seok,Park, Tae-Sun,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p. Linteus and C. militaris supplement on lactate, phosphorous, ammonia, MDA(malondialdehyde), GPX(glutathione peroxidase) and TAS(total antioxidant status) following $VO_{2max}$, and 85% $VO_{2max}$ exercise. The 15 male college studen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5 P. liteus supplied(PL), 5 C. militaris supplied(CM), and 5 placebos supplied(PB) and compared the differences between supplement before and after. Obtained results were as follows: In the exercise performance time, there were no differences in PL, CM and PB groups. Regular supplement of P. linteus or C. militaris partially reduces fatigue induction factors. Also,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decreases MDA, increases GPX and TAS. Therefore, it can be concluded that P. linteus or C. militaris supplement not only have a pharmacological effect for clinical treatment, but also have a maintenance effects on the tissue oxidant-antioxidant system after exercise. 본 연구는 인체를 대상으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 투여 후 운동과 회복 중 피로유발 지연과 항산화 방어 효과를 규명하는데 목적이 있었으며, 남자 대학생 15명을 대상으로 목질 진흙버섯 투여군(PL), 동충하초 투여군(CM), 그리고 위약 투여군(PB) 등 세 그룹으로 나누어 6주간 해당음료 100ml/day을 구강으로 투여하였고, 투여 전과 후 운동수행에 따른 차이를 비교하였다. 분석결과 운동수행시간에는 차이가 없었지만, 운동수행에 따른 PL군과 CM군의 피로물질 축적이 부분적으로 감소됨을 보였으며, 지질과산화 생성량은 감소되었고, 항산화효소 활성은 향상됨을 나타냈다. 따라서, 목질진흙버섯과 동충하초는 임상치료 목적의 약리작용 뿐만 아니라, 운동 시 에너지 동원과 피로물질 제거, 그리고 조직의 항산화 방어 역량 향상에 효과가 있다고 사료된다.

      • KCI등재

        운동 전 BCAA, OKG 및 Albumin 가중 투여가 에너지 생성 물질과 대사관련 호르몬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곽이섭,서상훈,진화은,김영일,우진희,Paik, Il-Young,Kwak, Yi-Sub,Suh, Sang-Hoon,Jin, Hwa-Eun,Kim, Young-Il,Woo, Jin-Hee 한국생명과학회 2006 생명과학회지 Vol.16 No.6

        이상의 연구를 종합해보면, 장시간 운동시 BCAA 투여는 BCAA 산화시 발생되는 암모니아 등의 피로물질 축적에 의해 운동수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도 있으나, 체내 글루코스가 소진되어가는 시점에서 유용한 에너지원으로 기여 되어 운동수행에 도움이 될 수 있다고 보여진다. 또한 OKG나 알부민을 가중투여하면 크렙스 사이클의 중간물질로 또는 유리지방산 동원의 운반자로서 BCAA 단독 투여시 부정적으로 나타난 원인을 해결하여 운동수행에 긍정적 영향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그러나 운동과 BCAA, 그리고 내분비 체계와의 관계는 각 호르몬의 역할과 기능에 따라 도출되는 결론이 다를 수 있어, 앞으로 BCAA 대사와 관련된 효소반응 등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ation on energy metabolism and hormone changes in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5 male college students, and they took participated in each experiment. In each experiment (control, BCAA, BCAA+OKG, BCAA+albumin), the subject ran for 90 minutes on the treadmill. Blood was drawn and analyzed as glucose, FFA, ammonia, growth hormone, insulin, cortisol, $T_3$, and $T_4$.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via two-way repeated ANOVA using SPSS program.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concentration of glucose was the low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a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p<.05). In concentration of FFA,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imes of exercise and supplemented groups (p<.05). The concentration of blood ammonia was the lowest in the BCAA+albumin supplement group, and was the highest in the BCAA supplement group. Concentration of growth hormone, cortisol, $T_3$ and $T_4$ were in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and decreased after all exercise. But concentration of insulin was decreased as exercise progressed. In these results, BCAA and additional OKG or albumin supplement with BCAA may make better effect to the increasing energy generation and inhibiting protein degradation during prolonged submaximal exercise.

      • KCI등재

        장기간의 유산소 훈련과 Rotenone 투여가 Glycogen 및 효소 활성변화에 미치는 영향

        진화은,백일영 한국운동과학회 2003 운동과학 Vol.12 No.4

        진화은·백일영. 장기간의 유산소 훈련과 rotenone 투여가 glycogen 및 효소 활성 변화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2(4): 641-652, 2003. 본 연구는 장기간의 유산소 훈련과 전자전달 저해제인 rotenone 투여가 글리코겐 및 효소 변화 차이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비교분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 사용된 실험동물은 6주령외 SD(Sprague-Dawley) 계열 수컷 60마리로, 통제군(C), rotenone 투여군(R), rotenone투여 및 훈련군(RT)으로 구분하였다. 실험동물의 훈련은 수영훈련을 주 5일 실시하였으며, rotenone은 zonde를 이용한 경구투여 방법으로 9주간 주 5일 투여하였다. 간과 근육(비복근, 가자미근)을 샘플링하여 글리코겐, CS, β-HAD를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본 실험의 결과는 SPSS 통계 package를 이용하여, 글리코겐, CS, β-HAD의 변화 형태 비교를 위해 삼요인 분산분석법(Three-way ANOVA)을 이용하여 분석하었고, Tukey의 사후 검증법으로 평균치률 검색하였으며(p<.05),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비복근, 가자미근, 간에서의 글리코겐 농도 변화는 모든 실험조건(C,R,RT)에서 간의 C 그룹을 제외하고 운동시 감소하는 형태를 보였으며(p<.05), 안정시, 글리코겐 농도는 훈련 그룹인 RT가 가장 높은 농도를 나타났다. 비복근, 가자미근, 간에서의 CS 활성은 비복근과 가자미근에서, 안정시, RT,C,R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p>.05), 운동이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비복근, 가자미근, 간에서의 β-HAD활성 변화는 모든 실험조건에서 운동에 따라 증가하는 형태를 보였고(p<.05), 안정시, 훈련 그룹인 RT가 가장 높은 수치를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rotenone 투여가 전자전달계의 복합체 l 을 차단하여 글리코겐과 효소 활성을 감소시켰으나, 유산소 수영 혼련으로 인하여 골격근으로의 에너지 기질의 이동 및 산화적 역량이 증가하였으며, 그 결과 조직에서의 글리코겐 함량을 증가시켰고, 효소 활성도 또한 증진되었다. 그리고, rotenone을 투여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훈련으로 인하여 에너지 기질과 효소 활성이 증가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Jin, H.E., Paik, I.Y. The Effect of Aerobic Training and Rotenone Supplementation on Glycogen and Enzyme activity. Exercise Science, 12(4): 641-652, 20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 swimming training and rotenone supplement on level of glycogen and enzyme activity in SD(Sprague-Dawley). Sixty male SD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consisting of control group(C), rotenone supplement group(R), rotenone supplement and training group(RT). Training groups participated in a regular swimming training, and supplement groups were fed rotenone. At the end of the trial, the animal was killed and muscle and liver were taken and analyzed as glycogen, citrate synthase(CS) and β-hydroxyacyl CoA dehydrogenase(β-HAD). The obtained results were analyzed via three-way ANOVA using SPSS program. A value of p<.05 was considered statistically significant. The level of glycogen concentration in gastrocnemius, soleus and liver was decreased with exorcise(or.05), and in resting, RT was showed to be the highest level among groups. The level of CS activity in gastrocnemius, soleus was increased with exorcise and the order of resting CS activity was RT, C,R(p<.05). The level of β-HAD activity in gastrocnemius, soleus and liver was elevated with exorcise except group C in liver(p<.05). In conclusion rotenone supplementation inhibited complex I of electron transport chain(ETC) decreased level of glycogen and enzyme activity. Also, during aerobic swim training, energy substrate transport to skeletal muscle and oxidative capacity were Increased, so glycogen stores in tissues and enzyme activity Increased. And, despite rotenone supplementation, the result of this study showed energy substrate and enzyme activity increased.

      • KCI우수등재

        스포츠생리학 : 탄수화물 전해질 음료의 섭취가 장시간 고강도 운동 수행과 혈중 피로요소들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IlYoungPaik) 한국체육학회 1999 한국체육학회지 Vol.38 No.1

        본 연구는 더운 실험조건에서 최대산소섭취량의 85%로 30분간 트레드밀 운동을 통한 탈수 후, 세 가지의 서로 다른 수분공급 형태(비섭취(N), 물섭취(W), 탄수화물 전해질음료섭취(CE))를 각기 실시한 후, 계속해서 운동을 수행시켰을 때, 운동수행력, 혈장량, 그리고 혈중 피로요소들의 변화를 운동시와 회복기별로 비교 분석하여, 수분 흡수에 있어 탄수화물 전해질 함유 음료섭취의 효과를 규명하고,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피로유발 요소들의 변화를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다.본 실험은 주10시간 이상 정기적인 훈련 프로그램에 참가하고 있는 축구선수 1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운동수행력은 비섭취시 보다는 수분공급 후 증가되었으며, 물섭취 조건과 비교해서 CE음료섭취 조건에서 가장 크게 증가되었다. 혈장량에 있어서는 수분공급 직후와 운동 15분, 그리고 회복 30분 후, CE음료섭취 조건에서 비섭취와 물섭취시 보다 적은 감소를 보였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p>.05), 운동종료시 물섭취가 CE음료섭취보다 약간 낮은 혈장량 감소를 나타내었는데, 이는 상대적으로 짧은 운동시간 때문이었다. 혈중 젖산의 변화는 실험조건의 모든 시점에서 CE음료섭취시 가장 낮은 축적을 보였으며, 특히 운동 15분과 운동종료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혈중 pH의 변화는 회복 30분 후를 제외하고는 비섭취시 보다는 물섭취와 CE음료섭취 조건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운동 15분과 운동종료시 비섭취에 비해 음료섭취 조건들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p< .05), 물과 CE음료섭취 사이에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05). 혈중 무기인산의 변화형태를 보면, 모든 실험조건에서 탈수 후와 운동종료시에 가장 높은 수치를 보였으며, 수분공급 직후, 운동 15분, 그리고 운동종료시 CE음료섭취 조건에서 가장 낮은 수치를 나타내었다. 혈중 암모니아 변화는 비섭취와 물섭취, 그리고 CE음료섭취 조건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p<.05), 혈중 농도는 비섭취, 물섭취, 그리고 CE음료섭취순으로 낮게 나타났다. 직장온도의 변화는 운동 15분부터 운동종료시까지 비섭취, 물섭취, CE음료섭취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 .05), 회복률은 CE음료섭취 조건에서 가장 빨랐다. 심박수의 변화는 모든 실험시기에서 CE음료섭취시 가장 낮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 >.05).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는 CE음료를 섭취시킨 운동조건에서 운동수행시간이 가장 크게 연장되었고, 모든 생리적 피로 요인들의 축적과 변화형태도 비섭취나 물섭취시 보다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전해질 그리고 수분공급으로 인하여 혈장량과 세포의 전해질 농도를 적절한 수준으로 유지시켜줌으로써, 생리적 대사의 안정에 영향을 주었기 때문이라 사료된다. 또한, 보충된 탄수화물이 지방대사의 전자역할을 수행하여, 근육에 저장된 글리코겐 저하를 막고, 탄수화물의 보존과 피로물질들의 낮은 축적을 유도하는데 기여했을 것으로 본다. 따라서, 운동시 탄수화물 전해질음료의 충분한 섭취는 피로유발을 연장하고 운동수행을 증진시키는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s of three different methods(non supplement, water, and carbohydrate electrolyte(CE) drink) on exercise performance, plasma volume and physiological fatigue element(blood lactate, ammonia, inorganic phosphate, pH, and rectal temperature) changes by VO2max 85% treadmill exercise with dehydration. The subjects of the present study were 10 male college amateur soccer players who participated regularly in training programs for more than 10 hours per week. Each subject participated in four different exercise conditions; VO2max test, VO2max 85% test, VO2max 85% test with water supplement, and VO2max 85% test with CE drink supplement.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tinued until subjects stopped because of fatigue. Exercise performance capacity was expected to improve most highly with the CE drink supplement. CE drink supplement increased plasma volume levels most highly after rehydration, exercise 15min after supplementation and recovery,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pplement methods(p>.05). Blood lactate concentration levels were low during all times of CE drink supplement.Especi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during the 15min after supplement and at the end of the exercise(p<.05).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blood pH levels during exercise 15min after supplementation and at the end of exercise among the supplement methods(p<.05). Blood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levels were low during exercise and recovery periods in CE drink supplement. Similar to the blood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the blood ammonia levels were the lowest in the CE drink supplement, a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pplement methods(p<.05). As a response to the CE drink supplement, the rectal temperatures were significantly low from the beginning of the treatment to the end of exercise(p< .05). The heart rate patterns were low during all the time in CE drink supplement,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mong the supplement methods (p >.05).In this study, the longest exercise performance time was the CE drink supplement condition. All the physiological fatigue element accumulations or change patterns in the CE drink condition were lower than that of water or non supplement conditions. This means that electrolyte and fluid replacement by the CE drink supplement helps with better maintenance of plasma volume and electrolyte concentration within the cell. This maintenance of cell homeostasis will provide stabilized metabolic processes in the cell and decreased fatigue induction factors accumulation.Also, restored CHO may contribute to induce glycogen sparing, and improvement of the exercise performance. In conclusion, the CE drink supplement does not only increase exercise performance time, but also maintains cell homeostasis and delay fatigue occurrence during exercise. Therefore, CE drink supplement is the most efficient drink during 1-hour high intensive exercise in a warm environment.

      • KCI우수등재

        스포츠 생리학 : 운동전 Branched-Chain Amino Acids 와 탄수화물 가중 투여가 운동수행 및 피로에 미치는 영향

        백일영(IlYoungPaik) 한국체육학회 1997 한국체육학회지 Vol.36 No.4

        본 연구에서는 운동수행력에 연장 효과를 가져오는 탄수화물(CARBO-PAK)과 Branched-Chain Amino Acids(BCAA)를 각각 또는 복합 투여하여 운동시 탄수화물과 비교해서 BCAA의 에너지원으로서의 기여와 암모니아 형성을 분석하여 운동수행에 미치는 영향과 피로 요인으로서의 작용을 연구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고,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훈련군(10명)과 비훈련군(10명)을 대상으로 5가지(VO₂max, 75% max, 75% CHO, 75% BCAA 75% BCAA+CHO) 실험을 실시하였다.최대산소섭취량에 있어서는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p<.05), 운동시간에 있어서도 네가지 75% 실험조건중 75% CHO 조건에서 가장 긴 운동시간을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05). 혈중 젖산 농도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서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 .05), 네가지 75% 실험조건의 운동종료시 젖산 농도는 훈련군과 비훈련군 모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혈중 암모니아 농도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서 훈련군과 비훈련군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며(p<.05), 네가지 75% 실험조건의 운동종료시점에서는 훈련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으나(p< .05), 비훈련군에 있어서는 유의한 차이가 발견되지 않았다(p >.05). 혈중 무기인산염 농도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 있어서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지만(p>.05), 네가지 75% 실험조건들 사이의 운동종료시에는 훈련군과 비훈련군 모두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혈중 creatine kinase 농도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고(p >.05), 네가지 75% 실험조건들 사이의 운동종료시에 있어서는 훈련군에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p< .05), 비훈련군에게 있어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05). 혈중 pH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네가지 75% 실험조건들 사이의 운동종료시에도 훈련군과 비훈련군 모두에게 있어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 .05). 직장온도에 있어서는 VO₂max 측정시 운동종료시점에 훈련군과 비훈련군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 (p >.05), 네가지 75% 실험조건들 사이의 운동종료시에는 훈련군과 비훈련군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p<.05).본 연구에서는 탄수화물을 투여한 운동 조건에서 가장 긴 운동수행시간을 보였고, 암모니아 수치만 제외하고는 모든 생리적 피로 요인들의 축적과 변화 형태가 운동수행의 연장과 일치된 현상을 보여주었지만, BCAA를 투여한 2가지 실험 조건에서는 실험조건에 따라 운동수행의 효과가 달라졌을 뿐만 아니라 혈중 암모니아의 변화 형태도 실험조건에 따라 다른 변화를 보였다. 이것은 BCAA가 실험조건에 따라 운동수행에 기여하는 정도가 달라진다고 볼 수 있었다. 운동시 암모니아 축적은 운동강도, 체력수준, 근섬유 형태의 차이, 땀배출 능력에 따른 제거 차이에 의해서 다양한 형태를 보일 수 있기 때문에 훈련군과 비훈련군의 암모니아 축적을 같은 개념으로 비교해서는 안될것이며, 혈중 암모니아의 축적이 항상 단백질 대사를 반영한다고 볼 수도 없었다. 암모니아가 피로를 유발하는 요인으로서의 역할에 대해서도 아직은 많은 논점을 가지고 있으며, BCAA의 에너지기여와 암모니아의 피로 유발에 대해서는 더 많은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xercise performance time and physiological fatigue elements(blood lactic acid, ammonia, inorganic phosphate, pH, rectal temperature) changes following injection of BCAA and Carbohydrate supplementation conditions. The subjects of present study were divided into trained group(T) who were university rugby players(n=10) and untrained group(UT) who were university students(n=10). All subjects participated in VO<sub>2</sub>max test and four different experimental conditions which were ; 75% VO<sub>2</sub>max, 75% VO<sub>2</sub>max after BCAA injection, 75% VO<sub>2</sub>max after CHO supplementation, and 75% VO<sub>2</sub>max after CHO supplementation and BCAA injection. All the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continued until subjects stopped because of fatigue.In the VO<sub>2</sub>max test, there were significant VO<sub>2</sub>max differences between T(VO<sub>2</sub>max=63.48 ml/kg/min) and UT(VO<sub>2</sub>max=50.42 ml/kg/min) groups(p<.05). The longest exercise performance was 75 % CHO supplementation condition for both the T and UT groups.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the exercise between the T and UT groups(p< .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lactat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75% experimental conditions for both the T and UT groups(p >.05).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 mean blood ammonia concentr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T and UT groups at the end of the exercise(p<.05). The mean blood ammonia concentration had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75% experimental conditions in the T group(p< .05), bu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T group(p >.05).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the exercise between the T and UT groups(p<.05), bu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inorganic phosphat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75% experimental conditions for both the T and UT groups(p<.05).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 mean blood creatine kinase concentration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end of the exercise between the T and UT groups(p>.05), but the mean blood creatinekinase concentration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15% experimental conditions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T groups(p< .05), and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UT group(p >.05).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pH at the end of the exercise between the T and UT groups(p<.05), and als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mean blood pH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75% experimental conditions for both the T and UT groups(p<.05). In the VO<sub>2</sub> max test, the mean rectal temperature had no significant differences at the end of the exercise between the T and UT groups(p>.05), but the mean rectal temperature at the end of four different 75% experimental conditions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for both the T and

      • KCI등재
      • KCI우수등재

        자연과학편 : 태권도 앞차기의 운동학적 분석

        백일영(IlYoungPaik),장기준(KiJunChang),황인승(InSeongHwang) 한국체육학회 1986 한국체육학회지 Vol.25 No.2

        The kinematic variables of Apchagi in Taekwondo were analized. The Apchagi variables compared in two situations ;1) When the subjects performed the tickings with target.2) When the subjects performed the tickings without target.Three Taekwondon athletes who hare practiced for more than seven yearn were selected among Yonsei University Taekwondo team as SubjectsThe hip, knee, ankle and metatarsal phalangat joints of the subjects were marked with white dots.The kicking performances were filmed using Bolex high speed camera with film speed of 64 frames / sec.The velocity, acceleration, angular velocity and angular acceleration If the necessary joints and segments were calculated through kinematic analysis procedure Which developed in Yonsei University.The results reported in graph form to provie basic information for the skills and compared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two kicking, with target which simulate competitive situation and without target which is used for training, to provide information fur training.The following conclusions could draw from the results.The patterns of the kinematic variables of the kicking with target and without target were similar, however the patterns in relate with the target area were which suggest prectie kicking should perform with soft target, different as if the whole pattern shifted backward and showed low values at the target area in kicking without target. The angular velocity of the thigh decreased as the velocity of the shank increased and showed whipping motion which is most efficient mechanical method to increase velocity of the distal seg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