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성 탐색 연구

        강호수(Kang, Ho Soo),김한나(Kim, Hanna)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6

        본 연구는 교사의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 전문성 개발 활동의 주요 특성들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OECD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13에 참여한 우리나라 177개 중학교에 속한 교사 1,850명의 설문 자료를 가지고 중다회귀분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징들 중 능동적 학습 기회 변인이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 정도와 정적상관이 있었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할 뿐만 아니라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 정도에 미치는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전문성 개발 활동의 특징들 중 지속성 변인과 공동 참여 변인은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 정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셋째, 우리나 라 중학교 교사들의 경우, 배경변인으로서의 금전적 지원 정도는 전문성 개발 참여 에 의한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 정도와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영향관계를 보인 반면 학급의 사회경제적 변인은 교과 및 교수 전문성 향상과의 관계에 있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영향관계를 나타냈다. 본 연구는 앞으로 효과적인 교원 전문성 개발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고려해야 할 요소들을 선택함에 있어서 기초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ffecting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We used the sample of 1,850 teachers of 177 Korean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13 implemented b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We employe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ctive learning” as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as positively related to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In contrast, neither “duration” nor “collective particip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Further, financial support as one of the control variables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On the contrary, class SES as another control variable was negatively associated with the improvement of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In terms of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we hope that this study be used as a basic research to provide w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in order to improve subject knowledge and pedagogy in the classroom.

      • KCI등재

        A교육청 조직문화에 대한 구성원 인식 탐색 연구: Bolman과 Deal의 조직 프레임을 중심으로

        강호수 ( Kang Ho Soo ),백병부 ( Baek Byoung-bu ),장덕호 ( Jang Deok-ho ),오재길 ( Oh Jae-gil ),김한나 ( Kim Hannah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18 교육문화연구 Vol.24 No.4

        본 연구의 목적은 Bolman과 Deal(2013)의 네 가지(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상징적) 조직 프레임에 근거하여 A교육청 조직문화의 주요한 현상과 특징을 구성원들의 인식을 바탕으로 다차원적으로 분석하는 데 있다. 일반직, 전문직, 교사 등 다양한 집단을 대상으로 포커스 그룹 면담을 실시한 결과, 구조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명확히 구분되지 않는 업무로 인해 부서간의 업무 떠넘기기(업무 핑퐁)가 심한 것으로 나타났고, 인간자원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교육청의 구성원들이 대부분 승진 등과 같은 개인의 이익에 대한 욕구가 높은 높았으나, 전문성 개발에 관해서는 일반직과 전문직의 실천 방법이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정치적 관점에서 교육청은 조직 내부의 직렬간, 직렬내, 부서간 구성원간의 갈등 뿐 만 아니라 조직 외부와의 갈등이 존재하였다. 상징적 관점에서 A교육청은 우리나라 교육을 선도하는 교육청이라는 데 이견은 없었으나 조직 내부에서 비전에 대한 자발적 실천은 부족하다고 지적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육청 조직문화 개선을 위해서는 우선 구조적 차원에서 추진 정책과 사업들 간의 정합성을 높여야 할 것이며, 그동안 관행으로 인정되어온 각종의 관료적 일처리 방식과 부서 간 소통을 가로막은 지침들을 새롭게 재편하여야 할 것이다. 인간자원적 차원에서는 구성원들의 역량(전문성) 개발을 위한 각종의 훈련과 연수를 지원하고 각종 정책의 추진과정에 전 구성원이 적극 참여할 수 있는 규범을 만들어야 할 것으로 보이고, 정치적 차원에서는 편가르기식 행정관행을 원점에서 놓고 재검토하고, 생산적인 갈등 관리 방법이 도출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상징적 차원에서 구조적, 인간자원적, 정치적 차원에서 발생하는 문제들을 문화적으로 치유하기 위한 방편으로서 다양한 의례와 문화적 표상들을 다수 창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in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A”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based on Bolman and Deal’s four (structural, human resource, political, symbolic) frame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tructural frame, it has been found that there are severe shift of responsibility between the departments due to the tasks that are not clearly distinguished. From the frame of human resource, most of the members have a specific desire for personal interests such as promotion. From the political frame, there is a conflict between the members in the office and outside the organization. From the symbolic frame, the voluntary practice of vision is lacking. In order to improve the organizational culture of the office of Education, it should increase the coherence between the implementation policy and the projects. Also, it is necessary to reorganize the guidelines to prevent communication between departments. Furthermore, it is necessary to support training for the development of competence of the employees and to make a tradition that all the members can actively participate in the decision making process. Further, it is necessary to reform the one-sided administrative practices and we need to derive productive conflict management methods. And rituals and symbols should be created so that it can become the Office of Education leading the organizational culture.

      • KCI등재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Korea

        강호수(Kang, Ho Soo),구남욱(Koo, Namwook)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1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1 No.15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 협력, 자기효능감, 직무만족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이를 위하여 OECD에서 국제적인 관점에서 교사들의 다양한 정보들을 수집한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3 자료 중 한국 자료를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결과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자기효능감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교사 협력은 교사의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사 협력은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교사 자기효능감은 교사 협력과 교사 직무만족도 사이의 매개 변인의 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앞으로 교사의 직무만족도 향상을 위해 교원교육이 정책이 교사의 협력 활동과 교사의 자기효능감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되어야 한다는 시사점을 제공한다. Objective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self-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in Korea. Methods The Korean teacher data from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 (TALIS) 2013, which collected various information on teachers from an international perspective by 0ECD, was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Resul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eachers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Second, teacher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Third, teacher collaboration had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job satisfaction. Fourth, the teachers’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mediating variable between teacher collaboration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implications that the teacher education policy should be implemented in the direction of simultaneously increasing the teachers collaborative activities and the teachers’ self-efficacy in order to enhance teachers job satisfaction.

      • KCI등재

        중학교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 분석 연구

        강호수(Ho Soo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9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9 No.8

        본 연구의 목적은 경기교육종단연구(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 자료 중 2016년에 수집된 5차 년도 중학교 교사 및 학교 자료를 활용하여 교사의 전문성개발 활동과 학습자중심수업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이다. 교사를 1수준으로, 학교를 2수준 으로 하는 위계적 선형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한 결과, 첫째, 교수·학습방법과 관련된 일반직무 및 자율 연수 참여가 학습자중심수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장학 관련 활동들 즉, 수업 공개, 수업 참관, 교육청 주관의 컨설팅 및 협의회 참여는 학습자중심수업 활동과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공식적인 교사전문성개발 활동으로서의 연수와 장학과는 대조적으로 비공식적으로 교사 간 이루어지는 협력이 학습자중심수업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교사전문성개발 활동에 대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using the fifth grade middle school teachers and school data collected in 2016 in the Gyeonggi Educational Panel Study(GEPS). The results of analyzing data by using a hierarchical linear model a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workshops related to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Second,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ous activities related to supervision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Third, in contrast to workshops and supervision as formal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activities,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informal collaboration among teachers an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Finally,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cations o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were described.

      • KCI등재

        교사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특성 탐색 연구

        강호수(Kang, Ho Soo),김지혜(Kim, Ji-Hye),송승원(Song, Seungwon),김한나(Kim, Hannah)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6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6 No.4

        본 연구는 교사의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학습공동체의 주요 특성들에 관한 탐색적 연구로 OECD의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08 에 참여한 우리나라 중학교 교사들의 설문 자료를 이용해 위계적 선형 모형으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교사학습공동체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하나의 변인으로 통합해 분석해 본 결과, 교사학습공동체 변인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효과적인 교사학습공동체의 다섯 가지 구성요소를 각각의 독립 변인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비전 공유, 성찰, 실천의 탈사유화, 협력의 네 가지 요인이 종속 변인인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긍정적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의 한 가지 구성요소인 학생의 학습에 중점을 두어야 함을 나타내는 변인은 교사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 개인 변인 분석 결과, 석사 이상의 학위를 소유한 교사들이 학사 학위를 취득한 교사들보다 교사효능감이 높게 나왔다. 본 연구는 현재 교직 사회에서 문제로 지적되고 있는 저하된 교사 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한 하나의 방안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제시하고 그 구성 요인들의 효과성을 실증적으로 분석했다는 점에서 앞으로 교사학습공동체 관련 정책을 수립하고 집행함에 있어서 참고 자료로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characteristics of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affecting teacher efficacy. We used the sample of 2,172 teachers of 131 Korean middl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eaching and Learning International Survey(TALIS) 2008 implemented by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OECD). We employed hierarchical linear modeling for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study indicated that a composite variabl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y, was positively correlated to the teacher efficacy. In addition, among the five core characteristics of effective professional learning communities, four characteristics which were shared vision, reflection, de-privatization of practice, and collaborative activities were positively associated with teacher efficacy. In contrast, ‘focus on learning’ variable was not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redictor of teacher efficacy. Further, the highest educational degree as one of the teacher background variable was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efficacy. With respect to teacher education perspective, we hope that this study be used as a basic research to provide what policy makers need to consider in order to enhance teacher efficacy, which has been one of the most serious problems in current teacher education in Korea.

      • KCI등재

        초, 중, 고등학교 교사 연수와 직업 만족도와의 관계

        강호수(Ho Soo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2

        본 연구는 최근 들어 국제적으로 강조되고 있는 전문성 개발 연수의 중요성에 근거하 여, 우리나라 초, 중, 고등학교 교사들의 교사 연수의 질과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2006년부터 2008년까 지 수집한 한국 실태 연구 조사 자료 2차년도 자료 중,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를 대상으로 한 교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6개 항복의 연수 주제 (교육과정, 교수방법, 교 외활동, 생활지도, 학교재정, 교육정보화)을 선택하여 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교사 연수 참여 시간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고, 2) 일원분산 분석(One-Way ANOVA)를 이용하여, 교사 연수의 질을 학교급별로 비교 분석하였다. 특별히 교사 연수의 질을 측정하기 위해 교사들이 참여한 교사 연수의 만족도 항목을 사용하였다. 3) 마지막으로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하여 교사 연수의 질 과 교사들의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를 학교급별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초등학 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교사 연수 참여 시간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2) 초등학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고사들보다 교사 연수에 대한 만족도가 높게 나왔고, 3) 교사 연수의 질과 교사들의 학교 만족도 사이의 관계에 있어서는 초,중,고등학교 교사들 에게 모두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교사의 현직 연수가 초,중,고등학교 교사들의 만족도를 높이는 하나의 방안으로서의 실증적인 근거를 제공한 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우리 나라의 교사교육 정책 집행을 위한 하나의 기초 자료 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Using the data from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high-quality PD workshop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Specifically, I use a teacher satisfaction score of PD workshops in which the teachers participated as a proxy of high-quality PD workshop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correlation analysis was employed. The results indicate that 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attend high-quality PD workshops more than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2) high-quality PD workshops are statistically, positively correlated with teacher job satisfaction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The implications are also discussed.

      • KCI등재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현직 교원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강호수 ( Kang Ho Soo ),백선희 ( Paik Sunhee ) 인하대학교 교육연구소 2021 교육문화연구 Vol.2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현직 초등교원의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관계자들을 대상으로 한 초점 집단 면담을 통해 초등교원의 전문성을 추출하고 이를 지식, 실천, 인성의 세 개 대 영역으로 구분하였다. 연구를 위하여 각 영역별 소영역의 전문성에 대한 인식, 초등교원 교육과정 및 교수·학습 방법이 초등교원 전문성 함양에 도움이 된 정도를 묻고,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에 재직하고 있는 초등교원 361명이었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교사들은 교사 전문성 중에서 실천 영역에서 관계형성 및 의사소통, 수업 설계 및 분석, 인성 영역에서 교육관 수립, 교직 수행에 대한 성찰을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중 교육실습은 다른 과정(교직, 전공, 전공심화, 교양)과 비교하여, 지식, 실천, 인성 영역 모두 상대적으로 큰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고, 전공과정과 전공심화과정은 실천영역과 지식영역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교직과정과 교양과정은 인성영역에서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초등교원 양성기관 교육과정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고 있는 교수·학습 방법은 강의식 수업이었고, 다음으로 발표 수업이었다. 반면, 초등교원들은 자신의 전문성 신장에 가장 큰 도움이 되는 교수·학습 방법을 실험·실습 수업이라고 인식하고 있었고, 그 다음으로 발표 수업이 전문성 신장에 도움이 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근거로 초등교원 양성기관의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education program on teachers'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For the study, survey data of 361 elementary school teachers in Gyeonggi Province were collected and analyzed. The results, by employing descriptive analysis, show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cognized that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instruction design and analysis in the practice field, establishment of educational philosophy, and reflection are important for promoting teacher professionalism. Additionally, the practicum class had relatively large positive effects in all areas of knowledge, practice, and personality domains compared to other classes (teaching profession, major, major intensive, liberal arts). The in-depth major cours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practical and knowledge domains, while education and liberal arts class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ersonality domain. In terms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the teachers reported that lecturing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method and class using presentation was followed. Relatively, other methods such as team projects, discussion were less experienced by the participating teachers. In all four courses, the teachers recognized that the practicum class was the most helpful in enhancing professionalism, and they recognized that the presentation class was followed by the practicum clas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curriculum of elementary school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were presented.

      • KCI등재

        교사의 교수법 유형과 교수효능감 간의 관계

        김지혜(Ji Hye Kim),강호수(Ho Soo Kang)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5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5 No.4

        7차 교육과정 이후의 교육과정의 변화는 모든 학교급에 공통적으로 학생을 주체적 학 습자로 보는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교수 현장에서는 입시 위주의 교육환경으로 인해 교수자 중심 수업이 주로 사용된다는 우려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학습자 중심 교수법을 교사 교육적 관점에서 접근하여,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심 교수 법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 교육 개발원에서 수집한 실태 연구 2주기 자료 (2006년-2008년) 초등 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교사 설문지를 이용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교수자 중심 수업, 그리고 교수효능감 변인을 측정하였으며 1)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를 사용 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 교수자 중심 수업, 그리고 교수효능감 변인을 학교 급 별로 비 교 분석하고, 2) 상관 분석(Correlation analysis)을 사용하여, a)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 심 수업, b) 교수효능감과 교수자 중심 수업 사이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1)초 등학교 교사들이 중, 고등학교 교사들보다 학습자 중심 수업 방법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2) 모든 학교 급에서 교수효능감과 학습자 중심 수업 사이에는 통계적 으로 유의미한 긍정적인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첫째, 특별히 학습자 중심 교수방법 사용이 적은 중고등학교 교사 들을 위해 다양한 교수 방법적 지원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입시위주의 교육환경으로부 터 오는 부담이 많은 중고등학교 교사에게 교육과정 개정을 통한 학습자 중심 교육을 강조하기 이전에 지속적이고 적용 가능한 교수방법 지원에 힘써야 한다. 둘째, 학습자 중심 수업을 도모하기 위한 교사의 전문성 개발에 있어서, 모든 학교 급에서 교사의 학 습자 중심 수업 정도와 긍정적인 상관관계를 지닌 것으로 드러난 교수효능감에 주안점 을 둘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South Korea has emphasized Learner-Centered Instruction (LCI) from elementary to secondary school educa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revisions. However, researchers claim that teacher-centered instruction is still commonly used in classrooms due to the competitive college-entrance exam system. Thus, the current study investigates the actual use of LCI compared to teacher-centered instruction by school level, and the relation between the use of LCI and teaching efficacy. Using the data from The Study on the Actual Status and the Quality in School Education in Korea, this study applied correlation analysis. The results indicate that 1) elementary school teachers tend to use LCI more than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d 2) At all school levels, teaching efficacy was positively related to teachers use of LCI, This study provides implications for teacher education: 1) More support is needed for secondary school teachers to use more LCI; and 2) Teacher educators should focus more on teaching efficacy as an important factor in teacher professional development programs because of its positive relevance to teachers use of LCI.

      • KCI등재

        예비 유아교사가 인식하는 유아교사 전문성 탐색

        차정주(Cha Jung ju),강호수(Kang Ho Soo) 한국유아교육·보육행정학회 2015 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 Vol.19 No.1

        본 연구는 예비 유아교사들의 유아교사 전문성에 대한 인식을 탐색하여, 예비교사들의 전문성 향상 방안을 모색하고 질 높은 예비 유아교사를 확보할 수 있는 대안을 살펴보고자 실시되었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유아교육과 재학생 3학년 12명과 4학년 12명이 본 연구에 참여하였다. 참여자들을 학년별로 6명씩 나누어, 총 4개 집단을 대상으로 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예비 유아교사들은 유아교사 전문성을 훌륭한 유아교사가 되기 위한 요소, 유아교사의 역할을 잘 수행하는 능력, 혹은 유아교사만의 고유한 직업적 능력 등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유아교사의 전문성을 구성하는 요인으로는 유아에 대한 존중과 지식, 누리과정을 포함한 유아교육과정에 대한 지식과 실행능력, 다양한 교과에 대한 기초지식이 3학년과 4학년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유아교사의 전문성의 구성요인으로서 학부모와의 협력은 4학년에서만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근거로 하여, 몇 가지 시사점에 대하여 논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perception of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four groups consisting of six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each. Findings indicated that the participant pre-service teachers perceived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as a component for becoming good early childhood teachers, fulfillment of their duties, or unique and specialized occupational abilities needed only by early childhood teachers.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the professionalism of early childhood teacher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first, respect for children and knowledge of children's development; second, knowledge about and practical performance of various curricula for early childhood, including the Nuri curriculum; third, fundamental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in various subjects; fourth, coopera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The last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cooperation with parents of children, appeared only among the senior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Based on these findings, several implications were discuss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