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초·중등교원 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교육과정 경험과 전문성 함양에 대한 인식

        백선희(Paik, Sunhee),강호수(Kang, Ho Soo),심우정(Shim, Woo-jeo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1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8 No.3

        이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인식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진단하는 것이다. 초등교원 양성기관 1개교, 중등교원 양성기관 2개교에 재학 중인 3, 4학년 학생 388명을 대상으로 22개 교사 전문성(지식 4개, 실천 14개, 인성 4개) 영역에 대해 교직과목, 전공과목, 교육실습이 도움이 된 정도를 조사하였다. 또한, 교수·학습 방법의 활용 정도와 교사 전문성 함양에 도움 정도를 묻는 문항을 설문조사에 함께 포함하였다. 초·중등 예비교사의 전반적 인식과 양성기관 유형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교육과정 총론 및 각론, 성취기준에 대한 이해, 수업 설계와 같은 전통적 교사 전문성 영역은 전공과 교직과목이 모두 도움이 되었다는 인식이 높았고, 교육실습은 교직수행에 대한 성찰 등 교육자 인성 함양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초·중등 예비교사는 양성 교육과정에 대해 유의한 인식 차를 보였는데, 대개 중등 예비교사가 양성 교육과정과 교사 전문성 함양의 관련성을 더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다. 예외적으로 교육실습에 대해서는 초등 예비교사가 더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교·사대 공통으로 강의식 수업, 발표 수업이 가장 빈번하게 활용되고 있었으며, 프로젝트 수업, 실험·실습 수업 등의 방법은 활용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강의, 발표 등의 교수·학습 방법이 교사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는 의견이 많았는데, 특히 전공과목에서 예비교사 본인의 수업시연에 대한 교수의 피드백이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방안을 제안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how preservice teachers evaluated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relation to their professional development. A total of 388 preservice teachers enrolled at one elementary and two secondary teacher education programs participated in the survey asking whether or how their teacher training helped to promote their professional knowledge, professional practice, and professional dispositions. The survey also included questions on the frequency and the usefulnes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d at their institution. The results showed that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preservice teacher highly evaluated the usefulness of teacher education program in promoting professional knowledge on curriculum and class design while practice teaching was perceived to assist in cultivating the good professional dispositions such as reflective teaching. Overall, secondary preservice teachers were more favorable towards teacher education program than elementary preservice teachers with an exception of practice teaching. Lectures and student presentation wer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teaching methods in teacher education programs, and timely feedback on student presentation and practice teaching was reported as most helpful in enhancing professional capacity.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how to reform teacher education programs were provided.

      • KCI등재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실태

        백선희(Paik, Sunhee),심우정(Shim, Woo-jeong)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2020 교육논총 Vol.40 No.3

        이 연구는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의 진로 활동 경험을 탐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서울교육종단연구 2010 9차년도의 특성화고 3학년 학생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특성화고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을 분석하였다. 먼저,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의 실태를 학교의 진로교육 운영과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 측면에서 진단하고, 학생의 진로활동 경험 상 차이의 요인을 밝히기 위해 학교, 학생 개인 특성 등을 독립변수로 하여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특성화고에서 운영 빈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진로교육은 교과 및 담임교사 개별지도 형태의 진로교육과 전문상담교사, 취업컨설턴트 등 전문가를 활용한 상담 및 지도였다. 둘째, 학생 입장에서 가장 많이 경험한 진로활동의 유형은 담임교사와의 상담을 포함한 일반 진로정보 탐색 활동이었으며, 학교 전문상담교사와의 상담을 포함하는 전문 진로정보 탐색 활동이 그 뒤를 이었다. 셋째, 학교에서 운영하는 진로교육은 학생의 경험과 대체로 연관되어 있었으나, 같은 학교에서 같은 진로교육 기회를 얻더라도 학생의 개인 특성, 가정배경 요인으로 진로활동 경험이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기 연구 결과의 의미와 특성화고 진로교육의 방향에 대해 논하였다. This study examines the experiences of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in career education. We conducted a descriptive analysis using the 9th year data from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and explored the types and extent of career education that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experience in Seoul. A series of binary logistic regressions were conducted to examine how individual backgrounds or school characteristics are related to the career education experiences of students. Our findings show that the facilities and the quantity provided by the school matched with the students’ experiences in terms of career education. Counseling with teachers and offering career development courses were the prevalent forms of career education in vocational high schools. One of the most frequently experienced forms of career education among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was counseling with school teachers. However, our results also show that even after controlling for school-level factors, such as school-offered career education programs, the career exploratory experiences of students significantly differed based on individual characteristics and familial backgrounds. The future implications are discussed based on the study results.

      • KCI등재

        중학생의 동아리활동 경험에 대한 사례 연구

        백선희(Paik, Sunhee),최원석(Choi, Wonseok) 한국홀리스틱융합교육학회 2021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Vol.25 No.4

        이 연구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한 영역인 동아리활동을 중학생들이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례를 진단하는 것을 주요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 당시 고등학교 1-2학년에 재학 중인, 즉 자신들의 중학교 시절의 동아리활동 경험을 전반적으로 얘기해 줄 수 있는 학생 다섯 명을 대상으로 개별 면담을 진행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아리 참여의 계기, 봉사활동 및 진로활동과의 연계, 동아리활동에서의 이벤트, 동아리활동을 통한 성장, 다시 기회가 주어진다면 같은 동아리를 선택할 것인지,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의 관련성에 대해 결과를 정리하였다. 면담 참여 학생들은 교사의 권유, 취미와 적성, 진로 등을 위해 동아리활동을 선택하였고, 이러한 활동들은 진로보다는 봉사활동과 연계하여 진행되고 있었다. 각종 학교 행사에서 동아리활동과 연계된 발표나 공연을 할 기회를 가졌고, 동아리활동 내용과 관련된 성장과 개인의 인성적 성장을 경험할 수도 있었다. 그러나 막상 다시 같은 동아리를 선택하겠다는 학생은 소수였으며 중학교와 고등학교에서의 동아리활동의 관련성은 있는 경우도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다섯 개의 사례는 대부분 창의적 체험활동 각론에서 명시한 동아리활동의 목표를 상당 부분 달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더욱 유의미한 동아리활동 경험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학교 교육과정 상의 노력과 지역사회와의 연계 등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ases of how junior high school students had been experienced club activities, which was one area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For this end, at the time of research, the in-depth individual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were conducted. The interviewees were freshmen or sophomore of N high school because they could tell their experiences during junior high school days with overall perspective. The interview questions consisted of why they chose certain types of clubs, whether club activities were related to career activities and service activities which were another areas of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ies, whether they had opportunities to participate in any events in order to present their club activities, what improvements they could made through club activities, whether they would choose the same club if they could, and whether their high school club activities were influenced by their junior high school club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some suggestions to improve club activities in junior high schools as well as high schools were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원의 예비교원 및 현직교원 교육 경험이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직경력별 차이를 중심으로

        백선희(Sunhee Paik),이정연(Jeong Youn Lee),김한나(Hannah Kim) 한국교원교육학회 2024 한국교원교육연구 Vol.41 No.1

        이 연구는 초등교원의 예비교원 및 현직교원 교육 경험과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진단하고, 교원교육 경험이 전문성 인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연구를 위하여 「서울교원종단연구 2020」 1차년도 조사 중 초등학교 교원 총 905명의 설문 응답 결과를 데이터로 활용하였다. 기술통계 분석 결과 초등교원의 예비교원 교육 경험이 직무수행에 도움이 된 정도에 대한 인식은 교수·학습 영역을 제외하고는 4점 이하로 보통보다 조금 높은 편이었으나 현직교원 교육이 도움이 된 정도는 3점 후반대부터 4점까지 다양하게 나타났다. 교직경력이 높을수록 예비교원 및 현직교원 교육이 직무수행에 도움이 되는 정도를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초등교원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은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다중회귀분석 결과 현직교원 교육 경험은 모든 전문성 영역에 대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나 예비교원 교육은 학생 평가와 생활지도와 상담 전문성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 외 교원의 교직경력, 성별, 교내외 교원학습공동체 참여가 전문성 영역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학교의 문화와 풍토 등도 전문성 영역에 따라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초등교원의 전문성 함양과 개선을 위한 예비교원 및 현직교원 교육의 역할, 그리고 여건에 대해 제언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degree to which elementary school teachers' perceived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helped their job performance as well as their professionalism and furthermore to examine the associations of these perceptions on their overall sense of professionalism. The data for this study were derived from 905 survey responses collected from elementary school teachers during the first phase of the Seoul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of Teachers 2020 (SELST 2020).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revealed that elementary teachers generally showed modest scores on the perceptions of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with most responses scoring 3 or higher, except for the teaching and learning aspect. In contrast, their perceptions of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ere more favorable, with scores over 3.7. Overall, elementary teachers reported moderately high levels of professionalism, averaging in the mid-5 on a 7-point scale. To examine the impact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on elementary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in-service teacher education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all dimensions of professionalism, whereas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ad a significant impact only on student assessment and daily guidance and counseling professionalism. Furthermore, variables such as teaching experience, gender, and whether or not teachers participated in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in or out of schools were found to have significant effects on thei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urthermore, school culture and climate emerged as significant factors influencing teachers' perceptions of professionalism. Based on the study's results, recommendations were formulated regarding the role and conditions of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 education in order to establish and improve teachers’ professionalism during teachers’ career duration.

      • KCI등재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과의 비교를 중심으로

        심우정 ( Shim Woo-jeong ),백선희 ( Paik S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6

        전문계고 졸업자의 대학진학률이 꾸준히 증가 및 유지되고 있으나 막상 이들이 대학에 진학한 후 대학에서의 생활과 학업에 제대로 적응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편이다. 몇 편의 선행연구에서는 이들의 대학적응이 쉽지 않다는 점을 보고하고 있으나 구체적인 양상과 영향 요인을 체계적으로 진단한 연구는 없다. 이 연구에서는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이 대학에서 어떻게 적응하며, 이들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교육종단연구(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6차년도와 7차년도 자료에서 이 연구의 대상에 적합한 7차년도 시점에 4년제 대학에 진학한 2,136명의 자료를 활용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들의 대학생활 적응을 대학전환(college transition), 대학소속감(sense of belonging), 수업참여(class participation)의 세 가지 변수로 측정하고, 이를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들과 비교하기 위하여 빈도분석과 t-검정을 실시하였다. 또한, 대학전환, 대학소속감, 수업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진단하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전환, 대학소속감, 수업참여는 일반계고 출신 대학생에 비해 전반적으로 낮은 점수를 보이고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수업참여에서만 나타났다. 고교 수업이해도, 학업계획수준 등 대학진학 전 특성 변수에서도 전문계고 출신 학생들은 일반계고에 비해 낮은 점수를 보였다. 중다회귀분석 결과에 따르면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전공탐색 교과 수강, 대학의 실용적 교육풍토, 동료학생과의 상호작용 등이 있었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전문계고 출신 대학생의 대학적응 관련 특성을 개선하고 이들을 구체적이고 실질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Although the college entrance rate of vocational high school graduates has been steadily increasing, little attention has been paid to how vocational students choose to go to college and how their transition to college education unfolds. A modicum of research, drawn largely from case studies or individual episodes, has reported academic or social difficulties of vocational students in their transition to college; However, a more systematic approach analyzing representative data is needed to find factors influencing vocational students’ adjustment to college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hus, to examine how vocational students adjust to college life and what factors affect their adjustment. Analyzing the data from the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2005, the study found that vocational students, compared to their general high school peers, had more difficulties in participating actively in college courses. However, vocational students’ average levels of sense of belonging as well as academic adjustment did not significantly differ from their general high school peers. The factors affecting college adjustment were not different between the two groups. The only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he effects of faculty-student interactions. While the effects of frequent faculty-student interaction were positive and significant for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having frequent out-of-classroom faculty interaction did not contribute to vocational students’ college adjustment. Based on these results,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research were discussed.

      • KCI등재

        사범대학 교수들이 바라보는 중등교원양성 교육과정의 구성과 예비교사의 준비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장덕호 ( Jang Deok-ho ),백선희 ( Paik S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0 교육문화연구 Vol.26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사범대학 교수들이 파악하고 있는 교원양성 교육과정과정 중 하나인 사범대 교육과정의 실태를 Darling-Hammond와 Bransford(2007)가 제시한 교사교육 프로그램의 쟁점적 고려사항, 즉, 교육과정의 내용과 범위, 예비교사 학습과정과 그들의 준비도 개발을 핵심적 탐구 주제로 삼아 심층적으로 탐색해 보는데 있다. 이를 위해 사립 사범대학 2개교, 국립 사범대학 1개교에 재직하는 9개 학과 총 10명의 교수들을 심층 인터뷰하였고,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사범대학 각 교과별 전공과목의 경우 다소 각 학과별로 차이가 있었지만 대체로 교과내용과 범위를 선택함에 있어서 모학문의 영향을 다양하게 받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사범대학 교수들은 자신들이 전통적 강의식 수업에 상당한 비중을 두는 이유가 아이러니하게도 이 방식이 학생들이 선호하는 수업방식 때문이었고, 최근 예비교사들의 교직현장 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들을 경주하고 있었다. 셋째, 예비교사로서의 준비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교과교육학 관련 교육과정의 부족함과 실질적인 현직 적응도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비교과프로그램의 부족함을 토로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육적 맥락 속에서 관련 지식과 실천적 기법의 재구성을 적극적으로 시도하는 노력이 필요하고, 교과지도 외 구체적인 전문성을 요하는 실천과업들에 대해서는 다양한 비교과활동을 통해 보완할 필요가 있음과 함께 사범대학이 지향하는 교사상에 대한 재정립과 사범대학 각 학과간 교육과정 상의 장벽을 낮추기 위한 융합적 시도가 필요함을 시사점으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ntended to examine how secondary teacher educators (i.e., professors from college of education) developed and implemented secondary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STEC) in consideration of the three issues raised by Darling-Hammond and Bransford(2007). To this end, in total 10 professors with nine different subjects(e.g., Korean language arts, math, English, etc.), from College of Education of three universities (two private and one public) were interviewed. The first finding was that contents and scope of the STEC were strongly influenced by disciplines of subjects, and the impacts of disciplines varied across subjects. Second,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professors tried to utilize a variety of ways while some of them still taught with traditional lecture-led instruction. Thirdly, the STEC did not provide enough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prepare their future teaching jobs related to teaching subjects as well as managing extracurricular activities. Based on the findings, some suggestions were made as follows. First of all, it is necessary for the STEC developers to consider practical teaching contexts and trends for secondary school education and provide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for pre-service teachers to experience for both subject matter teaching and extracurricular activities. In addition, to better develop the STEC, a vision for what kinds of teachers we need in a current society should be compromised among teacher educators with various backgrounds. Lastly, barriers across departments of subjects and disciplines should be lowered down in order to foster pre-service teachers as what the STE should envision.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현직 교원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호수 ( Kang Ho Soo ),백선희 ( Paik S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현직 초등교원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초등교원의 전문성을 추출하고 이를 지식, 실천, 인성의 세 개 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각 영역별 소영역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교원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초등교원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 정도를 묻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원 361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사 전문성 중에서 실천 영역에서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수업 설계 및 분석, 인성 영역에서 교육관 수립, 교직 수행에 대한 성찰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중 교육실습은 다른 과정(교직, 전공, 전공심화, 교양)과 비교하여, 지식, 실천, 인성 영역 모두 상대적으로 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공과정과 전공심화과정은 실천영역과 지식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교직과정과 교양과정은 인성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원 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식 수업이었고, 다음으로 발표 수업이었다. 반면, 초등교원들은 자신의 전문성 신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실험·실습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발표 수업이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3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by employing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instruction design and analysis in the practice fiel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ion are important for promoting teacher professionalism. Additionally, the practicum class had relatively large positive effects in all areas of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ality domains compared to other classes (teaching profession, major, major intensive, liberal arts). The in-depth major cours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and knowledge domains, while education and liberal arts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domai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reported that lectur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and class using presentation was followed. Relatively, other methods such as team projects, discussion were les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In all four course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acticum class was the most helpful in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resentation class was followed by the practicum cla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한 교원양성 교육과정에 관한 예비교사의 인식

        심우정(Woo-jeong Shim),백선희(Sunhee Paik),강호수(Ho Soo Kang) 한국교원교육학회 2022 한국교원교육연구 Vol.39 No.2

        이 연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과 어떠한 연관을 맺고 있는지 진단하는 데 주요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해 경기도에 위치한 초등교원 양성기관 1개교, 대전과 대구에 위치한 중등교원 양성기관 2개교에 재학 중인 2, 3, 4학년 학생 297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시행하였다. 설문조사는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주는 도움 정도(15문항),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6문항),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수준(9문항)을 묻는 문항을 포함하여 총 30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예비교사는 교원양성 교육과정 중 교양과정, 교직과정, 전공과정 순으로 그들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인식하였다. 그러나 도움 정도는 교양과정은 보통 이상, 교직과정과 전공과정은 보통 이하였다. 둘째, 교원양성기관에서 예비교사의 비교과 활동 참여 정도는 보통 이하인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의 글로벌역량 활동에 대한 예비교사의 인식과 글로벌교육 역량 간 관계는 교원양성기관별로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즉, 사립 사범대의 경우, 교과 교육과정 중에서 교직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정적 연관이 있었으나, 교육대학교와 국립 사범대의 경우, 교직과정, 전공과정, 교양과정 모두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교원양성기관 교육과정이 예비교사의 글로벌교육 역량 함양을 위해 개선되어야 할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how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is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of pre-service teachers. For this study,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298 second, third, and fourth grade students attending one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located in Gyeonggi-do and two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s located in Daejeon and Daegu.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asking about the degree of help provided by the teacher education curriculum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to pre-service teachers’ global competency development(15 items),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6 items), and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y level(9 items). The results showed that pre-servic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y helped develop their global competency in the order of liberal arts course, teaching profession course, and major course among the curriculum. However, the level of help was above average for liberal arts courses and below average for teaching profession and major courses. Also, pre-service teachers' participation in extracurricular activities was below average. Furthermore, the relationship between pre-service teachers' perceptions of global competency activities in the curriculum of teacher training institutes and global education competency was different for each teacher training institute. In other words, in terms of one private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mong the curriculum, the teaching courses were positively related to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However, in terms of one national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and one national second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e,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eaching courses, major courses, and liberal arts courses and the global education competency of pre-service teachers.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for how to reform teacher education programs in order to better foster pre-service teachers’ global education competencies were provided.

      • KCI등재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의 교육과정 편성 시 과목 선택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

        이상은 ( Sang-eun Lee ),백선희 ( Sunhee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9 교육과정연구 Vol.37 No.3

        고교학점제 정책으로 인해 교육과정 편성 시 학생의 참여와 선택이 점차 강조되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학생 선택형 교육과정 편성 과정에 나타난 과목 선택권 확대에 관한 학생들의 인식과 요구를 분석하는 데 있다. 구체적으로 첫째, 학생들의 과목 선택 현황, 둘째, 과목 선택 이유, 셋째, 과목 선택의 기대 효과, 넷째,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기 위한 지원 사항을 조사하였다. 이를 위해 고교학점제를 시범 운영하는 82개 연구학교 1, 2학년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과목 선택 현황과 관련하여, 학생들이 듣고 싶은 과목을 선택할 수 있는 정도와 선택 과목이 자신의 적성 및 흥미에 부합하는 정도는 보통보다 다소 높게 나타났다. 학생 특성 변인별 차이를 살펴보면, 2015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고교학점제가 시범 적용되는 1학년 학생들이 2009 개정 교육과정을 적용받는 2학년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성적이 높다고 인식하는 학생일수록, 교육기대수준이 높은 학생일수록, 부모의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가정형편이 좋다고 인식할수록 과목 선택의 정도 및 자신의 적성과 흥미와 부합하는 정도를 높이 평가하였다. 다음으로, 학생들의 과목 선택 이유를 살펴본 결과, 대학 진학 희망 계열 및 자신의 적성 및 관심과의 관련성이 가장 우선순위를 차지했고, 내신 성적 산출에 유리한 과목 및 쉽고 부담 없는 과목은 이보다 낮은 순위로 나타났다. 이어서, 과목 선택의 기대효과와 관련하여, 학생 스스로 선택한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가 학교가 지정해 준 과목에 대한 수업 만족도보다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필요한 과목을 선택하기 위한 지원과 관련하여, 학생들은 대학 학과 체험 활동 및 직업 체험 활동 등 학교 밖과 연계된 진로지도의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였다. This study aimed to examine students’ perception and needs that affect students’ selection of electives under High School Credit System(HSCS). The survey was conducted to students from 82 research high schools where the HSCS has been adopted. The findings indicated that high school students reported a little higher score than average (three point) in terms of the degree to which they could select electives and the degree to which they considered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when they selected electives. Students’ perception of achievement, educational expectations as well as parents’ education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ir perception of the degree to which their electives were related to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In addition, a highest number of students reported that they selected electives related to expected college majors as well as their aptitudes and interests. Rather, students rarely selected electives because subjects were easy to learn or receive good grades. Interestingly, students showed high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assroom instruction of electives than required subjects. Lastly, in order to select appropriate electives, students expected supports such as real life exposure to college majors and job fields.

      • KCI등재

        대학 진학 계열별 고등학생의 선수과목 이수 실태

        심우정 ( Woo-jeong Shim ),백선희 ( Sunhee Paik ) 한국교육과정학회 2018 교육과정연구 Vol.36 No.1

        본 연구에서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조사 6~7차년도 자료를 분석하여 일반대학에 진학한 학생들의 전공계열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정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배경 및 학교 특성 요인을 탐색하였다. 분석 결과, 인문, 사회, 교육계열은 자연, 공학, 의약계열에 비해 전공별 필수 선수과목 이수 정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인문계열의 경우 전공과 유관한 필수 선수과목을 대학수학능력시험의 수험과목으로 선택할 가능성이 매우 낮은 것으로 드러났다. 인문, 사회, 교육계열의 필수선수 과목 이수에는 학생의 개인배경, 학교특성 요인의 영향력이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자연, 공학, 의약계열 진학자들의 경우 성별, 주요교과목의 수업 이해도, 고등학교의 계열, 교사의 수 등이 필수 선수과목 이수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에 기반하여 고교학점제 시행과 관련하여 인문, 사회, 교육계열 진학 희망자를 위한 선택과목 선정 지침서의 개발, 자연, 공학, 의약계열 진학을 계획하는 여학생들을 위한 정책개발 등을 제안하였다. The KELS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data collected during the 6th and 7th years was used to study a pattern of high school students’ course-taking according to their college majors and to examine factors that affected this pattern. The findings indicated that college students from the humanities, social sciences, and education (HSE) fields took fewer high school courses relevant to their college majors compared to their peers majoring in natural sciences, engineering, and medical sciences (NEM). In particular, college students from HSE fields were less likely to choose subjects related to their college majors than their counterparts from NEM fields. The course-taking of NEM students was highly influenced by their understanding of subjects, high school tracks (college-bound or not), and the number of teachers at their schools. Implications for encouraging high school students to take courses that are more closely related to their college majors a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