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사회과 교육내용에서의 OECD Education 2030 역량 반영 분석 -교육과정의 내용 맵핑(CCM)을 중심으로-

        배화순 ( Bae¸ Hwasoo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4

        이 연구는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1단계 연구로 수행된 교육과정 내용 맵핑(CCM) 결과를 바탕으로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의 역량 반영 양상을 분석하고, 국제 데이터를 활용하여 사회과 교육과정 개선에의 시사점을 도출하기 위한 목적으로 수행되었다. CCM 분석 결과, 우리나라 중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은 일부 역량을 제외하고,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에서 제시하는 28가지 역량을 포괄적으로 반영하고 있으며, 교육과정의 공통 부분인 성격이나 목표 외에도 성취기준 수준에서 비교적 상세히 반영하고 있었다. OECD Education 2030 프로젝트의 CCM 분석에 참여한 국가(지역) 데이터와 비교한 결과, 우리나라는 학생 주도성이나 협력적 주도성, 문제해결력, 미디어 리터러시 등 일부 역량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많이 반영하고 있으나, 학습에 대한 학습이나 자기 관리 등 일부 역량은 OECD 참여국 평균보다 반영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사회과 교육과정의 국제적인 동향을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하며, 향후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competency reflection of the middle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based on the results of curriculum content mapping (CCM) conducted as the first stage of the Organization for Economic Co-operation and Development (OECD) Education 2030 Project and to derive implications for improving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using international data. The CCM analysis showed that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of middle schools in Korea comprehensively reflects the 28 competencies suggested by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excluding some competencies, and is relatively detailed in achievement standards in addition to the character and goals of the curriculum. Compared to data from other countries that participated in the CCM analysis of the OECD Education 2030 Project, Korea reflects more competencies such as “student agency,” “co-agency,” “problem solving,” and “media literacy” than the OECD average. However, some competencies such as “learning to learn” and “self-regulation/self-control” were found to have a lower reflection rate than the average of OECD participating countries/jurisdictions. Through the above research results, it was possible to grasp the international trend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nd to find ways to improve it in Korea in the future.

      • KCI등재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의 인식

        배화순(Hwasoon Bae)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2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2 No.21

        목적 이 연구는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교육과정 실행을 위한 구체적인 개선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방법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2019년에 5학년이나 6학년 사회 수업을 담당한 교사 632명을 대상으로 2015 개정 초등학교 5~6학년 사회과 교육과정의 현황과 쟁점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기 위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설문조사 결과를 기반으로 하여 5~6학년 사회 수업을 직접 담당한 교사 4명을 대상으로 한 심층 면담 조사를 실시하였다. 결과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많은 교사들은 사회과에서 제시한 교과 역량을 5~6학년 사회과에 적용하게 적절하다고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5~6학년군 사회과 학습 내용의 양과 수준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살펴보면, 5학년 2학기에 집중되어 있는 역사 영역 중에서 근현대사와 관련된 부분의 학습량이 많고, 내용 수준도 학생들에게 다소 높은 편이라는 의견이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들이 인식하는 5~6학년 사회과 교수⋅학습에서 가장 어려운 점은 학습량 과다 문제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을 보다 압축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하지만 이러한 설문조사 결과에서와 달리 면담 조사에서는 내용 요소를 기계적으로 감축하는 것은 지양해야 한다는 의견도 강하게 제시되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의 의견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초등학교 5~6학년군 사회과 교육과정 운영 내실화를 위해 핵심적인 내용 요소 중심의 교수⋅학습 방안 마련, 초등 사회과 교수⋅학습 자료 등의 개선, 2022 개정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의 개선 방안 등을 제안하였다.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teachers who oversaw social studies classes in 2019—whe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as introduced for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regarding manage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ethods The aim of the study was to develop detailed improvement plans for curriculum implementation in terms of teaching, learning, and the evaluation of social studies in grades 5 and 6. To this end, a survey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632 teachers who oversaw social studies classes in grades 5 and 6 in 2019, and interview surveys were conducted with the elementary school teachers who oversaw these grades. Results The key outcomes are as follows. First, many teachers perceived the subject competency presented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as appropriate for grades 5 and 6. Second, when examining teacher perceptions regarding the amount and level of social studies content learned in these grades, many felt that the amount of learning related to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was high for the historical domains studied in the second semester of grade 5. They felt that, overall, the content level for students was also high. Third, teachers expressed that the most difficult aspect of teaching and learning social studies in grades 5 and 6 was excessive learning. Conclusions From the above research results, to enrich management of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grades 5 and 6 in elementary schools, we propose providing teaching and learning plans centered on essential content elements, improving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developing improvement plans for the 2022 revised elementary school social studies curriculum.

      • KCI등재

        사회과 교과 역량과 기능 체계화 방안 탐색 -2015 개정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을 중심으로-

        배화순 ( Bae Hwasoon ),강대현 ( Kang Dae-hyun ),은지용 ( Eun Ji-yong ),구정화 ( Koo Jeonghwa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21 시민교육연구 Vol.53 No.2

        2015 개정 교육과정 전후로 사회과에서는 다른 교과와 마찬가지로 교과 역량과 기능에 대한 관심이 고조되었다. 그리고 이러한 관심은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역량과 기능 교육을 강조하는 방향으로 표현되었다. 그러나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교과 역량과 기능이 제대로 선정되었는지, 교육 내용에 충분히 반영되었는지, 이들이 잘 연계되어 교육 내용이 조직되었는지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견해들이 많다. 이 연구에서는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일반사회 영역에서 교과 역량, 기능, 성취기준 간에 연계성을 검토하고, 교과 역량을 교육 내용에 제대로 반영하기 위해서 기능을 체계화하여 제시할 수 있는 방안을 탐색하였다. 이를 위해서 2015 개정 교육과정을 전후에서 이루어진 사회과 교과 역량과 기능 관련 연구를 검토하고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제시된 교과 역량, 기능, 성취기준 등을 분석하여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교과 역량에서는 역량 선정의 적절성, 복합적 역량 제시, 과목 간 교과 역량의 차이 등이 주요 문제로 나타났다. 또한 내용 체계에 제시된 기능은 영역별 기능 제시의 문제, 학교급 및 학년군별 기능의 동일성 문제, 주요 기능에 대한 누락 등의 측면에서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성취기준에 사용된 기능 술어를 분석한 결과, 성취기준에 제시된 기능 술어의 제한적 활용, 체계화 및 위계화 문제 등이 나타났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이 연구에서는 교과 역량 및 기능의 체계화 방향을 탐색하고, 사회과 교과 역량과 기능 개선을 통하여 체계화 방안을 마련하였다. 이를 통해 교과 역량 선정, 내용 체계의 기능 제시, 성취기준의 기능 술어 사용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다. Before and after the announcement of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deep interest existed in the key competencies and skills in social studies education. This interest was reflected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ich included an emphasis on competency-based curricula. However, extensive literature exists for exploring whether competencies and skills were properly selected for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hether they were fully reflected in it, and whether they were suitably linked and organized. In this study, we review the relationship between competencies,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e also explore how to systematize and present skills to ensure that they are reflected properly and can be applied effectively to achievement standards. This study finds that the 2015 revised social studies curriculum was inadequate and ambiguous relating to the competencies that were identified within it. Furthermore, although all subjects in the curriculum are social studies subjects, each subject includes different social studies competencies. The skills and achievement standards in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must be improved by properly systemizing and ordering competencies and skills. This work concludes by providing examples and guidance for exploring the systematization of curriculum competencies and skills.

      • KCI등재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에 제시된 판례 분석과 개선 방안 탐색

        배화순 ( Bae Hwasoon ) 한국법교육학회 2020 법교육연구 Vol.15 No.2

        교과서는 사회과 교육의 대표적인 공식적 학습 자료이자, 학생들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는 핵심적인 교수·학습 자료이다.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의 법교육 영역에서는 법적 사례를 교수·학습 및 평가 전반에 활용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우리나라처럼 국가 수준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교과서에 대한 검·인정을 철저하게 관리하는 국가에서는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이 학교에서의 교수·학습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를 검토하고,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법적 사례가 교과서에 어떻게 구현되고 있는지 판례를 중심으로 분석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을 도출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출판사 및 대단원별 판례 수록 현황을 살펴본 결과, 교과서나 대단원별로 포함된 판례의 수에 상당한 차이가 있다. 둘째, 성취기준이나 내용요소에 따라 판례를 제시하는 정도에 차이가 있었으며, 특정한 내용 요소에 판례가 집중되어 제시되고 있다. 셋째, 고등학교 정치와 법 교과서에는 헌법재판소 결정이 가장 많이 제시되고 있으며, 대법원의 판례도 비교적 여러 교과서에서 고르게 제시되고 있었다. 넷째, 교과서에 판례 중 사건 번호가 제시되지 않아 교사나 학생들이 판례와 관련된 추가적인 사항을 찾아보기 어려운 경우가 많았으며, 관련된 교수·학습 방법 등도 안내하지 않는 경우도 상당수 있었다. 다섯째, 교과서에 제시된 판례의 자료 형식이나 구성 방법을 살펴본 결과, 대부분 판례의 원문을 직접 제시하거나 신문이나 뉴스의 기사를 제시하는 방식으로 판례를 수록하고 있었다. 이상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치와 법 교과서의 판례 제시 방식에 대한 개선 방안, 판례 활용을 위한 구체적인 방안 등을 몇 가지 제언하였다. Textbooks are official learning materials that represent social studies education as well as ke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at significantly affect students. The 2015 Revised Social Curriculum encourages that the school use legal cases in the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of law-related education in social studies. In particular, in countries like South Korea that have adopted national-level curriculum and strictly manage official certification and accreditation systems for textbooks, the content and structure of textbooks serve as important elements that determine teaching and learning at school. Therefore, this study analyzes the precedents provided in high school ‘Politics & Law’ textbooks and determines measures for improvement. Firs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recedents included for each publisher and unit, there was a considerable gap in the number of precedents included in each textbook or unit. Secon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xtent to which the precedents were provided depending on the achievement standard or content element, and the precedents focused on specific content elements. Third, Constitutional Court decisions were provided most frequently in high school ‘Politics & Law’ textbooks, and Supreme Court precedents were also provided evenly in multiple textbooks. Four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way in which the precedents were provided in the textbooks, it was found that the case numbers were not presented, which made it difficult for teachers or students to find additional information related to the precedents. There were also many cases in which relevant teaching-learning methods were not guided, which raised the need for improvement. Fifth,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format or composition of the precedents in the textbooks, it was discovered that most were presented directly in the form of the original text or in the form of news articles or reports. Based on the above analysis results,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ways to improve the way ‘Politics & Law’ textbooks present precedents, and specific measures to utilize them.

      • KCI등재

        통합사회 평가 문항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 통합형 문항 분석-

        김재근 ( Kim Jaegeun ),배화순 ( Bae Hwasoon ),송성민 ( Song Seong-min ) 한국사회과교육학회 2018 시민교육연구 Vol.50 No.3

        본 연구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통합사회 과목의 평가 및 문항 개발과 관련한 기초 자료를 구축하기 위해 초기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서 기출된 통합형 문항을 분석하여 그 특성을 정리하고 통합사회 문항 개발을 위한 함의를 도출하였다. 1994학년도부터 2004학년도까지 11개 학년도 12회에 걸친 수능시험의 사회탐구 문항 564개를 분석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통합형 문항의 비율은 연도별로 큰 차이를 보였으며, 대체로 5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가 6차 교육과정에 해당하는 시기에 비해 비중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통합형 문항의 유형은 자료통합형, 답지통합형, 통합소재형, 자료답지통합형 순으로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형 문항의 통합 정도와 난이도는 상, 중, 하 수준의 문항 수가 고르게 분포하였으나, 연도별로 변동성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합 문항의 내용 요소를 살펴본 결과 일반사회 과목군이 주요 내용 요소로 가장 빈번하게 활용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각 과목군 별로 이웃 과목군과의 친밀도 및 통합가능성을 고려한 문항 개발의 가능성, 통합형 문항 출제에 있어 각 유형의 특성에 유의하여 문항을 개발할 필요성, 향후 통합형 문항 개발 및 평가 방향 정립을 위한 추가 연구의 필요성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early CSAT(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integrated questions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564 questions from 11 years of CSAT (1994~2004) were analyz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ing. First, the ratio of integrated questions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5<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exhibited higher ratio than 6<sup>th</sup> period of national curriculum. Second, the type of integrated questions were identified as ‘passage-integrated question’, ‘answers-integrated question’, ‘integrative topic question’, and ‘passage-answers-integrated question’ types in order of large numbers. The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the difficulty of question fluctuated a lot through the years, but the number of ‘high’, ‘middle’, ‘low’ questions distributed evenly. The contents of the integrated questions were analyzed to exhibit the largest number of general social studies materials to be employed. From these research findings, followings were suggested for the development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questions: the possibility to consider the affinity with the neighboring subject matters, the necessity to take heed of the characteristics of integrated question types, the need for more related researches regarding integrated social studies evaluation.

      • KCI등재

        사회과 통합형 평가문항의 유형 및 특성 분석 :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문항을 중심으로

        송성민(Song, Seong-min),김재근(Kim, Jaegeun),배화순(Bae, Hwasoon)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20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20 No.9

        본 연구는 사회과에서 활용 가능한 통합형 평가 문항을 발굴하고 이를 몇 가지 유형으로 범주화한 후 그 특성을 도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하여 대학수학능력시험과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에 나타난 통합형 문항을 대상으로 자료 분류 및 분석을 수행하였다. 먼저 사회과 통합형 문항의 유형을 구분하기 위하여 발문-자료-답지의 3단 구성에 착안하여, 자료통합형, 답지통합형, 자료답지통합형, 통합소재형의 4가지 유형을 제안하였다. 다음으로 각 유형별 통합형 문항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와 정성적 특성 도출을 위해 대학수학능력시험 및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문항에서 유형별 대표문항을 선정하였고, 이를 분석하여 각 유형별 세부적인 특성을 제시하였다. 한편 통합의 유형에 따른 통계적 특성을 도출하기 위하여 유형별 통합 정도, 유형별 난이도의 관계에 대하여 교차분석을 수행하였고 각 유형별 특성에는 대부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types and features of integrated social studies questions focusing on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and National Assessment of Educational Achievement(NAEA).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ypes of integrative social studies assessment items can be categorized into the followings: material integrative item, option integrative item, material-option integrative item, and integrative topic item. Representative items from each types were extracted from CSAT and NAEA to be analyzed for clearer understanding of their specific features. Furthermore,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difficulty of each types of items were also analyzed. The option-integrative item was weak in its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exhibited relatively balanced difficulty. The material-option integrative item was stronger than option integrative item in its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exhibited high or medium difficulty. Material integrative item exhibited little extremeness both in its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difficulty. Integrative topic item was strongest in an intensity of integration, and relatively lower level of difficulty.

      • KCI등재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성취기준 특성 분석

        이정우(Lee, Jungwoo),김현미(Kim, Hyun-Mi),배화순(Bae, Hwasoon),이해영(Lee, HaeYoung),조철기(Cho, Chul-Ki)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2019 교육연구 Vol.75 No.-

        이 연구는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의 구성 체제와 내용을 분석함으로써 사회과 교육과정 개정을 위한 시사점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초등학교와 중학교 수준에서는 스트랜드 중심으로,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사회, 경제, 지리, 역사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심화 학습을 하도록 성취기준이 구성되어 있다. 둘째, 총론에는 핵심역량이 제시되나 과목별 목표 및 교과역량은 별도로 제시되지 않았다. 셋째, 형식적인 측면에서 성취기준의 수가 매우 적고 성취기준의 진술이 통일되어 있었다. 넷째, 성취기준에 제시된 내용의 범위와 수준을 분석한 결과 수준이 높아질수록 내용의 범위가 확대되고 그 수준이 높아졌다. 특히 역사 영역의 경우, 역사적 사고력의 위계를 중심으로 수준별로 내용이 제시되어 우리나라와 큰 차이를 보였다. 뉴질랜드 사회과 교육과정은 역량 기반 교육과정으로서의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으며, 교실 수준에서 교육과정 실행의 자율성이 높도록 구성되어 있다는 측면에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 시사하는 바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implications for the social studies curriculum by analyzing the construction and standards of the New Zealand s National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the elementary school and middle school level, standards are constructed by strands. In the high school level, standards are written according to the elective subjects, such as social studies, economics, geography and history. Second, key competencies are presented in the whole curriculum, not by every subjects. Third, there are big differences between curriculum of Korea and New Zealand in terms of the number of standards and the way they are presented. Forth, in case of history, the way of presenting standards is very different from that of Korea. New Zealand s curriculum shows the characteristics of competence-based curriculum very well. It also gives much freedom of teacher s curriculum implementation.

      • KCI등재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 분석을 통한 시사점 탐색

        조철기 ( Chul-ki Cho ),김현미 ( Hyun-mi Kim ),배화순 ( Hwasoon Bae ),이해영 ( Haeyoung Lee ),이정우 ( Jung-woo Lee ) 경북대학교 중등교육연구소 2019 중등교육연구 Vol.67 No.2

        본 연구는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의 개선 방향을 탐색한 것이다. 싱가포르 사회과 교육과정은 인문학 교과와 인성 및 시민성 교육 교과로 나뉜다. 싱가포르의 사회과 학습은 초등학교 1학년부터 시작되며, 초등 및 중등학교 수준에서 사회과에 해당하는 교과목으로 인성 및 시민성 교육, 사회, 지리, 역사를 학습하도록 하고 있으며, 역사와 지리는 중학교 수준에 이르러 도입되며 개별 과목으로 학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싱가포르는 사회과 전체 목표를 제시하지 않고 과목별 목표만을 제시하며, 핵심역량은 총론 수준에서만 제시하고 이것이 사회과 교육과정의 내용과 어떻게 연계되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시한다. 사회과의 영역별 내용구성은 사회, 역사, 지리의 경우 주제 중심, 인성 및 시민성 교육은 지평확대원리를 따르는 스트랜드 중심이다. 성취기준 진술 방식은 학년별로 학습해야 할 영역, 쟁점, 단원을 설정한 후 각 영역, 쟁점, 단원에 대한 성취기준을 다양한 하위요소가 결합된 다소 복잡한 여러 개의 도표 형식으로 제시하고 있다.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경우 인성 및 시민성 교육은 과정기반 교수법, 나머지 인문학 교과목은 탐구기반 학습이 강조되며, 이에 기반하여 평가는 학습에 대한 평가보다 학습을 위한 평가를 강조한다. 이러한 분석 결과를 토대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 주는 시사점을 목표와 핵심역량, 성취기준 진술방식, 교수ㆍ학습 및 평가의 주안점 등의 관점에서 제시하였다. This study is to analyze social studies in Singapore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improvem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Korea. Social studies in Singapore is divided into Humanities and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courses. Social studies in Singapore begins in the first grade of primary school, and requires students to study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social studies, geography and history at the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d history and geography are introduced at the middle school level and are organized into individual subjects. Singapore curriculum does not present social studies overall goals or objectives, but only offers subject-specific goals or objectives, and its key competences are presented only at the general guidelines and information on how this relates to the content of social studies curriculum. In terms of the content organization of each area of social studies, social studies, history and geography is theme or topic-centered, and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is the strand-centered following the principle of horizon expansion. After establishing areas, issues, and units to be learned on a yearly basis, the level descriptors for each area, issue and unit are presented in a number of complex diagrams combining various sub-components. In case of teaching, learning and assessment, Character and Citizenship Education is based on precess-based teaching approaches, and the rest of the humanities subjects emphasize inquiry-based learning, and on the basis of this, assessment emphasizes assessment for learning rather than assessment of learning.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analyses, its implications for social studies were put forward from the perspective of goals or objectives and key competences, methods of statement of level descriptors, and main points of teaching and learning and assess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